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95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952A
KR20220105952A KR1020210008937A KR20210008937A KR20220105952A KR 20220105952 A KR20220105952 A KR 20220105952A KR 1020210008937 A KR1020210008937 A KR 1020210008937A KR 20210008937 A KR20210008937 A KR 20210008937A KR 20220105952 A KR20220105952 A KR 20220105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n
link
fan assembly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석
박우영
신문선
이경애
이원희
이창식
정창우
천성현
강석호
성정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952A/ko
Priority to CN202180090414.6A priority patent/CN116685811A/zh
Priority to PCT/KR2021/019068 priority patent/WO2022158721A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52A/ko
Priority to KR1020230022376A priority patent/KR20230029742A/ko
Priority to US18/338,913 priority patent/US202303327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horizont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에 의한 안전하고 간편한 팬 및 덕트 청소가 가능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팬 프레임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팬에 의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상에 상기 팬이 위치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덕트 및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상기 덕트에 대한 상기 팬 어셈블리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과 덕트 내측의 유로 청소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사람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팬(fan)과,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또는 유로가 오염되면, 공기조화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오염될 수 있다.
종래에는 팬 또는 유로를 청소하기 위해 공기조화기 내부에 접근하면,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도 전류가 흐르고 있어 커넥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청소를 위해서는 커넥터의 연결 해제가 선행되어야 했으나, 커넥터 연결 해제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 위험이 있어 상기 연결 해제는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팬 또는 유로를 청소하기 위해 커넥터의 연결 해제 후, 팬과 모터를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야 했다. 이로 인해, 청소의 용이성이 떨어졌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배치되는 팬 또는 유로를 사용자 스스로 청소하고자 하는 니즈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팬 또는 유로로의 안전하고 용이한 접근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에 접근할 시,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팬 또는 유로로의 안전한 접근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를 청소할 시,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아도 되므로 팬 또는 유로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를 청소할 시, 팬과 모터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팬 또는 유로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팬 프레임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팬에 의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상에 상기 팬이 위치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덕트 및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상기 덕트에 대한 상기 팬 어셈블리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팬이 상기 유로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덕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가 상기 링크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 결합부보다 크게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 단에 마련되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타 단에 마련되는 상기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단에 마련되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 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링크 결합부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 프레임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그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넥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할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팬 어셈블리와 함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열 교환기 사이에서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열 교환기와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팬 어셈블리를 상기 덕트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덕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이 해제된 후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상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팬 프레임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팬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노출을 차단하는 커넥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덕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가 상기 링크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 결합부보다 크게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패널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덕트 및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그릴(grille)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덕트에 대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에 접근할 시,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팬 또는 유로로의 안전한 접근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를 청소할 시,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아도 되므로 팬 또는 유로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 또는 덕트 내측의 유로를 청소할 시, 팬과 모터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팬 또는 유로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전면 패널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패널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팬 어셈블리의 체결부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팬 어셈블리를 전방으로 인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팬 어셈블리를 회동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 및 링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 및 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커넥터와 와이어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링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2링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2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0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0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팬 프레임은 제1그릴(123)과 제2그릴(133) 및 제3그릴(143)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커버하고 복수의 홀(22)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21)과, 전면 패널(21)의 양 측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가이드 배출구(18)와 제2가이드 배출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전면 패널(21)에 형성된 복수의 홀(22)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전면 패널(21)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배출구(18)와 제2가이드 배출구(19)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의 복수의 홀(2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넓은 영역에서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제1가이드 배출구(18)와 제2가이드 배출구(1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빠르고 멀리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50)와, 덕트 어셈블리(100)와, 본체(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20)과, 제1가이드 배출구(18)를 포함하는 제2덕트(41)와, 제2가이드 배출구(19)를 포함하는 제3덕트(42)와, 제2덕트(41) 및 제3덕트(42)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상면과 양 측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그 내부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수용 공간(12)과, 제1수용 공간(12)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수용 공간(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 공간(12)은 제1유입구(12a)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유입구(12a)는 하우징(11)의 후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수용 공간(13)은 제2유입구(13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유입구(13a)는 하우징(11)의 후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수용 공간(12)에는 외부로부터 제1유입구(12a)을 통해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기(50)를 수용할 수 있다. 열 교환기(5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용 공간(13)에는 송풍장치(6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제2유입구(13a)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1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외부 공기를 제2유입구(13a)를 통해 제2수용 공간(13)으로 흡입한 후, 제2덕트(41)와 제3덕트(42)로 배출할 수 있다. 송풍장치(60)에 의해 제2덕트(41)와 제3덕트(42)로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 배출구(18)와 제2가이드 배출구(19)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일 측면과 상면이 개방된 팬 프레임(61)과, 팬 프레임(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팬(62)과, 팬(62)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00)는 열 교환기(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00)는 외부 공기를 제1유입구(12a)를 통해 흡입하여 전면 패널(20)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120, 130, 140)와, 팬 어셈블리(120, 130, 140)가 장착되고 유로(111, 112, 113)를 포함하는 제1덕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덕트(110)의 양 측방에는 제2덕트(41)와 제3덕트(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덕트(110)와 제2덕트(41)는 서로 다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덕트(110)와 제3덕트(42) 사로 다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00)의 전방에는 커버 패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30)은 전면 패널(20)이 본체(1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제1덕트(110)의 전면(110a, 도 4 참조)을 커버할 수 있다.
본체(10)는 하우징(11)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15)과, 제1프레임(15)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17) 및 제1프레임(15)과 제2프레임(17)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15)과 제2프레임(17)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5)는 제1배출구(15a)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프레임(16)은 제1배출구(15a)와 대응되는 제2배출구(16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17)은 제1배출구(15a) 및 제2배출구(16a)와 대응되는 제3배출구(17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20)은 복수의 홀(22)을 포함하는 배출 영역(21)과, 홀이 마련되지 않는 차단 영역(2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영역(23)에는 홀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전면 패널(20) 후방의 공기가 차단 영역(23)을 통과할 수 없다. 전면 패널(20) 후방의 공기는 배출 영역(21)의 복수의 홀(22)을 통과함으로써 전면 패널(2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전면 패널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패널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팬 어셈블리의 체결부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팬 어셈블리를 전방으로 인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팬 어셈블리를 회동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팬과 제1덕트의 유로에 접근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에서 전면 패널(20)을 제거할 수 있다. 전면 패널(20)을 제거하면, 사용자는 제2수용 공간(13)에 접근할 수 있다. 제2수용 공간(13)에는 컨트롤 박스(14)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 내부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면 패널(20)의 청소를 위해 전면 패널(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체(10)로부터 전면 패널(20)을 분리하였을 때, 제1덕트(110)의 전면(110a)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부들과, 와이어 등이 곧바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패널(30)이 제1덕트(11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팬과 유로를 청소하기 위해 커버 패널(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커버 패널(30)은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방식에 적합한 방법으로 커버 패널(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1팬 어셈블리(120)와, 제2팬 어셈블리(130) 및 제3팬 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20)와 제2팬 어셈블리(130) 및 제3팬 어셈블리(140)는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팬 어셈블리(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1팬 어셈블리(120)를 팬 어셈블리(120)라 한다.
팬 어셈블리(120)는 체결부재(S)에 의해 제1덕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체결부재(S)에 의해 제1덕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체결부재(S)를 분해함으로써 제1덕트(110)에 대한 팬 어셈블리(1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체결부재(S)는 예를 들면, 스크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부재(S)는 팬 어셈블리(120)를 제1덕트(1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그 구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재(S)를 제거한 후, 팬 어셈블리(120)는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후술할 제1링크(150)에 의해 제1덕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제1링크(15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링크(150)는 제1덕트(11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와 제1덕트(120)를 연결하는 제1링크(150)에 의해, 팬 어셈블리(120)는 제1덕트(11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팬 어셈블리(120)는 제1덕트(1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팬 어셈블리(120)는 제1덕트(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120)는 소정 거리 내에서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제1링크(150)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가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팬(121)이 유로(111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덕트(1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이 제1덕트(110) 내의 유로(111a)에서 완전히 인출되도록 제1덕트(1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팬 어셈블리(120)의 팬(121)에 접근할 수 있고, 팬(121)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덕트(110)의 제1유로(111a)를 형성하는 제1덕트(110)의 내면(111)에 접근할 수 있고, 내면(111)을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팬과 유로의 안전하고 용이한 청소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감전 위험으로 인해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졌던 커넥터 연결 해제 과정을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즉, 커넥터의 연결이 유지된 채로 팬과 유로의 안전한 청소가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커넥터 연결 해제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팬과 유로 청소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커넥터 연결 해제 후에도 팬 어셈블리를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야 했기 때문에 팬 어셈블리를 놔둘 공간이 필요했고, 청소가 불편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12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팬(121) 청소 및 유로(111a)를 형성하는 제1덕트(110)의 내면(111) 청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팬과 유로를 청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 및 링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 및 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덕트 어셈블리(100)는 제1덕트(110)와, 제1덕트에 결합되는 제1팬 어셈블리 내지 제3팬 어셈블리(120, 130, 140)와, 제1링크(150)와 제2링크(160) 및 커넥터 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1유로(111a)와 제2유로(112a) 및 제3유로(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 내지 제3유로(111a, 112a, 113a)는 제1덕트(110)를 관통하는 원형의 개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 내지 제3유로(111a, 112a, 113a)는 제1팬 어셈블리 내지 제3팬 어셈블리(120, 130, 140)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1링크(150)가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링크 결합부(114)와, 제2링크 결합부(115)와, 제3링크 결합부(116)와, 제4링크 결합부(117) 및 제5링크 결합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 결합부(114)와 제3링크 결합부(116) 및 제5링크 결합부(118)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링크 결합부(115)와 제4링크 결합부(117)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링크(150)는 제1링크 결합부 내지 제5링크 결합부(114, 115, 116, 117, 118, 119)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링크(150)는 제1링크 결합부 내지 제5링크 결합부(114, 115, 116, 117, 118, 119)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제1링크 결합부 내지 제5링크 결합부(114, 115, 116, 117, 118, 119)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2링크(16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6링크 결합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160)는 제6링크 결합부(119)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160)는 제6링크 결합부(119)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제6링크 결합부(119)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덕트(110)는 제1유로 내지 제3유로(111a, 112a, 113a)를 형성하는 제1내면 내지 제3내면(111, 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면 내지 제3내면(111, 112, 113)이 오염되거나, 제1내면 내지 제3내면(111, 112, 113)에 먼지가 쌓였을 때, 사용자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제1내면 내지 제3내면(111, 112, 113)을 청소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 내지 제3팬 어셈블리(120, 130, 140)는 동일하게 마련되므로 제1팬 어셈블리(1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121)과, 제1팬(121)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122)와, 제1팬(121) 및 제1팬 구동모터(122)가 결합되는 제1그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20)는 제1그릴(123)의 전방에 결합되어 후술할 커넥터(180, 도 9 참조)를 커버하는 커넥터 커버(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릴(123)은 제1링크(150)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부(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124, 125)는 제1그릴(123)의 일 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1상부 결합부(124)와, 제1그릴(123)의 일 측 하부에 마련되는 제1하부 결합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결합부(124)와 제1하부 결합부(125)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그릴(123)의 도면상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상부 결합부(124)는 제1링크(150)와 결합되는 제1상부 샤프트(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결합부(124)는 제1링크(150)와 결합되는 제1하부 샤프트(125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는 제1링크(150)와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 제2링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150)는 제1팬 어셈블리(120)와 제2팬 어셈블리(13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150)는 제3팬 어셈블리(140)의 제3상부 결합부(144)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160)는 제3팬 어셈블리(140)의 제3하부 결합부(도면 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링크(160)는 제3팬 어셈블리(140)의 제3하부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커넥터와 와이어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와 와이어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구동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의 일 단에 마련되는 커넥터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팬과 덕트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종래에는 커넥터가 덕트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팬과 덕트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었다. 커넥터의 경우,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오프(off)했을 때에도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와의 접촉으로 인해 감전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커넥터(180)를 덕트의 전면에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커넥터(180)에 대한 접촉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84)의 일 단에 마련되는 제1커넥터(181)는 제1그릴(123)의 중심부 일 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수용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181)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184)는 제1그릴(123)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 홈(123a)에 의해 제1그릴(123)의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1그릴(123)로부터 인출된 제1와이어(184)는 제1덕트(110)의 전면(110a)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컨트롤 박스(14)의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182)와 제3커넥터(183)는 제1커넥터(181)과 동일하게 제2팬 어셈블리(130)와 제3팬 어셈블리(14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와이어(185)와 제3와이어(186) 또한 동일하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컨트롤 박스(14)의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와이어 내지 제3와이어(184, 185, 186)는 도 9를 기준으로 제1덕트(110)의 좌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상부 결합부 내지 제3상부 결합부(124, 134, 144)와, 제1하부 결합부 내지 제3하부 결합부(125, 135, 145)가 배치되는 제1덕트(110)의 일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상부 결합부 내지 제3상부 결합부(124, 134, 144)와, 제1하부 결합부 내지 제3하부 결합부(125, 135, 145)가 제1덕트(110)의 좌측에 배치되므로, 제1와이어 내지 제3와이어(184, 185, 186)는 제1덕트(11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 내지 제3팬 어셈블리(120, 130, 140)는 각각 제1커넥터 커버 내지 제3커넥터 커버(171, 172, 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커넥터 커버(171)는 제1커넥터(18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1커넥터(181)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1커넥터 커버(171)가 제1커넥터(181)를 커버하도록 제1그릴(123)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제1커넥터 커버(171)를 제거하지 않으면 제1커넥터(181)와 접촉할 수 없다. 사용자가 제1커넥터(181)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사용자가 제1커넥터(181)와 접촉하지 못하므로 팬 또는 덕트 내부 청소를 위해 제1커넥터(181)의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팬 또는 덕트 내부 청소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덕트와 팬 어셈블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덕트(110)의 후면(110b)에는 제2덕트(41)와 제2덕트(4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덕트(41)와 제3덕트(42)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덕트(41)는 그 하단(41a)에서의 폭이 상단(41b)에서의 폭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폭은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리킨다. 제1덕트(41)는 하단(41a)에서의 폭이 가장 크게 마련될 수 있고, 하단(41a)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후, 좁아진 폭을 유지한 채 상단(41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덕트(41)의 상기한 구조로 인해 제1링크(150)와 상이한 구조를 가진 제2링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41)의 하단(41a) 부근에서의 폭이 크기 때문에, 제6링크 결합부(119)가 제4링크 결합부(117)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고 이러한 제6링크 결합부에 제1링크(150)가 결합되면, 제1링크(150)가 제1덕트(41)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해, 제6링크 결합부(119)와 제2링크(160) 대신 제4링크 결합부(117)와 제1링크(150)가 마련되면, 제1덕트(41)와의 간섭으로 인해 제1링크(150)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덕트(110)는 제2, 4링크 결합부(115, 117)와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제6링크 결합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제6링크 결합부(119)에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제1링크(150)와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제2링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링크 결합부(117) 및 제1링크(150)와, 제6링크 결합부(119) 및 제2링크(160)의 차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링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50)는 바디 플레이트(151)와, 바디 플레이트(151)의 일 단에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152)와, 바디 플레이트(151)의 타 단에 마련되는 스토퍼(154) 및 바디 플레이트(151)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5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는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큰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례하여 제1링크(150)의 제1덕트(11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의 일 단에는 샤프트 결합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52)는 일 측이 절개된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52)는 상부 결합부(124, 134, 144)의 샤프트(124a, 134a, 144a) 또는 하부 결합부(125, 135)의 샤프트(125a, 135a)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홈(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샤프트(124a, 134a, 144a, 125a, 135a)는 샤프트 결합부(152)의 절개된 일 측을 통해 샤프트 홈(15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의 타 단에는 제1링크(150)의 제1덕트(110)에 대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54)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제1링크(150)가 제1덕트(110)의 후방으로부터 제1덕트(110)를 관통하여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154)는 제1링크 결합부 내지 제5링크 결합부(114, 115, 116, 117, 118)의 결합홀(118a, 도 15 참조)의 크기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51)의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55)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달아 배치되는 경사부(155a)와, 제1수평부(155b), 단차부(155c) 및 제2수평부(155d)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55a)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제1수평부(155b)와 제2수평부(155d)는 각각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55c)는 제1수평부(155b)의 제2수평부(155d)를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수평부(155d)는 제1수평부(155b)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 레일(155) 구조에 의해, 제1링크(150)는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경사부(155a)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 후, 단차부(155c)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링크(150)가 제1덕트(110)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된 후에는 단차부(155c)에 의해 제1링크(15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1링크(150)를 다시 후방으로 인입하기 위해서는 제1링크(150)를 단차부(155c)의 수직 방향 길이 이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1링크(15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경사부(155a)와 단차부(155c)는 제1링크(150)가 제1덕트(110)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경사부(155a)와 단차부(155c)는 제1링크(150)가 제1덕트(1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2링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2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60)는 플레이트부(161)와, 플레이트부(161)의 일 측에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162)와, 플레이트부(161)의 타 측으로부터 제1플레이트(161)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164)와, 레일부(164)의 일 단에 마련되는 스토퍼(165) 및 가이드 레일(16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6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61)의 일 단에 샤프트 결합부(162)가 마련되고, 타 단에 레일부(164)가 마련됨으로써, 제2링크(160)는 샤프트 결합부(162)와 레일부(164)를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2링크(160)는 샤프트 결합부(162)와 레일부(164)를 수평 방향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제1덕트(1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제2덕트(41)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도 17에서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62)는 일 측이 절개된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62)는 제3하부 결합부(미도시)의 샤프트(미도시)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홈(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샤프트는 샤프트 결합부(162)의 절개된 일 측을 통해 샤프트 홈(16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레일부(164)는 플레이트부(161)의 일 단으로부터 플레이트부(16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플레이트부(16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부(16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164)의 일 단은 플레이트부(161)와 연결되고, 레일부(164)의 타 단에는 스토퍼(16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65)는 제2링크(160)가 제1덕트(110)의 후방으로부터 제1덕트(110)를 관통하여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165)는 제6결합부(119)의 결합홀(미도시)의 크기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부(164)는 그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66)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서대로 마련되는 수평부(166a)와, 제1경사부(166b)와, 단차부(166c) 및 제2경사부(166d)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66a)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제1경사부(166b)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차부(166c)는 제1경사부(166b)의 일 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경사부(166d)는 단차부(166c)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수평부(166a)와 제1경사부(166b)가 하나의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경사부(166d)는 수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한 가이드 레일부(166)의 구조에 의해, 제2링크(160)는 제1덕트(1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제1경사부(166b)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 후, 단차부(166c)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링크(160)가 제1덕트(110)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된 후에는 단차부(166c)에 의해 제2링크(15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2링크(160)를 다시 후방으로 인입하기 위해서는 제2링크(160)를 단차부(166c)의 수직 방향 길이 이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2링크(16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제1경사부(166b)와 단차부(166c)는 제2링크(150)가 제1덕트(110)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경사부(166b)와 단차부(166c)는 제2링크(160)가 제1덕트(1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5는 도 8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5링크 결합부(118)는 제1덕트(1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홀(118a)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118a)은 제1링크(150)의 바디 플레이트(151)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11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8b)은 바디 플레이트(151)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결합홀(118a)은 제1링크(150)가 결합홀(118a)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홀(118a)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5링크 결합부(118)는 제1링크(150)의 스토퍼(154)와 접촉함으로써 제1링크(150)의 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1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0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5링크 결합부(118)에 제1링크(150)가 결합되었을 때, 제1링크(150)는 제2덕트(41)에 의해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제1링크(150)의 스토퍼(154)가 제2덕트(41)와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제2덕트(41)에 의해 제1링크(150)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은 도 10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6링크 결합부(119)에 제2링크(160)가 결합되었을 때, 제2링크(160)는 제2덕트(41)에 의해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링크 결합부(119)와 인접한 영역에서의 제2덕트(41)는 제3팬 어셈블리(140)의 회전축(R)과 전후 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링크(150) 및 제5링크 결합부(118)와 동일한 구조를 제6링크 결합부(119)의 위치에 적용하게 되면, 제2덕트(41)와의 간섭으로 인해 제1링크(15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16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61)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부(161)의 양 단에 각각 샤프트 결합부(162)와 레일부(16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샤프트 결합부(162)와 레일부(164)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62)와 레일부(164)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제3팬 어셈블리(140)의 회전축(R)의 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제3링크(160)가 제2덕트(41)와의 간섭 없이 제1덕트(11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2링크(160)의 스토퍼(165)는 제2링크(160)의 전후방 이동 시, 제2덕트(41)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평 방향은 도 17에 도시한 X축 방향을 가리킬 수 있고, 수직 방향은 Y축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본체
20 : 전면 패널 30 : 커버 패널
50 : 열 교환기 60 : 송풍장치
100 : 덕트 어셈블리 110 : 제1덕트
120, 130, 140 : 팬 어셈블리 121, 131, 141 : 팬
122, 132, 142 : 구동모터 123, 133, 143 : 그릴
150 : 제1링크 160 : 제2링크
170 : 커넥터 커버 180 : 커넥터

Claims (20)

  1.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팬 프레임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에 의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상에 상기 팬이 위치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덕트; 및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상기 덕트에 대한 상기 팬 어셈블리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팬이 상기 유로에서 인출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덕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가 상기 링크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 결합부보다 크게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 단에 마련되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타 단에 마련되는 상기 스토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단에 마련되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 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링크 결합부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 프레임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그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넥터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할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팬 어셈블리와 함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전면 패널; 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열 교환기 사이에서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열 교환기와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를 상기 덕트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덕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이 해제된 후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덕트;
    상기 덕트 상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팬 프레임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팬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노출을 차단하는 커넥터 커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가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링크;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 프레임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덕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가 상기 링크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 결합부보다 크게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패널;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덕트; 및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유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그릴(grille)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덕트에 대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덕트에 대해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08937A 2021-01-21 2021-01-21 공기조화기 KR20220105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37A KR20220105952A (ko) 2021-01-21 2021-01-21 공기조화기
CN202180090414.6A CN116685811A (zh) 2021-01-21 2021-12-15 空气调节器
PCT/KR2021/019068 WO2022158721A1 (ko) 2021-01-21 2021-12-15 공기조화기
KR1020230022376A KR20230029742A (ko) 2021-01-21 2023-02-20 공기조화기
US18/338,913 US20230332777A1 (en) 2021-01-21 2023-06-2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37A KR20220105952A (ko) 2021-01-21 2021-01-21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376A Division KR20230029742A (ko) 2021-01-21 2023-02-2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52A true KR20220105952A (ko) 2022-07-28

Family

ID=82549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937A KR20220105952A (ko) 2021-01-21 2021-01-21 공기조화기
KR1020230022376A KR20230029742A (ko) 2021-01-21 2023-02-20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376A KR20230029742A (ko) 2021-01-21 2023-02-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32777A1 (ko)
KR (2) KR20220105952A (ko)
CN (1) CN116685811A (ko)
WO (1) WO2022158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82B1 (ko) * 2022-08-23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9491B2 (ja) * 2000-06-22 2011-01-26 新晃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482288B1 (ko) * 2004-08-31 2005-04-14 이형식 전면판 개폐가 용이한 냉풍기 유니트
JP5683913B2 (ja) * 2010-11-17 2015-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US9702576B2 (en) * 2013-12-19 2017-07-11 Airius Ip Holdings, Llc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532245B1 (ko) * 2018-01-15 202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82B1 (ko) * 2022-08-23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742A (ko) 2023-03-03
WO2022158721A1 (ko) 2022-07-28
US20230332777A1 (en) 2023-10-19
CN116685811A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5615B2 (ja) 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US7266971B2 (en) Air conditioner
KR20230029742A (ko) 공기조화기
EP1950501A1 (en) Air conditioner
JPH09275289A (ja) 電子装置の冷却構造
JP2004266910A (ja) 制御盤
JP4691144B2 (ja) 電子機器収容ラック
KR100760198B1 (ko) 공기조화기
JP2008111617A (ja) 空気調和機
KR100476589B1 (ko) 옥외용 정보통신기기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301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CN219436457U (zh) 一种电压控制柜
KR100294674B1 (ko) 공기조화기의집진필터결합장치_
CN113798703B (zh) 一种电柜和激光器配置模块
JP483120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146109Y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열교환기 고정장치
JP2008111636A (ja) 空気調和機
KR20100008866A (ko) 공기조화기
KR20030067258A (ko) 삼면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KR19990036355U (ko) 공기조화기의 보조흡입그릴장치
JPH1061970A (ja) 空気調和機
JP2001185883A (ja) 電子機器及びそのファンユニット交換方法
KR19980021335U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커넥터 고정장치
KR200146104Y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