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323A -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323A
KR20220108323A KR1020210011184A KR20210011184A KR20220108323A KR 20220108323 A KR20220108323 A KR 20220108323A KR 1020210011184 A KR1020210011184 A KR 1020210011184A KR 20210011184 A KR20210011184 A KR 20210011184A KR 20220108323 A KR20220108323 A KR 2022010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extract
composition
test group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559B1 (ko
Inventor
손진성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1001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수면에 들어가는데 소요되는 수면 유도 시간을 감소시키고, 수면 지속 시간을 향상시켜 질 좋은 수면을 가능하게 하며, 더더욱 수면 유도 후 잠이 깬 다음에 다시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까지 뛰어나 불면증 및 수면장애의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가치가 매우 높다.

Description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lug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somnia}
본 발명은 불면증 및 수명장애 질환에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면증 및 수면 장애를 예방, 개선 내지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이들이 스트레스와 불안, 초조 때문에 수면 장애를 겪고 있지만, 그 기간이 짧고 약할 때에는 약물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업무 등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면 약물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불면증을 겪는 개인에서 원인을 정의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 일시적 혹은 급성 불면증은 보통 며칠 동안 또는 몇 주 동안 증상이 지속되며 생활사(life cycle) 혹은 수면 일정이나 수면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 처음의 유발 원인이 사라지면 증상이 해소되거나 완화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불면증의 원인은 잘못된 생활습관의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 잠자는 시간이나 습관이 불규칙한 사람에게 많이 생기고, 환경 변화, 지나친 걱정, 긴장, 공포와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불면증이란 정신 흥분, 신경 쇠약, 심신 과로 따위로 말미암아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 병증 또는 이러한 병증을 갖는 질환을 의미하며, 수면 장애라 표현될 수 있다.
불면증은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잠의 양 및 질의 면에서 불만족인 상태이다. 불면증은 임상적으로 흔하며 종종 발생하는 질병으로, 그것의 임상적 증상은 잠드는데 어려움, 잠에서 쉽게 깨는 것, 깬 후에 다시 잠들 수 없는 것, 아침에 너무 일찍 깨는 것, 쪽잠, 밤새 자지 못하는 것, 깊게 자지 못하는 것 또는 졸리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꿈이 많은 것을 동반할 수 있다. 또한, 불면증은 잠에서 깬 후 불편함, 피로, 정신적 활동의 효율 저하 또는 사회적 기능의 방해를 야기할 수 있다.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졸리고 짜증이 나거나 활력이 없어져 삶의 질이 손실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유지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수면이란 상기와 같은 상태를 초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기능으로, 숙면을 취한다는 것은 단순히 삶의 질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유지 및 경제적 생산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불면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일부는 그 심각성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될 정도이며, 대부분의 환자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는 개인적 고통의 문제를 겪으며, 또한 불면증으로 인한 작업효율 저하, 안전사고 유발 등으로 사회적 생산성 저하, 사회적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974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2347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면증을 해결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굼벵이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그 투여 제형은 정제, 시럽제 등과 같은 경구 투여 제형, 패치제, 연고제 등과 같은 경피 투여 제형, 주사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나 하나의 사료를 먹인 굼벵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나 하나의 사료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중량 대비 5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여 37℃에서 7일간 발효 처리하여 얻은 고상 발효물을 100℃에서 30분간 다시 스팀 살균 처리하여 발효를 억제한 사료를 먹인 굼벵이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수면에 들어가는데 소요되는 수면 유도 시간을 감소시키고, 수면 지속 시간을 향상시켜 질 좋은 수면을 가능하게 하며, 더더욱 수면 유도 후 잠이 깬 다음에 다시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까지 뛰어나 불면증의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불면증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가치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은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증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 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으로서 동의보감에서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는 등 전통 한약재이다.
상기 굼벵이를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2840호에 굼벵이 효소 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간 보호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7252호에는 굼벵이류(매미, 풍뎅이, 사슴벌레, 뽕나무나 방의 유충)에서 열수 침출한 추출물과 영지버섯의 열수침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굼벵이를 플라보자임(Flavozyme), 알칼라아제(Alcal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서 선택되는 효소로 처리하거나 열수침출함으로써 추출물을 얻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간 보호 및 항암 효과를 얻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굼벵이가 당뇨와 관련한 효과가 있다는 점이 민간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혈당 강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곤충 프로테오글라이칸 분리정제 및 의약 소재화 연구, 국립농업과학원, 2013).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88549호에는 굼벵이를 주원료로 하여 늙은 호박 추출액, 구기자 추출액, 백복령 추출액, 차전자 추출액, 당귀 추출액 및 칡 추출액을 조성 비율에 따라 일정량씩 조합한 혼합 추출액을 키토산으로 표면 코팅하여 집적화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저하 효과가 우수한 다이어트 음료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불면증 완화 및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굼벵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굼벵이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굼벵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굼벵이는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나 하나의 사료를 먹인 굼벵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나 하나의 사료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중량 대비 5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여 37℃에서 7일간 발효 처리하여 얻은 고상 발효물을 100℃에서 30분간 다시 스팀 살균 처리하여 발효를 억제한 사료를 먹인 굼벵이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료는 굼벵이용 톱밥 사료에 혼합하여 굼벵이에게 섭취시키는 방식이며, 이 때 굼벵이용 톱밥 사료에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사료를 중량대비 1/25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굼벵이 출하 7 ~ 14일 전에 굼벵이 톱밥 사료를 공급을 중지하면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사료만을 굼벵이에게 섭취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시럽제 등의 경구 투여 제형, 연고제, 패치제, 좌제 형태의 경피 투여 제제,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제제 기술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 첨가물을 함유하여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1. 실험동물 준비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한 평균 체중 20g의 수컷 ICR 마우스를 각 시험군 별로 5마리씩 총 60마리를 구입하여 실험 전까지 일반 실험동물용 사료 및 음수는 임의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2 ~ 24℃의 온도와 60 ~ 70% 상대습도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실험 1주일 전에 낮과 밤의 사이클을 12시간 간격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켜 실험 준비를 완료하였다.
2. 실험 방법
상술한 방법으로 준비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잠이 들 때까지 걸린 시간 즉, 수면 유도 시간(Sleep latency)과 잠이 든 시간 즉, 수면 지속 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수면 유도 시간은 실험 약물을 복강 내 투여한 다음 정향 반사(righting reflex)를 1분 이상 상실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으로 설정하였고, 수면 지속 시간은 동물이 다시 정향 반사를 회복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15분 이내에 수면을 취하지 않는 동물은 실험 결과의 측정에서 배제하였다.
수면 유도 시간과 수면 지속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군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생리 식염수, 양성대조군은 소듐펜토바르비탈,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은 굼벵이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추출은 동결 건조한 굼벵이를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실시에 1 내지 3에서는 일반 사료, 실시예 4 내지 6에서는 건조한 도라지 껌질 분말 사료, 실시에 7 내지 9에서는 상추 분말 사료, 실시에 10 내지 12에서는 매생이 분말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 음성 대조군: 5마리
생리 식염수 30㎎/㎏을 복강 내 투여
* 양성대조군 1: 5마리
소듐펜토바르비탈 45㎎/㎏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1, 4, 7, 10: 5마리
굼벵이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2, 5, 8, 11: 5마리
굼벵이 추출물 2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3, 6, 9, 12: 5마리
굼벵이 추출물 300㎎/㎏을 복강 내 투여
3. 실험 결과
상술한 실험 방법에 따라 각 시험군 별 수면 유도 시간과 수면 유지 시간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냈다.
수면 유도 시간(초)
음성 대조군 510±5
양성 대조군 1 370±5
시험군 1 401±4
시험군 2 375±4
시험군 3 354±5
시험군 4 372±5
시험군 5 348±4
시험군 6 321±5
시험군 7 367±3
시험군 8 344±5
시험군 9 320±4
시험군 10 365±4
시험군 11 351±3
시험군 12 330±5
수면 지속 시간(초)
음성 대조군 1198±5
양성 대조군 1 1498±4
시험군 1 1412±4
시험군 2 1478±4
시험군 3 1554±5
시험군 4 1508±5
시험군 5 1574±5
시험군 6 1605±5
시험군 7 1512±4
시험군 8 1561±5
시험군 9 1605±5
시험군 10 1501±4
시험군 11 1571±5
시험군 12 1605±5
먼저, 수면 유도 시간을 나타낸 표 1을 보면,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소듐펜토바르비탈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1는 대략 수면 유도 시간 감축 효과가 27%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 중에서 일반 사료를 먹인 시험군 1, 2 및 3을 보면 저 용량인 시험군 1에서는 양성대조군보다는 감축 효과가 우수하지는 않았지만, 음성대조군과 비교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시험군 2 및 3에서는 양성대조군과 거의 대등한 효과를 보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라지 껍질, 상추, 매생이 사료를 먹인 굼벵이 추출물의 시험군 4 내지 12를 보면, 모두 양성 대조군 1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 사료 변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수면 지속 시간을 나타낸 표 2를 보면,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소듐펜토바르비탈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1은 대략 수면 지속 시간 증가 효과가 25%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 중에서 일반 사료를 먹인 시험군 1, 2 및 3을 보면 저 용량인 시험군 1에서는 양성대조군보다는 감축 효과가 우수하지는 않았지만, 음성대조군과 비교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시험군 2 및 3에서는 양성대조군과 거의 대등한 효과를 보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라지 껍질, 상추, 매생이 사료를 먹인 굼벵이 추출물의 시험군 4 내지 12를 보면, 모두 양성 대조군 1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 사료 변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실험 결론
활성 성분으로 굼벵이 추출물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불면증 치료 약물로 처방되는 소듐펜토바르비탈과 비교할 때 일반 사료 굼벵이 추출물 100mg/㎏(시험군 1)을 투여하였을 때만 수면 유도 시간 단축 효과 및 수면 지속 시간 증가 효과에서 조금 미치지 못하였을 뿐 그 이상의 용량에서 대등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100mg/㎏을 투여하였을 때도 그 효과가 소듐펜토바르비탈보다 작은 것일 뿐 수면 유도 시간 단축 효과 및 수면 지속 시간 증가 효과는 유의미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면 다만,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건조한 도리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각각 100중량부에 5중량부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을 첨가하여 품온 36℃에서 7일간 발효처리를 수행한 후 100℃에서 30분간 스팀가열처리하여 멸균시켜 제조한 사료 먹인 굼벵이와 일반 톱밥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서 시험군 13은 도라지 껍질 발효 사료, 시험군 14는 상추 발효 사료, 실시에 15는 매생이 발효 사료를 먹인 굼벵이 추출물이며, 이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하였다.
각 시험군 별 수면 유도 시간과 수면 유지 시간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표 3 및 표 4에 나타냈다.
수면 유도 시간(초)
시험군 13 342±5
시험군 14 341±5
시험군 15 339±3
수면 지속 시간(초)
시험군 13 1597±5
시험군 14 1598±4
시험군 15 1592±4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보면, 발효 사료를 먹인 시험군 13 내지 15는 추출물을 100mg/kg을 사용하여도 발효하지 않은 사료를 먹인 굼벵이 추출물 300mg/kg 사용한 시험군 6, 9, 12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발효 사료의 효과 현저성을 확인할 수있엇다.
<실시예 3: 재수면 유도 시간 측정>
불면증 치료를 위한 약물을 복용 후 수면에 들었지만 어떠한 자극을 인하여 잠이 깬 후 약물의 복용 없이 용이하게 다시 수면에 들어갈 수 있다면 그 약물은 불면증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는 앞서 실험 것을 바탕으로 하여 재수면 유도 시간을 측정을 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으며, 재수면 유도 시간은 실험 약물을 복강 내 투여한 다음 정향 반사(righting reflex)를 1분 이상 상실한 다음에 충분 수면 시간을 주지 않고 500초 경과 후에 자극을 주어 다시 정향 반사를 회복시킨 다음 다시 실험 약물은 다시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이 유도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수면 재유도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군은 설정은 수면 유도 시간 측정한 결과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은 양성대조군인 소듐펜토바르비탈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수면 유도 시간 단축 효과를 보인 시험군의 용량으로 설정하였다.
* 음성 대조군: 5마리
생리 식염수 30㎎/㎏을 복강 내 투여
* 양성대조군: 5마리
소듐펜토바르비탈 45㎎/㎏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16: 5마리
굼벵이 추출물 200㎎/㎏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17: 5마리
굼벵이(도라지 껍질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18: 5마리
굼벵이(상추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19: 5마리
굼벵이(매생이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20: 5마리
굼벵이(도라지 껍질 발효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21: 5마리
굼벵이(상추 발효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 본 발명의 시험군 22: 5마리
굼벵이(매생이 발효 사료) 추출물 100㎎/㎏을 복강 내 투여
재 수면 유도 시간(초)
음성 대조군 705±5
양성 대조군 696±5
시험군 16 602±4
시험군 17 592±5
시험군 18 594±3
시험군 19 589ㅍ5
시험군 20 552±5
시험군 21 547±3
시험군 22 542±5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 5를 보면 표 1의 수면 유도 시간보다는 다시 수면이 유도되는데 더 긴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의 경우는 음성대조군보다 재수면 유도 시간이 감소되었는데, 그 감소 수치는 약 1.4%로서 음성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깬 후에 다시 수면에 드는 것을 유도하는 재수면 유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소듐펜토바르비탈은 효과를 보이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은 모두에서 충분히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도중에 잠이 깬 경우에도 쉽게 다시 수면에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 높아 불면증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에 매우 뛰어난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굼벵이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증 및 수면 장애 예방, 완화, 개선 내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증 및 수면 장애 예방, 완화 내지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사료를 먹인 굼벵이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추출물은
    도라지 껍질 분말, 상추 분말, 매생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중량 대비 5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여 37℃에서 7일간 발효 처리하여 얻은 고상 발효물을 100℃에서 30분간 다시 스팀 살균 처리하여 발효를 억제한 사료를 먹인 굼벵이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10011184A 2021-01-27 2021-01-27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9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84A KR102590559B1 (ko) 2021-01-27 2021-01-27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84A KR102590559B1 (ko) 2021-01-27 2021-01-27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23A true KR20220108323A (ko) 2022-08-03
KR102590559B1 KR102590559B1 (ko) 2023-10-18

Family

ID=8284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84A KR102590559B1 (ko) 2021-01-27 2021-01-27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974A (ko) 2007-05-10 2010-03-03 노바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항불면증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130062347A (ko) 2010-08-30 2013-06-12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불면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5812A (ko) * 2014-09-24 2016-04-01 변경봉 굼벵이류의 배양용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류의 배양방법
KR101988959B1 (ko) * 2019-05-13 2019-06-14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2382638B1 (ko) * 2020-06-25 2022-04-04 주식회사 휴비스트제약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974A (ko) 2007-05-10 2010-03-03 노바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항불면증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130062347A (ko) 2010-08-30 2013-06-12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불면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5812A (ko) * 2014-09-24 2016-04-01 변경봉 굼벵이류의 배양용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류의 배양방법
KR101988959B1 (ko) * 2019-05-13 2019-06-14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2382638B1 (ko) * 2020-06-25 2022-04-04 주식회사 휴비스트제약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559B1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3383A (en) Pharmaceutical suppository composites for fever and influenza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mposites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05859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CN105412858A (zh) 一种糖浆及其制备方法
KR20160006812A (ko)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962910B (zh) 一种降血压的保健组合物
KR102590559B1 (ko)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30041494A (ko) 명월초를 이용한 당뇨 개선용 조성물
CN102198174B (zh) 滋肾清肝降糖调脂中药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20057160A (ko)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507707A (zh) 一种治疗ⅱ型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64425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CN104474103A (zh) 一种天然植物降糖剂及其制备方法
CN113181205B (zh) 包括nmn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180355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茄皮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31486B (zh) 一种保健组合物
KR102574896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니코틴 중독 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0871A (ko) 혈당 강하 효능을 갖는 호장근 추출물
CN100560085C (zh) 一种中草药药物及其用途
CN114099493A (zh) 一种抑制胰岛素抵抗的活性化合物及其应用
CN116688076A (zh) 一种治疗脾胃虚弱证的中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