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496B1 -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496B1
KR100823496B1 KR1020070031864A KR20070031864A KR100823496B1 KR 100823496 B1 KR100823496 B1 KR 100823496B1 KR 1020070031864 A KR1020070031864 A KR 1020070031864A KR 20070031864 A KR20070031864 A KR 20070031864A KR 100823496 B1 KR100823496 B1 KR 10082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igh voltage
cation
negative
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욱
Original Assignee
선도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719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34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선도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도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량이 양이온 발생량보다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발생되게 함으로써,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살균 작용을 하고, 여분의 음이온으로 대기의 조성을 음이온화하여 사용자의 대기 환경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는,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양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양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다량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은,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를 통해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이온, 음이온 발생장치, 공기 정화 장치

Description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An Ion-Generating Device For Cleaning and the Method For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전원변환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음이온 발생량과 양이온 발생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변환부 11 : 발진회로
12 : 트랜스 증폭부 13 : 정류부
20 : 이온 발생부 21 : 음이온 발생부
22 : 양이온 발생부
본 발명은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이온 발생량이 양이온 발생량보다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발생되게 함으로써,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살균 작용을 하고, 여분의 음이온으로 대기의 조성을 음이온화하여 사용자의 대기 환경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는 밀폐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FILTERING)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밀폐된 실내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시멘트 건물 등의 사무실, 종균배양실,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 정밀기기 등을 가동하는 장소 등에는 인체 혹은 정밀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운용되고 있다.
게다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실내의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하는 것이 현대의 중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건강에 유익한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별도의 공기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에서 공기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비율이다. 하지만, 음이온의 농도가 양이온의 수십 배 내지 수백 배인 대기 환경인 경우, 피로회복, 정신 안정, 혈액의 정화, 저항력의 증진, 자율신경 조정 등의 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음이온의 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①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과, ②고압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방법, ③베타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법, ④물방울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4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상기 방법 ① 및 ②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오존을 생성시킬 위험이 있고, 방법 ③은 방사선 누출에 대한 대비책을 완벽하게 준비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방법 ④는 공기의 정화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에 비해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이 적고, 충분한 의료효과를 얻기에는 거대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고, 가정이나 차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장치가 대형화 된다는 실용상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4가지 방법과는 달리, 음이온과 함께 양이온도 일정한 양으로 발생시켜, 양이온과 음이온의 작용으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음이온으로 음이온 특유의 효과를 살릴 수 있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는,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양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양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다량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원변환부는,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하는 발진회로; 상기 발진회로로부터 인가된 펄스 파형을 고전압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제2 트랜스; 상기 제1 트랜스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제1 정류부; 및, 상기 제2 트랜스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제2 정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정류부 및 제2 정류부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류부는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가 근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며, 그 일단은 다각뿔 또는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는 15㎜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은,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를 통해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펄스 파형을 고전압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양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15㎜ 간격으로 근접시켜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를 유기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전원변환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의 음이온 발생량과 양이온 발생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는 발진회로(11), 트랜스 증폭부(12), 및 정류부(13)를 구비하는 전원변환부(10)와 이온 발생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변환부(10)는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약 12V의 저전압 자동차용 직류 전원을 ±3.5kV 정도의 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변환부(10)는 발진회로(11)와 트랜스 증폭부(12), 그리고 정류부(13)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발진회로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에너지의 흐름을 조작하여 그 에너지를 진동시켜 어떤 변화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진동으로 바뀌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상기 발진회로(11)는 각종 직류 전원, 예를 들면, 자동차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 증폭부(12)는 제1, 제2 트랜스(12a, 12b)로 구성되어 상기 발진회로(11)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진회로를 통해 제공되는 펄스 파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면서, 교류 파형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약 12V의 저전압 자동차용 직류 전원을 ±3.5kV 정도의 교류 전압으로 승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스 증폭부(12)는 2개의 트랜스(12a, 12b)를 구비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물론 발생되는 고전압의 발생량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선 상기 트랜스는 2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정류부(13)는, 구체적으로 제1 정류부(13a)와 제2 정류부(13b)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제1 정류부(13a)와 제2 정류부(13b)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류부는 상기 트랜스 증폭부의 제1, 제2 트랜스(12a, 12b)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정류부(13a)는 상기 제1 트랜스(12a)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정류부(13b)는 상기 제2 트랜스(12b)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류부(13a)는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위 조절부(13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변환부(10)를 통해 저전압 직류 전원은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약 12V의 저전압 자동차용 직류 전원이 제1 정류부(13a)를 통해 -3.5kV 정도의 전압, 제2 정류부(13b)를 통해 +3.5kV 정도의 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변환 과정은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온 발생부(20)는 음이온 발생부(21)와 양이온 발생부(22)로 구성되어 각각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21)는 상기 정류부의 제1 정류부(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양이온 발생부(22)는 상기 정류부의 제2 정류부(1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발생부(21)와 양이온 발생부(22)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온의 양이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음이온 발생부(21)와 양이온 발생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가 근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1)는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며,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21a)을 포함하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1)의 핀(21a)은 탄소 섬유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음이온의 방출이 용이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금, 스테인레스, 구리, 니켈, 망간, 텅스텐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21a)은 은 나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양이온 발생부(22)는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하며, STS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일단(22a)이 원뿔 형상인 원추봉 또는 다각뿔 형상인 다각뿔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1)와 양이온 발생부(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10 내지 40㎜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설치한 후, 음이온 발생부(21) 또는 양이온 발생부(22)를 이동하여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전압에 대해 상기 음/양이온 발생부(21, 22)의 적정 거리가 미리 설정되어 음/양이온 발생부의 거리나 위치 조절이 필요없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압된 전압이 ±3.5kV인 경우, 10 내지 40㎜의 범위에 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경우, 음/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는 1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21b는 음이온 발생부(21)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이고, 도면 부호 A는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장치의 본체이다. 도 4에서는 가이드 라인이 음이온 발생부 측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양이온 발생부(22) 측에만 또는 음/양이온 발생부(21, 22)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적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라인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이온 발생부(21)의 핀과 양이온 발생부(22)의 다각뿔, 원뿔 등의 형상은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을 활성화하는 이온 방출체이다. 통상 이온은 뾰족한 곳을 통해 대기 중에 방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음이온 발생부(21)는 하나 이상의 뾰족한 핀을 포함하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이온 발생부(22)는 핀이 아닌 일단이 원뿔 형상인 원추봉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이온 발생부에서 방출되는 양이온의 양은 음이온 발생부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발생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살균 등의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분의 음이온이 제공되므로 더욱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이온 발생부(22)는 음이온 발생부(21)에 비해, 그 형상의 뾰족함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22)에 독립적으로 고전압 직류 전원이 인가되면 독자적으로 양이온을 방출시키더라도 그 양은 아주 적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이온 발생부(22) 또는 음이온 발생부(21)를 이동시켜서 서로 근접하게 하면,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해 양이온 발생부 주위의 대기 농도가 음이온화되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양극의 전위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어 양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 현상'이라고 명명한다. 물론,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를 유기 현상이 생기는 적정 거리로 미리 설정하는 경우, 음 또는 양이온 발생부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고전압 직류 전원만 인가하면 동일한 현상이 발생한다.
유기 현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변환부(10)에서 생성된 고전압이 ±3.5kV이고, 음이온 발생부(21)는 다수개의 핀, 양이온 발생부(22)의 일단이 원뿔 형상인 조건에서,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가 40㎜인 경우, 음이온 발생부(21)에서만 음이온이 다량 발생되고 양이온 발생부(22)에서는 극소수의 양이온이 발생된다.
이후, 상기 음이온 발생부(21) 또는 양이온 발생부(22)를 이동시켜서 양자 간의 거리가 15㎜로 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현상에 의해 양이온 발생부(22)에서도 양이온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양적 차이는 시간에 관계없이 음이온은 약 50 내지 80만개, 양이온은 25 내지 35만개로 측정됨을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는 전원변환부를 통해 저전압 직류 전원을 음/양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에 인가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 생시킨다.
이때, 상기 양이온 발생부 형상의 뾰족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 형상의 뾰족함에 비해 낮아지도록 하여,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상대적으로 다량 발생하게 함으로써, 살균 작용과 함께 대기의 조성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환경조건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 및 기타 주변 상황을 검지한 후에 상황에 맞게 이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정류부에 더 포함하여 구성된 전위 조절부를 통해 전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이온 발생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이온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에 의한 공기 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진회로를 이용하여 저전압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한다.(S10)
그 다음, 상기 변환된 펄스 파형을 트랜스 증폭부의 제1, 제2 트랜스에 인가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면서 승압하여, 고전압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S20)
그 다음, 상기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한다.(S30)
그 다음, 상기 변환된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각각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에 인가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킨다.(S40) 이때, 이온방출체 의 형상 차이에 의해 양이온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양이온은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에 비해 아주 작게 발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주위 환경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적절히 조절한다.(S41)
그 다음,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서로 근접되도록 한다.(S42) 상기 음/양이온 발생부가 근접함에 따라 유기 현상이 유도되어 양이온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양이온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S50) 따라서, 사용자의 주위 환경에 따라 양이온 발생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물론, 특정 전압에 대해 상기 음/양이온 발생부의 적정 거리가 미리 설정되어 음/양이온 발생부의 거리나 위치 조절이 필요없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압된 전압이 ±3.5kV인 경우, 10 내지 40㎜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경우, 음/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는 약 1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의하면,
음이온 발생량이 양이온 발생량보다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발생함으로써,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살균 작용을 하고, 여분의 음이온으로 대기의 조성을 음이온화하여 사용자의 대기 환경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토출 방식이므로 방전으로 인해 오존 등의 이차 유기물질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정류부의 전위 또는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여, 다양한 대기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한 이온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양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양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다량 발생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하는 발진회로;
    상기 발진회로로부터 인가된 펄스 파형을 고전압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제2 트랜스;
    상기 제1 트랜스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제1 정류부; 및,
    상기 제2 트랜스에서 변환된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제2 정류부
    를 포함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류부 및 제2 정류부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류부는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 사이의 거리가 근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며, 그 일단은 다각뿔 또는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는 15㎜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10.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를 통해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 또는 양이온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을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과 음의 고전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을 펄스 파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펄스 파형을 고전압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음과 양의 고전압 직류 전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양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15㎜ 간격으로 근접시켜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를 유기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온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정화 방법.
KR1020070031864A 2007-03-30 2007-03-30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KR10082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64A KR100823496B1 (ko) 2007-03-30 2007-03-30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64A KR100823496B1 (ko) 2007-03-30 2007-03-30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496B1 true KR100823496B1 (ko) 2008-04-21

Family

ID=3957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864A KR100823496B1 (ko) 2007-03-30 2007-03-30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49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15Y1 (ko) * 2008-09-03 2010-09-20 주식회사 두원전자 이온 클러스터 발생 장치
KR101001102B1 (ko) * 2008-10-28 2010-12-1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6465B1 (ko) 2009-11-03 2011-10-25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직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7084B1 (ko) 2009-11-03 2011-10-26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교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150488B1 (ko) 2010-12-21 2012-07-11 이명자 음이온 발생기
KR101446067B1 (ko) * 2009-12-14 2014-10-0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이온발생장치
KR20160121254A (ko) 2015-04-10 2016-10-19 씨엔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공기여과장치
KR20180092923A (ko) 2018-08-10 2018-08-20 염규익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및 그의 공기 정화 방법
KR20190119815A (ko) 2018-04-13 2019-10-23 방지철 미세먼지 접근 차단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00128861A (ko) 2019-05-07 2020-11-17 이유애 미세먼지 차단 전자마스크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10063543A (ko) 2019-11-24 2021-06-02 방지철 친환경 광촉매 나노물질 고압 광역 살포 차량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RU2760170C1 (ru) * 2021-05-17 2021-11-22 Рафаил Явитович Хабибуллин Портативный озонатор воздуха
KR20220105374A (ko) 2021-01-20 2022-07-27 권자홍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KR20220128457A (ko) 2021-03-13 2022-09-20 송문선 비디디를 이용한 가정용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정화 시스템 및 비디디 전극 구조
KR20220144896A (ko) 2021-04-20 2022-10-28 최창용 친환경 라디칼 수 생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88A (ko) * 1997-12-12 1999-07-05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음이온발생기
JP2002117956A (ja) 2000-10-04 2002-04-19 Sharp Corp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KR20060010234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살균방법, 살균장치, 이온발생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전기기기 및 공기정화장치
KR20060010228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70071570A (ko) * 2005-12-30 2007-07-04 한라공조주식회사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88A (ko) * 1997-12-12 1999-07-05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음이온발생기
JP2002117956A (ja) 2000-10-04 2002-04-19 Sharp Corp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KR20060010234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살균방법, 살균장치, 이온발생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전기기기 및 공기정화장치
KR20060010228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70071570A (ko) * 2005-12-30 2007-07-04 한라공조주식회사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15Y1 (ko) * 2008-09-03 2010-09-20 주식회사 두원전자 이온 클러스터 발생 장치
KR101001102B1 (ko) * 2008-10-28 2010-12-1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6465B1 (ko) 2009-11-03 2011-10-25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직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7084B1 (ko) 2009-11-03 2011-10-26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교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446067B1 (ko) * 2009-12-14 2014-10-0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이온발생장치
KR101150488B1 (ko) 2010-12-21 2012-07-11 이명자 음이온 발생기
KR20160121254A (ko) 2015-04-10 2016-10-19 씨엔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공기여과장치
KR20190119815A (ko) 2018-04-13 2019-10-23 방지철 미세먼지 접근 차단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92923A (ko) 2018-08-10 2018-08-20 염규익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및 그의 공기 정화 방법
KR20200128861A (ko) 2019-05-07 2020-11-17 이유애 미세먼지 차단 전자마스크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10063543A (ko) 2019-11-24 2021-06-02 방지철 친환경 광촉매 나노물질 고압 광역 살포 차량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05374A (ko) 2021-01-20 2022-07-27 권자홍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KR20220128457A (ko) 2021-03-13 2022-09-20 송문선 비디디를 이용한 가정용 친환경 미세먼지 바이러스 정화 시스템 및 비디디 전극 구조
KR20220144896A (ko) 2021-04-20 2022-10-28 최창용 친환경 라디칼 수 생성 시스템
RU2760170C1 (ru) * 2021-05-17 2021-11-22 Рафаил Явитович Хабибуллин Портативный озонатор воздух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496B1 (ko) 이온 발생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CN101091802A (zh) 一种浓度可调式负离子臭氧发生器
CN101066535B (zh) 可以控制臭氧的静电式空气净化器
EP1647776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JP2006040877A (ja) イオン発生器
EP2061124A3 (en) Multiple-axis control apparatus for ionization systems
WO2016034409A1 (en) High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for supplying an x-ray tube
KR20120002232A (ko) 연면방전체 및 씨브디광촉매필터부를 이용한 이온 발생장치
CN101929255B (zh) 设有等离子体空气消毒净化器的医院手术室
CN101920040A (zh) 风道式电子空气净化机
CN202777187U (zh) 一种正负离子空气净化装置
KR200378008Y1 (ko) 이온 발생장치
US20160310628A1 (en) Ion-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for Removing Smog
KR20170053980A (ko) 전극 열화 방지를 위한 전극침의 가변이 가능한 음이온 발생 모듈
CN201502887U (zh) 一种带有正负离子发生器的led照明灯具
KR101675018B1 (ko) 마이크로 펄스 하전 방식의 집진기용 전원장치
CN104542545B (zh) 一种低温常压等离子体活性水农作物的喷洒防病装置
RU2514074C2 (ru) Способ биполярной ионизации воздух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хема для биполярной ионизации воздуха
CN201710703U (zh) 风道式电子空气净化机
CN215585946U (zh) 一种离子风驱动催化净化装置
KR101077084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JPH09278411A (ja) 気体における発生イオン密度及びオゾン濃度等の制御方法
RU2019208C1 (ru) Способ искусственной ионизации воздуха легкими отрицательными ионами кислор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10132296A (ko) 차량용 공기 정화기
JP2013073865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011

Effective date: 201103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1014

Effective date: 201104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26

Effective date: 201104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