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726A -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726A
KR20220105726A KR1020210008410A KR20210008410A KR20220105726A KR 20220105726 A KR20220105726 A KR 20220105726A KR 1020210008410 A KR1020210008410 A KR 1020210008410A KR 20210008410 A KR20210008410 A KR 20210008410A KR 20220105726 A KR20220105726 A KR 2022010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
ess
service
refund amount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109B1 (ko
Inventor
여영찬
Original Assignee
여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영찬 filed Critical 여영찬
Priority to KR102021000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정보로서,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월 청구 요금 및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공유 비율을 포함하는 서비스 계약 정보를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계약에 따른 계약 공간에 설치되는 ESS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약 공간의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진 요금제에 따른 제1 요금 및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제2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제1 및 제2 요금의 차액인 절감 요금 중,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환급액을 반영하여,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Method of sharing the reduced power bill by using an ESS device}
본 발명은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가 공유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제품 공급에 대한 계약과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요금의 공유 계약을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한민국의 전기요금 체계는 전기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주택용, 일반용, 교육용, 산업용 등으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고 있고, 주택용 전기요금에는 체증적 구간요금제(Increasing Block Rate Pricing), 즉 누진제가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0~200kWh(Level1), 201~400kWh(Level2), 401kh 이상(Level3) 세단계로 구분하여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는 누진제가 적용되었다.
주택용 전기요금에 적용되는 누진제는 고소득 1인 가구가 저소득 다인 가구보다 적은 요금으로 이용하게 되는 등의 형평성 문제와, 다소비 가구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요금으로 책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꾸준하게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2021년 7월부터 주택용 전기요금체계를 계시별 요금제(Time-of-Us, TOU)로 개편하여 적용되게 된다. 계시별 요금제는 3개의 계절(하계, 춘추계 및 동계)로 분류되고, 전력 사용량에 따라 경부하, 중간부하 및 최대부하로 나누어 전력 수요에 따라 저렴한 시간대에 맞춰 소비자 스스로 전기를 합리적으로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요금제이다.
에너지 저장장치 즉,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를 말한다. ESS 장치에는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EMS(Energy Management System),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관련 구성들이 포함된다.
ESS 장치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계시별 요금제 하에서 요금이 저렴한 경부하 구간에서 전기를 충전하고, 최대부하 또는 중간부하 구간에서 충전된 전기를 방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 요금을 절감할 수 있으나, 고가의 ESS 장치를 각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따르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ESS 장치를 판매하는 사업자와의 계약을 통해 ESS 장치의 소유권을 넘겨받는 경우, ESS 장치의 성능, 효율, 고장여부 등의 상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상태를 판단하는 전문가가 이를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하는 데에 유연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객이 ESS를 구축하는 부담없이 ESS를 통한 전력 요금 절감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고정 또는 유동적인 월별 요금을 청구하는 서비스와 ESS 장치의 설치 및 관리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월 청구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정보로서,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월 청구 요금 및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공유 비율을 포함하는 서비스 계약 정보를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계약에 따른 계약 공간에 설치되는 ESS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약 공간의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진 요금제에 따른 제1 요금 및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제2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제1 및 제2 요금의 차액인 절감 요금 중,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환급액을 반영하여,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요금에 대한 서비스 공급자로의 송금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계약 정보는 절감되는 전력 요금이 제1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버는, 절감되는 전력 요금과 제1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계약 정보는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비율이 제2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버는,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비율과 제2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계약 정보는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이 제3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버는,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과 제3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환급액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는, 결정된 포인트를 익월 청구 요금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계약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하는 제품 정보, 기납입금 정보, 잔금 정보 및 잔금의 납부 기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환급액을 반영하여 잔금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계약 정보는 잔금의 납부 기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버는, 잔금의 납부 기간 도과 여부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가구들 각각에 설치되는 ESS 장치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단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이 복수의 가구들 각각의 제1 요금을 단말들 각각으로 청구하는 단계 및 관리자 단말에서 복수의 가구들 각각의 제2 요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절감 요금과 기정의된 관리수수료의 차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절감 요금과 관리수수료의 차액 및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ESS 장치에 대한 서비스 기간 내 통상적인 유지보수는 서비스 공급자가 담당하고,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종료 시 ESS 장치는 서비스 공급자가 회수하기로 하되, 서비스 계약 기간 내 사용자의 귀책에 따른 ESS 장치의 물리적 손상에 대해서는 별도의 유지보수 비용을 청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한 절감 전력 요금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ESS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한 절감 전력 요금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ESS 장치에 의한 절감 요금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 요금의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제품의 잔금 납부 기간 도과 여부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ESS 장치 및 각각의 ESS 장치와 통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ESS 장치 및 복수의 ESS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서의 환급액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대한민국의 전기요금 체계는 전기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주택용, 일반용, 교육용, 산업용 등으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고 있고, 주택용 전기요금에는 체증적 구간요금제(Increasing Block Rate Pricing), 즉 누진제가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0~200kWh(Level1), 201~400kWh(Level2), 401kh 이상(Level3) 세단계로 구분하여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는 누진제가 적용되었다.
주택용 전기요금에 적용되는 누진제는 고소득 1인 가구가 저소득 다인 가구보다 적은 요금으로 이용하게 되는 등의 형평성 문제와, 다소비 가구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요금으로 책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꾸준하게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2021년 7월부터 주택용 전기요금체계를 계시별 요금제(Time-of-Us, TOU)로 개편하여 적용되게 된다. 계시별 요금제는 3개의 계절(하계, 춘추계 및 동계)로 분류되고, 전력 사용량에 따라 경부하, 중간부하 및 최대부하로 나누어 전력 수요에 따라 저렴한 시간대에 맞춰 소비자 스스로 전기를 합리적으로 쓰도록 유도하는 요금제이다.
에너지 저장장치 즉,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를 말한다. ESS 장치에는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EMS(Energy Management System),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관련 구성들이 포함된다.
ESS 장치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계시별 요금제 하에서 요금이 저렴한 경부하 구간에서 전기를 충전하고, 최대부하 또는 중간부하 구간에서 충전된 전기를 방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전기 요금을 절감할 수 있으나, 고가의 ESS 장치를 각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따르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ESS 장치를 판매하는 사업자와의 계약을 통해 ESS 장치의 소유권을 넘겨받는 경우, ESS 장치의 성능, 효율, 고장여부 등의 상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상태를 판단하는 전문가가 이를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하는 데에 유연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한 절감 전력 요금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ESS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서버(100), 공급자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및 ESS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공급자와 사용자의 서비스 계약에 따른 서비스 및 ESS 장치(400)를 이용한 절감 요금 공유의 전체적인 시스템(10)을 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구축 및 관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RAM(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0)와 공급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는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예: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버스(150)를 통해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AM(130) 및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20) 또는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RAM(130) 또는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RAM(130) 또는 메모리(14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RAM(130) 또는 메모리(14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버스(15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공급자 단말(200)은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로, 사용자와 ESS 장치(400)에 의한 절감 비용 공유 내용을 포함하는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공급자 단말(2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 가능한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공급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공급자 단말(200)은 인터넷 및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업자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공급자는 인터넷 서비스에 이용되는 셋톱박스 및 ESS 장치(400)를 서비스 공급자의 비용 및 소유로 사용자(계약자)의 가정에 설치하고, 계약기간 동안 이를 유지 및 관리하며, 계약 기간 이후에는 회수할 수 있다. 다만, 공급자 단말(200)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 가전제품 등을 판매하는 사업자, 연회비를 납부하는 신용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업자, 장기리스 또는 장기할부판매를 제공하는 여신사업자 등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공급자와 사용자의 계약에 따른 장소에 배치되는 ESS 장치(400) 및 서버(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도시된 바와 달리 ESS 장치(40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ESS 장치(400)의 EMS(41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ESS 장치(400)는 공급자와 사용자의 서비스 계약에 따라 사용자의 공간에 설치되고, EMS(Energy Management System)(410), PCS(Power Conditioning System)(42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430) 및 배터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EMS(410)는 PCS(420)를 제어하여 ESS 장치(400)의 전력 관리를 관장한다. EMS(410)는 해당 ESS 장치(400)가 설치된 시설에서의 소비전력을 예측하고, PCS(420)를 제어하여 전력을 운용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EMS(41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서버(10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여, PCS(420)를 통해 배터리(44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EMS(41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서버(1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유선 랜(LAN, Local Area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 다양한 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 또는 서버(100)와 ESS 장치(400) 간의 통신 방식은 특정한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PCS(420)는 전력망을 통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전력 부하에 공급하거나 배터리(440)에 충전하고, 배터리(440)를 방전시켜 저장된 에너지를 전력 부하나 전력망에 공급하여,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부하는 전력망을 통해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대상 설비로서, 일반 건물이나 아파트, 공장 등의 시설물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PCS(420)는 상용전원을 배터리(440)로 충전하였다가 필요 시 대응되는 대상 설비로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BMS(430)는 배터리(440)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터리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감지하여 배터리(440)의 충전 및 방전량을 적정 수준으로 제어하고, 배터리(440)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고 배터리(440)의 잔량을 파악한다. 또한, BMS(430)는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 동작을 통해 배터리(440)를 보호한다.
배터리(440)는 전력망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소의 기능 및 방전을 통해 기저장된 에너지를 전력 부하나 전력망에 공급하는 에너지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44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리튬이온과 황산화 나트륨 등을 주된 재료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한 절감 전력 요금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ESS 장치를 이용한 절감 전력 요금 공유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로 사용자의 가정 등에 설치되는 ESS 장치(400)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기본 서비스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에 반영함으로써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S1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00)로부터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에는 서비스 정보 및 ES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인터넷 서비스, 카드 서비스, 제품 공급 서비스 등 계약의 기본이 되는 기본 서비스에 대한 계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총 요금, 월 청구 요금 등의 서비스 요금 정보와, 약정 기간, 약정 이자 등의 서비스 약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ESS 정보는 기본 서비스와 결합되어 제공되는 ESS 장치(400)를 이용한 절감 전기 요금 공유에 대한 계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SS 장치(400)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 등의 정보인 ESS 설치 정보와, ESS 장치(400)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요금에 대한 공유 비율, 환급액의 환급 방법, 환급액의 결정 방법 등의 정보인 절감 비용 공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의 계약에 의해 기체결된 정보이고, 서버(100)는 체결될 계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저장된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에 기초하여 이후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진행되는 계약 내용을 관장할 수 있다.
S2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DT_MPC)를 수신할 수 있다.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DT_MPC)는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에 따라 정해지는 장소에 설치된 ESS 장치(400)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S3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DT_MPC)에 기초하여 제1 요금 및 제2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요금은 상기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DT_MPC)에 포함되는 월 사용 전력의 누진 요금제에 따른 요금이고, 제2 요금은 상기 월 사용 전력의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요금을 의미한다. 즉, 서버(100)는 동일한 월 전력 사용량에 대한 2개의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S4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1 요금에 대한 송금 요청(REQ_Remittance(BILL1))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요금에 대한 송금 요청(REQ_Remittance(BILL1))은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1 요금의 송금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월 사용 전력의 누진 요금제에 따른 요금을 사용자가 서비스 공급자에게 송금하도록 사용자 단말(300)로 요청할 수 있다.
S5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00)로 제2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REQ_Payment(BILL2))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REQ_Payment(BILL2))은 사용자의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요금(제2 요금)의 대납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ESS 장치(400)가 설치된 사용자의 공간은 계시별 요금제가 적용되어 있고, 서버(100)는 사용자의 전기 사용량에 대해 계시별 요금제가 적용된 제2 요금을 공급자가 전기판매자(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에게 대납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S6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ESS 장치(400) 및 계시별 요금제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요금에 대한 사용자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요금과 제2 요금의 차액을 절감 요금으로 결정하고, 절감 요금 중 사용자에게 환급할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환급액은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 중 ESS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환급액 결정의 예시는 도 6 내지 도 9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7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환급액을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는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익월 청구 요금은 월별 서비스 이용료에서 환급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별 서비스 이용료가 고정된 금액인 경우, 고정된 이용료에서 결정된 환급액을 차감한 금액을 익월 청구 요금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300)로 결정된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월별 서비스 이용료가 사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책정되는 금액인 경우, 당해 월의 사용량에 따라 서비스 이용료를 계산하고, 계산된 서비스 이용료에서 환급액을 차감한 금액을 익월 청구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환급액은 포인트의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료에서 환급액을 차감한 금액을 익월 청구 요금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고, 서비스 이용료를 청구하되, 결정된 환급액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결정하여 익월 청구 요금(서비스 이용료)과 함께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로 ESS 장치(400)를 사용자의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ESS를 구축하는 비용의 부담없이 ESS 및 계시별 요금제를 통한 전력 요금의 절감 혜택을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월별 요금을 청구하는 기본 서비스와 ESS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기본 서비스의 월 청구 요금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ESS 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ESS 장치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S 장치(400)의 가동 기간, 누적된 충/방전량, 충/방전 효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기정의된 기준과 각각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ESS 장치(400)의 보수 또는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ESS 장치(400)는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이고, 공급자 단말(200)을 통해 공급자가 각 가정 등에 설치된 ESS 장치(400)의 상태를 판단하고 유지 및 보수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 및 장치의 상태 파악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고, 공급자 입장에서는 유지/보수의 유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존재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요자원거래시장에 참여하는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 제도에 참여하고,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수요가 높을 때 DR 참여 요청을 발동하여 ESS 장치(400)의 배터리(440)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 회사에 공급하고, 이에 대응하는 비용을 보상받는 경우, 보상된 금액에 대해 기정의된 비율로 계산된 환급액을 결정하고, 결정된 환급액을 기본 서비스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에 반영함으로써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ESS 장치(400)를 이용하여 충전된 전력을 전력거래소 등에 판매(공급)하고, 판매 대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가정에 설치된 ESS 장치(400)에 경부하 구간에 전력을 충전하고, 이를 전력거래소에 공급하여 공급비용을 보상받음으로써 수익을 창출하고, 수익에 대해 기정의된 비율을 적용하여 환급액을 결정하고, 결정된 환급액을 기본 서비스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에 반영함으로써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ESS 장치에 의한 절감 요금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절감 요금 공유 방법은, 절감되는 요금에 따라 환급액에 적용되는 공유 비율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절감되는 요금과 제1 기준을 비교하고(S6110 단계), 절감되는 요금이 제1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제1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고(S6120 단계), 절감되는 요금이 제1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제2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S6130 단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공유 비율을 아래 표 1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구분 제1 공유 비율(%) 제2 공유 비율(%)
서비스 공급자 50 30
사용자 50 70
즉, 절감 요금이 제1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가 5:5의 비율로 절감되는 요금을 공유하고, 이에 기초하여 환급액이 결정될 수 있다. 절감 요금이 제1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가 3:7의 비율로 절감 요금을 공유하고, 이에 기초하여 환급액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절감 요금이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제1 기준까지의 절감 요금의 공유 비율은 제2 공유 비율을 적용하고, 나머지 금액의 공유 비율은 제1 공유 비율을 적용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 요금의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절감 요금 공유 방법은,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 요금의 비율에 따라 환급액에 적용되는 공유 비율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월 청구 요금은 기본 서비스 이용 요금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월 청구 요금 대비 절감 요금의 비율과 제2 기준을 비교하고(S6210 단계), 제2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제3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고(S6220 단계), 제2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제4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S6230 단계)할 수 있다.
즉, 기본 서비스의 월 청구 요금(인터넷 이용 요금, 카드 요금, 제품의 할부 요금 등) 대비 절감 요금의 비율을 기정의된 제2 기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공유 비율을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율이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제2 기준까지의 절감 요금에 대한 공유 비율은 제4 공유 비율을 적용하고, 나머지 절감 요금에 대한 공유 비율은 제3 공유 비율을 적용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절감 요금 공유 방법은, ESS 장치(400)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에 따라 환급액에 적용되는 공유 비율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과 제3 기준을 비교하고(S6310 단계), 제3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제5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고(S6320 단계), 제3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제6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S6330 단계)할 수 있다. 이 때, 제5 및 제6 공유 비율은 서로 다른 비율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계약 공간에 설치된 ESS 장치(400)의 충방전 효율에 기초하여 공유 비율을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품의 잔금 납부 기간 도과 여부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서비스 계약에 따른 잔금의 납부 기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 환급액을 결정하는 공유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의 서비스 계약이 가전제품 등 제품의 판매 계약인 경우, 계약 금액의 일부만을 기 납입금으로 미리 지급하고, 기납입금을 제외한 잔금을 기간을 정해 할부로 지급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고, 이 경우 잔금 결제 서비스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의 서비스 계약 정보(CONTRACT_SERVICE)에는 사용자가 구매하는 제품 정보, 기납입금에 대한 정보, 잔금에 대한 정보 및 잔금의 납부 기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는 ESS 장치(400)를 이용한 환급액을 반영하여 잔금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S6000 단계는 도 9의 S6410, S6420 및 S64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410 단계에서, 서버(100)는 현재 잔금의 납부 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잔금의 납부 기간이 도과한 경우(S6420 단계)에는 제7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고, 잔금의 납부 기간 내인 경우(S6430 단계)에는 제8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잔금의 납부 기간 내인 경우, 서버(100)는 잔금의 익월 청구 요금에서 제8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산정된 환급액을 차감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청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잔금의 납부 기간이 도과한 경우, 서버(100)는 제7 공유 비율에 기초하여 산정된 환급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S7000 단계의 익월 청구 요금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환급액 정산 내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ESS 장치 및 각각의 ESS 장치와 통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1)은 복수의 가정에 설치되는 ESS 장치(400)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과 공급자 단말(200)의 계약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감 비용 공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ESS 장치 및 복수의 ESS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서의 환급액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2)은 복수의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과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3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은 공동 주택에 포함되는 각각의 가정에 설치되는 ESS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1)은 공동 주택의 관리사무소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각 가정에 설치되는 복수의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 각각은 사용자 단말(301)과 통신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301)과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계약은 서비스 공급자와 공통 주택의 관리사무소와 체결된 계약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01)은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또는, ESS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단말들) 각각으로 누진 요금제가 적용된 각각의 제1 요금을 청구하고, 각 가정의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제2 요금을 사용자 단말(301)에서 결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각 가정으로 환급되는 환급액은 절감 요금 및 사용자 단말(301)에 의한 관리수수료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서버(100)는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에 의해 각 가정의 절감 요금 및 기정의된 관리수수료의 차액을 계산하고(S6510 단계), 상기 차액 및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S6520 단계).
이 후, 사용자 단말(301)은 환급액을 공급자 단말(200)로 납부하고, 공급자 단말(200)은 환급액을 ESS 장치들(401_1 내지 401_N)이 설치된 각 가정별로 할당하고, 할당된 환급액을 반영하여 각 가정으로 청구될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서버(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 시스템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RAM 140: 메모리
200: 공급자 단말 300: 사용자 단말
400: ESS 장치 410: EMS
420: PCS 430: BMS
440: 배터리

Claims (9)

  1. ESS(Energy Storage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 계약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월 청구 요금 및 상기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공유 비율을 포함하는 서비스 계약 정보를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계약에 따른 계약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ESS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약 공간의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월 전력 사용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진 요금제에 따른 제1 요금 및 계시별 요금제에 따른 제2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요금의 차액인 절감 요금 중,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환급액을 반영하여,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요금에 대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로의 송금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상기 절감되는 전력 요금이 제1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상기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절감되는 전력 요금과 상기 제1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상기 월 청구 요금 대비 상기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비율이 제2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상기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월 청구 요금 대비 상기 절감되는 전력 요금의 비율과 상기 제2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상기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이 제3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상기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ESS 장치의 충전 대비 방전 효율과 상기 제3 기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환급액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결정된 포인트를 익월 청구 요금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는 제품 정보, 기납입금 정보, 잔금 정보 및 상기 잔금의 납부 기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급액을 반영하여 상기 잔금에 대한 익월 청구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는 상기 잔금의 납부 기간 도과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상기 공유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잔금의 납부 기간 도과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가구들 각각에 설치되는 ESS 장치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단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가구들 각각의 제1 요금을 상기 단말들 각각으로 청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복수의 가구들 각각의 제2 요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절감 요금과 기정의된 관리수수료의 차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절감 요금과 상기 관리수수료의 차액 및 상기 서비스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급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08410A 2021-01-21 2021-01-21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KR10252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10A KR102526109B1 (ko) 2021-01-21 2021-01-21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10A KR102526109B1 (ko) 2021-01-21 2021-01-21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26A true KR20220105726A (ko) 2022-07-28
KR102526109B1 KR102526109B1 (ko) 2023-04-25

Family

ID=8260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10A KR102526109B1 (ko) 2021-01-21 2021-01-21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1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430A (ko) * 2008-10-01 2010-04-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계약전력과 전기 요금 산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KR20110132197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티 전력요금 절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11861A1 (ko) * 2011-02-14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요금제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61086A (ko) * 2013-11-25 2015-06-04 한국전기연구원 피크저감용 전력저장시스템의 용량 설계장치 및 그 용량 설계방법
KR20160087571A (ko) * 2015-01-14 2016-07-22 (주)제이엔지에너지스 가상 전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1667A (ko) * 2017-02-07 2018-08-16 한국동서발전(주) Ess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및 전력공급 제어방법
KR20190088398A (ko) * 2017-12-29 2019-07-26 고고로 아이엔씨. 사용량에 기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671344B2 (ja) * 2014-04-25 2020-03-2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力消費の最適化のためのスマート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430A (ko) * 2008-10-01 2010-04-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계약전력과 전기 요금 산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KR20110132197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티 전력요금 절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11861A1 (ko) * 2011-02-14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요금제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61086A (ko) * 2013-11-25 2015-06-04 한국전기연구원 피크저감용 전력저장시스템의 용량 설계장치 및 그 용량 설계방법
JP6671344B2 (ja) * 2014-04-25 2020-03-2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力消費の最適化のためのスマート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装置
KR20160087571A (ko) * 2015-01-14 2016-07-22 (주)제이엔지에너지스 가상 전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1667A (ko) * 2017-02-07 2018-08-16 한국동서발전(주) Ess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및 전력공급 제어방법
KR20180091692A (ko) * 2017-02-07 2018-08-16 한국동서발전(주) Ess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및 전력공급 제어방법
KR20190088398A (ko) * 2017-12-29 2019-07-26 고고로 아이엔씨. 사용량에 기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109B1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259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US201100550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lectricity delivery and commerce
WO2015045337A1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6512503B2 (ja) 電力調整装置、電力調整方法、プログラム
JP5819991B2 (ja) 電力需要調整システム及び電力需要調整方法
US20040220869A1 (en) Method to enable customers to respond to prices in a pool type energey market
EP3032489B1 (en) Power adjustment device, power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JP2017028986A (ja) 電力データ管理システム、需要家集合体及び電力融通街区
KR102095854B1 (ko) 할당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54615B2 (ja) インセンティブ計算システムおよびインセンティブ計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5185016A (ja) 電力情報処理システム
Hou et al. A distributed transactive energy mechanism for integrating PV and storage prosumers in market operation
JP7297004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JP720542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気料金の管理方法
KR102487863B1 (ko) 에너지 비용 최적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6109B1 (ko) Ess 장치를 이용하여 절감되는 전력 요금을 공유하는 방법
KR20170087389A (ko) 에너지 스토리지 가상화 방법 및 장치
JP2013149282A (ja) 電気料金算出装置及び方法
JP2020018091A (ja) 充電システム、充電方法および電力管理装置
JP6146532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27116B1 (ko) 가변형 전력제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및 수익형 과금 방법
JP2013058046A (ja) 電気料金算出装置及び方法
WO2021124798A1 (ja) 算出システム
JP745033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プログラム
JP202208805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