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374A -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374A
KR20220105374A KR1020210007976A KR20210007976A KR20220105374A KR 20220105374 A KR20220105374 A KR 20220105374A KR 1020210007976 A KR1020210007976 A KR 1020210007976A KR 20210007976 A KR20210007976 A KR 20210007976A KR 20220105374 A KR20220105374 A KR 2022010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nk
fine dust
fog
disinfecta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984B1 (ko
Inventor
권자홍
Original Assignee
권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자홍 filed Critical 권자홍
Priority to KR102021000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9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산화공정(AOP)과 비디디(BDD)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고분자의 유기물질을 산화분해하고 친환경물질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체 외형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하단부분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비디디 전극을 동작시켜 전기분해하여 OH기와 과산화수소와 오존을 생성시키고 별도 생성된 오존을 추가 농축시켜 소독액을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하는 비디디전기분해부; 비디디전기분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비디디전기분해부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 신호에 의하여 포그 형태로 변환 저장하고 해당 송풍팬을 동작시켜 포그를 배출하는 포그생성부; 포그생성부(2000)의 상부에 인접 구비되며 포그생성부(2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포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포함된 포그로 반응시키고 해당 송풍팬 동작으로 유입된 주변의 공기와 반응시켜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시켜 외부로 포그와 함께 배출하는 고도산화반응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실내 주거공간에서 공동으로 생활하는 다수 거주자 모두를 동시에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고도산화공정(AOP)과 비디디(BDD) 전극을 이용하고 일반 식수를 이용하면서 고분자 유지물질을 산화분해하고 친환경물질로 전환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과 수자원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System of virus sterilization with removing fine dust in ECO-friendly}
본 발명은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도산화공정(AOP : advanced oxidation process)과 비디디(BDD : boron-doped diamond)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고분자의 유기물질을 산화분해하고 친환경물질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부지역의 급속한 공업화와 사막화 가속 등에 의하여 대기 중에 많은 양의 분진,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생활주거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러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직접 호흡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연구사례가 매우 많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먼지(분진, fine dust, particle dust matter)는 지름이 50 - 70 마이크로미터(um) 굵기인 머리카락의 약 1/10 정도 크기인 10 마이크로미터(um) 이하이며 호흡하거나 세포속으로 침투되는 경우 어린이와 노약자는 물론 건강한 사람까지도 면역성이 떨어지면서 심각한 질환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의 초미세먼지는 입자의 직경 크기가 2.5 마이크로미터(um) 이하인 먼지를 지칭한다.
미세먼지의 입자는 미세먼지의 핵에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엉겨 붙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호흡하는 경우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에 유입된다. 이러한 미세먼지를 호흡 등을 통하여 장기간 흡입하는 경우 코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허파꽈리의 세포까지 직접 침투되게 되며, 천식이나 폐 질환 발생, 조기사망률 증가에 까지 영향을 준다. 즉, 많은 연구 결과에서는 미세먼지에 장기적이며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건강에 나쁜 신체변화의 영향이 나타나며, 단시간 흡입으로는 갑자기 나쁜 신체변화가 나타나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 어린이, 노인, 호흡기 질환자 등이 포함되는 노약자는 단기간 동안 노출되는 경우에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건강한 일반인의 경우에도 주의를 필요로 함은 매우 당연하며, 특히, 임산부의 경우에는 조산이나 태아의 성장부진, 인지발달 저하 등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가 눈에 침투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 각막염 등에 영향을 미치고, 코에는 알레르기성 비염에 영향을 미치며, 기관지에는 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등에 영향을 미치고, 허파에는 폐포에 흡착되어 폐세포를 손상시키면서 산소교환이 어렵게 되어 인체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므로 각종 질환을 더욱 악화시키며 세포에 침투하여 혈관을 타고 돌면서 혈관손상, 협심증, 뇌졸중 등이 포함되는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에 침투된 미세먼지는 잘 배출되지 않고 쌓이면서 각종 치명적인 질환, 질병을 불러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은 누구나 비, 바람, 햇빛, 유해한 동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고 사생활 보호 및 편리성 등을 추구하기 위하여 위험, 위해한 물질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거나 격리, 차단, 밀폐된 공간 또는 실내 영역 안에서 생활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단, 밀폐 또는 격리된 실내 공간은 공기의 순환이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각종 미세먼지, 유해가스, 곰팡이, 유해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거나 오염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부로 침투하거나 옷이나 몸 등에 묻어 전파되므로 면역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노약자, 어린이들에게 각종 질병을 쉽게 퍼트릴 수 있다.
밀폐되거나 격리되거나 차단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환기를 자주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최근 공업화의 산물인 미세먼지가 환기과정에서 유입되는 경우가 있고, 주변환경의 공기(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는 어린이와 노약자를 포함하여 실외활동을 자제시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 등으로부터 대기를 타고 유입되는 황사에 공업화 등에 따른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병균, 세균 등이 함께 도래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입자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um) 이하 크기인 것을 지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크기의 미세먼지는 일반적인 마스크로 걸러내기 매우 어렵고 호흡 등에 의하여 폐포 깊숙이 침투하는 경우 각종 호흡기 질환 및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의 입자는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 세포로 직접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접한 이웃 국가의 급속한 공업화에 의하여 오염물질인 납, 카드뮴,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이산화황, 암모니아, 탄소화합물 등과 같은 이온성분의 유독성 화합물, 중금속, 금속화합물 등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고 미세먼지에 혼합되어 계절풍인 북서풍의 바람을 타고 국내로 대량 대거 유입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미세먼지에 각종 세균, 바이러스 등이 부착되어 유입되는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하에서 미세먼지에는 미세먼지의 핵에 각종 유해한 세균, 병균, 곰팡이 및 오염물질인 납, 카드뮴, 이산화황 등과 같은 유독성 화합물, 중금속 등이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미세먼지가 호흡을 통하여 흡입되고 허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입자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um) 이하인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기능의 마스크는 비교적 가격이 비싸고 소모성이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청결하게 관리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고, 특히, 일반 가정의 실내생활에서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기는 매우 쉽지 않다.
그러므로 실내 생활을 원활하게 하면서 미세먼지와 세균성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거나 살균하는 친환경적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매우 시급하게 해결할 과제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56106호(2014. 10. 23.)에 의한 ‘공기정화소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소재를 이용한 개인용 공기정화 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정화소재(100), 정전기유도관(110), 고전압부(120), 자외선다이오드(130), 반사부(140), 스위치부(150), 하우징(160), 클립부(17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의 공기정화소재(100)는 자외선을 받아 음이온을 발생하고 정전기유도관(110)은 정전기를 발생하며 고전압부(120)는 직류 고전압을 출력하고, 자외선 다이오드(130)는 직류 고전압 인가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하고, 반사부(140)는 자외선을 일측면으로 집중시키고, 스위치부(150)는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하우징(160)은 외형을 형성하며, 클립부(170)는 선택된 위치 또는 장소에 간편하게 탈부착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음이온을 발생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유해 세균 등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접근을 차단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개인용이고 미세먼지와 바이러스?a 포함하는 세균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개인용이므로 실내와 같은 주거환경에서 다수의 거주자를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동시에 모두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실내와 같은 공동 주거공간에서 다수의 거주자를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동시에 모두 공동으로 보호하며 친환경적인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매우 절실하며 시급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56106호(2014. 10. 23.) ‘공기정화소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소재를 이용한 개인용 공기정화 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3496호(2008. 04. 14.) “이온발생 공기정화 장치 및 공기정화 방법”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7-7031359호(2017. 10. 30.) “전원장치 및 제전기”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8-7000384호(2008. 01. 07.) “미세 전극체 및 이를 사용한 이온발생기 및 제전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실내 주거공간에서 공동으로 생활하는 다수 거주자 모두를 동시에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산화공정(AOP)과 비디디(BDD) 전극을 이용하고 일반 식수를 이용하면서 고분자 유지물질을 산화분해하고 친환경물질로 전환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과 수자원을 확보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 주거공간에서 거주자 전원이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은 전체 외형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프레임부(950); 상기 프레임부(950)의 하단부분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비디디 전극을 동작시켜 전기분해하여 OH기와 과산화수소와 오존을 생성시키고 별도 생성된 오존을 추가 농축시켜 소독액을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하는 비디디전기분해부(1000);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 신호에 의하여 포그 형태로 변환 저장하고 해당 송풍팬을 동작시켜 포그를 배출하는 포그생성부(2000); 상기 포그생성부(2000)의 상부에 인접 구비되며 상기 포그생성부(2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포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포함된 포그로 반응시키고 해당 송풍팬 동작으로 와류 유입된 주변 공기와 반응시켜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고도산화반응부(30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포그생성부(20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로부터 배출되는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모으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각각 공급하는 응축수부(40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 1 탱크부(11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지정한계 수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플로트밸브(12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물을 전기분해 하여 OH기와 과산화수수와 오존을 생성시켜 소독액으로 반응시키는 비비디부(13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오존과 기포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제 1 탱크부(1100)에 저장된 소독액에 유입 혼합하여 농축시키는 오존발생부(14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하부면 일부분에 유입구가 관통되어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독액을 배출구로 배출하여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정량 공급하는 정량펌프(1500); 상기 정량펌프(1500)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고 소독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 제거하여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공급하는 필터(16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그생성부(2000)는 상부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밀폐 용기 형상을 하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을 저장하는 제 2 탱크부(21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소독액유입밸브(22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수위가 지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소독액유입밸브(2200)를 차단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23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 하부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 공급에 의하여 유입된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모듈(24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의 수평선을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가 균일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관통공(25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공기관통공(2500)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제 2 탱크부(20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포그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 1 송풍팬(26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에 판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공기관통공(2500)울 통하여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응축수모음부(27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일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밀착 구비되고 밀폐된 통 형상을 하며 상기 제 1 송풍팬(2600)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가 안착 설치되며 포그가 응축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모으는 연결부(2800); 상기 연결부(2800)의 일부분에 관통 설치되고 모아진 소독액의 응축수를 응축수부(4000)에 이송하는 이송배관(290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하부면과 상부면 일부가 개방되며 밀폐된 통 형상을 하고 다수의 세라믹 볼이 내장되며 포그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라믹필터부(31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에 인접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부(32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 2 송풍팬(33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 중앙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엘이디부(3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는 통 형상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부망과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망 사이 공간에 직경 3 내지 7 밀리미터 범위 크기의 세라믹볼을 하나 이상 다수 충진하여 이루어질 수 잇다.
상기 세라믹볼은 할성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티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규소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산호패각 분말로 이루어진 것이 균등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볼은 할성탄과 이산화티탄과 이산화규소와 산호패각의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라믹볼은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표면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응축수 방울에 의하여 씻겨 제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각각의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와아파이 통신방식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접속하고 사물인터넷 접속으로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사물제어부(3500);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비디부(1300)는 직경 2 내지 5 밀리미터 범위의 막대 형상 N 형 규소의 표면에 0.5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다이아몬드 파우다가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케미컬 베이퍼 디포지션 방식으로 10 시간 동안 증착되어 구비된 다이아몬드 전극을 수소 기체가 532 sccm의 유속으로 유동하고 100 토르 압력이 인가되는 챔버에 투입하여 보론트리옥사이드가 10 시간 동안 증착된 비디디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부(40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상기 포그생성부(2000)의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유입 받아 저장하는 제 3 탱크부(4100); 상기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제 1 탱크부(1100)에 연장 구비되어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4200); 상기 제 3 탱크부(4100)의 하부면에 관통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4300); 상기 제3 탱크부(4100)의 상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되며 제 1 탱크부(1100)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액을 유입받아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를 세척시키는 보충밸브(4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실내 주거공간에서 공동으로 생활하는 다수 거주자 모두를 동시에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산화공정(AOP)과 비디디(BDD) 전극을 이용하고 일반 식수를 이용하면서 고분자 유지물질을 산화분해하고 친환경물질로 전환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과 수자원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 주거공간에서 거주자 전원이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기능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비디디전기분해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포그생성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도산화반응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응축수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화학식 또는 수식을 표현하는 경우 ** 는 자승 또는 승을 표시하고, 고도산화공정(AOP)과 고도산화반응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기능 설명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비디디전기분해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포그생성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도산화반응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응축수부의 상세 구성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은 약 14억 Km**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용 가능한 담수는 그 0.01 %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용 가능한 담수의 용량을 추측하고 비교계산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백두산의 용적을 1400 Km** 로 환산하면 백두산 용적의 100 배에 상당하는 용량이다. 한편, 인구의 증가에 따른 생활, 농업, 공업 용수 부족과 지구 온난화로 특정 지역에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수자원의 확보와 보호는 중요한 현실적 문제가 될 수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는 충격 방전의 스파크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과전압(overvoltage)의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다.
과전압(overvoltage)은 정상 운전시에 두점 선로사이에서 나타나는 최고 전압값 보다 높은 전압(일반적으로 +5% 이상) 값이 오랜 시간(일반적으로 1 초 이상) 공급되는 현상으로, 전극에서 어떠한 반응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을 때의 전압과 동일한 반응이 동일 전극에서 가역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며 일어나는 전압 차의 전압의 피크치를 넘는 과잉전위 전압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백금(Pt) 전극 또는 불용성 금속코팅 전극(DSE : Dimensionally stable electrode)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전압(overvoltage)은 수 100 밀리볼트(mV) 이하인데 비하여 비디디(BDD : boron-doped diamond) 전극의 과전압은 1 볼트(V) 이상으로 매우 크다.
물을 전기분해하는 경우 양극에서는 O2 발생에 부가하여 OH기(HO*), 과산화수소(H2O2, hydrogen peroxide), 오존(O3, ozone)의 활성산소 생성에 충분히 귀중한(noble) 전위가 유지된다.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2실 전해조에서 초순수를 전해할 때 비디디(BDD) 전극에서는 과산화수소(H2O2)와 오존(O3)이 동시에 대량 합성되고, 전자스핀공명(ESR ; Electron Spin Resonance)에 의해서는 OH기(HO*)가 검출된다.
비디디(BDD) 전극을 사용한 전해조에서는 오존(O3)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도산화공정(AOP : advanced oxidation process)에 의하여 오존발생이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화학식으로 발생된다.
화학식 1 ---
Figure pat00001
이산화납(PbO2), 백금(Pt),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주석(SnO2) 및 등록상표 DSE로 이루어지는 전극은 비디디(BDD) 전극 보다 산화력이 작고 안정성이 부족하며 큰 전류밀도를 흘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비디디(BDD) 전극이 무기물을 전기분해하는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0.5 몰(mol) dm**-3 의 소금(염화나트륨, NaCl, sodium chloride)과 0.2 몰 dm**-3 의 황산나트륨(Na2SO4)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백금(Pt)의 양극은 소금(NaCl) 수용액에서 Cl2가 발생하고, 황산나트륨(Na2SO4) 수용액에서는 O2가 발생한다.
비디디(BDD)의 양극은 백금(Pt)의 양극에 비하여 2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차아염소산(HClO)을 생산(생성)하고 원료염분은 과염소산이온(ClO4-)으로 산화된다.
과염소산이온(ClO4-)으로 산화시키는 BDD 전극은 백금(Pt) 전극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BDD 전극은 과황산이온(S2O82-) 수용액에서 70 % 이상의 전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과탄산이온(C2O62-)의 탄산염과 알칼리를 원료로 하고 BDD 전극을 사용하는 저온 전해에서는 상용의 백금(Pt) 전극과 비교하여 3 배 이상의 효율을 얻는다.
요소산(IO3-)은 과요소산이온(IO4-)을 고효율로써 합성시킬 수 있다.
또한, BDD 전극은 용융염에서 불소(F2)와 질화불소(NF3)를 가스 합성하는데 있어서 흑연과 니켈(Ni)을 대체하는 전극으로 주목 받는다.
비디디(BDD) 전극이 유기물을 전기분해하는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BDD 전극은 포름산, 페놀 등의 분해대상 물질에서 종래의 전극에 비교하여 이산화탄소(CO2) 를 분해하는 특성이 뛰어나고 또한, 산화환원에 의해 유기화합물을 저분자로 분해하는 유기폐수처리 응용 분야에서 적합하다는 수 많은 보고서가 알려져 있다.
유기물의 분해 방식에는 ① 직접전해, ② 전극표면에 생긴 OH기에 의한 간접전해, ③ 오존, 과산화수소와 전해질 본래의 과산화물 등의 활성종에 의한 간접전해, ④ 활성종에서 생긴 OH기에 의한 간접전해 가 있다.
BDD 전극은 간접반응을 발생하므로 저농도의 대상물질을 분해와 살균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일례로, Cyan 착체는 PbO2 전극으로써도 분해될 수 있지만 BDD 전극을 사용하는 편이 보다 작은 전기량으로 분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장치의 크기 또는 규모를 작게할 수 있다.
포름산의 분해전위는 O2 발생전위보다 낮으므로 산화반응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Na2CO3 및 NaHCO3 수용액에서 포름산 농도에 대응하는 총 유기탄소(TOC; Total Organic Carbon) 감쇠비율은 BDD 전극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한편, 페놀(C6H5OH)의 분해전위는 O2 발생전위보다 낮으므로 용이하게 산화반응이 진행할 수 있다. 관(pipe)상의 전해조 내에 BDD 전극을 설치하고 화학도금 폐수처리를 실시하면, BDD 전극의 음극표면에 금속회수와 동시에 잔존하는 차아인산, 아인산과 유기화합물을 산화 분해할 수 있고, 방류 가능한 농도영역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DD 전극을 이용하여 산업공업용수에 함유된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시험이 매우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을 감소시키고 난분해성 물질의 킬레이트제,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분해가 가능하며, 도금폐수에서는 광택제를 분해하여 회수 및 재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주목된다.
BDD 전극을 이용하면 농축산업의 토양수는 비료와 가축사료에 존재하는 질소성분을 제거 분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태계에 영향이 심각한 환경호르몬과 유기 인 화합물인 농약(Methamidophos) 등의 살충제와 제초제 분해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BDD 전극은 전해기능수와 오존수 생성에도 적합하다. BDD 전극은 기존의 세정소독약품을 대체하는 현장 합성기술로서 약품의 보존관리의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고, 약품 사용량을 감소 시킨다.
BDD 전극은 내구성이 높아 전자부품 세정에도 사용되며 산성 전해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4)과 비교하여 해리하지 않는 HClO 이 많기 때문에 살균력이 수십 배에 달한다.
봉상의 BDD양극에 띠 모양의 불소수지계 이온교환막과 H2 발생극인 음극선을 감은 전극-막 접합체는 전류의 증가에 따라 오존수 농도가 증가하였다. Cl-농도 1 몰 dm-3 이하에서는 오존수가 생성되고, Cl-농도 3 몰 dm-3 이상에서는 HClO 가 생성된다.
BDD 전극을 사용하여 HClO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Cl-농도가 3 몰 dm-3 이상이 바람직하다.
봉상의 BDD 전극 2개에 격막의 Sheet 상의 막과 음극선을 감아 양극과 Sheet 상의 막 사이의 틈새를 흐름통로로 하면 음극에서 H2 가스를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형 전극은 높은 오존가스 분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혼합형 전극의 3 배에 이르는 고농도 오존수 생성이 가능하다.
BDD 전극은 오염물질 검출용 센서, 과산화물의 전해 합성, 살균 폐수처리, 유가금속의 회수, 탈취, 도금, 전기투석, 전해가공 등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고, 단순한 직접전해와 간접전해의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음극과 격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여 높은 활성물질의 반응장과 반응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이아몬드는 무색투명하고 견고하여 공업용이나 보석용으로 사용되지만 지구환경 오염방지와 수자원 확보를 위한 전기화학 전극재료로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다이아몬드는 활성화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도 내구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다이아몬드는 에너지 갭이 큰 반도체이지만 내구성이 강하며 첨가제를 가하여 전기화학적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 Permelec Electrode사는 다이아몬드 막을 코팅하여 수자원확보를 위한 붕산을 첨가한 다이아몬드 코팅전극을 개발하였다. 다이아몬드 코팅 전극은 친환경 전기화학적 기술이며 고분자의 유기물질을 산화분해하고 물질로 전환시킨다. 전기화학적 분해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과 수자원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코팅전극은 과염소산 이온이나 차아염소산, 과황산이온, 과탄산이온을 발생시켜 유기물분해, 살균, 표백, 탈색처리를 할 수 있고, 과전압이 높으므로 전기화학적으로 내식성과 내구성이 강하며 기존의 백금, 이산화이리듐, 이산화납 전극보다 양극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10 내지 300 배 발생시키며 유기물이나 폐수처리, 살균, 표백작용도 강하다. 미국 식품의약국은 붕산첨가 다이아몬드전극으로 식품저장, 살균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인체장기 기능회복을 위한 전해육각수 개발에도 활용된다.
고도산화공정(AOP : advanced oxidation process)은 OH 라디탈을 이용한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이나 폐수속의 유기용매 또는 무기용매를 제거하는 화학적 처리방법 또는 기술이다. 현실적으로 폐수처리에서는 오존(O3)과 과산호수소(H2O2) 또는 자외선(UV)을 사용하는 화학공정이 사용된다.
고도산화공정(AOP)은 반응성이 매우 높은 하이드록실 라디칼(*OH) 등을 이용하고, 이러한 화학종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산화제이며 물에 녹아 있는 그 어떠한 화합물도 산화시킬 수 있으며, 확산제어 및 반응속도를 통해 작용한다.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생성되는 순간부터 다양한 오염물질과 적극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작은 무기분자로 매우 빠르며 효율적으로 산화시키고 분해시키며,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1개 또는 여러 개의 산화제(오존, 과산화수소, 산호이온 등), 에너지원이나 촉매(자외선, 이산화티타늄 등)로부터 생성되고, 수득률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물의 투여량과 순서, 조합 등의 조건이 매우 정확하며 사전 준비되고 예상된 상태로부터 반응시켜야 한다.
AOP 공정은 잘 조정된 반응조건의 경우 적어도 5 ppb 에서 수백 ppm 까지 활용하여 오염불질의 초기 농도를 줄이고, 총 유기탄소량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킨다. 특히, 폐수 속에 녹아있는 방향족 화합물, 살충제, 석유계 구성성분,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과 생물학적으로 독성이거나 잘 분해되지 않는 물질을 대상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한편, 2차 처리를 마친 폐수를 다시 살균 소독하는 3차 처리에도 이용되는 경우 대량의 오염물질이 물, 이산화탄소, 염과 같은 안정된 무기화합물로 변환(미네랄화) 된다. 그리고 깨끗이 처리된 폐수의 독성과 화학 오염불질을 줄여 폐수를 다시 시냇물이나 재래식 하수 처리장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높은 산화력과 효율에 의하여 다루기 힘든 유기물과 무기물을 제거하는 3차 처리 과정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AOP 공정의 화학적 원리는 크게 3 가지가 있다.
첫째 ;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형성.
둘째 :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표적분자에 대한 초기 반응과 부산물에 대한 파괴.
셋째 : 최종 무기화 작용으로 진행될 때 까지 하이드록실 라디칼(*OH)에 이한 후속적 반응.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합성 메커니즘은 고도산화공정 기술의 종류에 크게 의존하며, 일 례로, 오존화, 자외선/과산화수소, 광촉매 산화작용은 각각 다른 하이드록실 라디칼(*OH) 합성 경로를 구성한다.
하나 ; 자외선과 과산화수소 기반의 AOP
Figure pat00002
둘 ; 오존 기반의 AOP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두번째 오존 분자가 HO2-와 반응하여 오존 라디칼 음이온(ozonide radical)을 생성한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셋 ;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광촉매 산화
Figure pat00007
(광촉매의 표면에 빛을 조사시 생기는 들뜸전자(e-)와 궤도에서(h-)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여기서 제시된 반응 단계는 반응순서의 일부일 뿐이다.
‘셋’ 부분의 자세한 메커니즘에 대한 정설은 존재하지 않지만 ‘둘’ 부분의 반응에서 하이드록실 라디칼(*OH)에 의한 표적분자의 산화과정에 관한 실마리는 확인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질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라디칼 분자이고 반응성이 매우 높은 친전자체로 작용하며, 초기 산화반응 중 수소제거 반응과 첨가 반응이 필요하다.
아래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이용한 벤젠의 산화 메카니즘이다.
Figure pat00010
‘둘’의 초기 반응은 (A)의 방향족 고리를 분해시켜 중간체(C)에 있는 2개의 하이드록실기(-OH)를 만드는 친전자성 반응이다. 나중에 하이드록실 라디칼(*OH) 분자가 하이드록실기(-OH) 중 하나에 있는 수소 원자를 붙잡게 되고 라디칼종(D)을 만든다. 이 화합물은 더욱 안정한 (E)로 쉽게 재배열되고 (E)는 순조롭게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산화를 받고 2,4-hexadiene-1,6-dione(F)를 생성한다.
충분한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이 있는 이상 (F) 이후로는 계속 산화가 일어나고 마지막에는 (F)가 H2O 또는 CO2 같은 작고 안정된 분자로 분해된다.
고도산화공정(AOP) 또는 고도산화반응은 수처리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수용성 상태의 유기화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오염물질을 다른 상태로 바꾸거나 흡착하여 포집하는데 능률적이다.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큰 반응성에 의하여 모든 수용성 오염물질과 무차별적 반응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유기오염물질 제거 분야에 많이 활용된다.
일부 중금속은 침전된 M(OH)x 형태로 제거되면, 소독작용이 가능하므로 수질문제를 한번에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생성된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이 감소된 후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이 환원되어 최종적으로 물(H2O)이 생성되므로 다른 해로운 물질이 남지 않는다.
고도산화공정(AOP)에는 산화티탄/자외선 시스템, 과산화수소/자외선 시스템, 펜톤(fenton), 광-펜톤(photo-fenton) 그리고 전자-펜톤 시스템(electro-fenton system)이 있으며 계속 다른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산화티탄에 비금속 원소를 투여하여 광촉매성을 증신시키거나 초음파 처리를 적용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생성을 중가시키는 기술 등과 같다.
비디디(BDD) 전극과 고도산화공정(AOP)을 이용한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900)은 프레임부(950)와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포그생성부(2000)와 고도산화반응부(3000)와 응축수부(4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950)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900)의 전체 외형을 통 형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있는 4 각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 형상 통, 다각 형상 통, 기하학 형상 통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는 프레임부(950)의 하단부분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비디디 전극을 동작시켜 전기분해하여 OH기와 과산화수소와 오존을 생성시키고 별도 생성된 오존을 추가 농축시켜 소독액을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한다.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는 제 1 탱크부(1100)와 플로트밸브(1200)와 비비디부(1300)와 오존발생부(1400)와 정량펌프(1500)와 필터(1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탱크부(11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한다.
플로트밸브(1200)는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지정한계 수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한다.
비비디부(1300)는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물을 전기분해 하여 OH기와 과산화수수와 오존을 생성시켜 소독액으로 반응시킨다.
비비디부(1300)는 직경 2 내지 5 밀리미터(mm) 범위의 막대 형상 N 형 규소(Si)의 표면에 0.5 마이크로미터(um) 크기의 다이아몬드 파우다(powder)가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플라즈마(plasma) 케미컬 베이퍼 디포지션(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10 시간 동안 증착되어 구비된 다이아몬드 전극을 99.99 % 수소 기체가 532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의 유속으로 유동하고 100 토르(Torr)의 압력이 인가되는 챔버에 투입하여 보론트리옥사이드(B2O3)가 10 시간 동안 증착된 비디디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탄소의 유속은 10 sccm으로 공급되고 탄소에 대한 붕소의 비율을 10**4 ppm이다. 수소 기체는 탄소와 붕소가 이동되는 캐리어 개스(carrier gas)로 사용된다.
오존발생부(1400)는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오존과 기포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제 1 탱크부(1100)에 저장된 소독액에 유입 혼합하여 농축시킨다.
오존발생부(1400)에는 오존발생장치와 기포발생장치가 각각 구비되고 동시에 동작하여 생성된 오존과 기포가 동시에 배출된다. 배출되는 오존은 기포화 함게 소독액에 유입되어 소독액과의 혼합이 빠르게 진행된다
정량펌프(1500)는 제 1 탱크부(1100)의 하부면 일부분에 유입구가 관통되어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독액을 배출구로 배출하여 포그생성부(2000)에 정량(정해진 용량)으로 공급한다.
필터(1600)는 정량펌프(1500)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고 소독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 제거하여 포그생성부(2000)에 공급한다. 필터(1600)는 10 마이크로미터 크기 이상의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포그생성부(2000)는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상부에 구비되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 신호에 의하여 포그(fog) 형태로 변환 저장하고 해당 송풍팬을 동작시켜 포그를 배출한다.
포그생성부(2000)는 제 2 탱크부(2100)와 소독액유입밸브(2200)와 수위센서(2300)와 초음파모듈(2400)과 공기관통공(2500)과 제 1 송풍팬(2600)과 응축수모음부(2700)와 연결부(2800)와 이송배관(29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2 탱크부(2100)는 상부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밀폐 용기 형상을 하고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을 저장한다.
소독액유입밸브(2200)는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유입을 차단한다.
수위센서(2300)는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수위가 지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소독액유입밸브(2200)를 차단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초음파모듈(2400)은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 하부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 공급에 의하여 유입된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변환한다.
공기관통공(2500)은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의 수평선을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가 균일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한다.
제 1 송풍팬(2600)은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공기관통공(2500)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제 2 탱크부(20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포그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응축수모음부(2700)는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에 판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공기관통공(2500)울 통하여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에 유입시킨다.
연결부(2800)는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일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밀착 구비되고 밀폐된 통 형상을 하며 제 1 송풍팬(2600)을 내장 설치하고 고도산화반응부(3000)가 안착 설치되며 포그가 응축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모은다. 연결부(2800)는 포그가 응축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모아 응축수부(4000)에 공급하므로 재활용하도록 한다.
이송배관(2900)은 연결부(2800)의 일부분에 관통 설치되고 모아진 소독액의 응축수를 응축수부(4000)에 이송한다.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포그생성부(2000)의 상부에 인접 구비되며 상기 포그생성부(2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포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포함된 포그로 반응시키고 해당 송풍팬 동작으로 와류 유입된 주변 공기와 반응시켜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세라믹필터부(3100)와 공기유입부(3200)와 제 2 송풍팬(3300)과 자외선엘이디부(3400)와 원격사물제어부(35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세라믹필터부(3100)는 하부면과 상부면 일부가 개방되며 밀폐된 통 형상을 하고 다수의 세라믹 볼이 내장되며 포그를 외부로 배출한다.
세라믹필터부(3100)는 통 형상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부망과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망 사이 공간에 직경 3 내지 7 밀리미터 범위 크기의 세라믹볼을 하나 이상 다수 충진하여 이루어지고, 배출되는 포그에 포함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 등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흡착시켜 차단한다. 세라믹필터부(3100)는 물에 세척하여 츱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씻어 내므로 재활용된다.
세라믹필터부(3100)를 구성하는 세라믹볼은 할성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티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규소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산호패각 분말로 이루어진 것이 균등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고, 특정 기능을 높이거나 필요에 의하여 가감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한편, 세라믹볼은 할성탄과 이산화티탄과 이산화규소와 산호패각의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세라믹볼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각각의 표면에 많은 양의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흡착되고 또한 표면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은 응축수 방울의 내림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씻겨 내려가 제거되는 구성이므로 별도 정기적인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각 세라믹볼은 조성된 해당 분말을 압축 성형하거나 소성 성형하거나 접착 성형할 수 있다. 산호 패각은 접촉되는 물에 미네랄 성분을 용출시킬 수 있고, 전기 전도도를 높여 전홰질화 할 수 있으며, 알칼리 이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다. 한편,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기능을 한다.
공기유입부(3200)는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에 인접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 2 송풍팬(3300)은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에 유입시킨다. 이때, 제 2 송풍팬(3300)은 외부 공기를 와류 상태로 유입시켜 포그 입자와 미세먼자 및 바이러스 세균 등이 쉽게 혼합되도록 하고 고도산화공정을 촉진시키며 포그 입자가 서로 충돌되어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도록 하므로 고도산화공정을 더욱 더 촉진시킨다.
자외선엘이디부(3400)는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 중앙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자외선을 발생하며 1 와트급 이상의 출력을 내는 엘이디(LED) 소자로 이루어진다.
자외선엘이디부(3400)가 출력하는 자외선은 150 내지 25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생성 출력하되, 240 나노미터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원격사물제어부(3500)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각각의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와아파이 통신방식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접속하고 사물인터넷 접속으로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입력받는다.
원격사물제어부(3500)는 수위센서(2300), 제 1 송풍팬(2600), 제 2 송풍팬(3300), 소독액유입밸브(2200), 배출밸브(4300), 보충밸브(4400), 정량펌프(1500)에 접속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각각의 운용을 제어하며 감시한다.
응축수부(4000)는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포그생성부(2000)의 사이에 구비되며 고도산화반응부(3000)로부터 배출되는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모으고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포그생성부(2000)에 각각 공급한다.
응축수부(4000)는 제 3 탱크부(4100)와 공급배관(4200)과 배출밸브(4300)와 보충밸브(4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3 탱크부(41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포그생성부(2000)의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유입 받아 저장한다. 이때, 제 3 탱크부(4100)는 유입된 소독액 응축수에 포함된 미세먼지, 진흙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깨끗한 소독액은 상부에 뜨게 된다.
공급배관(4200)은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에서부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제 1 탱크부(1100)에 연장 구비되어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제 1 탱크부(1199)에 공급 한다. 공급배관(4200)은 이물질이 침전되어 정화되고 상부에 뜬 소독액 응축수를 제 1 탱크부(1199)에 공급 한다.
배출밸브(4300)는 제 3 탱크부(4100)의 하부면에 관통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보충밸브(4400)는 제3 탱크부(4100)의 상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되며 제 1 탱크부(1100)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액을 유입받아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세척시킨다. 이때, 배출밸브(4300)도 개방되어 세척되고 분리된 이물질을 제 3 탱크부(4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950 : 프레임부 1000 : 비디디전기분해부
1100 : 제 1 탱크부 1200 : 플로트밸브
1300 : 비비디부 1400 : 오존발생부
1500 : 정량펌프 1600 : 필터
2000 : 포그생성부 2100 : 제 2 탱크부
2200 : 소독액유입밸브 2300 : 수위센서
2400 : 초음파모듈 2500 : 공기관통공
2600 : 제 1 송풍팬 2700 : 응축수모음부
2800 : 연결부 2900 : 이송배관
3000 : 고도산화반응부 3100 : 세라믹필터부
3200 : 공기유입부 3300 : 제 2 송풍팬
3400 : 자외선엘이디부 4000 : 응축수부

Claims (12)

  1. 전체 외형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프레임부(950);
    상기 프레임부(950)의 하단부분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비디디 전극을 동작시켜 전기분해하여 OH기와 과산화수소와 오존을 생성시키고 별도 생성된 오존을 추가 농축시켜 소독액을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하는 비디디전기분해부(1000);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 신호에 의하여 포그 형태로 변환 저장하고 해당 송풍팬을 동작시켜 포그를 배출하는 포그생성부(2000);
    상기 포그생성부(2000)의 상부에 인접 구비되며 상기 포그생성부(2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포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포함된 포그로 반응시키고 해당 송풍팬 동작으로 와류 유입된 주변 공기와 반응시켜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고도산화반응부(3000); 를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포그생성부(20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로부터 배출되는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모으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와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각각 공급하는 응축수부(4000); 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 1 탱크부(11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지정한계 수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플로트밸브(12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물을 전기분해 하여 OH기와 과산화수수와 오존을 생성시켜 소독액으로 반응시키는 비비디부(13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상부면 일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오존과 기포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제 1 탱크부(1100)에 저장된 소독액에 유입 혼합하여 농축시키는 오존발생부(1400);
    상기 제 1 탱크부(1100)의 하부면 일부분에 유입구가 관통되어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독액을 배출구로 배출하여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정량 공급하는 정량펌프(1500);
    상기 정량펌프(1500)의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고 소독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 제거하여 상기 포그생성부(2000)에 공급하는 필터(1600); 를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생성부(2000)는
    상부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밀폐 용기 형상을 하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을 저장하는 제 2 탱크부(21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소독액유입밸브(22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액의 수위가 지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소독액유입밸브(2200)를 차단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23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 하부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 공급에 의하여 유입된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모듈(24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의 수평선을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가 균일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관통공(25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공기관통공(2500)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제 2 탱크부(20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포그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 1 송풍팬(26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 측면 외부에 판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포그가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공기관통공(2500)울 통하여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응축수모음부(2700);
    상기 제 2 탱크부(2100)의 상부면 일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밀착 구비되고 밀폐된 통 형상을 하며 상기 제 1 송풍팬(2600)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가 안착 설치되며 포그가 응축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모으는 연결부(2800);
    상기 연결부(2800)의 일부분에 관통 설치되고 모아진 소독액의 응축수를 응축수부(4000)에 이송하는 이송배관(2900); 을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하부면과 상부면 일부가 개방되며 밀폐된 통 형상을 하고 다수의 세라믹 볼이 내장되며 포그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라믹필터부(31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에 인접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부(32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상부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 2 송풍팬(3300);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의 내부 중앙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동작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엘이디부(3400); 를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필터부(3100)는
    통 형상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부망과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망 사이 공간에 직경 3 내지 7 밀리미터 범위 크기의 세라믹볼을 하나 이상 다수 충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할성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티탄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이산화규소 분말로 이루어진 것과 산호패각 분말로 이루어진 것이 균등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할성탄과 이산화티탄과 이산화규소와 산호패각의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표면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응축수 방울에 의하여 씻겨 제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반응부(3000)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각각의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와아파이 통신방식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접속하고 사물인터넷 접속으로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사물제어부(3500); 더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비디부(1300)는
    직경 2 내지 5 밀리미터 범위의 막대 형상 N 형 규소의 표면에 0.5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다이아몬드 파우다가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케미컬 베이퍼 디포지션 방식으로 10 시간 동안 증착되어 구비된 다이아몬드 전극을 수소 기체가 532 sccm의 유속으로 유동하고 100 토르 압력이 인가되는 챔버에 투입하여 보론트리옥사이드가 10 시간 동안 증착된 비디디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부(4000)는
    밀폐된 용기 형상을 하고 상기 포그생성부(2000)의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소독액의 응축수를 유입 받아 저장하는 제 3 탱크부(4100);
    상기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비디디전기분해부(1000)의 제 1 탱크부(1100)에 연장 구비되어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4200);
    상기 제 3 탱크부(4100)의 하부면에 관통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유입받은 소독액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4300);
    상기 제3 탱크부(4100)의 상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되며 제 1 탱크부(1100)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액을 유입받아 제 3 탱크부(4100)의 내부를 세척시키는 보충밸브(4400); 를 포함하는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KR1020210007976A 2021-01-20 2021-01-20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KR10259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76A KR102591984B1 (ko) 2021-01-20 2021-01-20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76A KR102591984B1 (ko) 2021-01-20 2021-01-20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74A true KR20220105374A (ko) 2022-07-27
KR102591984B1 KR102591984B1 (ko) 2023-10-20

Family

ID=8270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76A KR102591984B1 (ko) 2021-01-20 2021-01-20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15A (ko) *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씨엠텍 공기살균장치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931A (ja) * 1995-08-30 1997-03-04 Takuma Co Ltd 超音波加湿殺菌装置
KR20000017005A (ko) * 1998-08-03 2000-03-25 노무라마이크로사이엔스가부시키가이샤 음이온 공급유닛, 음이온 공기발생장치, 음이온 공기발생방법,공기청정화 시스템 및 공기청정화 방법
KR100803949B1 (ko) * 2007-08-02 2008-02-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KR100823496B1 (ko) 2007-03-30 2008-04-21 선도전기주식회사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JP2009508676A (ja) * 2005-09-15 2009-03-05 バッテル メモリアル インスティテュート 過酸化水素の光分解型発生
JP2010022474A (ja) * 2008-07-16 2010-02-0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KR101456106B1 (ko) 2012-10-12 2014-11-04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공기정화소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소재를 이용한 개인용 공기정화 장치
KR20150055929A (ko) * 2013-11-14 2015-05-22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담수지역에서 사용가능한 전기분해 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JP2016120278A (ja) * 2012-01-26 2016-07-07 オースリー テクノロジー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所与の設備または機器を消毒するモバイル消毒ユニットおよび前記ユニットを使用する方法
KR102004497B1 (ko) * 2019-01-28 2019-07-30 보평그린(주) 미세한 분무 액적을 이용한 공간 탈취 시스템
KR20200076986A (ko) * 2018-12-20 2020-06-30 (주)바이오테라 방사능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 필터 및 필터 제조방법
JP3227487U (ja) * 2020-04-27 2020-09-03 南京鼎騰石墨▲希▼研究院有限公司Nanjing Graphene Research Institute Corporation 空気殺菌加湿器
KR20220057011A (ko) * 2020-10-29 2022-05-09 최인영 대기 중 습기 포집에 의한 살균소독 포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931A (ja) * 1995-08-30 1997-03-04 Takuma Co Ltd 超音波加湿殺菌装置
KR20000017005A (ko) * 1998-08-03 2000-03-25 노무라마이크로사이엔스가부시키가이샤 음이온 공급유닛, 음이온 공기발생장치, 음이온 공기발생방법,공기청정화 시스템 및 공기청정화 방법
JP2009508676A (ja) * 2005-09-15 2009-03-05 バッテル メモリアル インスティテュート 過酸化水素の光分解型発生
KR100823496B1 (ko) 2007-03-30 2008-04-21 선도전기주식회사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KR100803949B1 (ko) * 2007-08-02 2008-02-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JP2010022474A (ja) * 2008-07-16 2010-02-0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JP2016120278A (ja) * 2012-01-26 2016-07-07 オースリー テクノロジー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所与の設備または機器を消毒するモバイル消毒ユニットおよび前記ユニットを使用する方法
KR101456106B1 (ko) 2012-10-12 2014-11-04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공기정화소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소재를 이용한 개인용 공기정화 장치
KR20150055929A (ko) * 2013-11-14 2015-05-22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담수지역에서 사용가능한 전기분해 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200076986A (ko) * 2018-12-20 2020-06-30 (주)바이오테라 방사능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 필터 및 필터 제조방법
KR102004497B1 (ko) * 2019-01-28 2019-07-30 보평그린(주) 미세한 분무 액적을 이용한 공간 탈취 시스템
JP3227487U (ja) * 2020-04-27 2020-09-03 南京鼎騰石墨▲希▼研究院有限公司Nanjing Graphene Research Institute Corporation 空気殺菌加湿器
KR20220057011A (ko) * 2020-10-29 2022-05-09 최인영 대기 중 습기 포집에 의한 살균소독 포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15A (ko) *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씨엠텍 공기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984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27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산화질소 함유수 제조장치
US7615195B2 (en) Photocatalyst water treating apparatus
US20080041717A1 (en) Apparatus for electrolyzing an electrolytic solution
JP2002001061A (ja) 汚染物質分解方法及び装置
EP2277833A2 (en) High efficiency electrolysis cell for generating oxidants in solutions
KR101598493B1 (ko) 전기화학적 폐수처리 공정
CN101863548A (zh) 一种去除水中有机物的装置及方法
KR102642443B1 (ko) 실내 공기 살균 및 정화 장치
US6538170B2 (en) Polluted soil remediation apparatus, polluted soil remediation method, pollutant degrading apparatus and pollutant degrading method
Ishaq et al. Disinfection methods
CA2545764C (en) Electrolytic cell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US8080150B2 (en) Electrolytic cell
KR102591984B1 (ko)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JP3396853B2 (ja) 水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水
US20050218084A1 (en) Enhanced photocatalytic system
KR20220144896A (ko) 친환경 라디칼 수 생성 시스템
KR101951448B1 (ko) 농도 조절이 가능한 살균수 생성장치
KR100768096B1 (ko)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2568B1 (ko) 활성 음이온 수질정화장치
CN110997575A (zh) 水处理装置
KR20220128457A (ko) 비디디를 이용한 가정용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정화 시스템 및 비디디 전극 구조
JP2022113450A (ja) 空気清浄装置
KR102310193B1 (ko) 대기오염 저감 개선 친환경 인공 나무 시스템
KR20220140939A (ko) 유동인구 밀집지역 토탈 방역방제 시스템
KR102344740B1 (ko) 축산시설 주변환경오염 고도산화공정 총탄화수소 저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