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114A -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114A
KR20220109114A KR1020210012395A KR20210012395A KR20220109114A KR 20220109114 A KR20220109114 A KR 20220109114A KR 1020210012395 A KR1020210012395 A KR 1020210012395A KR 20210012395 A KR20210012395 A KR 20210012395A KR 20220109114 A KR20220109114 A KR 20220109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detection
radar
radar sensor
occupa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민
김한준
박종희
윤재준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랩
Priority to KR102021001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114A/ko
Publication of KR2022010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osition of specific human body parts, e.g. face, eyes 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B60K2370/1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을 개시한다.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방법은 환경인식 모드에서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제어하고,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고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한다.

Description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System and interference prevention method for radar-based vehicle occupant detection}
기술 분야는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차량 탑승자 감지 시의 레이더 신호 간 간섭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구지역사업평가단(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지역활력프로젝트(비R&D) 자동차부품산업 위기극복 & 신산업 전환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안전 및 도난 방지를 위한 차량용 UWB 스마트키 장치 (과제고유번호: 0012974, 과제번호: P0012974, 연구기간: 2020-09-15 ~ 2021-02-28)"을 통해 개발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 유아 또는 아동의 방치로 인해 사망 또는 의식불명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탑승자 감지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후석 승객 알림(ROA: Rear occupant alert)' 기능의 장착을 의무화 하는 국가도 늘어나고 있다.
ROA 시스템은 자동차 2열(뒷좌석)에 탑승한 영유아나 어린이가 홀로 방치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다. 뒷좌석 천장에 장착된 레이다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비상경고등을 작동시켜 문제 상황을 알린다. 초음파 센서에서 레이다 센서로 대체되는 추세다. 레이다는 생체 신호까지 탐지할 수 있어서 감지 대상이 성인, 유아, 애완견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몇 명이 탑승했는지도 감지가 가능하다.
ROA 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다는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 사용되는 60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고주파 대역이나 초광대역통신(UWB)이 쓰인다.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종래기술들은 레이더를 이용한 탑승자 감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들은 이미징 처리나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감지를 위한 연산을 요구하는 점에서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이 어렵고, 차량 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레이더들 간의 간섭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23521호, UWB레이더를 이용한 승탑자 감지 시스템 선행기술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82605호, 차량 탑승자 감지 장치 선행기술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64135호,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후석 승객 감지방법 선행기술 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33324호, 차량 탑승자의 생체 신호의 무접촉 검출 및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이 가진 문제를 해소하고, 복잡한 연산 없이 탑승자 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운용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설치된 레이더 시스템을 고려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레이더 간의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레이더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탑승자 감지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은, 차량 내의 좌석들 각각에 위치하는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과, 환경인식 모드에서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제어하고,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고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자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및 차량 내에 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도별 레이더 센서 각각의 상대적 거리 정보, 사용 채널 정보 및 슬롯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현재 활성화된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의 동작을 위한 신호 간섭량을 산출하는 간섭량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의 채널 할당,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신호대기 및 신호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간섭량 산출부는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예상 간섭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상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해당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사용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간섭량 산출부는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간섭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해당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사용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배경 정보가 생성되지 못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1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2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은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통해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은,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배경 정보가 생성되지 못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1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 센서 간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채널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에 할당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탑승자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기술들이 가진 문제를 해소하고, 복잡한 연산 없이 탑승자 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운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설치된 레이더 시스템을 고려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레이더 간의 간섭을 측정할 수 있고, 레이더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탑승자 감지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의 적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레이더 간 간섭을 고려하여 탑승자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의 적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실 내외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레이더 센서들(110, 120, 130, 140, 150, 161, 163, 165, 167)이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더 센서'는 안테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신호처리칩, 전원부, 통신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듈' 또는 '레이더 유닛'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더 센서들(110, 120, 130, 140, 150, 161, 163, 165, 167) 각각은 임펄스 또는 처프 신호를 송신하고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또는 에코 신호)를 수신한 후 중간 주파수 처리를 수행하거나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석하기 위한 고속 푸리에 변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들(110, 120, 130, 140, 150)은 차량(100) 내에 설치된 '용도별 레이더 센서'이고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은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로 구분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들(110, 120, 130, 140, 150)은 IR-UWB 센서,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FMCW Radar) 및 도플러 레이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레이더 센서(110)는 예를 들어, 차량(100)의 대시보드 부근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120)는 예를 들어, 운전석 부근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졸음 운전 여부, 심리 상태, 건강 상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들(140, 150)은 예를 들어, 차량의 문열림을 감지하거나 차량의 측면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130)는 예를 들어, 트렁크의 열림이나 차량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은 차량의 각 좌석들에 대응하는 천정에 구비되고, 차량 내의 좌석들 각각에 위치하는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1)는 제1 좌석 영역(예를 들어, 조수석 영역)에서 객체(예를 들어, 탑승자)를 탐지하고,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3)는 제2 좌석 영역(예를 들어, 조수석 뒤의 좌석)에서 객체(예를 들어, 탑승자)를 탐지하고, 제3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5)는 제3 좌석 영역(예를 들어, 운전석 뒤의 좌석)에서 객체(예를 들어, 탑승자)를 탐지하고, 제4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7)는 제4 좌석 영역(예를 들어, 차량의 3열)에서 객체(예를 들어, 탑승자)를 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은 간섭량 산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량 산출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는 하나의 제어 보드에 구비되어 제어 장치(200)라 칭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은 환경인식 모드와 탑승자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환경인식 모드는 차량 내 전체 좌석 또는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서의 운전석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고,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는 배경 정보 생성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구조 정보는 송출된 레이더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즉 반사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패턴 정보, 송출된 신호와 수신 신호의 딜레이 시간, 신호 세기의 변화 및 반사 신호의 특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탑승자 감지 모드는 각 좌석 영역에 대한 배경 정보, 생체 신호 감지 및 움직임 감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탑승자를 감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배경 정보와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획득된 반사 신호의 특성을 비교하면 물체가 존재하거나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경 정보와 레이더 센서에 의해 현재 수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자를 탐지함으로써, 선행기술들과 달리,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복잡하게 호흡수를 계산하거나 움직임 감지를 위해 수신 신호를 누적하여 연산 하는 등의 과정 없이 용이하게 탑승자를 탐지할 수 있다.
환경인식 모드에서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을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1)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1)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송신 신호가 대상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된 신호, 즉 반사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한다.
제어부(220)는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1)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는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3)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3)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한다.
제어부(220)는 제2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는 제3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5) 및 제4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167)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3좌석 영역 및 제4 좌석 영역을 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신호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의 채널 할당,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신호대기 및 신호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 각각은 순차적으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될 수 도 있지만,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 각각 신호 송출 시간 구간이 중복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더 신호의 간섭은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 및 차량 내에 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도별 레이더 센서들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간섭량 산출부(210)는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161, 163, 165, 167) 및 차량 내에 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도별 레이더 센서 각각의 상대적 거리 정보, 사용 채널 정보 및 슬롯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레이더 센서들 간의 거리 정보의 수집은 하나의 레이더가 식별자를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한 시간 정보와 레이더 신호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산출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200)는 레이더 센서들 각각의 상대적 거리 정보를 집적 측정함으로써 거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들 각각의 사용 채널 정보 및 슬롯 정보는 레이더 또는 차량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채널은 각각의 레이더 센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고, 채널 번호로 구분될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서 5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채널 번호는 1~5이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할당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레이더 신호의 송출은 지향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 내에서 복수의 레이더는 동일 채널을 사용할 수 도 있고,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채널을 사용할 수 도 있다.
간섭량 산출부(210)는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현재 활성화된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의 동작을 위한 신호 간섭량을 산출한다.
레이더 간 주파수 간섭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레이더가 동시에 동일 주파수 혹은 인접하는 주파수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레이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파 신호의 간섭은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거리에 비례하고, 사용하는 파장에 반비례하는 손실이 발생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l은 신호의 전송 거리를 나타낸다.
동일 채널에서는 사용하는 파장이 동일하기 때문에 신호의 손실은 전송거리와 관련되어 있다. 레이더간 간섭 역시 사용하는 신호의 세기와 관련되기 때문에 레이더 간의 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량 판단은 레이더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예상 간섭량'을 산출하여 간섭을 고려하거나, '예상 간섭량' 및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전체 및 레이더가 사용하는 슬롯 정보를 고려한 '간섭량'을 산출한 후 간섭량을 판단할 수 있다.
간섭량 산출부(210)는 수학식 2에 기초하여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예상 간섭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d는 레이더 간의 거리, Chi는 레이더 i에 할당된 채널 번호, Chj는 레이더 j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의미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예상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해당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사용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최적의 레이더 운영을 위해서는 레이더 간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신뢰성 있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채널 할당의 적합도를 모든 레이더의 간섭정도의 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레이더 간 간섭은 사용 슬롯이 같을 때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더의 사용 슬롯을 고려하면 레이더 시스템에서 전체 간섭 F는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는 레이더간 거리 및 사용 채널에 따른 예상 간섭량,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M은 차량 내에 동작중인 레이더의 개수를 나타낸다.
한 개의 레이더에 영향을 주는 다른 모든 레이더들의 간섭량을 계산하고, 다른 모든 레이더의 경우에도 계산하여 더함으로써 전체 레이더의 간섭량, 즉 전체 시스템에서의 간섭량을 얻을 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서의 간섭량이 작을수록 최적에 가까운 채널 할당이 된 상태이므로, 제어부(220)는 전체 시스템의 간섭량을 산출하도록 위해 레이더들 및 간섭량 산출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240) 또는 전자제어장치(25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환경인식 모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입력에 의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지만, 시스템이 설치된 후 초기 구동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환경인식 모드를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경우 배경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220)는 환경인식 모드가 실행되면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성 안내를 통해 출력하고,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 환경인식 모드를 수행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배경 정보가 생성되지 못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1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2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레이더 기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특히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310단계에서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통해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한다.
320단계에서 제어 장치(200)는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한다.
330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탑승자 감지 모드가 실행되는지를 판단하고, 탑승자 감지 모드가 실행되면, 340단계의 센서 동작 단계 및 350단계의 탑승자 인식 결과 저장 단계를 수행한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고,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360단계에서 제어 장치(200)는 모든 탑승자 감지 레이더에 대해 탑승자 감지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모든 탑승자 감지 레이더에 대해 탑승자 감지가 수행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411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사용자에게 환경인식 모드가 수행됨을 안내할 수 있다.
413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탑승자 없음이 입력되면, 415단계에서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421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신호 패턴 및 특징을 추출하고, 423단계에서 구조 정보를 배경 정보로 저장한다.
한편, 423단계에서 현재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 장치(200)는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 검출을 통해 탑승자를 감지한다(4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레이더 간 간섭을 고려하여 탑승자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해,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동작 타이밍은 간섭량 산출후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신호 송출을 대기하는 신호 대기 시간 구간, 간섭량 산출후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 시간 구간 및 다음 탑승자 감지 모드까지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비활성화 되는 동작 대기 시간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510 단계에서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는 신호 송출을 대기한다.
신호 대기 시간 구간에서 다른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200)는 530단계에서 간섭량 산출을 시작한다.
신호 대기 시간 구간에서 다른 레이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560단계에서 탑승자 감지 레이더는 신호를 송신한다.
540단계에서 간섭량이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간섭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장치(200)는 550단계에서 채널을 재할당한다.
540단계에서 간섭량이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는 560단계에서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 센서 간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채널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에 할당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차량 내의 좌석들 각각에 위치하는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환경인식 모드에서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제어하고,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고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자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및 차량 내에 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도별 레이더 센서 각각의 상대적 거리 정보, 사용 채널 정보 및 슬롯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현재 활성화된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의 동작을 위한 신호 간섭량을 산출하는 간섭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의 채널 할당,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신호대기 및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센서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 산출부는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예상 간섭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상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해당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사용 채널을 변경하는
    [수학식 2]
    Figure pat00005

    여기서,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d는 레이더 간의 거리, Chi는 레이더 i에 할당된 채널 번호, Chj는 레이더 j에 할당된 채널 번호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 산출부는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간섭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해당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의 사용 채널을 변경하는
    [수학식 3]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레이더간 거리 및 사용 채널에 따른 예상 간섭량,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M은 차량 내에 동작중인 레이더의 개수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배경 정보가 생성되지 못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1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2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
  7. 차량 내의 좌석들 각각에 위치하는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포함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시스템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에 있어서,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을 통해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구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구조 정보를 탑승자 좌석 영역들 각각의 배경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배경 정보가 생성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인식 모드에서 상기 배경 정보가 생성되지 못한 경우 탑승자 감지 모드에서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제1 좌석 영역에서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좌석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저장한 후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탑승자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들 각각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센서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석 영역에서 새로운 객체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 센서 간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채널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에 할당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 센서 간의 예상 간섭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학식 2]
    Figure pat00008

    여기서,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d는 레이더 간의 거리, Chi는 레이더 i에 할당된 채널 번호, Chj는 레이더 j에 할당된 채널 번호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탑승자 감지 레이더 센서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 센서 간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레이더간 거리 및 사용 채널에 따른 예상 간섭량, i는 신호 송출을 대기하고 있는 탑승자 감지용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j는 차량 내 현재 동작 중인 레이더 센서를 나타내는 인덱스, M은 차량 내에 동작중인 레이더의 개수인,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 방법.
KR1020210012395A 2021-01-28 2021-01-28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KR20220109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95A KR20220109114A (ko) 2021-01-28 2021-01-28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95A KR20220109114A (ko) 2021-01-28 2021-01-28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114A true KR20220109114A (ko) 2022-08-04

Family

ID=8283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395A KR20220109114A (ko) 2021-01-28 2021-01-28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1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397A1 (ko) * 2022-10-12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빈 내 탑승자에 대한 생체 신호 검출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35B1 (ko) 2018-12-18 2019-04-03 (주)디지탈엣지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후석 승객 감지방법
KR101982605B1 (ko) 2018-10-16 2019-08-29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차량 탑승자 감지 장치
KR20200033324A (ko) 2017-08-02 2020-03-27 케어시스 리미티드 차량 탑승자의 생체 신호의 무접촉 검출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3521B1 (ko) 2018-10-15 2020-06-17 (유)삼송 Uwb 레이더를 이용한 승탑자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324A (ko) 2017-08-02 2020-03-27 케어시스 리미티드 차량 탑승자의 생체 신호의 무접촉 검출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3521B1 (ko) 2018-10-15 2020-06-17 (유)삼송 Uwb 레이더를 이용한 승탑자 감지 시스템
KR101982605B1 (ko) 2018-10-16 2019-08-29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차량 탑승자 감지 장치
KR101964135B1 (ko) 2018-12-18 2019-04-03 (주)디지탈엣지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후석 승객 감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397A1 (ko) * 2022-10-12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빈 내 탑승자에 대한 생체 신호 검출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3451B1 (en) Method for robust vehicle occupancy detection with vital sign monitoring
US10459080B1 (en) Radar-based object detection for vehicles
CN109606357A (zh) 用于使用毫米波雷达传感器控制车辆的操作的系统和方法
US10011278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EP1640745B1 (en)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particularly for systems for assisting the parking of vehicles
EP3640085B1 (en) Vehicle occupant detection device
US7124027B1 (en) Vehicular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9142132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JP2007112297A (ja) 車両用障害物衝突回避システム
JPH08301029A (ja) 小型乗物用の多数のアンテナを含む後方及び側方障害物検出システム
CN107472237A (zh) 自适应巡航控制系统和包括自适应巡航控制系统的车辆
KR20150048186A (ko) 초음파 센서의 개선된 작동 방법, 운전자 지원 장치 및 자동차
JPH11321598A (ja) 車両走行安全装置
WO2008029277A2 (en) Detecting signal interference in a vehicle system
KR20160075134A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US2014014281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nd vehicle
US11935415B2 (en) Method for assisting an occupant in exiting a vehicle, taking into account following objects, computing devic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CN112810607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20220109114A (ko) 레이더 기반의 차량 탑승자 감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간섭 방지 방법
KR20120119420A (ko) 지능형 운동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47540A (ja) 車両用障害物検知装置および車両用障害物検知方法
JP2021122300A (ja) 生体状態検出装置および生体状態検出方法
US11209537B2 (en) Extended target-matched CFAR detector
JP7412520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090486B1 (ko) 측후방 레이더와 생체 레이더를 포함한 레이더 통합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