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625A - 떡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떡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625A
KR20220108625A KR1020210011831A KR20210011831A KR20220108625A KR 20220108625 A KR20220108625 A KR 20220108625A KR 1020210011831 A KR1020210011831 A KR 1020210011831A KR 20210011831 A KR20210011831 A KR 20210011831A KR 20220108625 A KR20220108625 A KR 2022010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ice cake
unit
gea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석
Original Assignee
강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석 filed Critical 강두석
Priority to KR102021001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625A/ko
Publication of KR2022010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26D5/2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including a meter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2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therefor, e.g. composi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떡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날의 회전속도 조절을 통해 떡의 절단길이 조절이 가능한 떡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떡 절단장치는 절단대상 떡의 이송속도에 대한 절단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절단대상 떡의 다양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절단날이 회전 시 절단된 떡을 이송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밀어 절단날에 떡이 붙어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떡의 이송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떡 제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떡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rice cake}
본 발명은 떡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절단대상떡이 절단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떡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편, 떡국과 떡복기용 가래떡은 쌀가루를 쪄서 된 백설기를 압출기에 넣고 성형구를 통하여 배출시켜 성형하면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떡이 연속적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되는 떡을 절단은 수 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을 통한 떡의 배출은 압축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백설기의 양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균일한 길이로 떡을 절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으로 떡을 절단할 수 있는 커팅부를 갖는 떡 절단장치가 사용되었는데, 종래에 사용되던 떡 절단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에 떡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에 대하여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을 장착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칼날이 떡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종래의 떡 절단장치의 경우 떡의 절단시 떡의 찰기에 의해 칼날에 떡이 부착되어 작업자가 부착된 떡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떡을 분리시키는 과정 중 칼날에 작업자가 다치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찰진 떡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떡을 자동으로 칼날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절단된 떡을 절단칼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떡 절단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82596호)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떡 절단장치는 절단대상떡의 이송속도에 대한 절단날의 회전속도가 일정하여 절단되는 떡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떡 절단 시 절단날에 떡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82596호 : 떡 절단장치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절단대상 떡의 이송속도에 대한 절단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절단되는 떡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절단된 떡을 이송방향으로 밀어 절단날에 떡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떡의 이송이 용이한 떡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히가 위한 본 발명의 떡 절단장치는 절단대상떡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절단대상떡을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절단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절단대상떡이 이송되는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절단날을 포함하는 제1커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구동시키며, 상기 제1커팅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팅부의 제1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제1회전축을 상기 제1기어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여, 절단대상떡의 절단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절단날에 절단된 떡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절단된 떡을 상기 절단날이 이송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밀수 있도록 하는 떡 절단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떡 절단 길이조절수단은 구동축이 상기 제1회전축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보다 상기 제1회전축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는 가속구동모터와, 상기 절단날이 회전되면서 절단대상떡이 절단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가속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떡 절단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제1회전축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1가속회전기어와, 상기 제1가속회전기어와 기어연결되여 사기 구동축이 관통장착되는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가 회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가속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제1기어보다 빠르게 회전 시에는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축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축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일방향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가속회전기어 또는 상기 제1커팅부 측에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절단날이 상호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다수의 절단날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수의 감지돌기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감지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커팅부 회전 시 상기 감지돌기와 간섭되어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떡 절단장치는 절단대상 떡의 이송속도에 대한 절단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절단대상 떡의 다양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절단날이 회전 시 절단된 떡을 이송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밀어 절단날에 절단된 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송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떡 제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떡 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떡 절단장치의 제1커팅부가 제1기어와 동일속도록 회전 시 절단대상떡의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떡 절단장치의 제1커팅부가 제1기어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시 절단대상떡의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에 일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내지 7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의 제1컷팅드럼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떡 절단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1)는 절단대상떡(T)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10)과; 이송수단(10)을 통해 이송되는 절단대상떡(T)을 절단하는 절단유닛(50)과; 이송유닛(10)과 절단유닛(5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00)과; 절단유닛(50)에서 절단된 떡을 절단유닛으로(50)부터 분리시키는 떡 분리유닛(80);을 구비한다.
이송유닛(10)은 떡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컨베이어(11,21)와, 제1 및 제2컨베이어(11,21)사이에 배치되는 제1지지롤러(31)와, 제2컨베이어(21)의 전단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롤러(35)를 구비한다.
제1컨베이어(11)는 제1벨트구동롤러(12)와, 제1벨트종동롤러(13)와, 제1벨트구동롤러(12) 및 제1벨트종동롤러(13)를 무한궤도 상으로 연결하는 제1벨트부재(14)를 구비한다. 제1컨베이어(11)는 제1벨트구동롤러(12)가 후술되는 구동유닛(10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으면 제1벨트부재(14)가 회전하면서 제1벨트부재(14)의 상부에 안착된 떡을 이송한다.
제2컨베이어(21)는 절단대상떡(T)이 이송되는 방향인 전방 측에 설치되며, 구동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제2벨트구동롤러(22)와, 제2벨트종동롤러(23) 및 제2벨트부재(24)를 구비한다.
제1지지롤러(31)와 제2지지롤러(35)는 절단유닛(50)에 의해 떡이 절단될 때, 떡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떡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롤러(31)와 제2지지롤러(35)는 떡이 제1, 제2 벨트부재(14,24) 상에서 이송되는 과정 중 절단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제2 벨트부재(14,24)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떡이 하방으로 처져 떡의 하부면까지 완벽하게 절단되지 못 할수 있기 때문에 떡의 용이한 절단을 위해 절단위치에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컨베이어(21)는 제1커팅부(51)에서 절단된 떡이 제1커팅부(51)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컨베이어(11)보다 빠르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유닛(50)은 절단대상떡을 제2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커팅부(51)와, 제1커팅부에 의해 제2방향으로 절단된 떡을 다시 제1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커팅부(71)를 구비한다.
제1커팅부(51)는 프레임(9) 상에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서포트부재(48)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도는 제1회전축(52)과, 복수의 제1서포트부재(48)들 사이의 제1회전축(52)에 장착되며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5)와, 절단대상떡이 이송되는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절단되도록,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2방향 양측이 복수의 지지플레이트(55)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절단날(58)을 구비한다.
절단날(58)은 절단대상떡에 포함되는 쑥과 같은 식물도 절단이 용이하도록,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절단대상떡에 접할 수 있도록 비틀어지게 길이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날(58)은 길이방향 일단이 타단보다 회전되는 방향으로 0.2 ~ 0.4mm 정도 앞에 위치되도록 지지플레이트(55)에 지지되거나 나선방향으로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대상떡에 절단날(58)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시간차를 두고 접촉되면서 커팅하므로, 절단날(58) 길이방향 일측에 먼저 커팅되는 절단대상떡의 제2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전방측으로 먼저 밀리면서 절단날 길이방향 타측에 절단되는 절단대상떡의 제2방향 타측의 절단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58)은 외주면에 절단대상떡이 부착되지 않도록, 테프론과 같은 고착방지를 위한 소재된 코팅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서포트부재(48)는 제2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서포트프레임(48a)과, 서포트프레임(48a)의 관통된 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승강가능하며 제1회전축(52)의 일단 또는 타단이 관통되는 승강블록(48b)과, 상하로 연장되어 서포트프레임(48)의 상단을 관통하여 승강블록(48b)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스크루바(48c)와, 서포트프레임(48)의 상단을 사이에 두고 높이조절스크루바(48c)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스크루바(48c)를 지지하는 스크루바 위치고정볼트(48d)를 구비한다.
제2커팅부(71)는 프레임(9)의 타측 상부에 제2이송컨베이어(21)의 폭보다 크게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판상의 제2서포트부재(4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축(72)과, 각각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2회전축(72)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커터(75)를 구비한다.
제1커팅부(51)에 의한 절단대상떡의 절단간격은 원주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절단날(58)들이 이격된 거리(a) 만큼이 최대이며, 제1커팅부(51)를 절단대상떡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조절하여 절단대상떡의 절단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구동유닛(100)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떡 분리유닛(80)은 제1커팅부(51)의 상호 인접하는 절단날(58) 사이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지지플레이트(55)에 양단이 지지되어 절단날(58)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대상떡을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절단날(58)에 부착되는 떡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떡분리유도바(81)를 포함하는 제1떡분리부와; 제2커팅부(71)의 회전커터(75)에 부착된 떡을 분리시키는 제2떡분리부;를 구비한다.
제2떡분리부는 제2지지롤러(35)에 장착되며 상호 인접하는 회전커터(75)들 사이로 인입되는 다수의 제1분리롤러(84)와, 제2커팅부(71)의 제2회전축(72)보다 전방측에 위치되게 제2서포트부재(4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분리회전축(87)과, 분리회전축(87)에 장착되며 상호 인접하는 회전커터(75)들 사이로 인입되는 다수의 제2분리롤러(89)를 구비한다.
제1분리롤러(84)와 제2분리롤러(89)는 외주면으로부터 제2회전축(72)까지의 거리가 회전커터(75)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된다. 분리회전축(87)은 제2회전축(72)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구동부(100)에 의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분리롤러(84)의 외주면에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요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커터(75)에서 절단된 떡을 상방측으로 들어올릴 때,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떡을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제2분리롤러(89)의 외주면에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요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분리롤러(84)에 의해 상승이송된 떡을 하방으로 밀어낼때,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떡을 밀어낼 수 있다.
떡 분리유닛(80)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떡분리부 없이 제2떡분리부만 구비될 수 도 있다.
한편, 구동유닛(100)은 이송유닛(10)과, 절단유닛(50) 및 후술되는 분리유도유닛(8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구동모터(102)와, 메인구동모터(10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스프로킷과 체인 및 기어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101)와; 절단대상떡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게 조절가능한 떡 절단 길이조절 수단(150);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메인구동부(101)는 메인구동모터(102)의 구동축(103)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연결스프로킷(104,105)과, 제1벨트구동롤러(1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9)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연결회전축(106)과, 제1연결회전축(106)에 장착되는 제3 및 제4연결스프로킷(108,110)과, 제1연결스프로킷(104)과 제3연결스프로킷(108)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인(111)과, 제1벨트구동롤러의 축에 장착되는 제5 및 제6연결스프로킷(112,114)과, 제4연결스프로킷(110)과 제5연결스프로킷(112)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인(115)과, 제1지지롤러(31)의 축에 장착되는 제7연결스프로킷(116)과 제2기어(118)와, 제6연결스프로킷(114)과 제7연결스프로킷(116)를 연결하는 제3연결체인(120)과, 제1서포트부재(48)에 대해 돌출된 제1커팅부(51)의 제1회전축(52)에 결합되며 제2기어(118)와 치합되는 제1기어(122)를 구비한다.
또한, 메인구동부(101)는 제2벨트구동롤러(22)의 축(22a)에 장착되는 제8 및 제9 연결스프로킷(126,128)과, 제8연결스프로킷(126)과 제2연결스프로킷(105)를 연결하는 제4연결체인(131)과, 제2지지롤러(35)의 축(36)에 장착되는 제10연결스프로킷(130) 및 제3기어(132)와, 제2서포트부재(49)에 대해 돌출된 제2커팅부(71)의 제2회전축(72)에 결합되며 제3기어(132)와 치합되는 제4기어(134)와, 제2회전축(72)에 결합되는 제11연결스프로킷(136)과, 분리회전축(87)에 장착되는 제12연결스프로킷(138)과, 제11연결스프로킷(136)과 제12연결스프로킷(138)을 연결하는 제5연결체인(140)을 구비한다.
떡절단길이조절수단(150)은 제1기어(122)보다 제1회전축(52)을 빠르게 회전시켜 절단대상떡(T)의 절단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떡절단길이조절수단(150)은 제1기어(122)의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축(52)이 회전가능하되 제1회전축(52)이 제1기어(122)에 대해 빠르게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제1회전축(52)과 제1기어(122)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일방향클러치(151)와, 제1회전축(52)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1가속회전기어(152)와, 제1가속회전기어(152)를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시기키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속구동모터(153)와, 가속구동모터(153)의 구동축(54)에 장착되는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제1가속회전기어(152)와 제2가속회전기어(157)를 연결하는 제6연결체인(158)과,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가속구동모터(153)의 구동축(54)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일방향클러치(159)와, 절단날이 회전되면서 절단대상떡이 절단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61)과, 감지수단(161)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제1일방향클러치(151)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기어(122)에 고정결합되는 제1외부틀과, 제1외부틀 내에 장착되며 제1회전축(52)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내부틀과, 제1외부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제1장착홈에 각각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돌출되어 제1외부틀 회전시 제1내부틀이 함께 회전되도록 제1내부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인입형성된 다수의 제1래칫홈에 각각 진입가능한 다수의 제1래칫돌기와, 각 제1장착홈에 수용되어 제1래칫돌기의 타측을 제1외부틀의 내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제1일방향클러치(151)는 제1기어(122)만 회전 시에는 제1래칫돌기의 타측이 제1결속홈에 진입되어 제1외부틀과 제1내부틀이 함께 회전되면서, 제1기어(122)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제1커팅부(51)가 회전된다. 그러나, 가속구동모터(153) 구동 시에 제1가속회전기어(152)에 제2가속회전기어(157)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회전축(52)과 제1내부틀에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되면서 제1래칫돌기의 타측이 제1내부틀의 외주면에 가압되어 제1장착홈에 수용되면서 제1래칫홈에 이탈되어 제1외부틀에 대해 제1내부틀이 제1회전축(52)과 함께 상대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일방향클러치(151)는 제1기어 회전시 제1회전축이 회전되다가 가속구동모터 구동에 의해 제1기어보아 제1회전축이 빠르게 회전되게 연결된 구조이면, 앞세서 제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일방향클러치(159)는 가속구동모터(153)가 오프상태일 때는 제1기어(122)의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축(52)과 함께 제1 및 제2가속회전기어(152,157)가 회전 시에는 가속구동모터(153)의 구동축(154)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가속 구동모터(153)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54)이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 시에는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구동축(154)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일방향클러치(15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가속회전기어(157)에 고정결합되며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제2래칫홈이 형성된 제2외부틀과, 제2외부틀 내에 제2외부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며 구동축(154)과 함께 회전되는 원형상의 제2내부틀과, 제2내부틀의 외주면에 다수의 제2래칫홈에 대응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인입된 다수의 제2장착홈에 일측이 원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2래칫돌기와, 각 제2장착홈에 수용되어 제2래칫돌기의 타측을 제2내부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2일방향클러치의 경우, 가속구동모터(153)가 오프인 상태에서 제2외부틀이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회전 시, 제2래칫돌기는 제2외부틀이 내주면에 가압되어 제2내부틀의 장착홈에 전체가 수용된 상태가 되고 제2탄성지지부재는 길이 수축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2래칫돌기 전체가 장착홈에 수용 시, 제2래칫돌기의 타측은 제2외부틀이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고 제2래칫돌기의 일측은 타측보다 제2외부틀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방향 측을 향한다. 반면, 가속구동모터(153)의 구동에 의해 제2내부틀이 구동축(154)과 함께 회전되면, 제2래칫돌기의 타측이 제2내부틀의 제2래칫홈을 지날때 제2탄성지지부재에 의해 제2내부틀에 대해 돌출되어 제2래칫홈으로 진입되면서 제2 외부틀과 제2내부틀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속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속구동모터(153) 오프 시에는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제2외부틀의 회전력에 의해 제2래칫돌기가 제2장착홈에 다시 수용되면서, 제2가속회전기어(157)와 제2외부틀에 대해 구동축(154)과 제2내부틀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제2일방향클러치(159)는 일반적인 구조의 일방향 클러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속구동모터(153)는 제1회전축(52)이 제1기어(12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속도보다 제1 및 제2가속회전기어(152,157)에 의해 회전되는 속도가 빠르도록 구동축(154)이 회전되게 구동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기어(122)의 회전력에 의해 제1커팅부(51)가 회전 시, 절단대상떡이 절단날들의 원주방향 이격거리인 'a'만큼 절단될 수 있고, 가속구동모터(153)이 구동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122)가 'a'의 길이만큼 회전 시, 제1커팅부(51)가 '2a'의 길이만큼 회전되어 절단대상떡의 절단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감지수단(161)은 제1회전축에 장착되어 제1가속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며 일면 또는 외주면에 다수의 절단날(58)의 개수 및 원주방향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감지돌기(163)를 포함하는 캠(162)과,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돌기(16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커팅부(71) 회전 시 감지돌기(163)와 간섭되거나 인접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는 감지센서(165)를 구비한다.
감지센서(165)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일반적인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감지센서에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가속구동모터(153)가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된 후 정지되도록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65)가 감지돌기(163)을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면 통해 설정된 시간(예, 0.3초 ~ 1초)동안 가속구동모터(153)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1커팅부(51)가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될 수 있다. 설정된 구동시간이 경과하면 가속구동모터(153)이 꺼지게 되고, 제1회전축(52)과 함께 회전되는 캡(162)의 감지돌기(163) 어느 하나가 다시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가속구동모터(153)가 재가동되면서 다시 제1커팅부(51)가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된다.
또는, 제어부(170)는 감지센서(165)를 통해 절단대상떡이 일정한 시간마다 절단되는 것을 감지하는 별개로, 설정된 시간간격(예, 3초 간격)마다 일정 시간동안(0.3초 ~ 1초안) 가속구동모터(153)가 구동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메인구동모터(302)의 구동축(30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떡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기어(122)의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축(52)가 제1기어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 중,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구동축(303)의 속도가 감소되면, 원심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제1래칫돌기가 제1회전축(52) 내로 전체 수용되게 제1회전축(52)가 제1기어(122) 보다 빠르게 회전되면서 상대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떡의 이송속도를 늦추어 일시적으로 제1회전축(52)이 제1기어(122)보다 빠르게 회전되는 상태가 되어 떡의 절단길이가 짧게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1)는 절단대상 떡의 이송속도에 대한 절단날(5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절단대상 떡의 다양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절단날(58)이 회전 시 절단된 떡을 이송방향으로 떡이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일시적으로 밀어 절단날에 절단된 떡이 부착되이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이송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떡 제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2)는 감지수단(261)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1)의 구조와 동일하다.
감지수단(261)은 제1커팅부(51)의 지지플레이트(55)의 일면에 다수의 절단날(58)의 개수 및 원주방향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감지돌기(163)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돌기(16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커팅부(71) 회전 시 감지돌기(163)와 간섭되거나 인접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는 감지센서(165)를 구비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3)는 이송유닛(310)과; 절단유닛(350)과; 구동유닛(300)을 구비한다.
이송유닛(310)은 프레임(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떡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컨베이어(11)를 구비한다.
절단유닛(350)은 절단대상떡을 제2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커팅부(51)를 구비한다.
구동유닛(100)은 이송유닛(310)과, 절단유닛(35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구동모터(302)와, 메인구동모터(30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스프로킷과 체인 및 기어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301)와; 절단대상떡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게 조절가능한 떡 절단 길이조절 수단(150);을 구비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메인구동부(301)는 메인구동모터(302)의 구동축(303)에 장착되는 제1연결스프로킷(304)과, 제1벨트구동롤러의 축에 장착되는 제2 및 제3연결스프로킷(306,308)과, 제1연결스프로킷(304)과 제2연결스프로킷(306)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인(310)과, 제1벨트구동롤러(12)와 제1벨트종동롤러(13)사이의 제1벨트부재(14) 내에 위치되는 지지롤러(319)와, 지지롤러(319)의 축(319c)에 장착되는 제4연결스프로킷(321)과 제2기어(323)와, 제3연결스프로킷(308)과 제4연결스프로킷(321)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인(325)과, 제1서포트부재(48)(도 1 및 도 5 참조)에 대해 돌출된 제1커팅부(51)의 제1회전축(52)에 결합되며 제2기어(323)와 치합되는 제1기어(12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3)는 제1컨베이어(11)를 통해 이송되는 절단대상떡을 제1커팅부(51)로 이송시켜 절단대상떡을 제2방향으로 길게 1차 커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3)는 1차 커팅되어 다수 개로 나누어져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떡이 작업자에 의해 제1컨베이어(11)의 일측에서 1차 절단된 떡의 길게 연장된 방향을 제1방향을 나란하게 배치되면, 제1커팅부(51) 측으로 다시 이동시켜 제2방향으로 2차 커팅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4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1)의 구조에서 제2지지롤러(31)와, 제2커팅부(71)와, 떡 분리유닛(80)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구동부(101)는 메인구동모터(102)의 구동축(103)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연결스프로킷(104,105)과, 제1벨트구동롤러(1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9)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연결회전축(106)과, 제1연결회전축(106)에 장착되는 제3 및 제4연결스프로킷(108,110)과, 제1연결스프로킷(104)과 제3연결스프로킷(108)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인(111)과, 제1벨트구동롤러의 축에 장착되는 제5 및 제6연결스프로킷(112,114)과, 제4연결스프로킷(110)과 제5연결스프로킷(112)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인(115)과, 제1지지롤러(31)의 축에 장착되는 제7연결스프로킷(116)과 제2기어(118)와, 제6연결스프로킷(114)과 제7연결스프로킷(116)를 연결하는 제3연결체인(120)과, 제1서포트부재(48)에 대해 돌출된 제1커팅부(51)의 제1회전축(52)에 결합되며 제2기어(118)와 치합되는 제1기어(122)와, 제2벨트구동롤러(22)의 축(22a)에 장착되는 제8연결스프로킷(126)과, 제8연결스프로킷(126)과 제2연결스프로킷(105)를 연결하는 제4연결체인(131)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의 구조에서 제2이송컨베이어(21)가 제외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구동부(101)는 메인구동모터(102)의 구동축(103)에 장착되는 제1연결스프로킷(104)과, 제1벨트구동롤러(1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9)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연결회전축(106)과, 제1연결회전축(106)에 장착되는 제3 및 제4연결스프로킷(108,110)과, 제1연결스프로킷(104)과 제3연결스프로킷(108)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인(111)과, 제1벨트구동롤러의 축에 장착되는 제5 및 제6연결스프로킷(112,114)과, 제4연결스프로킷(110)과 제5연결스프로킷(112)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인(115)과, 제1지지롤러(31)의 축에 장착되는 제7연결스프로킷(116)과 제2기어(118)와, 제6연결스프로킷(114)과 제7연결스프로킷(116)를 연결하는 제3연결체인(120)과, 제1서포트부재(48)에 대해 돌출된 제1커팅부(51)의 제1회전축(52)에 결합되며 제2기어(118)와 치합되는 제1기어(122)만을 구비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6)는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1커팅부(51)와;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1커팅부(5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과, 제1이송컨베이어(11)의 전단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1커팅부(51)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떡을 받으며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트레이 유닛(650)이 구비된다.
구동유닛(600)은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1커팅부(51)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구동부(601)와, 떡절단길이조절수단(150)을 구비한다.
메인구동부(601)는 제1벨트구동롤러(1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9) 상에 장착되는 메인구동모터(602)의 구동축(603)에 장착되는 제1연결스프로킷(604)과, 제1벨트구동롤러(12)의 축(12a)에 장착되는 제2연결스프로킷(605)과 제2기어(118)와, 제1연결스프로킷(604)과 제2연결스프로킷(605)를 연결하는 연결체인(606)과, 제1커팅부(51)의 제1회전축(52)에 결합되며 제2기어(118)와 치합되는 제1기어(122)를 구비한다.
트레이 유닛(650)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9) 상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는 실린더본체(652)와, 살린더본체의 상단에 대해 돌출된길이가 조절되게 일측이 실린더본체 내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로드(653)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실린더(651)와; 승강로드(653)의 상단에 장착되어 제1커팅부(51)를 통해 절단되어 배출되는 떡을 받는 트레이본체(655)와, 상단이 트레이본체(655)의 하면과 결합되고 승강조절실린더(651)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하부가 프레임(9) 전단측에 장착된 브라켓(657)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승강가이드바(659)를 구비한다. 트레이본체(655)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2방향 양측부에 턱(6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유닛(65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트레이본체(655)의 상면 측에 제2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배열되게 장착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보조롤러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유닛(65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에 더 구비되어 이송수단 전단측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7 내지 9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의 제1커팅부(451,551,65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내지 9 실시 예에 따른 제1커팅부(451,551,651)는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기어(122)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환봉부(453,553,653)와, 복수의 환봉부(453,553,653)들 사이에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면에 절단날(58)의 폭 방향 일측이 각각 결합되는 절단날 결합부(454,554,654)를 각각 포함하는 제1회전축(452,552,652)과; 절단날결합부(454,554,654)의 평평한 형상의 면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절단날(58);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제1커팅부(451)의 절단날결합부(454)는 상호 나란한 한 쌍의 면을 구비하며, 절단날(58)은 절단날결합부(454)의 상호 나란한 면의 개수에 대응되게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절단날(58)은 폭 방향 각 일측이 절단날결합부(454)의 각 면에 겹합되고 각 타측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하게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제1커팅부(551)의 절단날결합부(554)는 세면을 갖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절단날(58)은 절단날결합부(554)의 상호 나란한 면의 개수에 대응되게 세 개 구비된다. 각 절단날(58)은 절단날결합부(554)의 각 면에 일측이 겹합되고 각 타측은 절단날결합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제1커팅부(651)의 절단날결합부(554)는 4면을 갖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절단날(58)은 절단날결합부(554)의 상호 나란한 면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커팅부는 제시된 구조 외에도 기둥형상의 절단날결합부에 절단날(58)이 하나만 장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결합부가 5각, 6각 및 그 이상의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각의 개수 만큼 절단날(58)이 구비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7 내지 9 실시 예에 따른 떡 절단장치의 제1커팅부(451,551,651)의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55)가 없어, 제1서포트부재(48)의 승강블록(48b)을 통해 제1이송컨베이어(11)나 제1지지롤러(31)의 상면에 인접하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떡 절단장치 9 : 프레임
10 : 이송수단 50 : 절단유닛
51 : 제1커팅부 71 : 제2커팅부
100 : 구동유닛 101 : 메인구동부
122 : 제1기어 150 : 떡 절단길이조절수단
152 : 제1가속회전기어 153 : 가속구동모터
157 : 제2가속회전기어 151 : 제1일방향클러치
159 : 제2일방향클러치 161 : 감지수단
163 : 감지돌기 165 : 감지센서

Claims (9)

  1. 절단대상떡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절단대상떡을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절단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절단대상떡이 이송되는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절단날을 포함하는 제1커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구동시키며, 상기 제1커팅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팅부의 제1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제1회전축을 상기 제1기어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여, 절단대상떡의 절단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절단날에 절단된 떡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절단된 떡을 상기 절단날이 이송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밀수 있도록 하는 떡 절단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떡 절단 길이조절수단은
    구동축이 상기 제1회전축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보다 상기 제1회전축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속구동모터와,
    상기 절단날이 회전되면서 절단대상떡이 절단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가속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떡 절단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되되, 상기 가속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제1기어보다 상기 제1회전축이 빠르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1회전축을 연결하는 제1일방향클러치와,
    상기 제1회전축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1가속회전기어와,
    상기 제1가속회전기어와 기어연결되여 사기 구동축이 관통장착되는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가 회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가속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제1기어보다 빠르게 회전 시에는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축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속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축 사이에 장착되는 제2일방향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커팅부 측에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절단날이 상호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다수의 절단날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수의 감지돌기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감지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커팅부 회전 시 상기 감지돌기와 간섭되어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면에 상기 절단날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는 절단날결합부와,
    상기 절단날결합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원형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환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제2방향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커팅부의 상기 제1회전축의 양측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절단날의 팁부가 절단대상떡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컨베이어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절단대상떡에 접할 수 있도록 비틀어지게 길이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전단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떡을 받을 수 있으며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트레이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외주면에 절단대상떡이 부착되지 않도록 부착방지용 코팅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절단장치.
KR1020210011831A 2021-01-27 2021-01-27 떡 절단장치 KR20220108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31A KR20220108625A (ko) 2021-01-27 2021-01-27 떡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31A KR20220108625A (ko) 2021-01-27 2021-01-27 떡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25A true KR20220108625A (ko) 2022-08-03

Family

ID=8284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31A KR20220108625A (ko) 2021-01-27 2021-01-27 떡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6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96B1 (ko) 2009-02-13 2011-11-10 강두석 떡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96B1 (ko) 2009-02-13 2011-11-10 강두석 떡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6525B (zh) 一种甘蔗加工设备
US201003073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licing of food products
FI70811B (fi) Automatisk skivningsmaskin foer salamikorv och motsvarande produkter
KR101082596B1 (ko) 떡 절단장치
US10011047B1 (en) Masonry veneer machine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20220108625A (ko) 떡 절단장치
EP0221033A2 (en) Apparatus for cutting wafer shell valves
EP0492926B1 (en) Bag slitting machine
US4554852A (en) Cutting machine for slicing circular articles into wedges
KR20150120069A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ES2205136T3 (es) Aparato y metodo para formar una tira de pasta continua.
KR100626824B1 (ko)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US4351459A (en) Automatic glass tube cutter
KR101479571B1 (ko) 꼬치 제조장치용 트레이의 정위치 정지장치
US2792890A (en) Cutting and feeding devices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CN109877953B (zh) 二次码烧系统的废坯处理装置
KR20090094643A (ko) 베이커리용 정형시스템
EP1074362A2 (en) Rolling plant for flake formation
CN208196894U (zh) 小麦拉丝蛋白切断装置
JPH0544079Y2 (ko)
JP4646313B2 (ja) パンの耳切り装置
KR200234628Y1 (ko) 오징어 절취장치
KR101447449B1 (ko) 벨트 단부의 부분 박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