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640A -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640A
KR20220108640A KR1020210011865A KR20210011865A KR20220108640A KR 20220108640 A KR20220108640 A KR 20220108640A KR 1020210011865 A KR1020210011865 A KR 1020210011865A KR 20210011865 A KR20210011865 A KR 20210011865A KR 20220108640 A KR20220108640 A KR 20220108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navigation
screen
lower display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640A/ko
Priority to EP22153690.7A priority patent/EP4036757A1/en
Priority to US17/586,362 priority patent/US20220236840A1/en
Priority to CN202210103779.4A priority patent/CN114801735A/zh
Publication of KR2022010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APPARARUS FOR CONTROLLING NAVIGATION USING MULTIPLE DISPLAYS}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한된 AVN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만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내비게이션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길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프로세서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면,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서는 검색, 메뉴 버튼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팝업창 호출에 따른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부 디스플레이에 3D 주행 영상을 표시하거나, AR 주행 영상을 표시한다.
프로세서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를 동승자 컨텐츠 시청용 영역으로 변경시키고,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의 표시를 유지한다.
프로세서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밖 영역에 내비게이션 위젯이 실행 중인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 영역으로 내비게이션 위젯을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목적지 설정에 있어서 3D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회전 기능을 이용한 목적지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 목적지 중 특정 포인트에 대한 경로 안내 설정을 지원한다.
프로세서는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목적지 정보 설정,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 정보 전달 요청이 수신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조작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목적지의 특정 포인트를 향해 길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에 따라 내비게이션 화면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칵핏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검색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메뉴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변경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전 및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동작 중 하부 디스플레이의 검색 전 및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통합 검색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방 카메라 영상 및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사이즈를 고려한 영상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영상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화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전 내비게이션 표시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내비게이션 표시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조작을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조작을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설정을 도시한다.
도 26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실행 중 동승자 모드 변경에 따른 상황을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미 실행 중 동승자 모드 변경에 따른 상황을 도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목적지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목적지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내비게이션 및 AR 내비게이션 설정을 도시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내비게이션 제어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디어 사운드 멀티커넥션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에서의 미디어 멀티 커넥션을 도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재생을 도시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을 도시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비디오 재생을 도시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비디오 재생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간 동영상 이동을 도시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작 과정을 도시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동시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 중 메디테이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중 메디테이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화면을 도시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멀티태스킹 화면을 도시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시 사운드 버블 형성을 도시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디어 캐스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홈 화면을 도시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동영상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뮤직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캐스트 시 제어기 화면을 도시한다.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경을 도시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캐스트 과정을 도시한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캐스트 과정을 도시한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상태에 따른 단계별 경고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을 도시한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을 도시한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에서 단계별 경고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 단계별 경고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서 제한된 영역 내에서 특정 메뉴(예: 내비게이션 목적지 검색)에 대한 검색만을 수행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칵핏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칵핏에는 12.3인치의 상부 디스플레이와, 13.2인치의 모니터 일체형 제어기가 배치된다.
12.3인치의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13.2인치의 모니터 일체형 제어기는 클러스터, DSW, 블루밍 사운드, 12.3인치 상부 디스플레이, 3D 패턴 조명, 헤드레스트 스피커, SVM, 노브 조작계, 에어벤트, 그라데이션 조명, CMS 카메라와 연결된다.
이하, 도 1의 12.3인치의 디스플레이를 상부 디스플레이로, 13.2인치의 모니터 일체형 제어기를 하부 디스플레이로 명명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검색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검색 장치는 통합 검색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통합 검색 명령 신호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합 검색 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통합 검색창 표시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프로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필에 해당되는 메뉴 별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프로세서(130)는 통합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프로필에 따라 메뉴 별 최신 사용 순서에 따른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통합 검색 요청이 수신되고,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해당되는 목록을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메뉴 별 목록을 정렬하여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메뉴 별 사용빈도가 높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메뉴 별 최신 사용 순서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해당되는 목록을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 앱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검색창 표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동승자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검색창 표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메뉴를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온도, 문구(Life Is Good), 현재 시간 정보(11:23)가 표시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도 3의 (a), (b)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영역을 탭하거나 드래그함에 따라, 기존의 내비게이션 정보 표시 영역 및 미디어 표시 영역은 어둡거나 흐리게 표시되고, 글로벌 메뉴가 표시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글로벌 메뉴의 각 구성은 다음 [표 1]과 같이 정의된다.
[표 1]
Figure pat0000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을 도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부 디스플레이의 유저 프로필에는 각 유저의 프로필 이미지 및 명칭이 도시되고, 좌우 스크롤 영역에 따라 게스트와 프로필 추가 버튼이 구비된다.
도 4의 (b)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에 최대 6개의 유저 프로필을 디스플레이한 것을 도시하고, 도 4의 (c)는 팝업 내 프로필 리스트를 중앙 정렬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유저 프로필의 각 구성은 다음 [표 2]와 같이 정의된다.
[표 2]
Figure pat0000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변경 과정을 도시한다.
하부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메뉴에서 “Eric”이라는 프로필 명칭을 선택하면, 유저 프로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에 대해 포커스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여기서 “Aaron”을 선택하면, 유저가 “”으로 변경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메뉴에서 “Aaron”이라는 프로필 명칭을 선택하면, 유저 프로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에 대해 포커스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여기서 “Guest”을 선택하면, 유저가 “”로 변경된다.
유저 프로필에서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프로필에 해당하는 프로필 사진과 이름이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전 및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a)는 검색 전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한 최신 순 정렬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검색 결과에 따른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한 알파벳 순 정렬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칵핏에서, 하부 디스플레이로부터 상부 디스플레이로 위젯을 올리거나, 상부 디스플레이로부터 하부 디스플레이로 위젯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통합 검색이 수행되면, 상부 디스플레이 화면과 하부 디스플레이 화면에 통합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검색 전 상부 디스플레이의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는 최근 선택, 연락 및 설정한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의 순서대로 정렬하여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자주 찾은 미디어, 연락처 및 목적지가 최상단에 표시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검색창에 a를 입력하면, a가 포함되는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가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되어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
이 때, 사용 빈도와 알파벳 순서를 함께 고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통합 검색 화면의 구성은 다음 [표 3]과 같이 정의된다.
[표 3]
Figure pat0000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동작 중 하부 디스플레이의 검색 전 및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고 있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통합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
도 7의 (a)는 검색 전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한 최신 순 정렬을 도시하고, 도 7의 (b)는 검색 결과에 따른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한 알파벳 순 정렬을 도시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검색 전 하부 디스플레이의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는 최근 선택, 연락 및 설정한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의 순서대로 정렬하여 표시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검색창에 a를 입력하면, a가 포함되는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가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되어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
이 때, 사용 빈도와 알파벳 순서를 함께 고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통합 검색 화면의 구성은 다음 [표 4]와 같이 정의된다.
[표 4]
Figure pat00004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검색으로 이동하는 경우, 통합 검색 팝업이 제공되며,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 별로 최근 사용 리스트가 표시되며,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 별 검색 겨로가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디스플레이와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검색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해 최근 사용 순서 또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자주 검색한 검색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통합 검색 화면에서 특정 미디어를 선택하면, 미디어 위젯에서 해당 미디어를 재생하고, 연락처를 선택하면, 해당 연락처에 대한 전화걸기/메시지 전송하기 기능 선택이 가능하고, 특정 목적지를 선택하면, 내비게이션 위젯에서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으로 진입한다.
검색 결과에 대한 실행 앱이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에 있을 경우, 해당 위치에서 검색 및 선택 결과에 후속하여 실행되고, 검색 결과에 대한 실행 앱이 화면 내에 없을 경우, 내비게이션은 최좌측에 실행되고, 미디어 또는 전화 위젯은 내비게이션이 없을 경우 최좌측에서, 내비게이션이 있을 경우 그 오른 편 위치에서 실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미디어 위젯에서 “검색” 관련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에서 “search”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하부 디스플레이의 폰 위젯에서 “검색” 관련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통합 검색창이 호출되며, 통합 검색창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검색 전에는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에 대해 최근 사용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고, 검색어가 입력되면 관련한 미디어, 연락처, 목적지가 알파벳 순 또는 가나다 순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고 있고,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에서 “search”아이콘이 선택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만 통합 검색창이 호출된다(즉,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합 검색창 표시용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하부 디스플레이의 검색창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목적지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에는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요약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에 표시되는 경로 요약 정보에서, 시작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을 통해서도 경로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도 11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통합 검색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승자 모드에서 검색 전에는 미디어와 목적지에 대한 최신 사용 순서대로 정렬하여 표시하고, 검색 후에는 그에 따른 미디어와 목적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동승자 모드에서의 통합 검색의 구성은 다음 [표 5]와 같이 정의된다.
[표 5]
Figure pat00005
도 12를 참조하면,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위젯에서 “search”관련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내비게이션과 다른 앱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일 때 내비게이션 위젯에서 “search”관련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미디어 위젯에서 “검색” 관련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통합 검색창이 표시되며, 미디어와 목적지에 대한 최신 순서의 선택 이력과, 검색어 입력에 따른 미디어와 목적지에 대한 알파벳 순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의 통합 검색창의 검색 결과에서 미디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미디어를 재생시키고, 특정 목적지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경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한된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을 고정된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것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촬영 각도에 따라 획득되는 영상을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설정 및 주행 상황에 따라 서러운드 뷰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방 카메라 영상 및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방 카메라 영상 및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제어 장치는 차량 주변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210)와, 차량 주변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전방 영상과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2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2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되, 노브의 조작에 따라 영상 촬영 각도 또는 표시 영상 영역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230)는 전방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기설정 범위 이내의 노브 앵글 조작에 대해 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 또는 획득된 전방 영상의 표시 영역을 조절한다.
프로세서(230)는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노브 앵글 조작에 대해, 차량 하부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30)는 차량의 전폭 및 차량의 바퀴 위치에 대한 가이드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30)는 운전자 모드의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에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동승자 모드의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에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30)는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의 표시에 대한 요청 또는 기어 R단에 따라,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상부 디스플레이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30)는 노브가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팝업 화면을 호출하여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청을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위젯이 표시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경고 문구가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되고, 현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앵클 정보가 표시되고, 객체 감지 정보가 표시되며, 차량 전폭 정보가 표시된다.
도 14에 도시한 상부 디스플레이의 전방카메라 화면의 구성은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pat00006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사이즈를 고려한 영상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이 1920*720,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이 1920*1080이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가 1620*1250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가로폭 1920에 맞게 확대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이미지를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걸쳐 이미지 사이즈 전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노브 조작 정보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어느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를 시계 방향으로 기설정 각도로 조정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어 획득된 영상의 아래 부분을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영상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전방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부 디스플레이에 전방 카메라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요청한다.
전방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가 실행 중일 경우, 노브의 앵글을 조절하여, 앵글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방 카메라의 영상 촬영 각도를 조절한다.
노브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면, 차량 하부 인식용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차량 하부 이미지에 대해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차량 하부의 장애물에 대해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방 카메라 및 차량 하부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에 있어서, 전폭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차량 바퀴 위치에 대한 가이드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영상에 오버레이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전방 카메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중, 노브에 대해 프레스가 이루어지면, 전방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가 종료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노브를 이동시킴에 따라, 팝업 화면이 호출된다.
이 때, 호출 후 기설정 시간(예: 10초)동안 조작이 없을 경우, 팝업 화면이 사라지게 된다.
팝업 화면에서 전방 카메라가 포커스되고, 노브가 프레스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의 앵글이 조정됨에 따라,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표시 영역이 선택되거나, 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조정된다.
기설정 범위 이상으로 노브가 작동되면, 차량 하부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영상에는 차량 전폭 및 차량 바퀴 위치에 대한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버레이로 표시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화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운전자 모드에서, 하부 디스플레이는 위젯 정보를 표시하고, 상부 디스플레이에 SVM 화면이 표시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의 휴대폰과 연동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SVM 화면이 표시된다.
SVM 화면은 기어 R단 시에, 자동으로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SVM 화면에는 아래 [표 7]과 같이, 경고 문구 및 차량 탑뷰 이미지가 표시된다.
[표 7]
Figure pat00007
도 18을 참조하면, SVM 화면 표시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거나, R단이 들어감에 따라, SVM 화면이 글로벌 팝업 형태로 실행된다.
R단이 해제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존 화면으로 복귀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SVM 화면 표시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거나, R단이 들어가면 하부 디스플레이에 SVM 화면이 표시된다.
R단이 해제되거나, SVM 화면이 표시되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한 포인트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는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10)와,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3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3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프로세서(330)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면,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서는 검색, 메뉴 버튼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330)는 팝업창 호출에 따른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부 디스플레이에 3D 주행 영상을 표시하거나, AR 주행 영상을 표시한다.
프로세서(330)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를 동승자 컨텐츠 시청용 영역으로 변경시키고,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의 표시를 유지한다.
프로세서(330)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밖 영역에 내비게이션 위젯이 실행 중인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 영역으로 내비게이션 위젯을 이동시킨다.
프로세서(330)는 목적지 설정에 있어서 3D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회전 기능을 이용한 목적지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 목적지 중 특정 포인트에 대한 경로 안내 설정을 지원한다.
프로세서(330)는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목적지 정보 설정,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 정보 전달 요청이 수신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전 내비게이션 표시를 도시한다.
내비게이션 주행 전,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고, 터치 이벤트가 있을 경우 검색, 확대/축소, 메뉴 버튼이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고, 검색, 확대/축소, 메뉴 버튼이 항시 표시된다.
도 21에 도시한 주행 전 내비게이션 표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8]과 같다.
[표 8]
Figure pat00008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내비게이션 표시를 도시한다.
주행 중,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3D 주행 영상이 표시되고, 터치 이벤트 발생 시 검색, 확대/축소, 종료 버튼이 표시된다.
주행 중,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2D 주행 영상이 표시되고, 검색, 확대/축소, 종료 버튼이 항시 표시된다.
도 22에 도시한 주행 중 내비게이션 표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9]와 같다.
[표 9]
Figure pat00009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조작을 도시하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조작을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 앱 조작 중일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검색/메뉴 버튼을 표시하지 않는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 앱 조작 중일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검색/메뉴 버튼을 표시하지 않는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내비게이션 위젯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10]과 같다.
[표 10]
Figure pat00010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설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상황에서, 목적지를 설정하면, 목적지에 대한 3D 지도 이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3D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건물에 대한 회전을 조작하여 3D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를 통해 동일한 목적지라고 하더라도 어느 포인트로 도달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예: 백화점 정문 지하 주차장 입구, 백화점 후문 야외 주차장 입구 등에 대한 목적지 설정이 가능함).
목적지 확인에 따라 경로 설정이 완료되면, 경로 미리보기 화면이 제공되는데, 목적지 명, 예상 소요시간/거리, 목적지 도착 시 예상 잔여 배터리, 경로 안내 시작 버튼, 이전 화면으로의 복귀 버튼 등이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경로 안내 시작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는 3D 경로 안내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화면에서 종료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목적지 설정 화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25에 도시한 내비게이션 위젯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11]과 같다.
[표 11]
Figure pat00011
도 26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실행 중 동승자 모드 변경에 따른 상황을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이 실행 중인 상황에서,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어 상부 디스플레이가 동승자의 컨텐츠 사용 용도로 활용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안내가 종료되고,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길 안내 정보가 제공된다.
동승자 모드에서 운전자 모드로 복귀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존에 실행하였던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를 재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이 실행 중인 상황에서,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밖 영역에 내비게이션 위젯이 실행 중이다.
이 때,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안내가 종료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최 좌측으로 내비게이션 위젯을 이동시킨다.
동승자 모드에서 운전자 모드로 복귀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존에 실행하였던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를 재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미 실행 중 동승자 모드 변경에 따른 상황을 도시한다.
상부 및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이 미실행 중인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더라도 하부 디스플레이의 위젯 배치는 유지된다.
동승자 모드에서 운전자 모드로 복귀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존에 실행하였던 화면(Wallpaper) 표시를 재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목적지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을 상부 디스플레이로 드래그하게 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된다.
이 때, 상부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면, 검색, 확대/축소, 메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메뉴 선택 후 1을 선택하게 되면, 기설정 기능 실행에 따라 목적지 주변의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
핀치 인 및 아웃과, 패닝에 따라 상하 연동이 되지 않는다.
주행 시작 전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목적지의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므로, 운전자는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포인트를 목적지로 등록할 수 있다.
목적지 등록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는 경로 정보를 표시하고, 경로 안내 시작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는 3D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2D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목적지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내비게이션을 상부 디스플레이로 드래그하게 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된다.
이 때, 상부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면, 검색, 확대/축소, 메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메뉴 선택 후 1을 선택하게 되면, 기설정 기능 실행에 따라 목적지 주변의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
주행 시작 전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목적지의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므로, 운전자는 3D 지도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포인트를 목적지로 등록할 수 있다.
핀치 인 및 아웃과, 패닝에 따라 상하 연동이 되지 않는다.
목적지 등록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는 경로 정보를 표시하고, 경로 안내 시작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는 3D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2D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내비게이션 및 AR 내비게이션 설정을 도시한다.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메뉴, 설정 버튼이 차례로 눌러지면, 내비게이션 세팅 창이 디스플레이되어, 3D 내비게이션 및 AR 내비게이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도 31에는 3D 내비게이션 및 AR 내비게이션에 따른 주행 중 내비게이션 표시를 도시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내비게이션 제어를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내비게이션 앱 실행이 선택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목적지에 대한 2D 이미지 정보, 목적지에 대한 3D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다.
동승자는 상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목적물로 표시된 곳을 회전시켜, 최종 목적지 장소에 대한 경로 안내를 요청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버튼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Toss 버튼을 누름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것인지는 묻는 팝업창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yes 버튼을 누름에 따라, 하부 디스플레이의 내비게이션 앱 2D 주행 영상에서 경로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순히 차량 내 AVN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에 국한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AVN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이한 미디어를 동시 재생하고, 음원 출력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디어를 동시 재생하며, 차량 스피커와 헤드레스트 스피커 간 음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운드 버블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디어 사운드 멀티커넥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디어 사운드 멀티커넥션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디어 사운드 멀티커넥션 제어 장치는 콘텐츠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410)와, 콘텐츠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미디어 및 사운드 멀티커넥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4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4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4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콘텐츠 실행 요청 신호에 따른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한다.
프로세서(430)는 사운드 패스 설정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 스피커 및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음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상부 디스플레이로 이동시키는 요청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프로세서(4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상단 내리기 버튼이 터치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로 플레이어 화면을 이동시키고, 이동 중 음원 재생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전체 화면 영상 재생 버튼이 터치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전체 화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로 전체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기존 위젯을 표시하며, 하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오프 버튼을 표시한다.
프로세서(430)는 하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오프 버튼이 터치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 오프된 하부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터치 신호가 인가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하부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배치되는 노브가 조작되거나, 하부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에 기능 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430)는 동승자 모드에서 하부 디스플레이와 상부 디스플레이에 상이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원은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원은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에서의 미디어 멀티 커넥션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에 USB 음악, 비디오 동시 재생이 가능하며, 같은 파일 재생은 불가하다.
상부 디스플레이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에 USB 음악, 비디오 재생과 동시에 스마트폰 블루투스 오디오, 비디오 캐스트 재생이 가능하다.
상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에 스마트폰 블루투스 오디오, 비디오 캐스트 동시 재생이 가능하며, 같은 파일 재생은 불가하다.
사용자로부터 하부 디스플레이의 사운드 패스(sound path) 설정 버튼을 통해, 차량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음원 출력을 설정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로부터 스마트폰의 사운드 패스(sound path) 설정 버튼을 통해, 차량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음원 출력을 설정 입력을 수신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재생을 도시한다.
도 35는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블루투스 오디오가 재생되는 경우와,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블루투스 오디오가 재생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35에 도시한 블루투스 오디오 화면에서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2]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12]
Figure pat00012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리스트를 도시한다.
블루투스 오디오 리스트에는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버튼, 블루투스 연결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곡 정보 영역이 포함된다.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은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에 배치된 스피커로 사운드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된다.
도 36에 도시한 블루투스 오디오 리스트 화면에서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3]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13]
Figure pat00013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오디오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미디어 앱을 상부 디스플레이로 올리는 조작이 입력되면, 미디어 앱 플레이어가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리스트 화면으로 변경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다른 블루투스 연결 디바이스로 변경하면, 다른 블루투스 연결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상단 내리기 버튼을 누르면, 하부 디스플레이로 미디어 앱 플레이어가 이동되고, 플레이어가 이동되는 중 음원 재생은 유지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을 도시한다.
도 38은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USB 음악이 재생되는 경우와,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USB 음악이 재생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USB 음악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38에 도시한 USB 음악 재생 화면에서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4]와 같다.
[표 14]
Figure pat00014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39에 도시한 USB 음악 재생 리스트 화면에서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5]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15]
Figure pat00015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음악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는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미디어 앱을 상부 디스플레이로 올리는 조작이 입력되면, 미디어 앱 플레이어가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리스트 화면으로 변경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상단 내리기 버튼을 누르면, 하부 디스플레이로 미디어 앱 플레이어가 이동되고, 플레이어가 이동되는 중 음원 재생은 유지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비디오 재생을 도시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비디오가 재생되는 경우와, 상부 디스플레이에 비디오가 재생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1에 도시한 비디오 재생 화면에서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6]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16]
Figure pat00016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비디오 재생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42에 도시한 USB 비디오 재생 리스트의 구성 및 기능은 아래 [표 17]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17]
Figure pat00017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간 동영상 이동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풀 스크린 모드 버튼이 터치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는 꺼지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이 재싱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이동시키는 버튼이 터치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이 재생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의 미디어 정보 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오프 버튼이 터치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는 꺼지게 되고, 꺼진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상부 디스플레이가 꺼지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이 재생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작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되는 상황에서,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풀 스크린 모드 버튼이 터치되면, 상부 디스플레이는 꺼지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이 재싱된다.
노브가 조작되거나 하부 디스플레이에 화면 터치가 이루어지면, 기능 바가 올라오며 하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동시 재생 과정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미디어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 풀 스크린 모드 버튼이 터치되면, 하부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이 재생되고,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동승자 모드 시,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음원은 블루밍 사운드(차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며,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음원은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동승자 모드에서, 각 스피커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음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운드 버블을 형성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순히 차량 내 앰비언트 라이트의 색상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차량 탑승자의 명상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무드램프를 제어하여 차량 탑승자의 명상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장치는 메디테이션 기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510)와, 메디테이션 기능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메디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5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5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5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스피커와 무드 램프를 연동하여 메디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530)는 운전자 모드에서 하부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 상부 디스플레이에 메디테이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30)는 노브 조작 시, 노브 조작 방향에 따라 메디테이션 앱 실행 화면에서 이벤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30)는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에 메디테이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 메디테이션 멀티태스킹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앱 드로어 버튼 터치 및 메디테이션 앱 선택 시 메디테이션 썸네일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30)는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디테이션 앱에 연동하는 음원을 동승자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미디어의 음원을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30)는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차량 내 스피커가 사운드 버블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 중 메디테이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메디테이션 앱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오프되며, 노브 디스플레이도 오프된다.
무드 램프와 블루밍 스피커는 메디테이션 앱과 연동되어, 컬러 및 사운드가 설정된다.
도 47에 도시한 실행 화면에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18]에 기재한 바와 같다.
[표 18]
Figure pat00018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중 메디테이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에는 메디테이션 앱이 실행되고, 하부 디스플레이는 일반 화면 동작으로 네비게이션 정보, 미디어 정보 등이 표시되며, 노브 디스플레이는 일반 동작이 수행된다.
블루밍 스피커는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의 음원이 재생되고, 조수석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메디테이션 앱 사운드를 재생한다.
도 48에 도시한 실행 화면에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19]에 기재한 바와 같다.
[표 19]
Figure pat00019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메디테이션 기능이 선택된 것을 가정한다.
메디테이션 앱이 실행됨에 따라, 영상 별 사운드 및 무드램프가 연동되며, 노브 조작 시, 랜덤 영역에서 노브 조작의 방향에 따라 터치/드래그에 대한 이벤트 동작이 수행된다.
하부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신호가 인가되면, 종료 버튼이 표시되고, 종료 버튼이 터치되면,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본 화면이 표시되고, 하부 디스플레이에 기존에 실행된 위젯들이 표시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화면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디테이션 화면은 터치 시 이전으로 복귀하는 버튼, 타이틀을 표시하는 영역, 앱 드로어(APP drawer) 버튼, 메디테이션 썸네일 버튼, 메디테이션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50에 도시한 화면에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0]에 기재한 바와 같다.
[표 20]
Figure pat00020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는 연동된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한다.
메디테이션 앱이 실행되면, 도 50에 도시한 메디테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메디테이션 앱 실행에 따라, 조수석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무드 램프가 앱 실행에 연동되어 음원 및 무드등이 설정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멀티태스킹 화면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멀티태스킹 화면에서, 앱 드로어(app drawer) 버튼은 앱 드로어 오픈, 클로즈 버튼을 제공한다.
메디테이션 썸네일 버튼 터치 시, 메디테이션 전체 화면이 실행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에 앱이 실행 중인 경우, 앱 드로어 버튼 터치에 따라 네비, 미디어, 메디테이션 등의 앱이 보여지고, 메디테이션 앱 실행 및 메디테이션 썸네일 버튼 터치에 따라, 메디테이션 기능이 제공되고, 메디테이션 앱에 연동하여 조수석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음원이 재생되고, 무드 램프가 설정된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시 사운드 버블 형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승자 모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가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메디테이션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면, 조수석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메디테이션 앱의 실행에 따른 음원을 출력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음원은 블루밍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동승자 모드에서,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블루밍 스피커는 동승자 및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음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운드 버블을 형성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내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를 차량 내 시스템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차량 내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양태로 제공됨에 따라,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미디어 캐스트 관련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미디어를IVI 시스템에서 연속적으로 재생하고,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출력 장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차량 내 스피커와 동승자 헤드레스트 스피커 간의 음원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디어 캐스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디어 캐스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디어 캐스트 제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캐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610)와, 캐스트 요청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6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6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6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630)는 캐스트 요청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부 디스플레이가 연동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트롤러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30)는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 입력에 따라 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사운드 패스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630)는 캐스트 성공 시에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630)는 캐스트 종료 시 상부 디스플레이에 캐스트 이전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630)는 동승자 모드이며 상부 디스플레이에 동승자 화면 앱이 실행 중인 경우, 캐스트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상부 디스플레이에 바로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홈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화면에는 타이틀 영역, 메뉴 버튼, 비디오 탭, 뮤직 탭, 썸네일, 멀미 저감 동작 버튼, 캐스팅 플래그, 미니 플레이어가 포함된다.
멀미 저감 동작 버튼 터치 시, 멀미 저감을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적인 피드백 동작이 이루어진다.
스마트폰 앱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1]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1]
Figure pat00021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동영상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다.
스마트폰 앱 동영상 플레이어 화면에는 터치 시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버튼, 동영상 타이틀, 캐스트 버튼, 조작 버튼, 프로그레스 바가 포함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볼륨 버튼 조작 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음량이 조절된다.
캐스트 버튼 터치 시, 상부 디스플레이에 캐스트 기능을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다.
스마트폰 앱 동영상 플레이어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2]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2]
Figure pat00022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뮤직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다.
스마트폰 앱 뮤직 플레이어 화면에는 터치 시 미니 플레이어로 최소화되는 최소화 버튼, 음원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 정보, 프로그레스 바, 조작 버튼, 볼륨 조작 바,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 캐스트 버튼이 포함된다.
캐스트 버튼 터치 시, 상부 디스플레이에 캐스트 기능을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다.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에서는 현재 설정된 사운드 패스(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표시하고, 버튼 터치 시, 사운드 패스 변경 팝업이 표시되며, 캐스트 시, 디폴트 사운드 패스는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된다.
스마트폰 앱 뮤직 플레이어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3]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3]
Figure pat00023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캐스트 시 제어기 화면을 도시한다.
스마트폰 앱 캐스트 시 제어기 화면에는 버튼 터치 시 미니플레이어로 최소화하는 버튼, 동영상 또는 음원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 정보, 프로그레스 바, 조작 버튼, 볼륨 조작 바,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 캐스트 버튼이 포함된다.
캐스트 버튼 터치 시, 상부 디스플레이에 캐스트 기능을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다.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에서는 현재 설정된 사운드 패스(차량 내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표시하고, 버튼 터치 시, 사운드 패스 변경 팝업이 표시되며, 캐스트 시, 디폴트 사운드 패스는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된다.
스마트폰 앱 캐스트 시 제어기 화면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4]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4]
Figure pat00024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경을 도시한다.
좌측 상단 버튼 터치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차량으로 컨텐츠 검색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캐스트 과정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선택한 비디오는 캐스트 요청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캐스트 시 컨트롤러 화면에는 최소화 버튼,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 정보, 프로그레스 바, 조작 버튼, 볼륨 조작 바,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 캐스트 버튼이 표시된다.
최소화 버튼 터치에 따라, 미디어 썸네일 파일이 비디오 탭에 표시되며, 현재 재생 중인 비디오의 정보는 최소화 화면에 표시된다.
캐스트 버튼이 다시 터치되면, 연동이 종료되어, 상부 디스플레이는 캐스트 요청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이전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캐스트 종료 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비디오가 이어보기 방식으로 재생된다. 동승자 모드인 경우, 캐스트 종료에 따라,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젯 화면으로 복귀한다.
하부 디스플레이에 로컬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며, 동승자 모드에서 동승자 화면 앱 실행 중인 경우에도, 캐스트 버튼이 터치되면, 동영상 플레이가 바로 실행된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캐스트 과정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앱 홈 화면에서 뮤직 탭으로 이동함에 따라, 미디어 썸네일이 선택되면, 해당 뮤직이 재생된다.
캐스트 버튼 터치 시, 상부 디스플레이에 캐스트 되며, 캐스트 성공 시 사운드 패스 설정 버튼이 표시된다.
최소화 버튼 터치에 따라, 현재 재생 중인 플레이어 화면은 최소화 화면으로 변경되어 표시되고, 앱 홈 화면이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운전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경고를 제공하고 있으나, 경고 제공 필요 기준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있고, 운전자에게만 경고를 제공하는 데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운전자 상태에 따라 경고 제공 필요 기준을 세분화하여, 경고 제공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동승자에게 운전자 부주의 상태를 알리는 것이 가능한 운전자 상태에 따른 단계별 경고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상태에 따른 단계별 경고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상태에 따른 단계별 경고 제공 장치는 운전자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입력부(710)와, 운전자 상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경고 단계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기설정된 경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7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7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730)는 경고 메시지 출력, 경고음 출력, 램프 점등을 이용하여 경고를 제공한다.
프로세서(730)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되, 동승자 모드에 따라 동승자 측으로 이동된 상부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경고 단계의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730)는 기설정된 경고 단계에 따라 동승자 헤드레스트 스피커에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730)는 운전자 상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분류한 경고 단계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경고를 제공한다.
프로세서(730)는 1단계로서, 클러스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점등시킨다.
프로세서(730)는 2단계로서, 인테리어 무드램프를 추가로 점등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730)는 3단계로서,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와 상기 인테리어 무드램프의 색상을 변경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경고음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비상등을 점등시킨다.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을 도시한다.
운전자 모드에서 전방 주시 태만, 피로,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클러스터에는 경고 팝업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점멸한다.
무드 램프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점멸한다.
블루밍 사운드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경고음을 재생시킨다.
비상등은 경고 단계에 따라, 점멸 여부가 결정된다.
운전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에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5]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5]
Figure pat00025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을 도시한다.
동승자 모드에서 전방 주시 태만, 피로,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클러스터에는 경고 팝업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점멸한다.
무드 램프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점멸한다.
블루밍 사운드는 경고 단계에 따라, 상이한 경고음을 재생시킨다.
비상등은 경고 단계에 따라, 점멸 여부가 결정된다.
상부 디스플레이는 동승자 모드에 따라 조수석 측으로 이동된 상태인데, 상부 디스플레이에 운전자의 상태 분류 결과 및 그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동승자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운전자 상태에 따른 경고 단계에 의해, 상이한 경고음을 출력한다.
동승자 모드에서의 DSW 실행에서의 구성 및 정의는 아래 [표 26]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26]
Figure pat00026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드에서 단계별 경고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주행 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 태만, 피로,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1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점등한다.
2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점등하며, 인테리어 무드램프를 점등하고, 차량 내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재생한다.
3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2단계와 상이한 색깔(예: 붉은 색)로 점등하며, 인테리어 무드램프를 2단계와 상이한 색깔(예: 붉은 색)로 점등하고, 차량 내 스피커를 이용하여 2단계와 상이한 경고음(예: 주기가 보다 빠르게 재생되는 경고음)을 재생하고, 비상등을 점등시킨다.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모드에서 단계별 경고 제공 과정을 도시한다.
주행 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 태만, 피로,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1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점등한다.
2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점등하며, 인테리어 무드램프를 점등하고, 차량 내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재생한다. 또한, 동승자 모드에 따라 동승자 측으로 이동된 상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3단계 경고로서, 클러스터 팝업 문구를 표시하고, 클러스터 엠비언트 램프를 2단계와 상이한 색깔(예: 붉은 색)로 점등하며, 인테리어 무드램프를 2단계와 상이한 색깔(예: 붉은 색)로 점등하고, 차량 내 스피커를 이용하여 2단계와 상이한 경고음(예: 주기가 보다 빠르게 재생되는 경고음)을 재생하고, 비상등을 점등시킨다. 또한, 상부 디스플레이에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고, 동승자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7)

  1.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내비게이션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칵핏에 배치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면,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서는 검색, 메뉴 버튼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팝업창 호출에 따른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에 3D 주행 영상을 표시하거나, AR 주행 영상을 표시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부 디스플레이에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를 동승자 컨텐츠 시청용 영역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밖 영역에 내비게이션 위젯이 실행 중인 경우, 동승자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 영역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위젯을 이동시키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적지 설정에 있어서 3D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회전 기능을 이용한 목적지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 목적지 중 특정 포인트에 대한 경로 안내 설정을 지원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동승자 모드에서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목적지 정보 설정,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 정보 전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KR1020210011865A 2021-01-27 2021-01-27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KR20220108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65A KR20220108640A (ko) 2021-01-27 2021-01-27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EP22153690.7A EP4036757A1 (en) 2021-01-27 2022-01-27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multiple displays
US17/586,362 US20220236840A1 (en) 2021-01-27 2022-01-27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multiple displays
CN202210103779.4A CN114801735A (zh) 2021-01-27 2022-01-27 用于使用多个显示器进行搜索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65A KR20220108640A (ko) 2021-01-27 2021-01-27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40A true KR20220108640A (ko) 2022-08-03

Family

ID=8284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65A KR20220108640A (ko) 2021-01-27 2021-01-27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52135B1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033804B2 (ja) 車載機器操作装置
JP6181351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車載装置、情報端末
US11372611B2 (en) Vehicular display control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vehicular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2229702A (ja) 動画ディスプレイ装置を有する自動車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WO20191241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20210168438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caption information based on volume setting adjustments
WO2017068759A1 (ja) 車載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の車載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220236840A1 (en)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multiple displays
KR20220108639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디어 사운드 멀티커넥션 제어 장치
US202200243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ing rot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JP6036548B2 (ja) 車両用の映像制御装置
TWM502609U (zh) 車載裝置
KR20220108640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KR20220108641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검색 장치
KR20220108638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메디테이션 기능 제공 장치
KR20220108886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방 카메라 영상 및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제어 장치
KR20220108636A (ko) 운전자 상태에 따른 단계별 경고 제공 장치
KR20220108637A (ko) Ivi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디어 캐스트 제어 장치
KR20180130474A (ko) 상황에 따른 화면 간 상호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42242A1 (en) Vehicl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941316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6325231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55614A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
JP2019021277A (ja) 車載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