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341A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4341A KR20220104341A KR1020210006472A KR20210006472A KR20220104341A KR 20220104341 A KR20220104341 A KR 20220104341A KR 1020210006472 A KR1020210006472 A KR 1020210006472A KR 20210006472 A KR20210006472 A KR 20210006472A KR 20220104341 A KR20220104341 A KR 202201043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mical
- housing
- storage tank
- door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에 케미컬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개폐가능한 도어; 도어의 안쪽에 마련되어, 케미컬 운송수단과 유체 연결되며 단부에 커넥터가 결합된 호스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커넥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케미컬 저장 탱크에 유체 연결되며, 하우징의 내부에서 거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대응 커넥터; 거치부에 거치되는 호스를 대응 커넥터로 이송하여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를 연결하는 이송/연결 유닛; 및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공간에 청정 기체를 공급하여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양압으로 유지하는 기체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미컬 저장 탱크와 운송수단 간의 유체 연결시 불가피하게 개방되는 도어나 개구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케미컬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학약품 공장이나 반도체 공장 등에 설치되는 케미컬 저장 탱크와 케미컬 운송수단 간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약품 공장 등과 같이 대량의 케미컬을 사용 또는 공급하는 공장에는 케미컬 저장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케미컬 저장 탱크에 케미컬을 공급하여 채우거나 또는 반대로 케미컬 저장 탱크의 케미컬을 다른 곳으로 운송하는 데에 탱크로리나 드럼과 같은 케미컬 운송수단을 사용한다. 즉, 케미컬 저장 탱크와 케미컬 운송수단 간에 케미컬의 이송이 필요하고, 이러한 케미컬의 이송을 위해서는 케미컬 저장 탱크(이하, 간략히 저장 탱크라 하기도 한다)와 케미컬 운송수단(이하, 간략히 운송수단이라 하기도 한다) 간의 결합(유체 연결)이 필수적이다.
전형적으로 운송수단이 탱크로리인 경우, 저장 탱크와 운송수단 간의 결합은, 일단이 탱크로리에 연결되고 타단에 커넥터가 결합된 호스를, 일단이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는 대응 커넥터를 가지는 ACQC(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유닛이라 불리는 유닛에 연결함으로써 저장 탱크와 운송수단을 유체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약품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케미컬은 인체나 환경에 유해, 유독한 것이 많고 누출시 사고 위험이 있는 것도 있어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운송수단측 호스는 외기에 노출되어 눈비나 먼지 등에 의해 오염의 위험이 상존하고, 오염된 호스(커넥터)를 대응 커넥터에 연결하면 오염 물질이 저장 탱크에 혼입될 수 있다.
이에, 특허문헌 1과 2에는 탱크로리의 호스를 ACQC 유닛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장치)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과 2에 개시된 자동 연결 장치에서는, 공통적으로, 하우징 또는 캐비닛의 형태로 외부와 차단된 자동 연결 장치의 내부 일측에 호스 거치대를 마련하고 내부 타측에는 ACQC 유닛을 배치한다. 또한, 자동 연결 장치의 거치대 쪽에는 도어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도어를 열고 호스를 거치대에 거치하면 자동 연결 장치의 호스 이송수단이 호스를 ACQC 유닛 쪽으로 수평 이송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과 2에 개시된 자동 연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탱크와 탱크로리의 결합 과정에 작업자의 노출을 줄이고 연결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있으나, 여전히 호스의 거치 및 탈거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상기 도어를 마련하더라도 호스를 거치대에 거치할 때에는 도어를 열 수밖에 없어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이 불가피하고, 호스의 거치후에는 도어를 닫는다고 하더라도 도어에는 호스가 통과하는 개구가 뚫려 있어 개구를 통한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를 통한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과 케미컬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미컬 저장 탱크와 케미컬 운송수단 간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에 케미컬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개폐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의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케미컬 운송수단과 유체 연결되며 단부에 커넥터가 결합된 호스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케미컬 저장 탱크에 유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거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대응 커넥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호스를 상기 대응 커넥터로 이송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대응 커넥터를 연결하는 이송/연결 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공간에 청정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양압으로 유지하는 기체 분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대응 커넥터 사이의 일 지점을 경계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서브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공간이 상기 거치부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일자형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윈도우를 향해 상기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 커넥터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서브 공간의 경계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서브 공간을 서로 차단하는 개폐가능한 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연결 유닛은, 상기 거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송함에 의해 상기 호스를 상기 대응 커넥터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셔터는, 닫혔을 때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부 셔터와, 상기 상부 셔터의 하방에 배치되어 닫혔을 때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상부 셔터와 만나는 하부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셔터는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셔터는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호스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미컬 저장 탱크와 운송수단 간의 유체 연결시 불가피하게 개방되는 도어나 개구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케미컬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에서 도어가 개방되고 호스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기체 분사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기체 분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하우징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바라본 측방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에서 도어가 개방되고 호스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기체 분사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기체 분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하우징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바라본 측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 수직, 수평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나, 이러한 방향은 사물이 놓여진 방향과 관찰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케미컬이라 함은 순수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의 각종 용액과 같은 액체, 나아가 액체에 분말등이 혼합된 슬러리(slurry)와 같이 에멀젼 상태나 페이스트 상태의 것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기체 상태의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체 상태의 케미컬을 이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미컬 운송수단으로서 케미컬 탱크로리를 사용하고 이 탱크로리로부터 건물 내의 저장 탱크로 케미컬을 이송하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되고 호스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케미컬 이송 시스템은, 캐비닛 또는 부스 형태의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방 하우징(11)과, 후방 하우징(11)보다 작은 크기로 후방 하우징(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2)은 작업자가 호스(H)를 거치부(30)에 거치하고 탈거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고, 후방 하우징(11)은 거치부(30)에 거치된 커넥터(C)가 거치부(30)와 반대측에 마련된 대응 커넥터(38) 쪽으로 이송되어 연결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케미컬 이송 시스템은 건물 벽체(도시 생략)에 매립되어 전방 하우징(12)이 건물 벽체의 개방부를 통해 벽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전방 하우징(12)과 후방 하우징(11)으로 나뉘어 구현되었지만, 전후방 하우징의 구분 없이 하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전방 하우징(12))의 일측(전면)에는 조작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 패널(15)에는 커넥터(C)와 대응 커넥터(38)의 연결 작업을 포함한 케미컬의 이송 작업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필요한 조작을 위해 누르는 버튼(스위치)과, 시스템의 상태나 비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램프나 디스플레이, 비상 정지 스위치 등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전방 하우징(12))의 일측, 즉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20)를 열고 호스(H)를 거치부(30)에 거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도어(20)는 좌우 한 쌍으로 각각 좌우로 열리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어는 미닫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한 쌍이 아닌 하나의 도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하 여닫이 또는 상하 미닫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2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하는 형태로 구현되었지만, 공압 실린더 등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 개폐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15)의 버튼(스위치)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20)에는 호스(H)가 통과가능한 개구(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개구(22)는 도어(20)의 하부 일부가 오목하게 리세스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22)는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었지만, 두 개의 호스(H) 각각이 통과가능한 두 개의 반원형 또는 U자형 개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22)에 의해, 작업자가 도어(20)를 열고 호스(H)(커넥터(C))를 거치부(30)에 거치한 다음 도어(20)를 닫더라도, 개구(22)를 통해 호스(H)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고, 커넥터(C)가 대응 커넥터(38)를 향해 이송되더라도 개구(22)를 통해 호스(H)가 하우징(10) 내부로 출입가능하여, 커넥터(C)와 대응 커넥터(38)의 연결 작업을 포함한 케미컬의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를 닫고 작업하는 경우, 호스(H)의 통과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을 제외하고 하우징(10)의 내외부를 차단하여 외부 오염물질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것과 케미컬이 하우징(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20)에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개구(22)를 개폐하는 개구 커버(25)를 더 마련할 수 있다. 개구 커버(25)는 하우징(전방 하우징(12))의 전면에서 도어(20)의 중앙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개구(22)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개구 커버(25)는 전방 하우징(12)과 도어(20)의 안쪽에서 개구(22)보다 약간 더 큰 판상으로 이루어져, 개구 커버(25)를 아래로 밀어 내리면 개구(22)가 열리고(도 2), 시스템의 비사용시에는 개구 커버(25)를 위로 밀어 올려 개구(22)를 닫아둘 수 있다. 개구 커버(25)는 손잡이(27)를 이용하여 수동 조작 가능하고, 공압 실린더 등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개구 커버(25)는 하우징(12)과 도어(20)의 안쪽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개구(22)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지만, 하우징(12)과 도어(20)의 바깥쪽에서 상하로 회동하여 개구(22)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우징(전방 하우징(12))의 안쪽, 즉 도어(20)의 안쪽에는 호스(H)(커넥터(C))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30)가 마련된다. 즉, 거치부(30)는 하우징(10)의 안쪽에서 되도록 작업자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도어(20)의 안쪽에서 거치부(30)와 도어(20)의 사이에는 호스(H)를 지지하는 호스 가이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호스 가이드(35)는 3개의 롤러가 대략 U자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 가이드(35)는 특히 커넥터(C)가 대응 커넥터(38)를 향해 전진하였을 때 아래로 처질 수 있는 호스(H)를 받쳐주고, 좌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호스(H)가 원활하게 하우징(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거치부(30)와 호스 가이드(35)는 각각, 좌우에 하나씩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호스(H), 커넥터(C) 및 대응 커넥터(38)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호스(H), 커넥터(C) 및 대응 커넥터(38)는 탱크로리로부터 건물측으로 케미컬을 이송하기 위한 케미컬용의 호스,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와, 건물측의 불활성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공급 받는 불활성 기체용의 호스,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를 포함한다. 한 쌍의 커넥터(C)는 탱크로리와 유체 연결되며, 한 쌍의 대응 커넥터(38) 중 케미컬용 대응 커넥터는 건물측의 케미컬 저장 탱크에 유체 연결되고, 불활성 기체용 대응 커넥터는 건물측의 불활성 기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은, 건물측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불활성 기체의 압력에 의해 탱크로리 내부의 케미컬을 건물측 케미컬 저장 탱크로 압송하는 방식으로 케미컬을 이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펌프를 이용하여 케미컬을 이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위한 구성, 즉 불활성 기체용의 호스,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가 생략되어 각각 하나씩의 호스,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거치부(30)에 거치된 커넥터(C)는 이송/연결 유닛(40)에 의해 대응 커넥터(38) 쪽으로 이송되어 커넥터(C)의 선단부가 대응 커넥터(38)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C)와 대응 커넥터(38)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송/연결 유닛(40)은 공압 실린더나 모터와 동력전달 기구 등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되며, 본 실시예에서 이송/연결 유닛(40)은 한 쌍의 거치부(30)(케미컬용 거치부와 불활성 기체용 거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거치부(30)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연결 유닛(40)은 한 쌍의 거치부(30) 사이의 상방에 가이드 레일(42)을 배치하고, 한 쌍의 거치부(30)를 거치부 프레임(32)을 개재하여 가이드 레일(42)을 따라 수평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연결 유닛이 커넥터(C) 및 거치부(3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이송/연결 유닛이 커넥터(C) 및 거치부(3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C)에서 누출된 케미컬이 낙하하더라도 가이드 레일 등의 이송/연결 유닛을 오염 및 부식시키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H)(커넥터(C))를 거치부(30)에 거치하기 위해 도어(20)와 도어 커버(25)를 열면 하우징(전방 하우징(12))에는 커다란 윈도우(W)가 형성되고, 이 윈도우(W)를 통해 시스템의 내외부가 연통되어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호스(H)(커넥터(C))를 거치부(30)에 거치한 다음 도어(20)를 닫더라도 개구(22)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케미컬 이송 시스템은 케미컬 이송 작업을 위해 불가피하게 열리는 공간으로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청정 기체(공기나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여 하우징(10)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하는 기체 분사부(50)를 구비한다. 이 기체 분사부(5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분사부(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방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작업자를 향해 바깥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기체 분사부(50)는 도어(20)와 거치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전방 하우징(12))의 내부로 청정 기체를 분사하여 하우징(전방 하우징(12))의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기체 분사부(50)는 도어(20)의 안쪽에서 도어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윈도우(W)의 일측(상방)에서 타측(하방)으로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일자형 노즐(51; 도 3 참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체 분사부(50)는 도어(20)의 안쪽에서 윈도우(W)를 향해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5; 도 4 참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일자형 노즐(51)은 윈도우(W)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일자형 노즐(51)의 개수와 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노즐(55)의 개수와 위치도 도 4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기체 분사부(50)는 반드시 노즐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일자형 노즐(51) 또는 복수의 노즐(55)에 의해 분사되는 청정 기체는 전방 하우징(12)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함과 함께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전방 하우징(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하우징 내부의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윈도우(W) 또는 개구(22)를 통해 하우징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거치를 위해 전방 하우징(12) 내부로 진입하는 호스(H)와 커넥터(C) 표면 또는 작업자의 손과 팔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씻어내어 마찬가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체 분사부(50)를 이용하여 하우징(10)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하면 외부 오염물질의 하우징(10)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하우징(10) 내부에 존재하는 케미컬, 특히 케미컬 증기도 윈도우(W) 또는 개구(22)를 통해 하우징 바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체 분사부(50)가 일부의 공간,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으로 청정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거치부(30)와 대응 커넥터(38) 사이의 일 지점(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하우징(12)과 후방 하우징(11)의 경계 지점)을 경계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서브 공간으로 구획하면, 주로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이 우려되는 부분은 도어(20)에 가까운 거치부(30)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이고, 케미컬 증기는 주로 대응 커넥터(38)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기체 분사부(50)가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으로 청정 기체를 공급하여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이 양압이 되면, 후방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케미컬 증기가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케미컬 증기가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도어(20)나 개구(2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하우징(11)의 내부에, 후방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도시 생략)를 마련하면, 이 서브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케미컬 증기도 배기부에 의해 배기되므로 케미컬 증기가 전방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도어(20)나 개구(2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두 개의 서브 공간의 경계에 배치되어 두 개의 서브 공간을 서로 차단하는 개폐가능한 셔터를 구비하면 케미컬 증기의 외부 유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셔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케미컬 이송 시스템의 후방 하우징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바라본 측방 사시도로서, 거치부(30)에 거치된 호스(H)(커넥터(C))가 대응 거넥터(38)를 향해 이송되어 후방 하우징(11)의 내부로 진입하고 셔터(62, 65)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셔터(62, 65)는 전방 하우징(12)과 후방 하우징(11)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42)과 호스(H)는 후방 하우징(11)과 전방 하우징(12)에 모두 걸쳐 있다. 따라서, 셔터(62, 65)에는 가이드 레일(42)과 호스(H)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C), 거치부(30) 및 거치부 프레임(32)은 후방 하우징(11)으로 진입하기 위해 셔터(62, 67)가 설치된 전후방 하우징(11, 12)의 경계를 지나야 한다. 따라서, 셔터(62, 67)는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의 가이드 레일(42) 좌우로 케미컬용과 불활성 기체용의 거치부(30) 및 거치부 프레임(32)이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셔터는, 닫혔을 때 가이드 레일(4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부 셔터(62)와, 상부 셔터의 하방에 배치되어 닫혔을 때 호스(H)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부 셔터(62)와 만나는 하부 셔터(65)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셔터(62)는 공압 실린더(63)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셔터(65)는 공압 실린더(67)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미컬 저장 탱크와 운송수단 간의 유체 연결시 불가피하게 개방되는 도어나 개구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내부의 케미컬(케미컬 증기)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탱크로리로부터 건물 내의 저장 탱크로 케미컬을 이송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와 반대 방향, 즉 건물 내의 저장 탱크로부터 탱크로리로 케미컬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케미컬 이송 시스템이 건물 벽체 내에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시스템은 트인 공간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 탱크는 지하나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하우징
11: 후방 하우징
12: 전방 하우징
20: 도어
22: 개구
25: 개구 커버
27: 손잡이
30: 거치부
32: 거치부 프레임
35: 호스 가이드
38: 대응 커넥터
40: 이송/연결 유닛
42: 가이드 레일
50: 기체 분사부
51: 일자형 노즐
55: 노즐
62: 상부 셔터
65: 하부 셔터
63, 67: 공압 실린더
C: 커넥터
H: 호스
11: 후방 하우징
12: 전방 하우징
20: 도어
22: 개구
25: 개구 커버
27: 손잡이
30: 거치부
32: 거치부 프레임
35: 호스 가이드
38: 대응 커넥터
40: 이송/연결 유닛
42: 가이드 레일
50: 기체 분사부
51: 일자형 노즐
55: 노즐
62: 상부 셔터
65: 하부 셔터
63, 67: 공압 실린더
C: 커넥터
H: 호스
Claims (10)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 간에 케미컬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개폐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의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케미컬 운송수단과 유체 연결되며 단부에 커넥터가 결합된 호스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케미컬 저장 탱크에 유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거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대응 커넥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호스를 상기 대응 커넥터로 이송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대응 커넥터를 연결하는 이송/연결 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공간에 청정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양압으로 유지하는 기체 분사부를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대응 커넥터 사이의 일 지점을 경계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서브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공간이 상기 거치부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인,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일자형 노즐을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윈도우를 향해 상기 청정 기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가 위치하는 서브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브 공간의 경계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서브 공간을 서로 차단하는 개폐가능한 셔터를 더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연결 유닛은, 상기 거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송함에 의해 상기 호스를 상기 대응 커넥터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셔터는, 닫혔을 때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부 셔터와, 상기 상부 셔터의 하방에 배치되어 닫혔을 때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상부 셔터와 만나는 하부 셔터를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셔터는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셔터는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호스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472A KR20220104341A (ko) | 2021-01-18 | 2021-01-18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472A KR20220104341A (ko) | 2021-01-18 | 2021-01-18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4341A true KR20220104341A (ko) | 2022-07-26 |
Family
ID=8260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472A KR20220104341A (ko) | 2021-01-18 | 2021-01-18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4341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6625B1 (ko) | 2016-12-06 | 2017-09-11 | (주)에스티아이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KR102151980B1 (ko) | 2018-09-21 | 2020-09-04 | 호산테크 주식회사 | Acqc 유닛용 밀폐형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
-
2021
- 2021-01-18 KR KR1020210006472A patent/KR2022010434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6625B1 (ko) | 2016-12-06 | 2017-09-11 | (주)에스티아이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KR102151980B1 (ko) | 2018-09-21 | 2020-09-04 | 호산테크 주식회사 | Acqc 유닛용 밀폐형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2537B1 (ko) |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 |
KR101779493B1 (ko)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
KR101796655B1 (ko)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
CN109424857B (zh) | 化学品自动供给装置的安装结构 | |
KR101776625B1 (ko)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
CN111565893A (zh) | 高压气罐的垫圈自动更换装置 | |
KR101872256B1 (ko)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설치구조 | |
EP0082950B1 (en) | Liquid supply device for an endoscope | |
KR102110403B1 (ko) | 케미컬 샘플링 장치 | |
US20230175632A1 (en) | Coupler and clean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220104341A (ko) |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 |
KR20230050169A (ko) | 호스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연결 시스템용 도어 장치 | |
US8955341B2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servicing cooling systems in vehicles | |
KR102174254B1 (ko) | 매니폴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케미컬 샘플링 장치 | |
US11859744B2 (en) | Automatic chemical supply apparatus having opening shutter unit | |
KR102151980B1 (ko) | Acqc 유닛용 밀폐형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 |
KR102161183B1 (ko) | 폭 가변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 |
CN109422227B (zh) | 化学品自动供给装置 | |
KR102553836B1 (ko) | 바닥면 세척 시스템 | |
KR100544487B1 (ko) | 기판 처리시스템 | |
KR101394461B1 (ko) | 소방용 진공펌프 | |
KR20240010909A (ko) | 케미컬 유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자동 케미컬공급장치 | |
KR102464957B1 (ko) |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 |
KR20200016465A (ko) | 냉각 습식 스크러버 | |
KR200196948Y1 (ko) | 고순도 케미칼 이송용 호스 자동 연결 장치의 캐비넷 취부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