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298A -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298A
KR20220107298A KR1020227023775A KR20227023775A KR20220107298A KR 20220107298 A KR20220107298 A KR 20220107298A KR 1020227023775 A KR1020227023775 A KR 1020227023775A KR 20227023775 A KR20227023775 A KR 20227023775A KR 20220107298 A KR20220107298 A KR 2022010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ontact
connector
contacts
hol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야마우치
쇼 스즈키
겐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10)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4B)를 구비한다. 제 2 종 컨택트(4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가 배열된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1 종 컨택트(4A)의 조가 대향하는 영역을 제 1 방향으로 연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속부로부터 회로 기판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신호 등의 전송에 사용되는 기판 간 접속용의 커넥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팜플렛 제 WO 2015/045623 호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커넥터는, 기판에 평행한 평면에서 방향을 180° 반전해서 기판에 실장하는 것(이하, 반전 실장이라고 한다)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복수의 컨택트끼리가 인접해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노이즈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하나의 컨택트에 신호가 흘렀을 때에 생기는 전자파(노이즈)가 하나의 컨택트에 인접하는 다른 컨택트에 영향을 주어, 소위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반전 실장의 실현과 노이즈 억제를 양립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1조의 제 1 종 컨택트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를 갖고,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가 배열된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컨택트의 조가 대향하는 영역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회로 기판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가 전송하는 신호와 비교해서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이면 좋다.
모든 상기 제 1 종 컨택트와 모든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소정의 1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소정의 1점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의 외연보다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중심선의 연장선을 대칭축에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1개씩 배치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1조의 상기 제 1 종 컨택트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각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1개씩 배치되어 있고,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상기 접속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1 종 컨택트의 사이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는 상기 접촉부의 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다른 적어도 1조의 제 1 종 컨택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한쪽은 상기 다른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한쪽과 상기 제 1 방향에 따른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가 보지되는 제 1 종 컨택트 보지부와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보지되는 제 2 종 컨택트 보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종 컨택트는, 각각,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제 1 종 컨택트는 상기 연결부에 의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 및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각각,
동일 방향에 따라 연재되며, 또한 기부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로 향해 돌출된 보지용 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컨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보지용 융기부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재하는 수용 홈부를 갖고,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모든 컨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수용 홈부에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걸림고정되는 피걸림고정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접속부와의 접속 상황을 시인 가능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에는, 상기 설치면에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제 1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와,
제 2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복수조의 제 1 종 컨택트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를 갖고,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가 배열된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조의 제 1 종 컨택트가 대향하는 영역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한 범위 내에 배치되고,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1 회로 기판에의 배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에 접촉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종 컨택트와 접촉하는 제 2 컨택트를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회로 기판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전 실장의 실현과 노이즈 억제를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b)의 IVa-IVa 절단선으로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2의 (b)의 IVb-IVb 절단선으로 제 2 종 보지 에리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2 종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동 정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a)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d)는 동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보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및 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의 도체 노출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도 9의 XIa-XIa 절단선으로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도 9의 XIb-XIb 절단선으로 제 2 종 보지 에리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 2 종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b)는 동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및 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보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의 감합 형상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의 감합 형상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9의 플러그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의 도체 노출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의 (b)는 동 측면도이다. 도 18의 (c)는 동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의 감합 형상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2 종 컨택트와 컨택트 보지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의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21의 (b)는 동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의 감합 형상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종 컨택트가 영역(α) 내에서 배치되는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종 컨택트가 영역(β) 내에서 배치되는 위치를 회로 기판 상에 투영시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커넥터 유닛(1)은 전자 기기 내에 있어서 회로 기판끼리의 접속에 이용되는 유닛이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랩탑 타입 컴퓨터, 또는 타블렛형 컴퓨터 등의 휴대형 통신 단말을 들 수 있지만, 전자 기기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1)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101)과 회로 기판(102)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서로 감합하도록 배치된(설치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본 플러그 커넥터(20)의 형상과,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에 근사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서로 감합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장변 방향(장측 방향)과 플러그 커넥터(20)의 장변 방향(장측 방향)은 서로 거의 평행이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단변 방향(단측 방향)과 플러그 커넥터(20)의 단변 방향(단측 방향)은 서로 거의 평행이며, 단측 방향은 장측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이다. 이하, 이 직사각형의 장변에 따른 방향을 장변 방향(DL1)이라고 하고, 이 직사각형의 단변에 따른 방향을 단변 방향(DS1)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직사각형에 수직인 방향(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을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 방향(CD1)이라고 한다.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서로 감합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본 플러그 커넥터(20)의 구조를 설명할 시에는, 간단히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보아"라고 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구조를 설명할 시에는, 간단히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라고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재에 그 부재의 부호를 병기함과 동시에, 그 부재를 포함하는 것보다 큰 구성에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부호를 괄호 내에 부여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101)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에 접속되고, 회로 기판(101) 상의 회로와 회로 기판(102) 상의 회로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회로 기판(101)에 장착되는 면을 저면, 그 반대의 면을 상면이라고 부른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도전성의 복수의 컨택트(4)와, 컨택트(4)를 보지하는 컨택트 보지부(5)와, 컨택트 보지부(5)를 덮는 쉘(6)을 구비한다.
각 컨택트(4)는 회로 기판(101)에 형성된 회로의 도체(배선)에 접속되고, 플러그 커넥터(20)의 대응하는 컨택트(7)(후술함)에 접촉한다. 컨택트(4)는 금속의 박판으로부터 1매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휨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컨택트(4)는 서로 종별이 상이한 컨택트(4)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컨택트(4)는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4A)와 제 1 종 컨택트(4A)와는 상이한 종별의 적어도 1개의 제 2 종 컨택트(4B)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4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4B)를 포함한다.
종별이 상이하다는 것은, 종별을 특정하는 어떠한 정의 하에서, 서로 상이한 종별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별의 차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전송 대상으로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상이, 허용 전류의 상이, 허용 전압의 상이, 신호 도체(신호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체)의 접속용인지 그라운드 도체(그라운드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체)의 접속용인지의 상이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 예로서 제 2 종 컨택트(4B)는, 제 1 종 컨택트(4A)와 비교해서, 보다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이다.
도 2의 (b)의 IV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컨택트(4A)의 각각은 접속부(41A)와 접촉부(42A)를 구비한다. 접속부(41A)는, 그 단부에서, 회로 기판(101)의 도체(예를 들면, 신호 도체)에 접속된다. 접촉부(42A)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후술함)에 접촉한다. 접속부(41A)와 접촉부(42A)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42A)는 제 1 부분(421)과, 제 2 부분(422)과, 연결부(423)를 구비한다. 제 1 부분(421)과 제 2 부분(42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저면 근방의 기부로부터, 접속 방향(CD1)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0)로 향해 각각 돌출(연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를 사이에 둔다. 연결부(423)는 제 1 부분(421)의 기부와 제 2 부분(422)의 기부를 연결한다. 접속부(41A)는 제 1 부분(421)의 선단부로부터 뒤로 접혀 저면으로 향해 연재하고, 그 단부가 바깥쪽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41A)는 회로 기판(101)에 장착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바깥쪽으로 향해 돌출되지 않은 형상이어도 좋다.
도 2의 (b)의 IV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 4의 (b)와,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컨택트(4B)는, 각각, 접속부(41B)와, 접촉부(42B)와, 피걸림고정부(43B)를 구비한다. 접속부(41B)는, 기부(411)의 저부를 형성하는(저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12)를 회로 기판(101)의 도체(예를 들면, 신호 도체)에 접속시킨다. 접촉부(42B)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후술함)에 접촉한다. 피걸림고정부(43B)가 컨택트 보지부(5)(의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 2 종 컨택트(4B)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고정된다. 접속부(41B)와 접촉부(42B)와 피걸림고정부(43B)는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1B)는 회로 기판(101)의 도체에 접촉하는 부위이며, 접촉부(42B)의 바로 아래(접속 방향(CD1)의 저면 가까이)에 위치한다. 접속부(41B)는 기부(411)와, 기부(411)의 저부로부터 조금 돌출하는 돌출부(412)를 구비한다. 돌출부(412)는 회로 기판(101)의 도체(예를 들면, 신호 도체)에 접속된다. 기부(411) 및 돌출부(412)의 중앙에 원형의 구멍(413)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413)에 의해 회로 기판(101)에의 실장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41B)는 회로 기판(101)에 장착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돌출부(412)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여도 좋다.
접촉부(42B)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에 접촉하는 부위이며,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를 구비한다.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는, 기부(411)의 양측으로부터 접속 방향(CD1)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0)로 향해 각각 돌출되며,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를 사이에 둔다.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의 선단 부근은, 각각, 접속부(41B)를 향해 만곡되고, 압입부(426)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는, 기부(411)를 통과하는 DL1-CD1 면을 기준으로 해서 면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준면 DL1-CD1 면에 대해서,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가 돌출하는 방향이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아암부(424)는 접속 방향(CD1)을 향해 경사한 방향에 따라 돌출되고, 제 2 아암부(425)는 제 1 아암부(424)와는 반대로 돌출되어도 좋다.
피걸림고정부(43B)는 제 2 종 컨택트(4B)를 컨택트 보지부(5)에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피걸림고정부(43B)는, 접촉부(42B)의 연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부(41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431)과, 제 2 부분(432)을 구비한다. 제 1 부분(431)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는 접속 방향(CD1)에 따라 상승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부(433)를 구비한다. 돌기부(433)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후술함) 근방에 위치한다. 제 2 부분(432)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컨택트 보지부(5)의 포위벽(62)(후술함) 근방에 위치한다.
컨택트 보지부(5)는 복수의 컨택트(4)를 보지하는 절연성의 부재이다. 예를 들면, 컨택트 보지부(5)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컨택트 보지부(5)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에 면하는 저면(55)과, 저면(55)에 대향하는 상면(54)과, 제 1 종 컨택트(4A)를 보지하는 제 1 종 컨택트 보지부와, 제 2 종 컨택트(4B)를 보지하는 제 2 종 컨택트 보지부를 구비한다. 컨택트 보지부(5)는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서 직사각형에 근사하는 외형을 구비한다. 당해 직사각형은 장변 방향(DL1)에 따른 한쌍의 장변(5a, 5b)과, 단변 방향(DS1)에 따른 한쌍의 단변(5c, 5d)을 구비한다.
컨택트 보지부(5)는 접속 방향(CD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보지 에리어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제 1 종 컨택트 보지부로서 구획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제 2 종 컨택트 보지부로서 구획된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를 포함한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복수의 컨택트(4)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4A)를 보지한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는 1개의 컨택트(4)를 보지하고 다른 컨택트(4)를 보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는 1개의 제 2 종 컨택트(4B)를 보지한다.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복수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가 개재하고 있어도 좋다. 일 예로서, 컨택트 보지부(5)는 1개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당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는 장변 방향(DL1)에 배열되어 있다. 이하,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를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로서 구별한다.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컨택트 보지부(5)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경계(PL11)에 따라 형성된 공극(S1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슬릿(53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경계(PL12)에 따라 형성된 공극(S1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일 예로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슬릿(53B)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공극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완성 상태에서의 공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 보지부(5)가 단체(單體)로 존재하는 경우의 공극을 의미한다. 즉, 여기서의 공극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완성 상태에 있어서 컨택트 보지부(5)와는 상이한 다른 부재에 의해 매립되는 부분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공극(S11)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의 구획벽(61A)에 의해 매립되고, 공극(S12)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의 구획벽(61B)에 의해 매립된다.
컨택트 보지부(5)에 있어서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에 배치되는 제 2 종 컨택트(4B)는,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보아서, 접속부(41B)와 접촉부(42B)가 중첩되어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2 종 컨택트(4B)는 접촉부(42B)와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와 접촉하는 부분이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2 종 컨택트(4B)는 접속부(41B)와 접촉부(42B)와의 위치 관계가 접속 방향(CD1)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서,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촉부(42B)가 컨택트 보지부(5)의 외연보다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4A)는,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보아서, 각각의, 접속부(41A)와 접촉부(42A)와의 연결 방향(서로 연결된 접속부(41A)와 접촉부(42A)가 나란한 방향)이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종 컨택트(4A)는 접촉부(42A)와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와 접촉하는 부분이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종 컨택트(4A)는 접속부(41A)와 접촉부(42A)와의 연결 방향이 단변 방향(DS1)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서,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촉부(42A)도 컨택트 보지부(5)의 외연보다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및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모두, 동일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변 방향(DL1))에 따른 수용 홈부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및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모든 컨택트(4A, 4B)의 접촉부(42A, 42B)가 수용 홈부로부터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용 홈부에는, 플러그 커넥터(20)의 보지용 융기부(후술함)가 수용된다. 컨택트(4A, 4B)는 플러그 커넥터(20)에 배치된 컨택트(7)의 접촉부(72)(후술함)에 접촉부(42A, 42B)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쪽의 수용 홈부는 장변 방향(DL1)에 따른 중심축(C1)보다 장변(5a) 근방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수용 홈부는 중심축(C1)보다 장변(5b)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수용 홈부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위치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용 홈부(511A, 511B)를 구비한다. 수용 홈부(511A, 511B)는 장변 방향(DL1)에 따라 컨택트 보지부(5)의 상면(54)에 형성되어 있다. 상면(54)에 있어서, 수용 홈부(511A)는 중심축(C1)보다 장변(5a) 근방에 위치하고, 수용 홈부(511B)는 중심축(C1)보다 장변(5b)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 홈부(511A)는 장변 방향(DL1)에 따른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수용 홈부(511B)와 선대칭인 위치에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가 보지하는 제 1 종 컨택트(4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홈부(511A)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2개와, 수용 홈부(511B)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2개를 포함한다. 즉,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장변 방향(DL1)에 따라 나란한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4A)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변 방향(DS1)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종 컨택트(4A)에 끼워진 영역(α)은, 수용 홈부(511A)에 배치된 제 1 종 컨택트(4A)와, 수용 홈부(511B)에 배치된 제 1 종 컨택트(4A)에 끼워진 영역을 말한다. 또한,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에 끼워진 영역(α)은, 수용 홈부(511A)에 배치되는 제 1 종 컨택트(4A)가 후술하는 오목부(515A)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수용 홈부(511B)에 배치되는 제 1 종 컨택트(4A)가 후술하는 오목부(515B)에 접하는 부분까지를 포함해도 좋다. 즉,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에 끼워진 영역(α)은, 수용 홈부(511A)에 수용되는 제 1 종 컨택트(4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수용 홈부(511B)에 수용된 제 1 종 컨택트(4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홈부(511A)에 따라 나란한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A)를 구비한다. 컨택트 수용부(512A)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저면(55)으로부터 수용 홈부(511A)에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컨택트 수용부(512A)는 후술하는 컨택트 수용부(512B)와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위치에 있다. 또한,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A)는, 이들 사이의 단변 방향(DS1)에 따른 중심축(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위치에 있다. 컨택트 수용부(512A)의 각각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421) 및 제 2 부분(422)이 수용 홈부(511A)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도록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촉부(42A)가 압입 등으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홈부(511A)에 배치된 제 1 종 컨택트(4A)는,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본 접속부(41A)와 접촉부(42A)를 묶는 라인의 연재하는 방향이 단변 방향(DS1)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용 홈부(511A)에 배치된 각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42A)로부터 장변(5a(5b))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변(5a)에 따른 측면의 중앙부(장변 방향(DL1)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오목부(515A)를 추가로 구비한다. 오목부(515A)는 상면(54)으로부터 저면(55)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부(511A)에 배치된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서, 오목부(515A) 내에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101)에 대한 접속부(41A)의 접속 상태의 육안 확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홈부(511B)에 따라 나란한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B)를 구비한다. 컨택트 수용부(512B)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저면(55)으로부터 수용 홈부(511B)에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B)는 이들 사이의 단변 방향(DS1)에 따른 중심축(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위치에 있다. 따라서,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A) 및 2개의 컨택트 수용부(512B)는 중심축(C1, C2)의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컨택트 보지부(5)가 DL1-DS1 면에서 교점(CP)을 중심으로 180° 회전하면, 컨택트 수용부(512A)는 컨택트 수용부(512B)가 존재한 위치로, 컨택트 수용부(512B)는 컨택트 수용부(512A)가 존재한 위치로 이동한다. 컨택트 수용부(512B)의 각각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421) 및 제 2 부분(422)이 노출하도록 접촉부(42)가 압입 등으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홈부(511B)에 따라 나란한 어느 하나의 제 1 종 컨택트(4A)나,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본 접속부(41A)와 접촉부(42A)를 묶는 라인의 연재하는 방향이 단변 방향(DS1)에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용 홈부(511B)에 배치된 각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42A)로부터 장변(5b)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수용 홈부(511A)의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와 수용 홈부(511B)의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는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변(5b)에 따른 측면의 중앙부(장변 방향(DL1)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오목부(515B)를 추가로 구비한다. 수용 홈부(511B)에 배치된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보아서, 오목부(515B) 내에 노출하고 있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의 각각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수용 홈부(521)를 구비한다. 수용 홈부(521)는 장변 방향(DL1)에 평행으로 연재해서, 컨택트 보지부(5)의 상면(54)에 형성되어 있다. 상면(54)에 있어서, 수용 홈부(521)는 장변(5a)과 장변(5b)과의 중간(단변 방향(DS1)에 있어서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각 수용 홈부(521)에는, 제 2 종 컨택트(4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의 각각은 1개의 컨택트 수용부(522)를 구비한다. 컨택트 수용부(522)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저면(55)에 설치되고, 수용 홈부(521)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수용 홈부(521)에는,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가 노출하도록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촉부(42B)가 압입 등으로 고정된다. 제 2 종 컨택트(4B)는 접속부(41B)와 접촉부(42B)를 묶는 선이 접속 방향(CD1)과 평행으로 되도록 수용 홈부(521)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홈부(521)는, 단변 방향(DS1)에 있어서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 사이에 두어진 영역(α) 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홈부(521)는 중심축(C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컨택트 수용부(522)로부터 중심축(C2)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컨택트 보지부(5)가 DL1 및 DS1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교점(CP)을 기준으로 180° 회전하면, 2개의 컨택트 수용부(522)(및 제 2 종 컨택트(4B))의 위치는 바뀐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출구 코너 부분에 오목부(525)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525)는 상면(54)으로부터 저면(55)으로 향해 오목한 부분이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가 보지하는 제 2 종 컨택트(4B)는, 경계(PL11)를 거쳐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의 제 1 종 컨택트(4A)와 인접한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가 보지하는 제 2 종 컨택트(4B)는, 경계(PL12)를 거쳐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의 제 1 종 컨택트(4A)와 인접한다. 이와 같이, 경계(PL11, PL12)를 거쳐서 인접하는 컨택트(4)의 장변 방향(DL1)(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G11)은,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내에 있어서 장변 방향(DL1)에 따라 인접하는 컨택트(4)의 간격(G12)보다 크다(도 7 참조).
도 2에 도시하는 쉘(6)은 컨택트 보지부(5)에 장착되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쉘(6)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택트 보지부(5)를 복수의 보지 에리어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의 구획벽(61)을 구비한다. 구획벽(61)은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획벽(61)은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쉘(6)의 다른 부분을 거쳐서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쉘(6)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2개의 구획벽(61)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2개의 구획벽(61)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가 개재하고 있어도 좋다.
일 예로서, 쉘(6)은 상기 2개의 구획벽(61)으로서 구획벽(61A, 61B)을 구비한다. 구획벽(61A)은 공극(S11) 내에 위치해서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51)를 구획한다. 구획벽(61B)은 공극(S12) 내에 위치해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를 구획한다. 구획벽(61A, 61B)의 각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에 접하는 단연(611)(단부)을 갖고, 당해 단연(611)에 있어서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쉘(6)은,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외주에 따라 구획벽(61)과 정렬된 도전성의 포위벽(62)을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쉘(6)은 포위벽(62)을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마다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면, 쉘(6)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의 외주에 따라 구획벽(61A)과 정렬된 도전성의 포위벽(62A)과,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의 외주에 따라 구획벽(61B)과 정렬된 도전성의 포위벽(62B)을 구비한다. 포위벽(62A, 62B)의 각각은 대향부(621)와, 측부(622A, 622B)를 포함한다.
대향부(621)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를 사이에 두고 구획벽(61)과 대향한다. 예를 들면, 포위벽(62A)의 대향부(621)는 컨택트 보지부(5)의 단변(5c)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를 사이에 두고 구획벽(61A)과 대향한다. 포위벽(62B)의 대향부(621)는 컨택트 보지부(5)의 단변(5d)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를 사이에 두고 구획벽(61B)과 대향한다. 대향부(62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에 접하는 단연(625)(단부)을 갖고, 당해 단연(625)에 있어서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대향부(621)는, 바깥쪽(제 2 종 보지 에리어(52)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대향부(62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변 방향(DS1)에 따라 정렬된 2개의 돌기(623)와, 2개의 돌기(623)의 중간에 압입부(624)를 구비한다. 압입부(624)는 절곡 가공에 의해 중앙을 외부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부(622A)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장변(5a)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측부(622B)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장변(5b)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측부(622A, 622B)의 각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에 접하는 단연(단부)(627)을 갖고, 당해 단연(627)에 있어서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측부(622A, 622B)의 각각은 바깥쪽(제 2 종 보지 에리어(52)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626)를 구비한다.
쉘(6)은, 도 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의 외주에 따라 배열된 구획벽(61)과 포위벽(62)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의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에리어내 접속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는 접속 방향(CD1)에 교차하도록 확장되어 있어도 좋다.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는 플러그 커넥터(20)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쉘(6)은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를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마다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면, 쉘(6)은 2개소의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A, 63B)를 구비한다.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A)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의 외주에 따라 배열된 구획벽(61A)과 포위벽(62A)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A)는 상면(54)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획벽(61A)의 단연과, 포위벽(62A)의 대향부(621)의 단연과, 포위벽(62A)의 측부(622A, 622B)의 단연에 연결되어 있다.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B)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의 외주에 따라 배열된 구획벽(61B)과 포위벽(62B)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B)는 상면(54)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획벽(61B)의 단연과, 포위벽(62B)의 대향부(621)의 단연과, 포위벽(62B)의 측부(622A, 622B)의 단연에 연결되어 있다.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A, 63B)의 각각은 제 2 종 보지 에리어(52)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4B)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631)를 구비한다.
쉘(6)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의 외주의 구획벽(61A)과, 제 2 종 보지 에리어(52B)의 외주의 구획벽(61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에리어간 접속부)(64)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의 외주에 따르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쉘(6)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 64B)를 구비한다.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의 장변(5a)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획벽(61A)과 구획벽(61B)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수용 홈부(511A) 내의 2개의 제 1 종 컨택트(4A)는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접속부(41A)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로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는 당해 2개의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에 대향하고 있다.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의 장변(5b)에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획벽(61A)과 구획벽(61B)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수용 홈부(511B) 내의 2개의 제 1 종 컨택트(4A)는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접속부(41A)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로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는 당해 2개의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에 대향하고 있다.
접속 방향(CD1)에 있어서,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 64B)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에 대향하는 단연(642)과, 단연(64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해서 플러그 커넥터(20)의 후술하는 쉘(8)에 접하는 돌출부(641)를 구비한다. 돌출부(641)는 구획벽(61A, 61B)의 중간(장변 방향(DL1)에 있어서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641)는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바깥쪽(제 1 종 보지 에리어(51)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쉘(6)이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 64B)를 갖는 것에 의해, 제 1 종 보지 에리어(51)가 구획벽(61A, 61B) 및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 64B)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 보지부(5) 전체가 포위벽(62A, 62B) 및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 64B)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쉘(6)은, 예를 들면 금속의 박판 소재로부터 1매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휨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재는 외벽부(691A, 691B, 692A, 692B)와, 천판부(695A, 695B)와, 내벽부(696A, 696B)를 구비한다(도 7 참조).
외벽부(691A)는 포위벽(62A)의 측부(622A)와, 포위벽(62B)의 측부(622A)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외벽부(691B)는 포위벽(62A)의 측부(622B)와, 포위벽(62B)의 측부(622B)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외벽부(692A)는 포위벽(62A)의 대향부(621)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외벽부(692B)는 포위벽(62B)의 대향부(621)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천판부(695A)는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A)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천판부(695B)는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63B)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내벽부(696A)는 구획벽(61A)을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내벽부(696B)는 구획벽(61B)을 구성하는 판형상부이다.
천판부(695A, 695B)에 대해, 외벽부(691A, 691B, 692A, 692B) 및 내벽부(696A, 696B)를 동일 방향으로 약 90도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쉘(6)이 형성된다. 형성된 쉘(6)은 예를 들면 압입에 의해 컨택트 보지부(5)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저면(55)을 회로 기판(101)을 향한 상태로 회로 기판(101)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101)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11, 112, 113, 114)와, 신호 도체 노출부(121, 122, 123, 124, 125, 126)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11, 112, 113, 114)는 회로 기판(101)의 그라운드 도체가 노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11, 112, 113, 114)에는, 구획벽(61A)의 단연(611)과, 구획벽(61B)의 단연(611)과, 포위벽(62A)의 단연(625, 627)과, 포위벽(62B)의 단연(625, 627)이 각각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신호 도체 노출부(121, 122, 123, 124, 125, 126)는 회로 기판(101)의 6개의 신호 도체가 각각 노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신호 도체 노출부(121, 122, 123, 124, 125, 126)에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가 각각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신호 도체 노출부(125, 126)는 접속부(41A, 41B)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 도체 노출부(121, 122, 123, 124)의 크기는 제 1 종 컨택트(4A)의 접속부(41A)의 크기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신호 도체 노출부(125, 126)의 크기는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의 크기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신호 도체 노출부는 접속부보다 커도 좋다. 환언하면, 신호 도체 노출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회로 기판(101)에 장착했을 때, 접속부와의 납땜 접합을 실시할 수 있는(신호 도체 노출부에 접속부가 중첩된다) 정도로 크면 좋다.
또한, 이상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적당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택트 보지부(5)는 4개 이상의 보지 에리어로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
다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는 회로 기판(102)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접속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는 복수의 컨택트(7)와, 쉘(8)과, 컨택트 보지부(9)를 구비한다.
복수의 컨택트(7)는 회로 기판(102)의 복수의 도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복수의 컨택트(4)에 각각 접촉한다. 컨택트(7)는 금속의 박판으로부터 1매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휨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컨택트(7)는 서로 종별이 상이한 컨택트(7)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컨택트(7)는,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7A)와, 제 1 종 컨택트(7A)와는 상이한 종별의 적어도 1개의 제 2 종 컨택트(7B)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도 9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0)는 6개의 컨택트(7)를 포함하고, 6개의 컨택트(7)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7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7B)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제 2 종 컨택트(7B)는 제 1 종 컨택트(7A)와 비교해서 보다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이다. 4개의 제 1 종 컨택트(7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7B)는, 각각 접촉하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4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4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XIa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컨택트(7A)는, 각각, 접속부(71A)와 접촉부(72A)를 구비한다. 접속부(71A)는 회로 기판(102)의 도체(예를 들면, 신호 도체)에 접속된다. 접촉부(72A)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4(4A))에 접촉한다. 접속부(71A)와 접촉부(72A)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72A)는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과, 연결부(723, 724)를 구비한다.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은, 접속 방향(CD1)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0)의 저면 근방의 기부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향해 각각 돌출한다.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했을 때에, 컨택트(4A)의 제 1 부분(421)과 제 2 부분(422)에 의해 끼워진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21)은 제 1 부분(421)에 접촉하고, 제 2 부분(722)은 제 2 부분(422)에 접촉한다. 제 1 부분(721)이 제 2 부분(422)에 접촉하고, 제 2 부분(722)이 제 1 부분(421)에 접촉해도 좋다.
연결부(723)는 제 1 부분(721)의 선단부와 제 2 부분(722)의 선단부를 연결한다. 연결부(724)는 제 2 부분(722)의 기부와 접속부(71)를 연결한다. 연결부(724)는, 접속 방향(CD1)에 수직인 면을 따라, 제 2 부분(722)의 기부로부터 제 1 부분(721)에 연장되고, 접속부(71)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71)는, 연결부(724)의 연장선에 따라 제 1 부분(721)의 외면(제 2 부분(722)의 반대로 향하는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71)는 회로 기판(102)에 장착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바깥쪽으로 향해 돌출되지 않은 형상이어도 좋다.
도 9의 XIb선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 11의 (b),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컨택트(7B)는, 각각, 접속부(71B)와 접촉부(72B)를 구비한다. 접속부(71B)는 회로 기판(102)의 도체(예를 들면, 신호 도체)에 접속된다. 접촉부(72B)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4(4B))에 접촉한다. 접속부(71B)와 접촉부(72B)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72B)는 접속부(71B)로부터 회로 기판(101)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인 접속 방향(CD1)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접촉부(72B)는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과, 연결부(723B)를 구비한다.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은, 배면을 서로 접한 상태로, 접속부(71B)로부터 접속 방향(CD1)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향해 연재한다. 제 1 부분(721)과 제 2 부분(72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했을 때에, 컨택트(4B)의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에 의해 끼워진다. 제 1 아암부(424)와 제 2 아암부(425)와의 사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1 부분(721)은 제 1 아암부(424)에 접촉하고, 제 2 부분(722)은 제 2 아암부(425)에 접촉한다. 제 1 부분(721)이 제 2 아암부(425)에 접촉하고, 제 2 부분(722)이 제 1 아암부(424)에 접촉해도 좋다.
연결부(723B)는 제 1 부분(721)의 선단부와 제 2 부분(722)의 선단부를 연결한다. 한쪽의 접속부(71B)는 제 1 부분(721)의 기부로부터 후술하는 쉘(8)의 측벽(81A)을 향해 연재하고, 다른쪽의 접속부(71B)는 제 2 부분(722)의 기부로부터 후술하는 쉘(8)의 측벽(81B)을 향해 연재한다. 또한, 접속부(71B)는 회로 기판(102)에 접속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쉘(8)은 복수의 컨택트(7)를 포위하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쉘(8)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보아서 직사각형에 근사하는 외형의 영역을 포위한다. 당해 직사각형은 장변 방향(DL1)에 따른 한쌍의 장변(8a, 8b)과, 단변 방향(DS1)에 따른 한쌍의 단변(8c, 8d)을 구비한다. 쉘(8)은, 장변(8a)에 따른 측벽(81A)과, 장변(8b)에 따른 측벽(81B)과, 단변(8c)에 따른 측벽(82A)과, 단변(8d)에 따른 측벽(82B)을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쉘(8)은 쉘(6)의 외주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쉘(8)의 측벽(81A)은, 쉘(6)의 포위벽(62A)의 측부(622A)와, 포위벽(62B)의 측부(622A)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A)에 접촉한다. 또한, 쉘(8)의 측벽(81B)은, 쉘(6)의 포위벽(62A)의 측부(622B)와, 포위벽(62B)의 측부(622B)와,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64B)에 접촉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쉘(8)의 측벽(82A)은, 도 7에 도시하는 쉘(6)의 포위벽(62A)의 대향부(621)에 접촉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쉘(8)의 측벽(82B)은, 도 7에 도시하는 쉘(6)의 포위벽(62B)의 대향부(621)에 접촉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8)의 측벽(81B)은 내면(측벽(81A)에 대향하는 면)에 4개의 오목부(811)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측벽(81A)도 내면(측벽(81B)에 대향하는 면)에 도시하지 않는 4개의 오목부(811)를 구비한다. 오목부(811)는 쉘(6)의 포위벽(62A) 및 포위벽(62B)의 돌기(626)와 각각 계합한다.
측벽(81A, 81B)의 각각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2)에 대향하는 단연(813)과, 단연(813)으로부터 돌출되어 회로 기판(102)에 접하는 적어도 1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15)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측벽(81A, 81B)의 각각은, 장변 방향(DL1)으로 배열된 3개의 그라운드 접속부(815)를 구비한다. 측벽(81A, 81B)의 각각은, 그라운드 접속부(815)에 있어서 회로 기판(102)의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측벽(82A)은, 도 1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측벽(82B)에 대향하는 면)의 2개소에 오목부(8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오목부(821)는, 도 2에 도시하는 쉘(6)의 포위벽(62A)의 2개의 돌기(623)와 각각 계합한다. 또한, 측벽(82A)은, 내면의 오목부(821, 821)의 중간 위치에, 피압입부(822)를 구비한다. 피압입부(822)에는, 포위벽(62A)의 압입부(624)가 압입된다. 마찬가지로, 측벽(82B)도, 내면(측벽(82A)에 대향하는 면)에 도시하지 않는 2개의 오목부(821)를 구비한다. 당해 2개의 오목부(821)는 포위벽(62B)의 2개의 돌기(623)와 계합한다. 또한, 측벽(82B)은, 내면의 오목부(821, 821)의 중간 위치에, 피압입부(822)를 구비한다. 피압입부(822)에는, 포위벽(62B)의 압입부(624)가 압입된다.
측벽(82A, 82B)은, 각각,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2)에 대향하는 단연(823)과, 단연(823)으로부터 돌출되어 회로 기판(102)에 접하는 적어도 1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25)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측벽(82A, 82B)은, 각각, 단변 방향(DS1)에 따라 배열된 2개소에 그라운드 접속부(825)를 구비한다. 측벽(82A, 82B)은, 각각, 그라운드 접속부(825)에 있어서 회로 기판(102)의 그라운드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쉘(8)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82A)의 단변 방향(DS1)에 있어서의 중간부(예를 들면, 2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25)의 사이)와, 측벽(82B)의 단변 방향(DS1)에 있어서의 중간부(예를 들면, 2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25)의 사이)에 있어서, 단변 방향(DS1)으로 배열된 2개의 쉘 부재(80A, 80B)로 나누어져 있다. 쉘 부재(80A)는 측벽(81B)을 포함하고, 쉘 부재(80B)는 측벽(81A)을 포함한다.
쉘 부재(80A, 80B)의 각각은, 예를 들면 금속의 박판 소재로부터 1매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휨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쉘(8)을 2개의 부재로부터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가공의 용이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쉘(8)을, 예를 들면 금속의 박판 소재로부터 1매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휨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컨택트 보지부(9)는 복수의 컨택트(7)와, 쉘(8)을 보지하는 절연성의 부재이다. 예를 들면, 컨택트 보지부(9)는 복수의 컨택트(7)와 쉘(8)을 배치한 상태에서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컨택트 보지부(9)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93)와, 본체부(94)를 구비한다. 프레임부(93)는 쉘(8)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측벽(82A, 82B))를 외주측으로부터 보지한다. 본체부(94)는 측벽(82A, 82B)의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부(93)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9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2)에 면하는 저면(96)과, 저면(96)에 대향하는 상면(95)(도 14 참조)을 구비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94)는, DS1-DL1 면에 있어서, 복수의 보지 에리어로 구획되어 있다.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를 포함한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는 복수의 컨택트(7)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7A)를 보지하고,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는, 각각, 1개의 컨택트(7)를 보지하고, 다른 컨택트를 보지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는 1개의 제 2 종 컨택트(7B)만을 보지한다.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91)가 개재하고 있어도 좋다. 일 예로서, 도 14에서는, 본체부(94)는 1개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에 구획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와,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는 장변 방향(DL1)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하,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를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 92B)로서 구별한다.
복수의 보지 에리어는 본체부(94)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경계(PL21)에 따라 형성된 공극(S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92B)는, 단변 방향(DS1)에 평행한 경계(PL22)에 따라 형성된 공극(S2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공극은 접속 방향(CD1)에 따라 본체부(94)를 관통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접속 방향(CD1)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극이 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공극(S21)은,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의 보지용 융기부(921)(후술함)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보지용 융기부(911A, 911B)(후술함)와의 사이에, 본체부(94)를 일부 관통하고, 다른 일부는 관통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극(S22)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보지용 융기부(911A, 911B)(후술함)와, 제 2 종 보지 에리어(92B)의 보지용 융기부(921)(후술함)와의 사이에, 본체부(94)를 일부 관통하고, 다른 일부는 관통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보지부(9)에 있어서,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컨택트(7A)는,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보아서, 접속부(71A)와 접촉부(72A)와의 연결하는 부분(서로 연결된 접속부(71A)와 접촉부(72A)가 배열되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종 컨택트(7A)는, 접촉부(72A)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4)와의 접촉하는 부분이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72A)는, 접속부(71A)와 접촉부(72A)와 연결하는 부분이 단변 방향(DS1)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보아서, 모든 컨택트(7A)의 접촉부(72A)가 컨택트 보지부(9)의 외연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보지 에리어(91) 및 제 2 종 보지 에리어(92)는 동일 방향(예를 들면, 장변 방향(DL1))에 따라 연재하고 또한 저부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향해 돌출된 보지용 융기부를 구비한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91) 및 제 2 종 보지 에리어(92)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모든 컨택트(7)의 접촉부(72)가 보지용 융기부의 측면에 노출하고 있다.
일 예로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는, 도 9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2개의 보지용 융기부(911A, 911B)를 구비한다. 보지용 융기부(911A, 911B)는 본체부(94)에 형성되어 있고, 장변 방향(DL1)에 따라 연재하고, 또한 상면(기부)(95)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보지용 융기부(911A)는 쉘(8)의 장변(8a) 근방에 위치하고, 보지용 융기부(911B)는 쉘(8)의 장변(8b)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종 보지 에리어(91)가 보지하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7A)는, 보지용 융기부(911A)에 따라 배열된 2개의 제 1 종 컨택트(7A)와, 보지용 융기부(911B)에 따라 배열된 2개의 제 1 종 컨택트(7A)를 포함한다. 즉, 제 1 종 보지 에리어(91)가 보지하는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7A)는 장변 방향(DL1)(경계(PL21, PL22)에 수직인 배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종 컨택트(7A)를 포함한다.
보지용 융기부(911A)에 따라 배열된 제 1 종 컨택트(7A)나,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721) 및 제 2 부분(722)이 노출하도록 보지용 융기부(911A)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보지용 융기부(911A)에 따라 배열된 어느 하나의 제 1 종 컨택트(7A)도,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보아 접속부(71A)와 접촉부(72A)와의 연결 방향이 단변 방향(DS1)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제 1 종 컨택트(7A)의 제 2 부분(722)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를 상면(95)으로부터 저면(96)에 관통하고 있고, 연결부(724)는 저면(96)에 노출하고 있다. 접속부(71A)는 연결부(724)로부터 장변(8a)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71A)는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보아 본체부(94)와 장변(8a)과의 사이에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102)에 대한 접속부(71A)의 접속 상태의 육안 확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보지용 융기부(911B)에 따라 배열된 어느 하나의 제 1 종 컨택트(7A)도,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721) 및 제 2 부분(722)이 노출하도록 보지용 융기부(911B)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보지용 융기부(911B)에 따라 배열된 어느 하나의 제 1 종 컨택트(7A)도, 접속 방향(CD1)으로부터 보아 접속부(71A)와 접촉부(72A)와의 연결 방향이 단변 방향(DS1)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제 2 부분(722)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를 상면(95)으로부터 저면(96)에 관통하고 있고, 연결부(724)는 저면(96)에 노출하고 있다. 접속부(71A)는 연결부(724)로부터 장변(8b)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71A)는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보아 본체부(94)와 장변(8b)과의 사이에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102)에 대한 접속부(71A)의 접속 상태의 육안 확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용 융기부(911A)는 수용 홈부(511A)에 수용되고, 보지용 융기부(911B)는 수용 홈부(511B)에 수용된다. 보지용 융기부(911A, 911B)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1 종 컨택트(7A)의 제 1 부분(721)은 제 1 종 컨택트(4A)의 제 1 부분(421)에 접촉하고, 제 1 종 컨택트(7A)의 제 2 부분(722)은 제 1 종 컨택트(4A)의 제 2 부분(422)에 접촉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 92B)는 각각 1개의 보지용 융기부(921)를 구비한다. 보지용 융기부(921)는 본체부(94)의 상면(95)에 형성되어 있고, 장변 방향(DL1)에 따라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단변 방향(DS1)에 있어서, 보지용 융기부(921)는 장변(8a)과 장변(8b)과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의 보지용 융기부(921)는, 경계(PL21)에 따른 공극(S21)에 의해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보지용 융기부(911A, 911B)와 구획되어 있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92B)의 보지용 융기부(921)는, 경계(PL22)에 따른 공극(S22)에 의해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보지용 융기부(911A, 911B)와 구획되어 있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 92B)가 각각 보지하는 1개의 제 2 종 컨택트(7B)는 보지용 융기부(921)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가 보지하는 제 2 종 컨택트(7B)는 경계(PL21)를 거쳐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제 1 종 컨택트(7A)와 인접한다. 제 2 종 보지 에리어(92B)가 보지하는 제 2 종 컨택트(7B)는 경계(PL22)를 거쳐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의 제 1 종 컨택트(7A)와 인접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계(PL21, PL22)를 거쳐서 인접하는 컨택트(7)의 장변 방향(DL1)(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G21)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 내에 있어서 장변 방향(DL1)에 따라 인접하는 컨택트(7)의 간격(G22)보다 크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 보지용 융기부(921)는 수용 홈부(521)에 수용된다. 제 2 종 컨택트(7B)의 제 1 부분(721)은 제 2 종 컨택트(4B)의 제 1 아암부(424)에 접촉하고, 제 2 종 컨택트(7B)의 제 2 부분(722)은 제 2 종 컨택트(4B)의 제 2 아암부(425)에 접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20)는 저면(96)을 회로 기판(102)을 향한 상태로 회로 기판(102)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102)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31)와, 신호 도체 노출부(141, 142, 143, 144, 145, 146)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31)는 회로 기판(102)의 그라운드 도체가 노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131)에는, 측벽(81A)의 3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15)와, 측벽(81B)의 3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15)와, 측벽(82A)의 2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25)와, 측벽(82B)의 2개소의 그라운드 접속부(825)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신호 도체 노출부(141, 142, 143, 144, 145, 146)는 회로 기판(102)의 신호 도체가 노출하고 있는 부분이다. 신호 도체 노출부(141, 142, 143, 144, 145, 146)에는, 4개의 제 1 종 컨택트(7A)의 접속부(71A)와, 2개의 제 2 종 컨택트(7B)의 접속부(71B)가 각각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상,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에 의하면, 제 1 종 컨택트(4A, 7A) 및 제 2 종 컨택트(4B, 7B)는, 각각, 중심선(C1과 C2)에 선대칭(즉, 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부(42B, 72B)는, 접속부(41B, 71B)로부터 회로 기판(101, 102)에 면하는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제 2 종 컨택트(7B, 4B)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의 방향을 반전했을 경우여도, 반전의 전후로 제 1 종 컨택트(4A, 7A) 및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 위치가 변함없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180° 회전시켜 감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전 실장했을 경우여도, 반전의 전후로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 위치가 변함없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회로 기판(101)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커넥터(20)를 회로 기판(102)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는, 제 1 부분(431)과, 제 2 부분(432)이 컨택트 보지부(5)에 걸림고정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의 탈착을 반복해도, 접속부(41B)와 회로 기판(101)과의 접속 상황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 7B)는, 제 1 종 컨택트(4A, 7A)가 배치된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91)와는 상이한 제 2 종 보지 에리어(52, 92)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종 컨택트(4B와 7B)는 제 1 종 컨택트(4A, 4B)가 전송하는 신호와 비교해서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여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4B, 7B)가 다른 컨택트(4A, 7A)로부터 격리해서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 92A, 92B)에 배치되고 있으므로,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51)와,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52A, 52B)는 공극(S11, S1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종 보지 에리어(91)와, 제 1 종 보지 에리어(91)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92A, 92B)는 공극(S21, S2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공극(S11, S12, S21, S22)에의 도전성 부재, 예를 들면, 쉘(6)의 배치에 의해, 노이즈를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2)은, 제 2 종 컨택트(4B)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대신에, 제 2 종 컨택트(4B1)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1)를 사용하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닛(1)과 상이하다.
도 18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컨택트(4B1)는 접속부(41B1)와, 접촉부(42B1)와, 피걸림고정부(43B1)를 구비한다.
접속부(41B1)는, 회로 기판(101)의 도체에 접속되는 기부(411B1)와, 기부(411B1)가 연재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2개의 연락부(412B1)를 구비한다. 기부(411B1)는 평면에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로 기판(101)의 도체 노출부가 연설되어 있는 방향으로 기부(411B1)의 장축이 배치된다. 각 연락부(412B1)의 단에 피걸림고정부(43B1)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42B1)는 중심축(C11)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2B1)는 용수철부(421B1)와, 협지부(422B1)와, 유도부(423B1)를 구비한다. 용수철부(421B1)는 기부(411B1)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101)의 도체 노출부를 넘어서, 연락부(412B1)로부터 접속 방향(CD1)으로 상승하도록 연설되어 있다. 한쌍의 협지부(422B1)는 용수철부(421B1)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로 향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설된 후,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설되어 있다. 한쌍의 유도부(423B1)는 협지부(422B1)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로 향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각 접촉부(42B1)는, 유도부(423B1)로 향하는 것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부(422B1)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를 협지한다.
피걸림고정부(43B1)는 제 1 부분(431B1)과, 제 2 부분(432B1)을 구비한다. 제 1 부분(431B1)은 접속 방향(CD1)에 따라 상승한 대략 T자형상의 돌기부(433B1)를 구비한다. 제 2 부분(432B1)은 대략 T자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을 구비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431B1)의 대략 T자형상의 돌기부(433B1)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가까이에 걸림고정된다. 제 2 부분(432B1)은, T자형상의 부분이 쉘(6)의 포위벽(62)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되고, 대략 T자형상의 부분을 컨택트 보지부(5)에 걸림고정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종 컨택트(4B1, 7B)는 각각 커넥터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 제 1 종 컨택트(4A, 7A)의 중심선(C1)상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종 컨택트(4B1, 7B)의 접촉부(42B1)는 접속부(41B1, 71B)로부터 회로 기판(101, 102)에 당접하는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제 2 종 컨택트(7B, 4B1)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반전 실장했을 경우, 반전의 전후로 제 2 종 컨택트(4B1, 7B)의 접촉 위치가 변함없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1)를 회로 기판(101)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커넥터(20)를 회로 기판(102)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1)의 용수철부(421B1)는 기부(411B1) 및 접속되는 회로 기판(101)의 도체 노출부를 넘어서 연락부(412B1)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부(411B)를 도체 노출부에 접속하기 위한 납땜 등이 용수철부(421B1)의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41B1)의 장변이 회로 기판(101)의 도체 노출부와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41B1)와 회로 기판(101)과의 접속이 보다 확실히 행해져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3)은, 리셉터클 커넥터(10) 대신에, 제 2 종 컨택트(4B2)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2)를 사용하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닛(1)과 상이하다.
도 2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종 컨택트(4B2)는 접속부(41B2)와, 기부(42B2)와, 접촉부(43B2)를 구비한다.
접속부(41B2)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01)의 도체 노출부의 연설되어 있는 방향으로 접속부(41B2)의 장변이 배치되어 있다.
기부(42B2)는 본체부(421B2)와, 피걸림고정부(422B2)를 구비한다. 본체부(421B2)는 접속부(41B2)의 단부로부터 접속 방향(CD1)에 따라 상승한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체이다. 피걸림고정부(422B2)는 본체부(421B2)의 단부에 형성된 대략 T자형상의 판형상체이다. 기부(42B2)는 컨택트 보지부(5)의 제 1 종 보지 에리어(51) 가까이에 배치되어 걸림고정된다.
접촉부(43B2)는 접속부(41B2)를 기준으로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3B2)는 연직부(431B2)와, 협지부(432B2)를 구비한다.
연직부(431B2)는 본체부(421B2)의 양측으로부터 본체부(421B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해서 연재하고, 또한 접속 방향(CD1)으로 연재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 또는 역 L자형상의 부재이다. 협지부(432B2)는 연직부(431B2)로부터 회로 기판(101)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인 부재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부(432B2)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7)를 협지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2) 및 플러그 커넥터(20)에 의하면, 제 2 종 컨택트(4B2, 7B)는 제 1 종 컨택트(4A, 7A)의 중심선(C1)상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종 컨택트(4B2, 7B)의 접촉부는, 회로 기판(101, 102)에 접속하는 접속부(41B2, 71B)로부터 회로 기판(101, 102)에 당접하는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제 2 종 컨택트(7B, 4B2)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2)또는 플러그 커넥터(20)를 반전 실장했을 경우여도, 반전의 전후로 제 2 종 컨택트(4B2, 7B)의 위치가 변함없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2)를 회로 기판(101)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커넥터(20)를 회로 기판(102)에 대해서 반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2)는 접촉부(43B2)가 기부(42B2)를 거쳐서 접속부(41B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20)의 탈착을 반복해도, 접속부(41B2)와 회로 기판(101)과의 접속 상황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종 컨택트(4B, 7B)는 각각 커넥터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 제 1 종 컨택트(4A, 7A)의 중심선(C1)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종 컨택트(4B, 7B)는 중심선(C1)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속부(41B, 71B)가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부(42B, 72B)가 중심선(C1)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속부(41B, 71B)가 중심선(C1)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즉,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속부(41B, 71B)와,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부(42B, 72B)가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접속부(41B, 71B)와 접촉부(42B, 72B)가 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속부(41B, 71B)와,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접촉부(42B, 72B)가 회로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접속부(41B, 71B)의 일부와 접촉부(42B, 72B)의 일부가 중복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제 2 종 컨택트(4B, 7B)는,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 7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α)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종 컨택트(4B, 7B)는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반전 실장했을 때에도,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가 신호 도체 노출부(125, 126)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종 컨택트(7B)의 접속부(71B)가 신호 도체 노출부(175, 176)상에 배치된다. 다만, "대칭"은 엄격한 것일 필요는 없고, ⅰ) 리셉터클 커넥터(11(12, 13))의 회로 기판(101)에의 반전 실장, ⅱ) 플러그 커넥터(20)의 회로 기판(102)에의 반전 실장, ⅲ) 리셉터클 커넥터(11(12, 13))와 플러그 커넥터(20)와의 감합이 가능한 정도의 대칭이면 좋다.
예를 들면, 제 2 종 컨택트(4B, 7B)는, 커넥터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 1조의 제 1 종 컨택트(4A, 7A)가 대향하는 영역(α) 내에 있어서, 교점(CP)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1)를 0°의 각도로 배치했을 때의 한쪽의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의 위치와 180° 반전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의 위치가 상이해도, 양쪽의 제 2 종 컨택트(4B)의 접속부(41B)에 접속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신호 도체 노출부(125, 126)를 형성해 두면 좋다(도 24 참조).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20)를 0°의 각도로 배치했을 때의 한쪽의 제 2 종 컨택트(7B)의 접속부(71B)의 위치와 180° 반전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 2 종 컨택트(7B)의 접속부(71B)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양 제 2 종 컨택트(7B)의 접속부(71B)가 접속할 수 있는 정도로, 신호 도체 노출부(175, 176)를 크게 형성해 두면 좋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0)의 한쪽을 0° 상태와 180° 회전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도,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0)를 감합시킬 수가 있다면, 제 2 종 컨택트(4B, 7B)의 위치는 변동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실시의 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의 형태는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특허 청구의 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의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9-239999 호에 근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 출원 제 2019-239999 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2, 3: 커넥터 유닛
4, 7: 컨택트
4A, 7A: 제 1 종 컨택트
4B, 4B1, 4B2, 7B: 제 2 종 컨택트
5, 9: 컨택트 보지부
6: 쉘
10, 11, 12: 리셉터클 커넥터(커넥터)
20: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
41, 41A, 41B, 41B1, 41B2, 71, 71A, 71B: 접속부
411, 411B1, 42B2: 기부
412, 641: 돌출부
412B1: 연락부
413: 구멍
42A, 42B, 42B1, 43B2, 72, 72A, 72B: 접촉부
421, 431B1, 721: 제 1 부분
421B1: 용수철부
421B2, 94: 본체부
422, 431B2, 432B1, 722: 제 2 부분
422B1, 432B2: 협지부
423B1: 유도부
424: 제 1 아암부
425: 제 2 아암부
422B2, 43B, 43B1: 피걸림고정부
431B1: 연직부
433B1: 돌기부
51, 91: 제 1 종 보지 에리어
511A, 511B, 521: 수용 홈부
512A, 512B, 522: 컨택트 수용부
515A, 515B, 525, 811, 821: 오목부
52, 52A, 52B, 92, 92A, 92B: 제 2 종 보지 에리어
61, 61A, 61B: 구획벽
611: 단연(단부)
62, 62A, 62B: 포위벽
621: 대향부
622A, 622B: 측부
623, 626: 돌기
624: 압입부
625, 627, 642, 813, 823: 단연
63, 63A, 63B: 에리어내 접속 플레이트(에리어내 접속부)
631: 개구부
64, 64A, 64B: 에리어간 접속 플레이트(에리어간 접속부)
691A, 691B, 692A, 692B: 외벽부
695A, 695B: 천판부
696A, 696B: 내벽부
723, 723B, 724: 연결부
81A, 81B, 82A, 82B: 측벽
815, 825: 그라운드 접속부
822: 피압입부
911A, 911B, 921: 보지용 융기부
93: 프레임부
101, 102: 회로 기판
111, 112, 113, 114, 131: 그라운드 도체 노출부
121, 122, 123, 124, 125, 126, 141, 142, 143, 144, 145, 146, 175, 176: 신호 도체 노출부
CD1: 접속 방향
DL1: 장변 방향
DS1: 단변 방향

Claims (17)

  1.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1조의 제 1 종 컨택트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를 구비하며,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가 배열된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컨택트의 조가 대향하는 영역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회로 기판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가 전송하는 신호와 비교해서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제 1 종 컨택트와 모든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소정의 1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1점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의 외연보다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중심선의 연장선을 대칭축에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1개씩 배치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각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에 1개씩 배치되어 있고,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상기 접속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1 종 컨택트의 사이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는 상기 접촉부의 기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다른 적어도 1조의 제 1 종 컨택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한쪽은, 상기 다른 1조의 제 1 종 컨택트의 한쪽과 상기 제 1 방향에 따른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가 보지되는 제 1 종 컨택트 보지부와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보지되는 제 2 종 컨택트 보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컨택트는, 각각,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제 1 종 컨택트는, 상기 연결부에 의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 및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각각, 동일 방향에 따라 연재하고, 또한, 기부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로 향해 돌출된 보지용 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컨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보지용 융기부의 측면으로 노출하고 있는
    커넥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는,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재하는 수용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제 2 종 보지 에리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모든 컨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수용 홈부에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걸림고정되는 피걸림고정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접속부와의 접속 상황을 시인 가능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의 접속부에는, 상기 설치면에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17. 제 1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와,
    제 2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 1 종 보지 에리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복수조의 제 1 종 컨택트와,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종 컨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종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종 보지 에리어와 상기 2개의 제 2 종 보지 에리어가 배열된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 컨택트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조의 제 1 종 컨택트가 대향하는 영역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한 범위 내에 배치되고, 각 상기 제 2 종 컨택트가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1 회로 기판에의 배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제 1 종 컨택트에 접촉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종 컨택트와 접촉하는 제 2 컨택트를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회로 기판에의 설치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227023775A 2019-12-28 2020-12-28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KR20220107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9999 2019-12-28
JP2019239999 2019-12-28
PCT/JP2020/049189 WO2021132721A1 (ja) 2019-12-28 2020-12-28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298A true KR20220107298A (ko) 2022-08-02

Family

ID=7657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775A KR20220107298A (ko) 2019-12-28 2020-12-28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0519A1 (ko)
JP (1) JP7405152B2 (ko)
KR (1) KR20220107298A (ko)
CN (1) CN114902497A (ko)
TW (1) TW202135386A (ko)
WO (1) WO2021132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8820A (ja) * 2021-10-14 2023-04-26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5623A1 (ja) 2013-09-27 2015-04-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674B2 (ja) 2004-09-14 2010-03-17 大宏電機株式会社 基板間コネクタ
JP2017033699A (ja) * 2015-07-30 2017-02-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コネクタ
KR20170036529A (ko) *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JP6712799B2 (ja) * 2016-02-05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5623A1 (ja) 2013-09-27 2015-04-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721A1 (ja) 2021-07-01
TW202135386A (zh) 2021-09-16
JP7405152B2 (ja) 2023-12-26
US20230030519A1 (en) 2023-02-02
CN114902497A (zh) 2022-08-12
JPWO2021132721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3508A1 (en) Connector device
US966039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insertion orientations
TW202029595A (zh)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JP721460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9548552B2 (en) Plug contact modules and plug contact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frequencies in the gigahertz range
EP3093925B1 (en) Connector
JP7095122B2 (ja) コネクタ、配線構造及び基板間接続方法
KR2022010729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US10714859B2 (en)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US11450983B2 (en) Housing of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and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US20220302618A1 (en) Branch connector
US9437937B2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112563774B (zh) 连接器
EP3686911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TWI836091B (zh) 連接器裝置
JP7409085B2 (ja) 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
KR102643288B1 (ko) 전기 커넥터 쌍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7409084B2 (ja) コネクタ装置
US7841882B2 (en) Micro gangmate multi-port modular RF card edge connector
CN108400465B (zh) 连接器及电子设备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TWI599122B (zh) 電連接器及其差分信號組
TW202316752A (zh) 連接器裝置
KR20200126604A (ko) 리셉터클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