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547A - 터치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547A
KR20220104547A KR1020210007007A KR20210007007A KR20220104547A KR 20220104547 A KR20220104547 A KR 20220104547A KR 1020210007007 A KR1020210007007 A KR 1020210007007A KR 20210007007 A KR20210007007 A KR 20210007007A KR 20220104547 A KR20220104547 A KR 2022010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anel system
touch
pattern prin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547A/ko
Publication of KR2022010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은,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에 있어서,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패턴 인쇄부가 형성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하게 됨과 더불어 제조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시스템{Touch panel system}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에 회로 패턴을 직접 인쇄함으로써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하면서도 제조 공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터치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 시스템은, 전자 제품 등에 구비되어 해당 제품의 동작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후면에 구비되며 제어를 위한 회로 패턴이 인쇄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부에 접촉됨을 인식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서브 피씨비와, 서브 피씨비와 연결되며 서브 피씨비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통해 전자 제품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터치 패널 시스템은 서브 피씨비가 구비됨에 따라 콤팩트한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치 패널 시스템의 소형화를 위한 필름이 개발되어 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1671호에서는, 얇은 두께의 가요성 필름에 도전성 잉크를 이용하여 터치 회로를 인쇄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회로 패턴이 인쇄되는 피씨비 또는 필름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접촉부와 부착되는 고정이 필연적으로 수행되며, 이처럼 피씨비 또는 필름을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접촉부와 부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또는 공기의 개입이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터치 감도의 저하와 함께 제조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167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치 패널에 회로 패턴을 직접 인쇄함으로써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하면서도 제조 공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터치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에 패턴 인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에는 패턴 인쇄부가 터치 패널의 일면에 인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은,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패턴 인쇄부가 형성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 시스템은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턴 인쇄부는 전류가 흐르는 전기 회로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 인쇄부는 도전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패턴 인쇄부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의 후면에는 패턴 인쇄부가 형성되면서도 별도의 전기적 부품은 탑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의 후면에 구비되지 않는 전기적 부품은 메인 피씨비에 추가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후면에 서브 피씨비의 부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조 공수가 크게 저감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터치 패널의 후면에는 서브 피씨비의 부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터치 패널의 후면에 서브 피씨비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또는 공기의 개입으로 인하녀 발생되는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과 메인 피씨비 사이에는, 터치 패널과 메인 피씨비가 안착되는 몸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 인쇄부와 메인 피씨비는 접촉식 커넥터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 내부에는 조작 안내부의 가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은 LED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터치 패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LED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터치 패널을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는 조작 안내부의 터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 안내부는 터치 패널의 전면에 각인됨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작 안내부는 잉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의 전면에 인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작 안내부는 별개로 하나의 층을 이뤄 터치 패널의 전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여 장치의 사용이나 설정을 조작하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패턴 인쇄부가 직접 인쇄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시스템의 구성 부품 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제조 공수가 줄어듦과 더불어 콤팩트한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패턴 인쇄부가 직접 인쇄됨에 따라 터치 패널과 패턴 인쇄부 간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널 시스템(200)은,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100)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200)에 있어서,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21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패턴 인쇄부(212)가 형성되는 터치 패널(210)과, 상기 터치 패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패널(2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100)는 오븐, 에어컨, 냉장고 등의 전자 제품이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레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장치(100)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일면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서랍 방식으로 출납이 이루어지는 드로워(130)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100)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오븐 레인지에 해당하는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조리 재료 또는 식기가 내부에 투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중공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전방면에는 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일부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또한, 도어(120)의 전방면에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12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손잡이(1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어(120)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조리 재료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오븐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오븐실 내부에는 조리 재료의 조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미도시)가 포함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전방면에는 드로워(13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130)는, 도어(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조리 재료의 간단한 조리를 수행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드로워(130)의 전방면 또는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한 드로워(13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로워 손잡이(1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드로워 손잡이(131)가 드로워(130)의 상면에 형성됨을 예로 한다.
즉, 드로워 손잡이(131)는 드로워(13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이러한, 드로워(130)는 슬라이딩 됨으로써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드로워(130)는 서랍 방식으로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 재료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 재료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하우징(110)의 전방면에는 터치 패널 시스템(200)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패널 시스템(200)은, 도어(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100)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또한, 터치 패널 시스템(200)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작동되는 정전 용량식에 해당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 시스템(200)은 전면 일부가 장치(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터치 패널(210)과, 상기 터치 패널(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메인 피씨비(220) 또는 LED 모듈(240)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터치 패널(210)의 전면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250)와, 상기 터치 패널(21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 패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터치 패널(2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장치(100)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220)와, 상기 터치 패널(21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터치 패널(210)의 가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듈(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패널(210)은, 전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직접 접촉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210)은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투명하게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즉, 상기 터치 패널(210)은 후술될 LED 모듈(240)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2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안내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 안내부(211)는,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즉, 조작 안내부(211)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 안내부(211)에 의하여 사용자는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작 안내부(211)는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 각인됨으로써 형성됨을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조작 안내부(211)는 잉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 인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조작 안내부(211)는 별개로 하나의 층을 이뤄 터치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패턴 인쇄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패턴 인쇄부(212)는,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될 경우 이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패턴 인쇄부(212)는 전류가 흐르는 전기 회로이다.
이러한, 패턴 인쇄부(212)는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되는 것으로, 상기 패턴 인쇄부(212)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도전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즉, 상기 패턴 인쇄부(212)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서브 피씨비에 인쇄되는 회로 패턴과 대응되는 것이다.
그리고,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는 상기 패턴 인쇄부(2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서브 피씨비는 기판에 인쇄되는 회로 패턴과 함께 전기적 부품들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패턴 인쇄부(212)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기판에 인쇄된 회로 패턴을 대체 가능하나 기판에 탑재되는 전기적 부품들은 대체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서브 피씨비에 탑재된 전기적 부품들은 패턴 인쇄부(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치(100)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220)에 추가로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는 패턴 인쇄부(212)가 형성되면서도 별도의 전기적 부품은 탑재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210)의 후면에 구비되지 않는 전기적 부품은 메인 피씨비(220)에 추가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서브 피씨비의 회로 패턴과 전기적 부품들이 터치 패널(210)과 메인 피씨비(220)로 분산됨에 따라 서브 피씨비는 터치 패널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210)의 후면과 메인 피씨비(220)는 접촉식 커넥터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패턴 인쇄부(212)와 메인 피씨비(220)는 접촉식 커넥터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피씨비(220)는 터치 패널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터치 패널(210)과 연결되어 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210)과 메인 피씨비(220) 사이에는, 터치 패널(210)과 메인 피씨비(220)가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몸체(23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230)는 터치 패널(210)과 메인 피씨비(220)와 결합되며, 터치 패널(210)과 메인 피씨비(2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더불어, 상기 몸체(230) 내부에는 터치 패널(210)과 조작 안내부(211)의 가시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듈(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LED 모듈(240)은, 레이저와 같은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투명하게 구비되는 터치 패널(210)을 투과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 안내부(211)에 의한 가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LED 모듈(240)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함께, 터치 패널(210)의 전면에는 커버(25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250)는, 메인 피씨비(220)와 LED 모듈(240) 등의 노출은 제한하면서 터치 패널(210)의 전면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커버(25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직접 접촉되는 터치 패널(210)의 전면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100)의 미관이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여 장치의 사용이나 설정을 조작하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패턴 인쇄부가 직접 인쇄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시스템의 구성 부품 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제조 공수가 줄어듦과 더불어 콤팩트한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패턴 인쇄부가 직접 인쇄됨에 따라 터치 패널과 패턴 인쇄부 간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터치 감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장치 110. 하우징
120. 도어 121. 도어 손잡이
130. 드로워 131. 드로워 손잡이
200. 터치 패널 시스템 210. 터치 패널
211. 조작 안내부 212. 패턴 인쇄부
220. 메인 피씨비 230. 몸체
240. LED 모듈 250. 커버

Claims (14)

  1.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장치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에 있어서,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생성 또는 전달하는 패턴 인쇄부가 형성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쇄부는, 전류가 흐르는 전기 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쇄부는, 도전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쇄부는, 터치 패널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LED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안내부는, 터치 패널의 전면에 각인됨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안내부는, 잉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의 전면에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안내부는, 별개로 하나의 층을 이뤄 터치 패널의 전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후면에는, 패턴 인쇄부가 형성되면서도 별도의 전기적 부품은 탑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후면에 구비되지 않는 전기적 부품은 메인 피씨비에 추가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쇄부와 메인 피씨비는 접촉식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과 메인 피씨비 사이에는, 터치 패널과 메인 피씨비가 안착되는 몸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조작 안내부의 가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
KR1020210007007A 2021-01-18 2021-01-18 터치 패널 시스템 KR20220104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07A KR20220104547A (ko) 2021-01-18 2021-01-18 터치 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07A KR20220104547A (ko) 2021-01-18 2021-01-18 터치 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47A true KR20220104547A (ko) 2022-07-26

Family

ID=8260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07A KR20220104547A (ko) 2021-01-18 2021-01-18 터치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45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71Y1 (ko) 2010-02-26 2011-01-05 (주)휴먼전자엔씨 터치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71Y1 (ko) 2010-02-26 2011-01-05 (주)휴먼전자엔씨 터치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253B2 (en) Backlighting appliance deadfronted user interfaces
JP5148606B2 (ja) 加熱調理器
JP5080561B2 (ja) 家庭電気器具用の制御ユニット
KR101385969B1 (ko) 화상형성장치
US7923654B2 (en) Capacitive touch switch and domestic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US7915553B2 (en) Touch switch for electrical appliances and electrical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CN100466868C (zh) 感应加热烹调器
CN102262464B (zh) 触控式透明键盘
CN205003632U (zh) 终端
JP2008091193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5068685A (zh) 终端
JP4494164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KR20220104547A (ko) 터치 패널 시스템
EP3005024A1 (e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apparatus
JP6762885B2 (ja) 炊飯器
JP2002228160A (ja) 加熱調理器
EP3522680B1 (en) User interface for a domestic appliance
JP418840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02154B2 (ja) 調理器の操作パネル
CN214697335U (zh) 智能门锁
CN216981887U (zh) 集成微波侦测功能的触控装置
CN212930160U (zh) 一种显示面板和烟机
CN215628805U (zh) 可操作显示屏及衣物处理设备
EP3594792B1 (en) A touch control system
EP4312371A1 (en) Parametrizable, illumination-supported control element, and parametrization method for an illumination-supported control element for building instal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