KR20220109736A -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 Google Patents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736A
KR20220109736A KR1020210013112A KR20210013112A KR20220109736A KR 20220109736 A KR20220109736 A KR 20220109736A KR 1020210013112 A KR1020210013112 A KR 1020210013112A KR 20210013112 A KR20210013112 A KR 20210013112A KR 20220109736 A KR20220109736 A KR 2022010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ollection
inlet
uni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819B1 (ko
Inventor
유승열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8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제1선체와, 제1선체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선체와, 제1선체와 제2선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수거대상물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제1선체와 제2선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수거부로부터 수거된 수거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WASTE COLLECTION VESSEL FOR WATER ENVIRONMENT PURIFICATION}
본 발명은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환경 또는 강, 호수 등의 담수 환경 등 수상으로 유출된 수상쓰레기를 수거 및 운반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환경 또는 강, 호수 등의 담수 환경으로 유입되는 초목류, 생활쓰레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어망, 어구 등의 수상쓰레기는 장시간 수상을 표류하면서 수중 생물 생태계에 많은 피해를 주며, 육상으로 흘러나오는 경우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수상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거용 선박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수거용 선박들은 단독으로 운용되어 일정량 이상의 수상쓰레기를 수거하게되면 적재된 수상쓰레기를 예인선 또는 육상으로 옮기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집용 선박에서 크레인을 통해 수거된 수상쓰레기를 옮김에 따라 작업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6749호(2002.01.26 공개, 발명의 명칭: 부유물 수거용 선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상쓰레기 수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제1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수거대상물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수거부로부터 수거된 수거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는 독립적으로 운행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연동되어 내부로 상기 수거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상기 저장부로 운반하는 운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운반부로부터 수면을 향해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유입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운반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너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너비조절부는 상기 유입부재가 상기 운반부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운반부는 무한궤도방식에 의해 상기 수거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한다.
또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운반하는 제1운반부; 및 상기 제1운반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상기 저장부로 운반하는 제2운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운반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된 측이 수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유입부의 수면에 대한 상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독립적으로 운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선체와 제2선체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거 작업 중 저장부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수거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각각의 유입부재가 운반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수거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유입부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너비조절부에 의해 유입부재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수거 대상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높이조절부에 의해 유입부의 수면에 대한 상대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수면을 부유하고 있는 수거대상물 뿐만아니라 수면 아래에 잠긴 수거대상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은 운반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가능한 제1운반부와 제2운반부로 분리됨에 따라 유입부의 높이 조절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1)은 제1선체(100), 제2선체(200), 수거부(300),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수거부(300)가 제1선체(100)에 구비되고, 저장부(400)가 제2선체(200)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와 달리 수거부(300)가 제2선체(200)에 구비되고, 저장부(400)가 제1선체(10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상은 해양 환경뿐만 아니라 강, 호수 등의 담수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수거대상물은 이러한 수상에 유출되어 수면 상을 부유하거나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로 수상쓰레기로 예시될 수 있다.
제1선체(100)는 수상을 운행할 수 있는 선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선체(100)는 수거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거부(3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체(100)는 한 쌍의 선체가 제1선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쌍동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선체(100)의 중앙부에는 제1선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제1선체(100)에는 전동 모터 등에 의해 제1선체(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와, 작업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선체(100)의 운행 상태를 조절하는 조종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선체(200)는 수상을 운행할 수 있는 선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선체(200)는 저장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저장부(400)를 지지한다.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와 연결된 경우, 제1선체(100)와 일체로서 운행된다.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제1선체(100)와 독립적으로 운행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선체(2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에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선체(200)는 수거대상물의 수거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빈 공간 후방에 도킹 형식으로 결합되는 바지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와 분리 시 별도의 예인선에 연결되어 제1선체(100)와 독립적으로 운행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선체(200)는 자체적인 추진력에 의해 제1선체(100)와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거부(300)가 제2선체(200)에 구비되고, 저장부(400)가 제1선체(100)에 구비되는 경우, 제1선체(100)와 제2선체(200)의 형태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수거부(300)는 제1선체(100)에 구비되어 수거대상물을 수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300)는 유입부(310), 운반부(320), 높이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유입부(310)는 제1선체(100)의 이동에 연동되어 내부로 수거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유입부(310)는 운반부(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1선체(100)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310)는 유입부재(311), 너비조절부(312)를 포함한다.
유입부재(311)는 운반부(320)로부터 수면을 향해 연장된다. 유입부재(311)는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수면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유입부재(311)의 일측은 수거대상물의 수거 작업 시 수면과 접촉되거나 수면 밑으로 소정 깊이 잠기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입부재(311)는 제1선체(100)의 이동 시 개방된 측을 통해 내부로 수거대상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부재(311)는 타측이 운반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하는 너비조절부(312)에 의해 개방된 측의 너비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재(311)는 후단부가 힌지부(311a)에 의해 운반부(320)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321a)의 전방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가 수면을 향해 연장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재(31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선체(100) 또는 운반부(32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유입부재(311)는 전단부가 운반부(320)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대략 "V"자 또는 "U" 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입부재(311)는 수거대상물이 유입되는 개방된 측의 너비를 운반부(320)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수거대상물의 수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너비조절부(312)는 유입부재(311)에 연결되어 유입부재(311)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너비조절부(312)는 유입부재(311)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유입부재(311)가 운반부(320)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입부재(311)의 개방된 측의 너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너비조절부(312)는 수거대상물의 크기 등에 대응하여 유입부재(311)의 개방된 측의 너비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312)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제1프레임(321a)과 유입부재(311)에 연결된다. 너비조절부(31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유입부재(311)에 각각 연결된다. 너비조절부(312)는 신축 동작이 유입부재(311)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프레임(321a)의 전방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너비조절부(3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한 쌍의 유입부재(311)의 운반부(320)에 대한 연장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운반부(320)는 유입부(310)로 유입된 수거대상물을 저장부(400)로 운반한다. 운반부(320)는 무한궤도방식에 의해 유입부(310)로부터 전달된 수거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부(320)는 제1운반부(321), 제2운반부(322)를 포함한다.
제1운반부(321)는 유입부(310)와 연결되고, 유입부(310)로 유입된 수거대상물을 제2운반부(321)로 운반한다. 제1운반부(321)는 유입부(310)와 연결된 측이 수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운반부(321)는 제1프레임(321a), 제1운반부재(321b)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321a)은 제1선체(100)의 중앙부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다. 제1프레임(321a)은 길이 방향이 제1선체(100)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프레임(321a)이 선체(10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소정 각도는 유입부재(311)가 연결된 제1프레임(321a)의 전방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각도의 범위 내에서 유입부재(311)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프레임(321a)은 제1선체(100)의 중앙부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부(321c)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제1프레임(321a)은 지지부(321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하는 각도조절부재(332)에 의해 수면에 대한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운반부재(321b)는 제1프레임(321a)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운반부(322)는 제1운반부(321)와 저장부(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운반부(321)에 의해 운반된 수거대상물을 저장부(400)로 운반한다. 제2운반부(322)는 제1운반부(32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운반부(321)와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운반부(322)는 제2프레임(322a)과, 제2운반부재(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322a)은 제1선체(100)의 중앙부의 후방 상측에 제1프레임(321a)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프레임(322a)은 길이 방향이 제1선체(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2프레임(322a)은 전방 단부가 제1프레임(321)의 후방 단부와 소정 길이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프레임(322a)은 제1운반부(321)로부터 배출되는 수거대상물이 모두 제2운반부(322)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프레임(322a)은 제1선체(100)에 직접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1선체(100)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운반부재(322b)는 제2프레임(322a)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높이조절부(330)는 유입부(310)의 수면에 대한 상대 높이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330)는 재1운반부(321)의 높이 또는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운반부(321)에 연결된 유입부(310)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330)는 수거대상물의 수거 작업 시에는 유입부(310)가 수면 밑으로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여 유입부(310)로 하여금 수면을 부유하는 수거대상물 뿐만 아니라 수면 근처에 잠겨 있는 수거대상물을 수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330)는 수거 작업 완료 후에는 유입부(310)를 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유입부(310)가 제1선체(100)의 운행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330)는 높이조절부재(331), 각도조절부재(332)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재(331)는 제1운반부(321)에 연결되고, 제1운반부(321)의 제1선체(100)에 대한 설치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331)는 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331)는 하측이 제1선체(100)에 고정되고, 상측이 지지부(321c)에 연결되어 지지부(321c)를 지지한다. 높이조절부재(331)는 상측이 하측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이동되며 지지부(321c)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높이조절부재(331)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운반부(32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각도조절부재(332)는 제1운반부(321)의 제1선체(100)에 대한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332)는 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332)는 지지부(321c)로부터 제1프레임(321a)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각도조절부재(332)는 하측이 제1선체(100)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1프레임(321a)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도조절부재(332)는 상측이 하측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이동되며 제1프레임(321a)을 지지부(321c)를 축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저장부(400)는 제2선체(200)에 구비되고, 수거부(300)로부터 수거된 수거대상물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00)는 제2선체(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면이 개방된 컨테이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개방된 상측면이 수거대상물이 수거부(300)로부터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제2운반부(322)의 후단부의 하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저장부(400)의 형상, 크기 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거부(300)로부터 수거된 수거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제1선체(100)는 제2선체(20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상으로 유출된 수거대상물을 향해 이동된다.
제1선체(100)가 이동됨에 따라, 제1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된 수거대상물은 수면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유입부재(311)의 개구된 측을 통해 유입부(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부(310)의 내부로 유입된 수거대상물은 제1선체(100)의 이동력에 의해 유입부재(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운반부(321)로 전달된다. 이 경우, 수집대상물은 유입부재(311)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유입부(3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운반부(321)로 전달된 수집대상물은 제1프레임(321a)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제1운반부재(321b)에 의해 제1운반부(321)의 후방으로 운반된다.
수집대상물은 제1운반부(321)의 후방에서 낙하되어 제2운반부(322)로 전달되고, 제2프레임(322a)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제2운반부재(322b)에 의해 제2운반부(322)의 후방으로 운반된다.
제2운반부(322)에 의해 운반되는 수집대상물은 최종적으로 저장부(40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저장부(400)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제2선체(200)는 제1선체(10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제2선체(200)는 예인선에 연결되거나 자체적인 추진력에 의해 제1선체(100)와 독립적으로 운행되어 저장부(400)에 채워진 수집대상물을 육상으로 운반한다.
이후, 복수개의 제2선체(200) 중 수집대상물이 채워져 있지 않은 저장부(400)가 구비된 제2선체(200)가 제1선체(100)에 연결되고, 상술한 수거 작업이 반복하여 수행한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수거대상물의 너비가 한 쌍의 유입부재(311) 간의 거리보다 넓어 수거대상물이 유입부재(311)의 개구된 측으로 유입되지 않는 경우, 유입부재(311)의 측면에 연결된 너비조절부(312)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된다.
너비조절부(312)의 수축력에 연동되어 제1프레임(321a)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유입부재(311)는 힌지부(311a)를 축으로 회전되며 운반부(320)로부터 연장되는 각도가 변경된다. 즉, 한 쌍의 유입부재(311)는 수면을 향해 연장된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유입부재(311) 간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유입부재(311)의 개구된 측의 너비가 확장된다.
한 쌍의 유입부재(311) 간의 거리가 수거대상물의 너비보다 커진 경우, 수거대상물은 유입부재(311)의 개구된 측을 통해 유입부(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수거대상물이 수면 밑으로 소정 깊이 잠겨 유입부(310)가 수거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 높이조절부재(331)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된다.
높이조절부재(331)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부(321c)는 높이조절부재(331)의 수축에 연동되어 프레임부(321a)와 함께 하강 이동된다.
프레임부(321a)가 하강 이동됨에 따라 프레임부(321a)에 연결된 유입부재(311) 역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수면 밑으로 잠긴다.
유입부재(311)가 수거대상물과 접촉 가능한 지점까지 잠긴 후 높이조절부재(331)는 작동이 중지되고, 상술한 수거 작업이 수행된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수거대상물이 수면 밑으로 소정 깊이 잠겨 유입부(310)가 수거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 각도조절부재(332)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다.
각도조절부재(332)의 상측에 연결된 프레임부(321a)는 각도조절부재(332)의 신장에 연동되어 지지부(321c)를 축으로 시계방향(도 14 기준)으로 회전된다.
프레임부(321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부(321a)의 전방에 연결된 유입부재(311)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수면 밑으로 잠긴다.
유입부재(311)가 수거대상물과 접촉 가능한 지점까지 잠긴 후 각도조절부재(332)는 작동이 중지되고, 상술한 수거 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100 : 제1선체
200 : 제2선체 300 : 수거부
310 : 유입부 311 : 유입부재
311a : 힌지부 312 : 너비조절부
320 : 운반부 321 : 제1운반부
321a : 제1프레임 321b : 제1운반부재
321c : 지지부 322 : 제2운반부
322a : 제2프레임 322b : 제1운반부재
330 : 높이조절부 331 : 높이조절부재
332 : 각도조절부재 400 : 저장부

Claims (11)

  1. 제1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수거대상물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수거부로부터 수거된 수거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는 독립적으로 운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연동되어 내부로 상기 수거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상기 저장부로 운반하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운반부로부터 수면을 향해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유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운반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너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너비조절부는 상기 유입부재가 상기 운반부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무한궤도방식에 의해 상기 수거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운반하는 제1운반부; 및
    상기 제1운반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수거대상물을 상기 저장부로 운반하는 제2운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반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된 측이 수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유입부의 수면에 대한 상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KR1020210013112A 2021-01-29 2021-01-29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KR10247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12A KR102473819B1 (ko) 2021-01-29 2021-01-29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12A KR102473819B1 (ko) 2021-01-29 2021-01-29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36A true KR20220109736A (ko) 2022-08-05
KR102473819B1 KR102473819B1 (ko) 2022-12-05

Family

ID=8282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112A KR102473819B1 (ko) 2021-01-29 2021-01-29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8755A (zh) * 2024-01-03 2024-02-02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藻类污染治理作业装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144Y2 (ja) * 1991-04-04 1994-12-14 三井造船株式会社 水草回収船
JP2618772B2 (ja) * 1991-05-14 1997-06-11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水中ごみ類回収装置
KR200310956Y1 (ko) * 2003-01-07 2003-04-21 (주)일흥조선 부유물수거파쇄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144Y2 (ja) * 1991-04-04 1994-12-14 三井造船株式会社 水草回収船
JP2618772B2 (ja) * 1991-05-14 1997-06-11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水中ごみ類回収装置
KR200310956Y1 (ko) * 2003-01-07 2003-04-21 (주)일흥조선 부유물수거파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8755A (zh) * 2024-01-03 2024-02-02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藻类污染治理作业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819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07B1 (ko) 수초 제거용 보트
KR102236456B1 (ko) 수상 쓰레기 청소장치
KR20220109736A (ko) 수상 수거대상물 수집용 선박
US6363873B2 (en) Ship for recovering floating petroleum products and mobile installation using such recovery ships
US20050204589A1 (en) Multi-purpose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storing and/or offloading material in a dredging operation
US3700107A (en) Apparatus for recovery of floating substances
US5792350A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US4092790A (en) Floatable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transporting excavated material
JP3412140B2 (ja) 水面浮遊物回収船
JP4450733B2 (ja) 収集用の揚水を必要とせずに器内に流入したごみを収集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ごみ収集容器。
JPH11171085A (ja) 油回収船
US3881530A (en) Plant for evacuating dredged material
KR20040031984A (ko) 다목적 청소선
US3146537A (en) Floating dredge design
RU2371580C1 (ru) Подводный добывающий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KR100285772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선
US7025553B1 (en) Dredging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transporting and off loading material
KR20230174028A (ko) 추진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가변식 추진구조를 갖는 해양쓰레기 수거로봇
WO2000006838A1 (en) Dredging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transporting and off-loading material
US5778568A (en) Carry scraper ships
CN212835305U (zh) 一种河道垃圾清理装置
KR100483041B1 (ko) 부유물 청소선박
CN1796664A (zh) 清漂推漂装置
JPS60192033A (ja) 泥土圧送タンク装置
JPS62225629A (ja) 汚濁水循環式浚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