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946A -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946A
KR20220107946A KR1020220005580A KR20220005580A KR20220107946A KR 20220107946 A KR20220107946 A KR 20220107946A KR 1020220005580 A KR1020220005580 A KR 1020220005580A KR 20220005580 A KR20220005580 A KR 20220005580A KR 20220107946 A KR20220107946 A KR 2022010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tting
terminals
terminal portion
fitt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Abstract

(과제)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해서,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콘택트의 중복 부분이 생겨 버리는 타입의 커넥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러한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
(해결 수단) 하우징과,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의 어느 1개의 단자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및/또는,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어느 2개의 단자 중,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1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단자 부분은, 제2 단자 부분보다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의 각각이,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에,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각각 갖는다.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제1 단자 부분 및 제2 단자 부분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단자 부분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 WITH INSERT-MOLDED TERMINAL}
본 발명은,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상기 타입의 커넥터의 일 예가, 특히, 당해 특허문헌 1의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난 제2 실시 형태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이 기판의 면과 대략 평행인 커넥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제1 모듈, 제2 모듈,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같은 3개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모듈은,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콘택트가 제1 몰드부에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모듈은,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콘택트가 제2 몰드부에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는, 이들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제1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로의 접점부와 제2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로의 접점부가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수용함으로써 제조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특허문헌 2 등에도 개시가 있음), 제1 및 제2 콘택트의 각각을 제1 및 제2 몰드부에 인서트 성형할 때는, 통상, 콘택트의 소정 부분을 대향측, 추가로 말하면,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금형을 배치하여, 금형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 수지가 사출되지만, 사출된 수지에 의해 콘택트가 흔들려 위치 어긋남 되지 않도록, 콘택트는 소정 부분에서 금형에 의해 확실히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제2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이 기판의 면과 대략 평행이고, 또한, 제1 모듈의 제1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로의 접점부와 제2 모듈의 제2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로의 접점부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커넥터에서는,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가 중복된 부분을 갖는 점에서,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의 각각에 대해서 금형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고, 특허문헌 1에 명기는 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의 각각을 따로 따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한 후에, 이들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하우징에 수용한다는 번잡한 제조 방법을 채용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 바꾸어 말하면, 금형의 설치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콘택트의 중복 부분이 생기고 있는 타입의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해지고, 또한, 필요시 되는 금형도 많아져, 이들 사정으로부터 생산성이 저하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16488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20-919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즉,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해서,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콘택트의 중복 부분이 생겨 버리는 타입의 커넥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러한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문제는, 특허문헌 1의 제2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이 기판의 면과 대략 평행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이 기판의 면과 대략 수직인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는, 콘택트가 복수의 경우뿐만 아니라, 콘택트는 1개이거나 당해 콘택트가 전술한 중복 부분을 생기게 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이 대략 평행이거나 대략 수직이거나에 관계없이, 또한, 콘택트의 수가 1개이거나 복수이거나에 관계없이, 동일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모든 커넥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의 어느 1개의 단자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어느 2개의 단자 중,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1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부분은, 상기 제2 단자 부분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의 각각이,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각각 갖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 부분 및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단자 부분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제1 단자 부분 및 제2 단자 부분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형성한 제1 단자 부분에 있어서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단자 부분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당해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하우징의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노출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금형으로 억제하도록 하여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의 중복 부분이 생기고 있는 타입의 커넥터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콘택트의 중복 부분이 생기고 있는 타입의 커넥터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자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자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2의 A-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B-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C-C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자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2의 A-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B-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C-C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치수, 재료, 형상 및 구성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 등은 임의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또는 여러가지의 조건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1)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커넥터 장치(1)는, 본 발명의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와,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와 끼워 맞춤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6)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들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6)를, 보드 투 보드 타입의 커넥터로서, 그들을 끼워 맞춤시키기 전의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는, 비교적 단단한 수지 기판(8)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6)는, FPC 등의 플렉시블한 기판(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한 기판(9)에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6)는, 비교적 용이하게, 단단한 기판(8)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하여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는, 소위 라이트 앵글 타입의 커넥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6)를 끼워 맞춤시켰을 때에, 기판(8)과 기판(9)은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위치 부여되는, 바꾸어 말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6)의 끼워 맞춤 방향(x1)은, 리셉터클 커넥터(2)를 고정한 기판(8)의 기판면(8a)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라이트 앵글 타입의 커넥터로 할 필요는 없고, 또한, 보드 투 보드 타입의 커넥터로 할 필요도 없다.
플러그 커넥터(6)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에 형성한 상대 단자인 복수의 단자(70)를 구비한다. 하우징(60)은, 리셉터클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측으로 돌출된 대략 직사각형의 둘레벽(61)과, 기판면(8a)에 설치되어 단자(20)를 통하여 기판(9)에 고정되는 저부(65)를 갖고, 이들 둘레벽(61)과 저부(65)에 의해 끼워 맞춤 오목부(62)를 형성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6)는, 리셉터클 커넥터(2)와 끼워 맞춤 가능하면 충분하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기판(9)에 대한 하우징(60)의 고정은, 단자(70)를 기판(9)에 납땜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한다.
도 2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리셉터클 커넥터(2)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각각 인서트 성형된 복수의 단자, 여기에서는 2종류의 단자(20, 30)를 각각, 2개씩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단자(20, 30)를 각각, 1개씩 혹은 3개 이상씩 형성해도 좋고, 또한, 단자(20)만을 1개 또는 복수개 형성해도 좋다. 기판에 대한 하우징(10)의 고정은, 단자(20, 30)를 기판(8)에 납땜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한다.
하우징(10)은,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으로 돌출된 섬부(11)와, 섬부(11)의 외주를 둘러싸는 틀 형상의 둘레벽(12)과, 추가로, 섬부(11) 및 둘레벽(12)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벽(15)을 갖는다. 섬부(11)와 둘레벽(12)의 간극에는, 지지벽(15)에 의해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의 측을 닫은 끼워 맞춤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6)의 끼워 맞춤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섬부(11)는, 플러그 커넥터(6)의 끼워 맞춤 오목부(62)에 끼워지고,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2)의 끼워 맞춤 오목부(16)에, 플러그 커넥터(6)의 둘레벽(61)이 끼워진다.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단자(20, 30)를, 이들 단자(20, 30)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을 때의 배열 상태로 나타낸다. 도 3은, 단자의 측면도를, 도 4는, 그의 정면도를, 도 5는, 그의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단자(20)는,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6)의 끼워 맞춤 시에 플러그 커넥터(6)의 단자(70)의 둘레벽(61)의 일부가 삽입되는 대략 U자 형상 부분(21)과, 기판(8)에 실장되는 기판 실장부(23)와, 추가로 대략 U자 형상 부분(21)과 기판 실장부(23)의 사이에 연장되는 중간부(25)를 포함한다.
대략 U자 형상 부분(21)은, 그 한쪽의 단부에 플러그 커넥터(6)의 단자(70)의 어느 부분과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접점(21a)을 구비한 탄성 변위부(210)를 갖고, 추가로, 탄성 변위부(210)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수직부(250) 및 제1 수평부(251)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251)는, 기판(8)에 대하여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고, 한편, 제1 수직부(250)는, 기판면(8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25)는, 제1 수평부(251)와 마찬가지로 기판(8)에 대하여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253)와, 제1 수직부(250)와 마찬가지로 기판면(8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255) 및, 이들의 한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인 굽힘부(254)를 포함한다. 제2 수평부(253)의 다른 한쪽의 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180도 반전하는 만곡부(252)를 통하여 대략 U자 형상 부분(21)의 다른 한쪽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2 수직부(255)는, 제1 수직부(250)보다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으로부터 먼 측(n)에 배치된다.
기판 실장부(23)는, 제2 수직부(255)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수직부(255)보다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으로부터 먼 측(n)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단자(30)는,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6)의 끼워 맞춤 시에 플러그 커넥터(6)의 단자(70)의 둘레벽(6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대략 U자 형상 부분(31)과, 기판(8)에 실장되는 기판 실장부(33)와, 추가로 대략 U자 형상 부분(31)과 기판 실장부(33)의 사이에 연장되는 중간부(35)를 포함한다.
대략 U자 형상 부분(31)은, 그의 한쪽의 단부에 플러그 커넥터(6)의 단자(70)의 어느 부분과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접점(31a)을 구비한 탄성 변위부(310)를 갖고, 추가로, 탄성 변위부(310)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수직부(350) 및 제1 수평부(351)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351)는, 기판(8)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x)으로 연장되고, 한편, 제1 수직부(350)는, 제2 수직부(255)보다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m)에서, 기판면(8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35)는, 기판면(8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만곡부(352)를 통하여 대략 U자 형상 부분(31)의 다른 한쪽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기판 실장부(33)는, 중간부(35)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수직부(350)보다도,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m)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20, 30)가 하우징(10)에 고정되었을 때, 단자(20)의 접점(21a)과 단자(30)의 접점(31a)은, 기판면(8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에서 단(段) 형상으로, 추가로 말하면, 접점(21a)은 접점(31a)보다도 기판(8)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 접점(21a, 31a)을 포함하는 탄성 변위부(210, 310)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섬부(11)에는, 변위 공간(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 7에, 도 6의 B-B선 단면도를, 또한, 도 8에, 도 6의 C-C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단자(20, 30)는, 하우징(10)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고, 적어도 어느 부분은, 하우징(10)에 매입된(embedded) 상태에 있다. 단, 하우징(10)에 인서트 성형된 후도, 단자(20, 30)의 일부, 즉, 끼워 맞춤 방향(x1)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m), 예를 들면, 탄성 변위부(210, 310)와 같이, 끼워 맞춤 시에 플러그 커넥터(6)의 단자(70)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은,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방향(x1)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n)에 있어서도, 기판(8)에 납땜되는 기판 실장부(23, 33)에 더하여, 단자(20)의 제1 수직부(250) 및 단자(30)의 제1 수직부(350)의, 특히,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면(250a, 350a)의 일부의 영역(250c, 350c)은,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된 그대로이다.
제1 수직부(250, 350)에 있어서의 노출부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수직부(제1 단자 부분)(250) 및 제1 수직부(제1 단자 부분)(350)에 더하여, 추가로, 단자(20)의 제2 수직부(제2 단자 부분)(255)에 주목한다.
제1 수직부(250, 350) 및, 제2 수직부(255)는 각각, 끼워 맞춤 방향(x1)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n)에,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면(250a, 350a) 및, 제2 면(255a)을 각각 갖는다.
이들 제1 수직부(250, 350) 및, 제2 수직부(255)를, 끼워 맞춤 방향(x1)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6)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n)으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도 5 참조), 제1 면(250a, 350a)의 적어도 일부(250b, 350b)는, 제2 수직부(255)와 중복되어 있지 않다. 이 결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250b, 350b)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250c, 350c)(도 7, 도 8 참조)은, 하우징(10)에 형성한 제1 개구(13)(도 7, 도 1 참조), 제2 개구(14)(도 8, 도 1 참조)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외부에 노출시킨 적어도 일부의 영역(250c, 350c)은, 도면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에 있어서, 제1 면(250a, 350a)의 면적을, 제2 수직부(255)의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제1 수직부(250, 350)에 있어서의 제1 면(250a, 350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250c, 350c)이, 하우징(10)에 형성한 제1 개구(13), 제2 개구(14)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될 수 있는 점에서, 이들 면(250a, 350a)의 소정의 영역(250c, 350c)에 있어서, 단자(20, 30)를, 금형(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누름으로써, 사출된 수지에 의해 단자를 위치 어긋나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인서트 성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좋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A」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도 9는, 단자의 측면도를, 도 10은, 그의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2의 A-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B-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또한, 도 13은, 동(同) 도 6의 C-C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단자(20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자(20)와 마찬가지로, 대략 U자 형상 부분(21A)과, 기판(8)에 실장되는 기판 실장부(23A)와, 추가로 대략 U자 형상 부분(21A)과 기판 실장부(23A)의 사이에 연장되는 중간부(25A)를 포함한다.
이들 중, 대략 U자 형상 부분(21A) 및 기판 실장부(23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데 대하여, 중간부(25A)는,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 있어서의 경로를 x-y면에 있어서 비스듬하게 경사시키는 경사부(260)를 갖는 점에서, 바꾸어 말하면, 경사부(260)를 형성함으로써, 대략 U자 형상 부분(21A)과 제2 수직부(255A)가,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조정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또한, 단자(30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자(30)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고 생각하면 좋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20A)의 제1 수직부(250A) 및 단자(30A)의 제1 수직부(350A)의, 특히,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y-z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면(250aA, 350aA) 중,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도 10 참조), 제1 면(250aA, 350aA)의 적어도 일부(250bA, 350bA)는, 제2 수직부(255A)와 중복되어 있지 않고, 이 결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250bA, 350b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250cA(도 12 등 참조), 350cA(도 13 등 참조))을, 제1 개구(13A), 제2 개구(14A)를 통하여, 금형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와의 주된 상위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적어도 일부의 영역(250cA, 350cA)을, 적어도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에 있어서, 제1 수직부(250A, 350A)와 제2 수직부(255A)를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좋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B」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도 14는, 단자의 측면도를, 도 15는, 그의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2의 A-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B-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또한, 도 18은, 동 도 6의 C-C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자(20B, 30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단자(20, 30)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30B)의 제1 수직부(350B)의, 특히,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y-z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2 면(350aB) 중,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도 15 참조), 제2 면(350aB)의 적어도 일부(350bB)는, 제2 수직부(255B)와 중복되어 있지 않고, 이 결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350bB)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350cB)(도 18 등 참조)을, 제2 개구(14B)를 통하여, 금형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와의 주된 상위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적어도 일부의 영역(350cB)을, 적어도 끼워 맞춤 방향(x1)과 교차하는 면(y-z면)에 있어서, 단자(20B, 30B)끼리를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종류의 단자(20, 30)를 이용하고 있지만, 특히, 단자(20)에 대해서는, 그 단독으로, 제1 수직부(250)와, 제2 수직부(255)를 갖는 점에서, 단자(20) 그 단독으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종류의 단자(20, 30)를 이용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면, 상기의 설명에서 나타난 교시의 도움을 빌리면, 본 발명의 많은 수정 형태 또는 다른 실시 형태를 생각해 낼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변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되어 있는 특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수정 형태 및 그 외의 실시 형태는,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기 바란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들 용어는, 한정 목적이 아니고, 일반적 또한 설명적인 의미로 이용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x1: 끼워 맞춤 방향
1 : 커넥터 장치
2 : 리셉터클 커넥터
6 :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
10 : 하우징
13 : 개구
14 : 개구
20 : 단자
30 : 단자
250 : 제1 수직부(제1 단자 부분)
350 : 제1 수직부(제1 단자 부분)
255 : 제2 수직부(제2 단자 부분)
250a : 제1 면
350a : 제1 면
255a : 제2 면
250b :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제1 면(250a)의 적어도 일부)
350b :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제1 면(350a)의 적어도 일부)
250c : 일부의 영역(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250b)의 적어도 일부)
350c : 일부의 영역(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350b)의 적어도 일부)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i) 상기 복수의 단자의 어느 1개의 단자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 및 (ii)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어느 2개의 단자 중,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1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의 단자가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고,
    상기 제1 단자 부분은, 상기 제2 단자 부분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의 각각이,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각각 갖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 부분 및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단자 부분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면적을 상기 제2 단자 부분의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부분과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어느 2개의 단자의 각각이, 상기 제1 또는 제2 단자 부분의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어느 2개의 단자끼리를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각각,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접점을 갖는 탄성 변위부와,
    기판에 실장되는 기판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은 각각, 상기 탄성 변위부와 상기 기판 실장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탄성 변위부와 상기 기판 실장부 이외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保持)되어 있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이 상기 기판의 기판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어느 2개의 단자의 접점이, 상기 기판의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에서 단(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어느 2개의 단자 중 상기 제1 단자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한쪽의 단자의 상기 기판 실장부가, 상기 제1 단자 부분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느 2개의 단자 중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한쪽의 단자의 상기 기판 실장부가, 상기 제2 단자 부분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된 1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부분은, 상기 제2 단자 부분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부분의 각각이,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각각 갖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 부분 및 상기 제2 단자 부분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단자 부분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중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20005580A 2021-01-25 2022-01-14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220107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9644 2021-01-25
JP2021009644A JP7480073B2 (ja) 2021-01-25 2021-01-25 インサート成形された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46A true KR20220107946A (ko) 2022-08-02

Family

ID=8245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580A KR20220107946A (ko) 2021-01-25 2022-01-14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6313B2 (ko)
JP (1) JP7480073B2 (ko)
KR (1) KR20220107946A (ko)
CN (1) CN1147928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094A (ko) * 2020-08-17 2022-02-2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접속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4884A (ja) 2013-02-22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JP2020091950A (ja) 2018-12-03 2020-06-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4805A (zh) 1996-03-28 1999-04-21 惠特克公司 高密度电连接器
JP2007335254A (ja) 2006-06-15 2007-12-27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JP5605378B2 (ja) 2012-01-18 2014-10-15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735521B2 (en) * 2013-01-09 2017-08-15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10998655B2 (en) * 2016-04-28 2021-05-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JP6655797B2 (ja) * 2016-04-28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ヘッダおよびソケット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445666B1 (ja) 2017-12-04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20220022094A (ko) * 2020-08-17 2022-02-2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접속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4884A (ja) 2013-02-22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JP2020091950A (ja) 2018-12-03 2020-06-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92899A (zh) 2022-07-26
JP2022113413A (ja) 2022-08-04
US11876313B2 (en) 2024-01-16
US20220239025A1 (en) 2022-07-28
JP7480073B2 (ja)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656B2 (en) Electrical connector
EP3151341B1 (en) Connector
JP6701345B2 (ja) コネクタ
CN109565134B (zh) 连接器
US10950978B2 (en) Connector with prevention of lopsidedness in a movable region of a movable housing with respect to a fixed housing
CN107534234B (zh) 多极连接器
US10355381B2 (en) Board connector
US20120094544A1 (en) Connector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2014222576A (ja) コネクタ
US11552420B2 (en) Floating connector
KR100731443B1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KR20210139141A (ko) 커넥터
KR20040103766A (ko) 전기 커넥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00067083A (ko)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KR20220107946A (ko)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069541B2 (ja) コネクタ
KR20190106810A (ko) 탄성 프레스―온 요소들을 갖는 전기 플러그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WO2023243443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23137208A (ja) コネクタ
KR20240009865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2405329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