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55B1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55B1
KR101796655B1 KR1020170108429A KR20170108429A KR101796655B1 KR 101796655 B1 KR101796655 B1 KR 101796655B1 KR 1020170108429 A KR1020170108429 A KR 1020170108429A KR 20170108429 A KR20170108429 A KR 20170108429A KR 101796655 B1 KR101796655 B1 KR 10179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nitrogen
stage
connec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춘
송용익
김동현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7010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는,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케미컬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미컬 탱크에 연결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거치부(15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송유닛(160)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케미컬 저장탱크 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의 단부에는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케미컬용 암커넥터(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서로 다른 위치로 각각 이송하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를 전방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송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미컬 자동공급장치{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CHEMICAL}
본 발명은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미컬 공급을 위한 호스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반도체 장치, LCD, OLED를 제조하는 회사와 제약회사 및 페인트 회사 등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모든 회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케미컬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케미컬을 안전하게 공급하는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케미컬은 건물 외부에 정차된 탱크로리(tank lorry)의 케미컬 탱크에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케미컬 저장탱크(chemical storage tank)로 케미컬을 이송시킨 다음, 케미컬 저장탱크에서 단위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로리에서 케미컬 저장탱크로 케미컬을 이송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미컬 공급용 호스를 커넥터에 연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었고,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탱크로리에는 케미컬을 공급하기 위한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질소용 호스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의 단부에는 케미컬용 수커넥터(Male Connector)와 질소용 수커넥터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수커넥터에는 그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캡(Cap)이 각각 씌워져 있다.
또한,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의 수커넥터와 질소용 호스의 수커넥터를 각각 삽입하기 위한 케미컬용 암커넥터(Female Connector)와 질소용 암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와 질소용 암커넥터에도 그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캡(Cap)이 각각 씌워져 있다.
작업자가 상기 탱크로리에서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를 인출하고, 케미컬용 수커넥터와 질소용 수커넥터에 결합된 캡, 케미컬용 암커넥터와 질소용 암커넥터에 결합된 캡을 분리시킨다. 그 후, 케미컬용 수커넥터를 케미컬용 암커넥터에 결합하고, 질소용 수커넥터를 질소용 암커넥터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구비된 질소저장탱크에서 질소용 호스를 통해 탱크로리에 일정 압력의 질소를 공급하면, 탱크로리 내부의 케미컬이 질소의 압력에 의해 케미컬용 호스를 통해 케미컬 저장탱크로 이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미컬용 및 질소용 커넥터를 결합/분리하고, 일정 압력의 질소를 공급함에 따라 케미컬이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 작업자가 케미컬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72537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572537호에서는, 탱크로리와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에 ACQC 유닛(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Unit)이라고 하는 케미컬 중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케미컬 저장탱크는 통상 건물 내부에 구비되고, ACQC유닛은 건물 외부에 있는 탱크로리의 케미컬 탱크와 건물 내부에 있는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에서 중계역할을 한다.
상기 종래의 ACQC 유닛에 의하면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를 거치부에 각각 안착시킨 다음, 상기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를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도면부호 33a,33b)에 의해 직선 이동시켜 ACQC 유닛에 구비된 케미컬용 암커넥터와 질소용 암커넥터에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의 수커넥터를 각각 연결시킨다.
이렇게 케미컬용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연결되고, 질소용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ACQC 유닛을 통해 탱크로리의 케미컬 탱크에 일정 압력의 질소를 공급하고 그 공급 질소의 압력으로 케미컬이 토출되어 케미컬용 호스를 통해 케미컬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은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를 한 번의 직선 이송으로 케미컬용 암커넥터와 질소용 암커넥터에 호스의 수커넥터를 각각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한 번의 직선 이송으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구조에 의하면,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내부까지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내부까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려면 이송수단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가 안착되는 거치부로부터 암커넥터가 위치한 지점까지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제1/제2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의 공차 및 조립 공차 등을 감안하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중심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한 번의 직선 이송으로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삽입하면, 중심의 불일치로 인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몸체끼리 서로 부딪혀 충돌하게 되고,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충돌 및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해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호스를 거치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작업자와 거치부 사이의 거리가 멀면 작업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호스를 거치부에 안착시켜야 하나, 이와 같이 작업을 하면 호스의 무게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에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를 밀폐하기 위한 캡을 파지하는 방식으로 캡의 탈착이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캡과 암커넥터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에 삽입될 때 커넥터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호스를 거치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거치부가 최대한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미컬 자동공급장치는,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케미컬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미컬 탱크에 연결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거치부(15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송유닛(160)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케미컬 저장탱크 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의 단부에는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케미컬용 암커넥터(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서로 다른 위치로 각각 이송하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를 전방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송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거치부(150)가 상부에 적재되는 제1스테이지(161), 상기 제1스테이지(161)가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스테이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상기 거치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5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161)와 거치부(150)를 상기 제2스테이지(163)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150)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안착되는 케미컬용 거치부(150-1), 상기 케미컬 탱크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질소용 호스(600)가 안착되는 질소용 거치부(15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테이지(161)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질소용 구동부(16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양측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해 상기 제2스테이지(163)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중간스테이지(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는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질소용 암커넥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방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질소용 구동부(16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방으로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고, 상기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는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질소용 암커넥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질소용 구동부(16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150)를 전후 이송하는 경우 상기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의 속도를 낮추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의하면, 케미컬을 이송하기 위한 호스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유닛을 다단 스테이지로 구성함으로써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완전히 결합시킬 수 있어, 케미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 구동부에 의한 거치부의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에 삽입될 때 커넥터 간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중심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완전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가 안착되는 거치부가 벽체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미컬 저장탱크 측의 암커넥터의 단부를 밀폐하는 암커넥터 캡을 암커넥터에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에 캡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암커넥터 캡을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은 캡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암커넥터에 암커넥터 캡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암커넥터와 암커넥터 캡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서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케미컬용 호스와 질소용 호스가 안내부에 의해 안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케미컬용 호스가 차단도어의 안내부를 통과하여 거치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유닛에서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1스테이지 구동부에 의해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 제2스테이지 구동부에 의해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제1스테이지 구동부에 의해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에 결합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거치부가 이송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거치부가 벽체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이 상향 이동되어 케미컬용 암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이 케미컬용 암커넥터의 삽입홈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이 케미컬용 암커넥터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는, 하우징본체(200)에 구비된 케미컬용 암커넥터(210; 도 5)와 질소용 암커넥터(미도시)에 탱크로리(tank lorry)의 케미컬 탱크(미도시)에 연결된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 결합된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방향을 지시함에 있어서, 상기 차단도어(130)를 기준으로 탱크로리와 작업자가 있는 위치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상기 하우징본체(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방이라 한다.
상기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는, 이송용하우징(105), 프레임틀(120), 차단도어(130), 거치부(150), 이송유닛(160), 측부도어(170), 제어판넬(175), 고정유닛(180),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하우징(105)과 대면하는 하우징본체(200)의 일측면에는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200)의 내부에는 케미컬용 호스(500)를 통해 공급된 케미컬을 케미컬 저장탱크(미도시)로 분배하거나,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를 세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150)는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각각 거치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이송부하우징(1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가 거치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이송유닛(160)은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각각 이송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60)의 일측 단부는 벽체(700)에 형성된 개방부(701)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벽체(700)는 건물을 구성하는 벽으로서, 도 1에서는 건물 벽체(700)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상기 개방부(701)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하도록 뚫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방부(701)의 내부에는 프레임틀(120)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틀(120)에는 상기 차단도어(130)와 측부도어(17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틀(120)은 단면이 사각형의 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701)에 일측단이 삽입된 상기 이송유닛(16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부도어(170)는 상기 프레임틀(12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의 공간에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17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단도어(130)는 상기 측부도어(170)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틀(120)의 일측 개방된 부분(즉, 벽체(700)의 개방부(701))을 폐쇄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단도어(130)는 하부도어(131)와 상부도어(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도어(131)는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도어(132)는 상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도어(131)와 상부도어(132)를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고, 하부도어(131)와 상부도어(132)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개방시킬 수도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도어(131)와 상부도어(132) 사이에는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35)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135)는 하부도어(131)와 상부도어(132)를 닫았을 때 하부도어(131)의 상단부와 상부도어(132)의 하단부 사이로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케미컬 이송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에도 이송부하우징(105)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송부하우징(105) 내부의 케미컬 또는 흄(Fume)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35)는 케미컬용 호스(500)가 통과하는 케미컬용 안내부(135-1)와 질소용 호스(600)가 통과하는 질소용 안내부(13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미컬용 안내부(135-1)는, 케미컬용 호스(5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136-1), 상기 개구부(136-1)의 주위인 상하좌우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부재(137-1,138-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6-1)는 하부도어(131)의 상단부와 상부도어(132)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도어(131)의 상단부 일부영역이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도어(132)의 하단부 일부 영역을 절개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도어(132)와 하부도어(131) 양측 모두에 절개된 영역이 형성되고, 그 절개된 영역이 서로 이웃하도록 위치되어 그 절개된 영역을 통해 케미컬용 호스(500)가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된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7-1,138-1)는 그 중심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케미컬용 호스(500)가 이동하는 경우 호스(5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마찰 또는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137-1,138-1)는 하부도어(131)의 상단부로서 절개된 영역의 좌우과 하부에 각각 결합된 3개의 하부회전부재(137-1;제1회전부재), 상부도어(132)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부회전부재(138-1;제2회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부재(137-1)와 상부회전부재(138-1)는 롤러 또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부재(137-1)는 그 중심축이 하부도어(13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회전부재(138-1)는 그 중심축이 상부도어(13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회전부재(137-1)와 상부회전부재(138-1)는 각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하부회전부재(137-1)와 1개의 상부회전부재(138-1)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도어(132)에 복수의 회전부재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질소용 안내부(135-2)는 케미컬용 안내부(135-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질소용 호스(6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136-2), 상기 개구부(136-2)의 상하좌우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부재(137-2,13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질소용 호스(600)는 상기 질소용 안내부(135-2)의 개구부(136-2)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137-2,138-2)에 의해 안내되어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132)에는 상기 이송부하우징(105)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3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물 벽체(700)의 외부에서도 이송부하우징(105)의 내부 구동 모습 및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하부도어(131)에는 작업자가 비상시에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의 구동을 긴급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정지스위치(134)가 구비되어 있다. 건물 외부에서 탱크로리 측의 긴급한 비상 상황 또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 내부의 비상 상황을 인지하였을 경우 작업자는 상기 비상정지스위치(134)를 누름으로써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본체(200) 또는 이송부하우징(105) 내부에서 케미컬이 누출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알람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케미컬 누출시 상기 알람수단의 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여 상기 비상정지스위치(134)를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단도어(130)에는 도어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열림 감지용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차단도어(130)가 열렸을 경우 상기 열림 감지용 센서의 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면, 제어부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가 구동되지 않도록 인터록(interlock)을 설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송유닛(16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유닛(160)은, 상기 거치부(150)가 상부에 적재되는 제1스테이지(161), 상기 거치부(150)를 상기 제1스테이지(16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 제1구동부), 상기 제1스테이지(161)가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스테이지(163), 상기 제1스테이지(161)와 거치부(150)를 상기 제2스테이지(163)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 제2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와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거치부(150)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 및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안착되는 케미컬용 거치부(150-1), 상기 케미컬 탱크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질소용 호스(600) 및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안착되는 질소용 거치부(150-2)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만 거치부(150-1,150-2)에 안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커넥터(510,610)에 호스(500,6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거치부(150-1,150-2)에 안착된다.
상기 제1스테이지(161)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고, 그 상부에 케미컬용 거치부(150-1)와 질소용 거치부(150-2)가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 이동시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질소용 구동부(16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와 제1질소용 구동부(162-2)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해 그 측부에는 에어(Air)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62-1,162-2)는 에어 실린더 대신 모터와 리니어 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스테이지(163)는 제1스테이지(161) 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스테이지(163)의 후방 단부는 벽체(700)의 개방부(701) 내부에 위치하고, 전방 단부는 암커넥터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1스테이지(161)와 제2스테이지(163) 사이에는 중간스테이지(165)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스테이지(165)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 단부에는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중간스테이지(165)는 상기 제2스테이지(163)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해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고, 상기 중간스테이지(165)의 저면과 제2스테이지(163)의 상면 사이에는 전후 방향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중간스테이지(165)에 연결된 리니어 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리니어 스크류가 회전하고, 상기 리니어 스크류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중간스테이지(165)가 전후 방향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160)을 제1스테이지(161)와 제2스테이지(163)의 2단 스테이지로 구성하게 되면,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의 위치까지 1차적으로 이동시킨 후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완전히 결합시키도록 2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완전한 결합을 통해 케미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2스테이지(163)와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가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를 동시에 전후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를 이송하기 위한 제2케미컬용 스테이지(미도시)와 제2케미컬용 구동부(미도시), 상기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를 이송하기 위한 제2질소용 스테이지(미도시)와 제2질소용 구동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단 스테이지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2단 이상의 스테이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이송유닛(160)의 일측 단부가 벽체(700)에 형성된 개방부(701)에 삽입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벽체(700)의 개방부(701)에 이송유닛(16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틀(120) 내부에 거치부(150)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거치부(150-1,150-2)에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벽체(700)의 두께가 상당히 두껍고, 거치부(150-1,150-2)가 벽체(700)에서 건물 내부 방향으로 이격된 이송부하우징(105) 내부에 거치부(150-1,150-2)가 위치해 있다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거치부(150)에 안착시켜야 한다.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는 무게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작업을 하게 되면 근골격계의 부상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테이지(163)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개방부(70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163)의 상부에 적재된 제1스테이지(161-1,161-2)와 거치부(150-1,150-2)가 상기 개방부(701)에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2스테이지(163)가 개방부(701)에 삽입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스테이지(163)가 개방부(701)에 삽입되지 않고, 거치부(150-1,150-2)와 제1스테이지(161-1,161-2)만 개방부(701)에 삽입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스테이지(161-1,161-2)의 단부가 제2스테이지(163)의 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거치부(150-1,150-2)가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적재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고정유닛(180)과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유닛(180)은,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이탈되는 것과 상기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상기 질소용 암커넥터(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유닛(180)은, 케미컬용 수커넥터(510)를 고정하기 케미컬용 고정유닛(180-1)과, 질소용 수커넥터(610)를 고정하기 위한 질소용 고정유닛(180-2)이 각각 구비되나, 케미컬용 고정유닛(180-1)과 질소용 고정유닛(180-2)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케미컬용 고정유닛(180-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미컬용 고정유닛(180-1)은,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510a; 도 5)에 걸림되어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181-1,183-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181-1,183-1)는, 제1 걸림부재 구동부(182-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걸림부재(181-1), 제2 걸림부재 구동부(184-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재(18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걸림부재 구동부(182-1)와 제2 걸림부재 구동부(184-1)는 모터, 에어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재 구동부(182-1)에 의해 제1걸림부재(181-1)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걸림부재(181-1)는 단차부(510a)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걸림부재 구동부(184-1)에 의해 제2걸림부재(183-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걸림부재(183-1)는 단차부(510a)의 후방에 위치하여,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빠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닛(180)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수커넥터(510)와 걸림부재(181,183)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의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구비되고,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차부(211a)가 형성되어 있다. 케미컬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재(181,183)가 상기 단차부(211a)에 걸림됨으로써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정유닛(180)을 이용하여 수커넥터(510,610)와 캡(211)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은,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 구비된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의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질소용 암커넥터 캡(미도시)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홈(210a)이 형성되어 있고,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에 케미컬을 이송하지 않는 동안에는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삽입홈(210a)에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질소용 암커넥터 캡이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은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의 탈착을 위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1), 질소용 암커넥터 캡의 탈착을 위한 질소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2)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1)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질소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2)은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1)은,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192-1),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 케미컬용 상하 가이드(194-1),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195-1)를 포함한다.
상기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는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을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의 일측 단부가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192-1)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가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192-1) 상에서 전후 방향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는 에어 실린더 또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가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192-1) 상에서 전후 방향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케미컬용 상하 가이드(194-1)는 상하 방향의 길이로 이루어져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195-1)는 에어 실린더 또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와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192-1) 및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는 케미컬용 상하 가이드(194-1) 상에서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195-1)에 의해 일체로 상하 방향 이송된다.
또한, 상기 질소용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2)은 질소용 암커넥터 캡의 탈착을 위해 질소용 캡 고정부, 질소용 전후 가이드, 질소용 전후 구동부, 질소용 상하 가이드, 질소용 상하 구동부를 동일하게 포함한다.
도 11은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상향 이동되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195-1)를 구동시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 및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가 일체로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은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의 삽입홈(210a)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와 도 15는 도 12와 도 13의 상태에서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를 구동시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케미컬용 캡 고정부(191-1)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의 삽입홈(210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이 삽입홈(210a)에 삽입되면, 제1 걸림부재 구동부(182)와 제2 걸림부재 구동부(184)를 구동시켜 제1걸림부재(181)와 제2걸림부재(183)가 단차부(211a)에 걸림되도록 단차부(211a)의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을 고정시킨다.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을 케미컬용 암커넥터(2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질소용 암커넥터 캡의 경우에도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질소용 암커넥터에 결합되고,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케미컬 자동공급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차단도어(130)의 상부도어(132)를 상향회동시켜 개방시킨다. 이 경우 거치부(150)는 프레임틀(120) 내부의 위치로서, 차단도어(130)에 인접하게 위치해 있다.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는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의 개방된 전단부는 케미컬용 수커넥터 캡(미도시)과 질소용 수커넥터 캡(미도시)에 의해 각각 막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작업자가 탱크로리에서 인출하고, 상기 수커넥터 캡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한 후 프레임틀(120) 내부의 거치부(150)에 안착시킨다. 물론, 상기 수커넥터 캡은 수커넥터 캡 제거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를 거치부(150)에 안착시켜 고정하고, 케미컬용 호스(500)는 케미컬용 안내부(135-1)의 개구부(136-1)를 통과하게 되고, 질소용 호스(600)는 질소용 안내부(135-2)의 개구부(136-2)를 통과하도록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도어(132)를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닫게 되면,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는 차단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도 이송유닛(160)에 의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의 단부를 덮고 있던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질소용 암커넥터의 단부를 덮고 있던 질소용 암커넥터 캡(미도시)은 상기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190)에 의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로부터 자동으로 제거된다. 즉, 도 14와 도 15의 상태에서,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193-1)와 질소용 전후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도 12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질소용 암커넥터 캡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195-1)와 질소용 상하 구동부가 구동되어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211)과 질소용 암커넥터 캡이 상향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유닛(160)을 구동시키면 케미컬용 호스(500)와 질소용 호스(600)가 전방으로 직선 이동되어, 케미컬용 수커넥터(510)와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된다.
상기 이송유닛(160)을 구동하는 방법은,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를 먼저 구동하여 거치부(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를 구동하여 수커넥터(510,610)가 암커넥터(210,22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를 먼저 구동하여 수커넥터(510,610)를 암커넥터(210,220)의 근처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를 구동하여 수커넥터(510,610)가 암커넥터(210,22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에 의한 상기 거치부(150)의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의 구동에 의해 수커넥터(510,610)가 암커넥터(210,2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의 속도를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비하여 낮추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에 의한 거치부(150)의 전후 이동 속도는 이동되는 도중에 가변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한 상기 거치부(150)의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해 수커넥터(510,610)가 암커넥터(210,220)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속도를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에 비하여 낮추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한 거치부(150)의 전후 이동 속도는 이동되는 도중에 가변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 또는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커넥터(510,610)와 암커넥터(210,220)의 중심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수커넥터(510,610)가 암커넥터(210,220)에 삽입될 때 수커넥터(510,610)가 천천히 삽입됨으로써 커넥터 간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수커넥터(510,610)와 암커넥터(210,220)의 완전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커넥터(510,610)와 암커넥터(210,220)가 결합되면, 하우징본체(200) 내부로부터 질소용 호스(600)를 통해 탱크로리의 케미컬 탱크로 일정 압력의 질소가 공급되고, 상기 질소의 압력에 의해 탱크로리로의 케미컬 탱크에 있던 케미컬은 케미컬용 호스(500)를 통해 하우징본체(200) 내부의 배관을 경유하여 케미컬 저장탱크로 이송된다.
상기에서는 탱크로리의 케미컬 탱크에서 케미컬용 호스(500)를 통해 케미컬 저장탱크로 케미컬을 이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케미컬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케미컬을 케미컬용 호스(500)를 통해 탱크로리의 케미컬 탱크에 이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틀(120) 및 차단도어(130)는 이송용하우징(105)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벽체(700)의 개방부(70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이송용하우징(105)과는 분리되어 벽체(700)의 개방부(701)에 삽입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단도어(130)는 이송용하우징(105)에 일체로 결합되고, 프레임틀(120)은 벽체(700)의 개방부(70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용하우징(105)에 결합된 차단도어(130)가 상기 프레임틀(120) 내부에 삽입되어 프레임틀(120)의 일측을 개폐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단도어(130)만 벽체(700)의 개방부(701) 일측을 개폐하도록 벽체(700)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틀(120)은 상기 이송용하우징(105)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701)에 삽입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105 : 이송용하우징
120 : 프레임틀 130 : 차단도어
131 : 하부도어 132 : 상부도어
132a : 투시창 134 : 비상정지스위치
135 : 안내부 135-1 : 케미컬용 안내부
135-2 : 질소용 안내부 136-1,136-2 : 개구부
137-1,137-2 : 하부회전부재 138-1,138-2 : 상부회전부재
150 : 거치부 150-1 : 케미컬용 거치부
150-2 : 질소용 거치부 160 : 이송유닛
161 : 제1스테이지 161-1 :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
161-2 : 제1질소용 스테이지 162 : 제2스테이지
162-1 : 제1케미컬용 구동부 162-2 : 제1질소용 구동부
163 : 제2스테이지 164 : 제2스테이지 구동부
165 : 중간스테이지 170 : 측부도어
175 : 제어판넬 180 : 고정유닛
181 : 제1걸림부재 182 : 제1 걸림부재 구동부
183 : 제2걸림부재 184 : 제2 걸림부재 구동부
190 : 암커넥터 캡 제거유닛 191-1 : 케미컬용 캡 고정부
192-1 : 케미컬용 전후 가이드 193-1 : 케미컬용 전후 구동부
194-1 : 케미컬용 상하 가이드 195-1 : 케미컬용 상하 구동부
200 : 하우징본체 210 : 케미컬용 암커넥터
211 : 케미컬용 암커넥터 캡 220 : 질소용 암커넥터
500 : 케미컬용 호스 510 : 케미컬용 수커넥터
600 : 질소용 호스 700 : 벽체
701 : 개방부

Claims (9)

  1.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저장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케미컬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미컬 탱크에 연결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거치부(15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송유닛(160)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케미컬 저장탱크 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의 단부에는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케미컬용 암커넥터(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결합된 케미컬용 호스(500)를 서로 다른 위치로 각각 이송하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를 전방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송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60)은, 상기 거치부(150)가 상부에 적재되는 제1스테이지(161), 상기 제1스테이지(161)가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스테이지(1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상기 거치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5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161)와 거치부(150)를 상기 제2스테이지(163)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50)는, 상기 케미컬용 호스(500)가 안착되는 케미컬용 거치부(150-1), 상기 케미컬 탱크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질소용 호스(600)가 안착되는 질소용 거치부(15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테이지(161)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테이지 구동부(162)는,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후방향 이송하는 제1질소용 구동부(16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양측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에 의해 상기 제2스테이지(163)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중간스테이지(16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는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질소용 암커넥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방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질소용 구동부(16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방으로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고, 상기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용 호스(600)의 단부에는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저장탱크 측에는 질소용 암커넥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 구동부(1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케미컬용 스테이지(161-1)와 제1질소용 스테이지(161-2)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미컬용 구동부(16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거치부(150-1)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질소용 구동부(16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질소용 거치부(150-2)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질소용 수커넥터(610)가 질소용 암커넥터(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150)를 전후 이송하는 경우 상기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케미컬용 수커넥터(510)가 상기 케미컬용 암커넥터(2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의 속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20170108429A 2017-08-28 2017-08-28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179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29A KR101796655B1 (ko) 2017-08-28 2017-08-28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29A KR101796655B1 (ko) 2017-08-28 2017-08-28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08A Division KR101779493B1 (ko) 2016-12-06 2016-12-06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55B1 true KR101796655B1 (ko) 2017-11-10

Family

ID=6038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29A KR101796655B1 (ko) 2017-08-28 2017-08-28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5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63A (ko) * 2018-09-19 2020-03-27 호산테크(주) Acqc 유닛용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KR20200043869A (ko) * 2018-10-18 2020-04-2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동가능한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2105505B1 (ko) * 2019-01-14 2020-04-28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공급장치
KR20200043870A (ko) * 2018-10-18 2020-04-2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 호스의 키 코드 정렬 지그 및 방법
KR20200117674A (ko) * 2019-04-05 2020-10-14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20210000701A (ko) * 2019-04-05 2021-01-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20230019556A (ko) * 2021-08-02 2023-02-09 (주)에스티아이 개구 셔터부를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2673554B1 (ko) 2023-06-28 2024-06-1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멀티 커플러 연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37B1 (ko) *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37B1 (ko) *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898B1 (ko) * 2018-09-19 2020-09-10 호산테크(주) Acqc 유닛용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KR20200032963A (ko) * 2018-09-19 2020-03-27 호산테크(주) Acqc 유닛용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KR102161184B1 (ko) 2018-10-18 2020-09-2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동가능한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20200043870A (ko) * 2018-10-18 2020-04-2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 호스의 키 코드 정렬 지그 및 방법
KR102127569B1 (ko) 2018-10-18 2020-06-26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 호스의 키 코드 정렬 지그 및 방법
KR20200043869A (ko) * 2018-10-18 2020-04-2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동가능한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2105505B1 (ko) * 2019-01-14 2020-04-28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공급장치
WO2020213802A1 (ko) * 2019-01-14 2020-10-22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공급장치
KR20200117674A (ko) * 2019-04-05 2020-10-14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20210000701A (ko) * 2019-04-05 2021-01-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102207227B1 (ko) 2019-04-05 2021-01-2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102287974B1 (ko) 2019-04-05 2021-08-0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20230019556A (ko) * 2021-08-02 2023-02-09 (주)에스티아이 개구 셔터부를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2585021B1 (ko) 2021-08-02 2023-10-06 (주)에스티아이 개구 셔터부를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2673554B1 (ko) 2023-06-28 2024-06-1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멀티 커플러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493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1796655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1776625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CN109424857B (zh) 化学品自动供给装置的安装结构
KR101572537B1 (ko)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KR101872256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설치구조
KR101883372B1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수 커넥터 이송 주행장치
KR101843383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호스 거치구조
KR101779495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1894482B1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자동 삽입 시스템
KR20180002238A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수 커넥터 탑재 지지장치
KR102105505B1 (ko) 케미컬 공급장치
CN109422227B (zh) 化学品自动供给装置
KR20200043866A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3868A (ko) 폭 가변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CN115701508A (zh) 具有开口闸门的化学制剂自动供应装置
CN109422229B (zh) 化学品自动供给装置的软管搁置结构
CN109422226A (zh) 化学品自动供给装置
KR20220104341A (ko) 케미컬 운송수단과 케미컬 저장 탱크간 케미컬 이송 시스템
CN109422228B (zh) 化学品自动供给装置以及化学品自动供给装置的控制方法
US11725752B2 (en) Male connector holder for automatic chemical supply apparatus
KR102127569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의 키 코드 정렬 지그 및 방법
KR102548940B1 (ko) 완충 유닛을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102464957B1 (ko)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KR20230050169A (ko) 호스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연결 시스템용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1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116

Effective date: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