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816A -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5816A KR20220105816A KR1020210008643A KR20210008643A KR20220105816A KR 20220105816 A KR20220105816 A KR 20220105816A KR 1020210008643 A KR1020210008643 A KR 1020210008643A KR 20210008643 A KR20210008643 A KR 20210008643A KR 20220105816 A KR20220105816 A KR 20220105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ces
- cooking
- vulcanized
- cooking body
- dried polla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title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098054 Pollachius pollachi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abstract 1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146 Agaricus augus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49 fatt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과정이 끝난 황태채를 기름에 튀김으로써 황태채의 모양과 크기가 서로 일정하게 한 후, 열풍기와 히터 가열에 의해 익히는 과정으로 황태채를 제조하여, 고르게 익히면서도 기름 함유율을 낮추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면서도 품질이 좋은 황태채 제조가 가능한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는, 통상의 황태채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 반죽을 기름에 튀길 수 있도록 된 튀김부와, 상기 튀김부에서 튀겨진 완성되지 않은 가황태채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이송컨베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가황태채를, 내부에서 열풍으로 익히는 익힘 몸체와, 상기 익힘 몸체 내부로 진입된 상기 가황태채를, 상기 익힘 몸체 내부에서 이송하여 익힌 후, 완성된 황태채를 상기 익힘 몸체 외부로 토출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의 황태채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을 기름에 튀기는 튀김공정과, 상기 튀김공정이 끝난 가황태채를 익히기 위한 익힘 몸체로 상기 가황태채를 이송하는 제1이송공정과, 상기 익힘 몸체 내에서 상기 과황태채를 익히는 익힘 공정과, 상기 익힘 공정을 통해 익힌 황태채를 상기 익힘 몸체 외부로 토출하여 상온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과 세절이 끝난 황태채반죽을 기름에 튀김으로써 부풀려 황태채의 모양과 크기가 서로 일정하게 한 후, 열풍기와 히터 가열에 의해 익히는 과정으로 황태채를 제조하여, 고르게 익히면서도 기름 함유율을 낮추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면서도 품질이 좋은 황태채 제조가 가능 한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황태에 대한 명칭은 통일되지 못하여 황태 외에 명태, 동태, 노가리, 북어, 코다리 등으로 혼돈상태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편의상 황태라고 칭한다. 일반적으로 황태는 한 겨울철에 명태를 일교차가 큰 덕장에 걸어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고 녹기를 스무번 이상 반복해서 말린 북어를 말한다. 그중 명태가 황태가 되면서 단백질의 양이 2배 이상 늘어나 전체 성분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고단백 식품이 된다. 빛이 누렇고 살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쫄깃한 육질과 깊은 맛이 있어 숙취해소와 간장해독, 노폐물제 등의 효능을 갖고 있으며, 무침, 구이, 찜, 국, 찌개 등에 많이 이용한다. 다양한 조립법이 가능한 황태를 누구나 쉽게 맛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황태채를 기름에 튀겨 조직감은 내부가 마치 벌집과 같은 다공성을 가지고 있어 세계의 어느 스넥류 보다 조직감이 바삭하고 부드럽게 우수한 맛을 내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업체에서는 해외 수출도 하고 있는데, 국내의 제조시설이 간편화되지 못하여 공정과 공정 사이의 원료 이동이 매번 인력으로 이루어지는 불합리 적인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생산비가 높고, 균 일한 제품 생산이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 황태채의 산업화 및 수출 상품화 전략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근래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면, 반죽 된 황태채를 일정하게 세절하여 기름에 유탕처리 하여 반죽 된 황태채를 부풀도록 하는 불림을 하고, 그 불림 된 황태채를 다시 재차 기름에 유탕처리 하여 익히도록 한다. 그러나, 반죽을 세절하여 된 황태채를 기름에 유탕처리 하는 과정에서, 세절된 황태채 각각의 수분 양에 따라 유탕 처리시 황태채 자체가 벌어지게 되어 그 부위로 과다한 기름이 흡수되고, 유탕처리 전에 황태채의 이송과정에서도 서로서로 또는 주변 집기에 부딪혀 황태채에 금(crack)이 형성되면 그 부위에도 과다한 기름이 흡수되어, 황태채의 장기 저장시 황태채 내에 흡수된 기름이 산패(酸敗)되기 때문에, 황태채에 산가와 과산화물가가 높아져 식감(食疳) 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불쾌한 냄새도 나며, 황태채를 섭취하는 인체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탕처리를 1차, 2차로 나누어서 반복한다고 해도, 황태채가 기름에 골고루 닿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 되기 때문에, 황태채의 일부분이 익지 않아 제품이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황태채를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인력이 많이 소모되지 않도록 기계화 생산 가능한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유탕처리시 기름이 산패되지 않는 온도를 유지하며 유탕처리를 최적화하여 황태채 내의 기름 흡수를 최소화함으로 인해 황태채의 산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장기보관이 가능한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황태채의 불림 및 익힘 시 황태채 전체에 고르게 열이 가해져 익혀지도록 하여 황태채의 품질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상의 황태채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을 기름에 튀길 수 있도록 된 튀김부와, 상기 튀김부에서 튀겨진 완성되지 않은 가황태채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에서 이송된 상기 가황태채를, 내부에서 열풍으로 익히는 익힘몸체와, 상기 익힘몸체 내부로 진입된 상기 가황태채를, 상기 익힘몸체 내부에서 이송하여 익힌 후, 완성된 황태채를 상기 익힘몸체 외부로 토출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는, 상기 튀김부에서 튀겨진 상기 가황태채를 다른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윙이 구비된 윙컨베이어와, 상기 윙컨베이어에서 이송된 가황태채를 상기 익힘몸체 내부로 이송하는 진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진입컨베이어는, 상기 웡컨베이어에서 이송된 가황태채의 기름을, 천을 사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익힘몸체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익힘몸체 내부로 진입된 가황태채에 열풍을 가하기 위 해 상기 익힘몸체 상부에 구비된 열풍기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가황태채가 이송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익힘몸체 상면에 구비된 채로 개구되는 투명개구판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에 열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익힘몸체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된 전열히터와, 상기 익힘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익힘몸체 상부 일단에 구비된 강제환기구와, 상기 강제환기구에 의해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공기배출구와, 상기 익힘몸체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익힘몸체 하부 일단에 구비된 공기순환기와, 완성된 황태채가 상기 익힘몸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하는 토출구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익힘몸체 외부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황태채가 수용되는 건조대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가황태채가 좌, 우로 흔들리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흔들채와, 상기 흔들채를 지난 상기 가황태채가 상기 익힘몸체 내부에서 이송하면서 익힌 후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익힘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익힘몸체는, 상기 익힘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측면투명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통상의 황태채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을 기름에 튀기는 튀김공정과, 상기 튀김공정이 끝난 가황태채를 익히기 위한 익힘몸체로 상기 가황태채를 이송하는 제1이송공정과, 상기 익힘몸체 내에서 상기 과황태채를 익히는 익힘공정과, 상기 익힘공정을 통해 익힌 황태채를 상기 익힘몸체 외부로 토출하여 상온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튀김공정은, 상기 기름의 온도가 80℃내지 100℃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익힘공정은, 상기 익힘몸체 내부의 온도가 150℃내지 180℃를 이룬다. 더불어, 상기 익힘공정은, 상기 익힘몸체 내부에서 상기 가황태채(90)를 이송하는 제2이송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이송공정은, 다수개의 상기 가황태채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황태채가 흔들리면서 유동 되도록 하는 흔들채 공정을 포함한다.
기계화 생산을 통해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황태채를 대량생산 가능하면서도 인력이 소모되지 않아 인건비 절 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탕처리를 최소화하여 기름비용을 절감하고, 황태채 내의 기름흡수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산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장기보관이 가능해짐에 따라, 식감(食疳)이 향상되고, 인체에 악영향이 없어 황태채의 품질이 향상 되기 때문에 판매를 증진시켜, 손실은 줄이고 이익을 향상시키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를 나타낸 전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방법의 공정흐름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방법의 공정흐름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를 나타낸 전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방법의 공정흐름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 제조방법 및 장치는,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해 찹쌀가루와 콩가루, 설탕, 식용유, 소금 및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한 반대기를 본 발명에서는 황태채반죽(70)이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황태채(50)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상기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 (70)을 기름(30)에 튀길 수 있도록 된 튀김부(100)와, 상기 튀김부(100)에서 튀겨진 완성되지 않은 가황태채(90) 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에서 이송된 상기 가황태채(90)를, 내부에서 열풍으로 익히는 익힘몸체(200)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상기 가황태채(90)를,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이송하여 익힌 후, 완성된 황태채(50)를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부(250)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튀김부(100)는, 기름(30)이 수용되어 가열 되도록 수용부(102)를 갖고, 상기 수용부(102)의 일부 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의 일부와 수직으로 대응 형성되도록,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는, 상기 튀김부(100)에서 튀겨진 상기 가황태채(90)를 다른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윙(112)이 구비된 윙컨베이어(110)와, 상기 윙컨베이어(110)에서 이송된 가황태채(90)를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이송하는 진입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는, 상기 윙컨베이어(110)에서 이송된 가황태채(90)의 외면에 묻은 기름(30)을 천을 사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천롤러(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가황태채(90)의 외면에 묻은 기름(30)을 제거하는 상기 천롤러(125)는, 롤러 외면에 천을 감아, 상기 진입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상태의 상기 가황태채(90) 외면에, 상기 가황태채(90)가 훼손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상기 기름(30)을 제거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102)에 수용되어 가열된 기름(30)에, 상기 황태채반죽(70)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한 가황태채(90)를 넣게 되면, 상기 가황태채(90)가 일부 익혀진 채로 상기 윙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로 이송된 후, 상기 진입컨베이어(120)에 의해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다.
상기 익힘몸체(200)는,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로부터 이송된 상기 가홍태채(90)가 진입되어 열풍에 의해 완전히 익혀지게 되는 곳이다.
이어서, 상기 익힘몸체(200)는,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로부터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가황태채(90)에 열풍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익힘몸체(200) 상부에 구비된 열풍기(210)를 갖는다.
상기 열풍기(210)는,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가황태채(90)가 150℃내지 180℃의 열을 받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컨베이어(120)에 의해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가황태채(90)는,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제2이송컨베이어(250)에 의해 이송되면서 완전히 익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익힘몸체(200) 상면에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에서 상기 가황태채(90)가 이송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개구판(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투명개구판(220)은, 상기 익힘몸체(200)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개구판(220)은, 투명소재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고열에서도 훼손되지 않고,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고열을 고려해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서만 상기 익힘몸체(200)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일단에 개폐용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는,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로부터 이송된 가황태채(90)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흔들채(252)와, 상기 흔들채(252)를 지난 상기 가황태채(90)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이송하면서 익힌 후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는 익힘컨베이어(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흔들채(252)는, 상기 가황태채(90)가 상호 달라붙지 않게 이송되도록 좌, 우로 흔들리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익힘컨베이어(254)는, 상기 흔들채(252)를 지난 상기 가황태채(90)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이송되면서 완전히 익은 후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익힘컨베이어(254)는, 상기 흔들채(2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흔들채(252)에서 이송된 상기 가황태채(90)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익힘몸체(200)의 내벽면에는 전열히터(23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90)에 열을 가하여 상기 가황태채(90)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익힘몸체(200) 측벽면에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9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측면투명창(290)이 구비되는데, 상기 측면투명창(290)은, 투명소재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고열에서도 훼손되지 않고,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익힘몸체(200) 하부 일단에는, 공기순환기(260)가 구비되어,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열기가 한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익힘몸체(200) 최상부 일단에는,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공기배 출구(24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구(245) 하부에는,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 (245)를 통해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강제환기구(240)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익힘몸체(200) 하부 일단에는, 상기 가황태채(90)가 완전히 익은 황태채(50)가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2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에는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완전히 익혀진 상기 황태채(50)가 상기 토출구 (270)로부터 토출되어 수용되는 건조대(280)가 구비되어, 상기 황태채(50)는, 상기 건조대(280)에서 상온 건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태채(50)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70)을 기름(30)에 튀기는 튀김공정(S100)과, 상기 튀김공정(S100)이 끝난 가황태채(90)를 익히기 위한 익힘몸체(200)로 상기 가황태채(90)를 이송하는 제1이송공 정(S200)과, 상기 익힘몸체(200) 내에서 상기 가황태채(90)를 익히는 익힘공정(S300)과, 상기 익힘공정(S300)을 통해 익힌 황태채(50)를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하여 상온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S400)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튀김공정(S100)은, 상기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70)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하여, 상기 기름(30)이 수용된 수용부(102)에 넣은 후, 상기 수용부(102)를 가열하는 공정이다. 상기 튀김공정(S100)은, 상기 황태채반죽(70)을 세절하여 된 가황태채(90)를 기름에 튀겨 부풀어 오르게 하는 불림을 하기 위해 한다.
상기 튀김공정(S100)에서의 상기 기름(30)의 온도는, 80℃내지 10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름(30)을 공기 중에 오래 방치하면 산소, 빛, 세균, 습기 등에 의해 유리지방산이 증가하는데, 이를 산패(酸敗)라고 하며, 심하면 불쾌한 냄새가 나게 된다. 또한, 산패(酸敗)는, 식용 유지나 지방질 식품을 저장 중에 화학적 미생물학적인 각종 원인에 의해 여러 가지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색, 맛, 냄새의 변화가 일어나고, 점도가 증가 하기도하고 독성물질이 생성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어서, 기름은, 반복 사용하거나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가열되면 급속하게 산패(酸敗)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튀김공정(S100)시 10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로 기름(30)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름으로 튀긴 황태채(50)를 장기 저장 시에는, 산가, 과산화물가가 높아져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낮은 온도로 상기 가황태채(90)를 부풀리는 불림 할 때에만 상기 튀김공정(S100)을 사용하고, 그 뒤로 상기 가황태채(90)에 고열을 가하는, 익힘공정(S300)을 통해 상기 가황태채(90)를 완전히 익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익힘공정(S300)은, 상기 튀김공정(S100)을 통해 불림 된 상기 가황태채(90)가 상기 진입컨베이어 (120)를 통해 상기 익힘몸체(200)로 진입되도록 하고,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 구비된, 제2이송컨베이어 (250)를 통해 상기 가황태채(90)를 완전히 익혀 황태채(50)로 완성한 후,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에 구비된 상기 건조대(280)로 토출되어 상온에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익힘공정(S30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온도가 150℃내지 180℃를 이루기 위해 상기 열풍기(210) 를 사용하고,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온도를 150℃내지 180℃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전열히터(230)와 공 기순환기(2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익힘공정(S30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상기 가황태채(90)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로 이송하는 제2이송공정(S350)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2이송공정(S35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다수 개의 상기 가황태채(90)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기위해 상기 가황태채(90)가 흔들리면서 유동되도록 하는 흔들채공정(S3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흔들채공정(S38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 진입된 상기 가황태채(90)을 상기 흔들채(252)로 좌우로 흔들어, 상기 가황태채(90)들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흔들채공정(S380)을 지난 상기 가황태채(90)는, 상기 제2이송공정(S350)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제2이송공정 (S350)은, 상기 흔들채(252)를 지난 상기 가황태채(90)를 전달받아 상기 익힘컨베이어(254)로 이송하면서 상기 가황태채(90)를 완전히 익히게 하는 공정이다.
상기 익힘몸체(200)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전열히터(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열히터(230)는, 상기 익힘컨베이어(254)의 위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90)를 효율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해, 상기 익힘컨베이어(254)와 나란히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온도는, 상기 열풍기(210)와, 전열히터(230) 및 공기순환기(260)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한 온도를 고르게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정(S400)은, 상기 익힘공정(S300)이 끝나면, 상기 가황태채(90)는 완전히 익어 완성된 황태채 (50)가 되어, 상기 익힘컨베이어(254)에 의해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되는데, 이렇게 토출된 상기 황태채(50)는, 상기 익힘모체(200) 외부에 구비된 건조대(280)에 수용되어 상온에서 건조되는 공정이다.
이어서, 상기 건조대(280)에 수용된 황태채(50)는, 건조된 후 포장되어 판매된다. 그리고, 상기 익힘몸체(200) 하부에는, 상기 익힘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가 구비되고, 미사용시 상기 익힘몸체(200)를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튀김부(100)는, 상기 기름(30)이 수용된 상기 수용부(102)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를 구비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102) 자체 내에 구비된 다른 가열수단(미도시)으로 용이하게 가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30 : 기름 50 : 황태채
70 : 황태채반죽 90 : 가황태채
100 : 튀김부 102 : 수용부
110 : 윙컨베이어 112 : 윙
120 : 진입컨베이어 150 : 제1이송컨베이어
200 : 익힘몸체 210 : 열풍기
220 : 투명개구판 230 : 전열히터
240 : 강제환기구 245 : 공기배출구
250 : 제2이송컨베이어 252 : 흔들채
254 : 익힘컨베이어 260 : 공기순환기
270 : 토출구 280 : 건조대
290 : 측면투명창
S100 : 튀김공정 S200 : 제1이송공정
S300 : 익힘공정 S350 : 제2이송공정
S380 : 흔들채공정 S400 : 건조공정
70 : 황태채반죽 90 : 가황태채
100 : 튀김부 102 : 수용부
110 : 윙컨베이어 112 : 윙
120 : 진입컨베이어 150 : 제1이송컨베이어
200 : 익힘몸체 210 : 열풍기
220 : 투명개구판 230 : 전열히터
240 : 강제환기구 245 : 공기배출구
250 : 제2이송컨베이어 252 : 흔들채
254 : 익힘컨베이어 260 : 공기순환기
270 : 토출구 280 : 건조대
290 : 측면투명창
S100 : 튀김공정 S200 : 제1이송공정
S300 : 익힘공정 S350 : 제2이송공정
S380 : 흔들채공정 S400 : 건조공정
Claims (11)
- 통상의 황태채(50)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70)을 기름(30)에 튀길 수 있도록 된 튀김부(100)와;
상기 튀김부(100)에서 튀겨진 완성되지 않은 가황태채(90)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에서 이송된 상기 가황태채(90)를, 내부에서 열풍으로 익히는 익힘몸체(200)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상기 가황태채(90)를,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이송하여 익힌 후, 완성된 황태채(50)를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부(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부(150)는,
상기 튀김부(100)에서 튀겨진 상기 가황태채(90)를 다른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윙(112)이 구비된 윙컨베이어(110)와, 상기 윙컨베이어(110)에서 이송된 가황태채(90)를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이송하는 진입 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컨베이어(120)는, 상기 웡컨베이어(110)에서 이송된 가황태채(90)의 기름을, 천을 사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천롤러(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익힘몸체(20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50)로부터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로 진입된 가황태채(90)에 열풍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익 힘몸체(200) 상부에 구비된 열풍기(210)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에서 상기 가황태채(90)가 이송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익힘몸체(200) 상면에 구비된 채로 개구되는 투명개구판(220)과, 상기 제2이송컨 베이어(250)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90)에 열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익힘몸체(200)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된 전 열히터(230)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익힘몸체(200) 상부 일단에 구비된 강제환기구(240)와, 상기 강제환기구(240)에 의해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공기배출구(245)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익힘몸체(200) 하부 일단에 구비된 공기순환기(260)와, 완성된 황태채(50)가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2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에는, 상기 토출구(270)에서 토출된 황태채(50)가 수용되는 건조대(2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25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50)로부터 이송된 가황태채(90)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흔들채(252)와, 상기 흔들채(252)를 지난 상기 가황태채(90)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이송하면서 익힌 후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익힘컨베이어(2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익힘몸체(200)는, 상기 익힘컨베이어(254)에서 이송되는 상기 가황태채(9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측면투명창(2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장치.
- 통상의 황태채(50)를 제조하는 황태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태채(50)를 만들기 위한 황태채반죽(70)을 기름(30)에 튀기는 튀김공정(S100)과; 상기 튀김공정(S100)이 끝난 가황태채(90)를 익히기 위한 익힘몸체(200)로 상기 가황태채(90)를 이송하는 제1이송공 정(S200)과; 상기 익힘몸체(200) 내에서 상기 과황태채(90)를 익히는 익힘공정(S300)과; 상기 익힘공정(S300)을 통해 익힌 황태채(50)를 상기 익힘몸체(200) 외부로 토출하여 상온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 (S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공정(S100)은, 상기 기름(30)의 온도가 80℃내지 10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익힘공정(S30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의 온도가 150℃내지 18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익힘공정(S300)은, 상기 익힘몸체(200) 내부에서 상기 가황태채(90)를 이송하는 제2이송공정(S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공정(S350)은, 다수 개의 상기 가황태채(90)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황태채(90)가 흔들리면서 유동 되도록 하는 흔들채공정(S3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태채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8643A KR20220105816A (ko) | 2021-01-21 | 2021-01-21 |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8643A KR20220105816A (ko) | 2021-01-21 | 2021-01-21 |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816A true KR20220105816A (ko) | 2022-07-28 |
Family
ID=8260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643A KR20220105816A (ko) | 2021-01-21 | 2021-01-21 |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5816A (ko) |
-
2021
- 2021-01-21 KR KR1020210008643A patent/KR202201058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00090A (en) | Infrared and microwave energy treatment of food | |
US5049711A (en) | Apparatus for preparing snack food products | |
CN102349659B (zh) | 一种炭烤肉脯的加工方法 | |
US4876104A (en) | Method for preparing and preserving fresh pasta | |
CN102550964A (zh) | 一种微波粽子的加工方法 | |
KR101030181B1 (ko) | 유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CN109699952A (zh) | 咸蛋黄蓉制作工艺 | |
KR100189505B1 (ko) | 막대형 섬유상 어묵의 조미건포 제조방법 | |
KR20220105816A (ko) | 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 |
CN110269205A (zh) | 一种咸蛋黄蓉制作方法及咸蛋腌制盘墩窝装置 | |
CN104957488A (zh) | 一种健脾益气饺子皮及其制备方法 | |
KR20080113329A (ko) | 떡을 이용한 토마토 가공방법 및 그 제품 | |
KR20140117032A (ko) | 군고구마 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7593841A (zh) | 一种绿豆莲蓉月饼及其制备方法 | |
KR102304539B1 (ko) | 오색양파밥의 제조방법 | |
CN111480799A (zh) | 一种方便儿童食用牛肉干的制作方法及装置 | |
CN106135925A (zh) | 一种鸡糕、鸡糕片及制备方法 | |
KR100719512B1 (ko) | 미네랄을 함유한 도포 구운계란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14052218A (zh) | 一种鱼籽烧棒的制作方法 | |
CN113068804A (zh) | 一种方便制作的泡饭制备方法 | |
KR102056226B1 (ko) | 전기로를 사용한 전통식 취반 방법 | |
CN211608043U (zh) | 一种地瓜叶干面加工装置 | |
KR102627565B1 (ko) | 전자레인지 조리용 건조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즉석식 팽화 쌀떡 | |
RU2813926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ельменей | |
KR20020082336A (ko) | 연잎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