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725A -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725A
KR20220103725A KR1020227016975A KR20227016975A KR20220103725A KR 20220103725 A KR20220103725 A KR 20220103725A KR 1020227016975 A KR1020227016975 A KR 1020227016975A KR 20227016975 A KR20227016975 A KR 20227016975A KR 20220103725 A KR20220103725 A KR 2022010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unit
rigid
needle
inse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스 비외른 라스무센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0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2005/3201Coaxially assembled needle cannulas placed on top of another, e.g. need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강성 캐뉼라(2), 캐뉼라 유닛(3) 및 삽입 유닛(4)을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이 개시된다. 강성 캐뉼라(2)는 캐뉼라 유닛(3)에 연결된다. 캐뉼라 유닛(2)은 캐뉼라 유닛(3)의 장착 구조(32)에 장착되는 격막(31), 캐뉼라 유닛(3)을 캐뉼라 유닛 홀더(5)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33), 격막(3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동(34)을 포함한다. 강성 캐뉼라(2)는 공동(34)과 유체 연통한다. 또한, 삽입 유닛(4)은 격막(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강성 바늘(41) 및 삽입 유닛(4)을 캐뉼라 유닛(3)에 가역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4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본 발명은 주입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성 캐뉼라를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 및 주입 시스템에서 이러한 캐뉼라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주입 펌프는 환자에게 장기간에 걸쳐 액체 약제를 비경구적으로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요즘에는 환자가 몸에 수용할 수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주입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이동식 주입 펌프는 캐뉼라를 통해 환자의 조직으로 전달되는 당뇨병 치료용 인슐린 또는 통증 치료용 진통제와 같은 매우 효과적인 액체 약제의 소량을 계량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한 접근 방식에서, 신체 어딘가에 수용되는, 예를 들어, 벨트에 부착되는 주입 펌프가 있는데, 이 주입 펌프는 가요성 튜브를 통해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삽입 헤드라고도 하는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에 유체 연결된다.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는 신체 조직에 삽입되는 캐뉼라, 하우징 및 캐뉼라를 상류 주입 펌프에 연결된 가요성 튜브와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수단을 갖는 캐뉼라 시스템을 포함한다.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는 주입 펌프 크래들을 통해 환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튜브는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로부터 반복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 수단은 예를 들어 하우징 및 캐뉼라의 유체 시스템을 밀봉 폐쇄하는 격막을 포함할 수 있다. 격막은 유체 연결을 가역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중공 바늘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캐뉼라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연성 캐뉼라일 수 있다. 이러한 캐뉼라는 특히 신체 움직임 중에 사용자에게 더 편안하다. 가요성 캐뉼라는 조직에 직접 삽입할 수 없으므로 추가 천공 장치,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 강성 천공 바늘 형태의 장치가 가요성 캐뉼라 내부에 배열된다. 천공 장치의 뾰족한 단부가 캐뉼라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캐뉼라는 간질액을 향해 개방될 것이다. 천공 장치와 안정화된 캐뉼라를 신체 조직에 삽입한 후에, 강성 천공 장치는 가요성 캐뉼라로부터 제거된다. 캐뉼라는 신체 조직에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천공 바늘이 격막을 관통하도록 배열되며, 천공 바늘을 빼낸 후에, 현재 열려 있는 캐뉼라 유체 경로의 원위 단부를 밀봉 폐쇄한다.
또 다른 접근 방식에서, 주입 펌프 장치는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와 직접 유체 연결된다. 펌프와 캐뉼라 사이의 유체 연결은 펌프의 중공 커넥터 바늘에 의해 구현되는데, 캐뉼라 유닛의 격막을 가역적으로 관통하여, 캐뉼라 유체 경로의 원위 단부가 밀봉 폐쇄된다. 유리하게는, 펌프는 주입 부위 인터페이스로부터 반복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연성 또는 가요성 캐뉼라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감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들은 또한 연성 캐뉼라 재료, 예를 들어, 라텍스, 실리콘 또는 고무에 대해 불내성으로 고통받는 특정 환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 자극 및/또는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 금속 캐뉼라, 예를 들어, 강철 캐뉼라가 유리한 대안을 제공하다. 강성 캐뉼라의 전체 설정은 일반적으로 천공 바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덜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일반적인 목적은 액체 약물 주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에 관한 최신 기술을 발전시켜, 바람직하게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환자, 특히 실리콘, 고무 등에 대한 불내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호환성이 증가된 캐뉼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강성 캐뉼라의 고정이 개선되거나 및/또는 누출의 발생이 감소되는 캐뉼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체 목적은 강성 캐뉼라, 강성 캐뉼라가 연결되는, 바람직하게는 직접 연결된 캐뉼라 유닛, 및 삽입 유닛을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캐뉼라 유닛은 캐뉼라 유닛의 장착 구조에 장착되는 격막을 포함한다. 장착 구조는 예를 들어 캐뉼라 유닛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또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막은 장착 구조에 크림핑되거나 클램핑되어, 캐뉼라 유닛의 내벽 및 격막 사이에 단단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캐뉼라 유닛은 캐뉼라 유닛을 캐뉼라 유닛 홀더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추가로 포함한다. 캐뉼라 유닛 홀더는 일반적으로 캐뉼라 유닛을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주입 펌프 크래들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뉼라 유닛은, 주입 펌프 캐뉼라로 격막을 관통함으로써, 캐뉼라 유닛이 주입 펌프에 연결될 때, 액체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공동은 격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강성 캐뉼라는 공동과 유체 연통한다. 캐뉼라 유닛과 삽입 유닛 사이에 해제 가능하지만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삽입 유닛은 캐뉼라 유닛의 격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강성 바늘을 포함한다. 따라서, 강성 바늘은, 격막의 탄성 특성에 의해 가능하게 된 임의의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캐뉼라 유닛에 대한 삽입 유닛의 임의의 측방향 이동을 본질적으로 방지한다. 강성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공동까지 연장된다. 강성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 내로 연장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강성 바늘의 말단은 강성 캐뉼라의 내강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강성으로 인해, 강성 캐뉼라는, 감싸거나 에워싸인 강성 삽입 바늘의 도움 없이, 피부에 침투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연성 캐뉼라를 피부에 삽입하는 동안, 연성 캐뉼라의 안정화를 위해 연성 캐뉼라에 의해 감싸지거나 연성 캐뉼라를 감싸는 강성 삽입 바늘이 필요한, 연성 캐뉼라와 대조된다. 이 차이는, 강성 삽입 바늘 및 연성 캐뉼라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캐뉼라 시스템과 강성 캐뉼라 삽입 공정의 디자인을 단순화한다는 이점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연성 캐뉼라와 강성 삽입 바늘 조합의 경우, 삽입된 연성 캐뉼라를 제자리에 두면서, 강성 삽입 바늘을 삽입 및 철회해야 하다. 이러한 장치는, 피부에 삽입되는 동안 삽입 바늘과 연성 캐뉼라가 서로 직접 기계적 접촉을 하기 때문에 복잡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강성 삽입 바늘이 강성 캐뉼라와 직접적인 기계적 접촉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삽입 바늘 철회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삽입 유닛은 삽입 유닛을 캐뉼라 유닛에 가역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구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격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고, 일반적으로 유체, 가령, 가스 및/또는 액체에서, 제1 측과 제2 측을 밀봉 분리하기 위한,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플러그 형태의 조작 요소, 즉 캐뉼라 또는 바늘로 천공할 수 있는 기밀 밀봉부이다. 일반적으로, 격막은, 바늘 또는 캐뉼라가 격막을 통해 천공되기 전에, 격막을 통해 제1 측으로부터 제2 측으로 통과하는 구멍 또는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격막은 무천자 격막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텀프 바늘은 높은 힘을 가하지 않고는 격막을 쉽게 천공할 수 없다.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형태가 형성되는 제 1 표면과는 별도로, 제 1 및 제 2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동일 평면일 수 있다.
강성 캐뉼라는 임의의 적합한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 특히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캐뉼라 유닛은 사출 성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 상에 직접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강성 바늘은 전형적으로 중실체이고, 즉 강성 바늘은 관통 홀 또는 오리피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캐뉼라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성 바늘은, 삽입 유닛이 캐뉼라 유닛에 부착될 때, 강성 바늘은 격막의 본질적으로 중앙 위치에서 격막을 관통한다. 따라서, 2개의 동일 평면의 표면을 갖는 격막이 본질적으로 양쪽 동일 표면에 대해 수직인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다. 이러한 배열은 캐뉼라 유닛과 삽입 유닛 사이의 연결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공동은 격막 및 캐뉼라 유닛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성 캐뉼라는 캐뉼라를 캐뉼라 유닛에 고정 연결하기 위한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는 강성 캐뉼라와 캐뉼라 유닛 사이에 포지티브 고정 및/또는 접착 결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접착제, 가령, 글루(glue)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캐뉼라 유닛에 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의 최원위 단부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칼라를 포함한다. 캐뉼라의 원위 부분은 수술 상태에서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캐뉼라의 단부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고정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홀,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 또는 블라인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캐뉼라 유닛이 사출 성형되는 경우, 이러한 고정 구조가 바람직하다. 제조 중에, 재료는 홀에 들어가거나 돌출부를 둘러쌀 수 있으므로, 냉각 후에 강력한 포지티브 고정 연결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삽입 유닛은 삽입 유닛을 삽입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연결 수단은 베이오닛, 스냅 핏, 래치, 후크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수단은 삽입 유닛과 삽입기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 유닛은 강성 바늘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을 포함한다. 슬릿은 글루와 같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예를 들어 강성 바늘을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다. 슬릿은 삽입 유닛 내에서 바늘의 안전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삽입 유닛의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하다.
추가 실시예에서, 강성 바늘은 삽입 유닛의 나머지 부분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구조는 해제 가능한 접착제 또는 해제 가능한 포지티브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해제 가능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접착층일 수 있으며, 그 연결력은 사용자가 쉽게 극복할 수 있다. 포지티브 고정 구조는 베이오닛, 스냅 핏, 래치, 후크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삽입 유닛으로부터 캐뉼라 유닛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이 캐뉼라 유닛을 캐뉼라 유닛 홀더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구조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작거나 및/또는 캐뉼라 유닛으로부터 강성 캐뉼라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다. 따라서, 당기는 힘이 삽입 유닛 상에서 캐뉼라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부착 구조가 해제되고 삽입 유닛이 캐뉼라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반면, 강성 캐뉼라는 캐뉼라 유닛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캐뉼라 유닛은 캐뉼라 유닛 홀더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전체 목적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시스템을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전체 목적은 주입 시스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시스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강성 강철 캐뉼라(2), 캐뉼라 유닛(3) 및 삽입 유닛(4)을 갖는 캐뉼라 시스템(1)을 도시한다. 강성 캐뉼라(3)는 고정 구조(21)를 통해 캐뉼라 유닛(2)에 연결되며, 고정 구조(21)는 상기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캐뉼라(2)의 최원위 영역, 가령, 칼라에서 확대된 횡단면을 포함한다. 캐뉼라 유닛(3)은 캐뉼라 유닛(3)의 장착 구조(32)에 장착되는 격막(31)을 포함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구조(32)는 격막을 캐뉼라 유닛(3)으로 압착하는 캐뉼라 유닛(3)의 내벽(35)에 의해 형성된다. 캐뉼라 유닛(3)은 부분적으로는 격막(31)에 의해 형성되고 부분적으로는 캐뉼라 유닛(3)의 내벽(35)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34)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강성 캐뉼라(2)는 공동(34)과 유체 연통하며, 액체 약제가 공동(34)으로 전달될 수 있고 작동 상태, 즉 삽입기(4)가 제거되고 주입 펌프가 격막(31)을 통해 공동(34)과 유체 연통하는 상태에서, 캐뉼라(2)를 통해 환자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캐뉼라 유닛(3)은 캐뉼라 유닛(3)을 주입 펌프 크래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33)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구조(33)는 스냅 핏 연결의 일부일 수 있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포함한다.
삽입 유닛(4)은 강성 바늘(41)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바늘은 삽입 유닛(4)과 캐뉼라 유닛(3)이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강성 바늘(41)은 본질적으로 중앙 위치에서 격막(31)을 관통하고 바람직하게는 공동(34)까지 연장된다. 강성 바늘(41)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2) 내로 연장되지 않고, 특히 강성 바늘(41)의 말단은 강성 캐뉼라(2)의 내강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강성으로 인해, 강성 캐뉼라(2)는 강성 캐뉼라(2)에 의해 감싸지거나 에워싸이는 강성 삽입 바늘의 도움 없이 피부에 침투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연성 캐뉼라를 피부에 삽입하는 동안, 연성 캐뉼라의 안정화를 위해 연성 캐뉼라에 의해 감싸지거나 연성 캐뉼라를 감싸는 강성 삽입 바늘이 필요한, 지금까지 알려진 연성 캐뉼라와 대조된다. 삽입 바늘(41)은 슬릿(44) 내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해 삽입 유닛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릿(44)은 바늘(41)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착제가 삽입 바늘(41)과 삽입 유닛(4)을 고정 연결할 수 있다. 강성 캐뉼라(2)와는 대조적으로, 바늘(41)은 고정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바늘(41)은 일반적으로 소형 몸체로서 즉 중공 바늘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하다. 삽입 유닛(4)은 삽입 유닛(4)과 캐뉼라 유닛(3)을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부착 구조(42)를 추가로 포함한다. 연결 수단(43a 및 43b)을 통해, 삽입 유닛(4), 캐뉼라 시스템(1)은 각각 종래 기술에 알려진 삽입기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 시에, 캐뉼라 시스템(1)은 환자에게 삽입되는 삽입기에 연결되고, 캐뉼라 유닛(1)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구조(33)를 통해 주입 펌프 크래들에 연결되고 그 다음 삽입 유닛이 해제된다. 중요하게는, 부착 구조(42)는 일반적으로 삽입 유닛(4)으로부터 캐뉼라 유닛(3)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힘이 캐뉼라 유닛(3)을 캐뉼라 유닛 홀더(5)(캐뉼라 홀더는 표시되지 않음)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구조(33)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작도록 구성되거나 및/또는 캐뉼라 유닛(3)으로부터 강성 캐뉼라(2)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Claims (14)

  1. 강성 캐뉼라(2), 캐뉼라 유닛(3) 및 삽입 유닛(4)을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으로서, 강성 캐뉼라(2)는 캐뉼라 유닛(3)에 연결되고, 캐뉼라 유닛(2)은 캐뉼라 유닛(3)의 장착 구조(32)에 장착되는 격막(31), 캐뉼라 유닛(3)을 캐뉼라 유닛 홀더(5)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33), 및 격막(3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공동(34)을 포함하며, 강성 캐뉼라(2)는 공동(34)과 유체 연통하고, 삽입 유닛(4)은 격막(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강성 바늘(41) 및 삽입 유닛(4)을 캐뉼라 유닛(3)에 가역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42)를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강성 바늘(41)은, 삽입 유닛(4)이 캐뉼라 유닛(3)에 부착될 때, 격막의 본질적으로 중앙 위치에서 격막(31)을 관통하는, 캐뉼라 시스템(1).
  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34)은 격막(31) 및 캐뉼라 유닛(3)의 내벽(35)에 의해 형성되는, 캐뉼라 시스템(1).
  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 캐뉼라(2)는 캐뉼라(2)를 캐뉼라 유닛(3)에 고정 연결하기 위한 고정 구조(21)를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 구조(21)는 강성 캐뉼라(2)와 캐뉼라 유닛(3) 사이에 포지티브 고정 및/또는 접착 결합을 제공하는, 캐뉼라 시스템(1).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 구조(21)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로부터 돌출하는 강성 캐뉼라의 최원위 부분에 배열된 칼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홀,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 또는 블라인드 홀을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7.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유닛(4)은 삽입 유닛(4)을 삽입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43a, 43b)을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8.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유닛(4)은 강성 바늘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44)을 포함하고, 슬릿(44)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9.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 바늘(41)은 삽입 유닛(4)의 나머지 부분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뉼라 시스템(1).
  10.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구조(42)는 분리 가능한 접착제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의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캐뉼라 시스템(1).
  11.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유닛(4)으로부터 캐뉼라 유닛(3)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힘이 캐뉼라 유닛(3)을 캐뉼라 유닛 홀더(5)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구조(33)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작거나 및/또는 캐뉼라 유닛(3)으로부터 강성 캐뉼라(2)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은, 캐뉼라 시스템(1).
  12.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 바늘(41)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캐뉼라(2) 내로 연장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강성 바늘(41)의 말단이 강성 캐뉼라(41)의 내강으로 연장되지 않는, 캐뉼라 시스템(1).
  1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뉼라 시스템(1)으로 액체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시스템.
  14. 주입 시스템에서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뉼라 시스템(1)의 사용 방법.
KR1020227016975A 2019-11-26 2020-11-24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KR20220103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1423 2019-11-26
EP19211423.9 2019-11-26
PCT/EP2020/083140 WO2021105088A1 (en) 2019-11-26 2020-11-24 Cannula system with rigid cannu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725A true KR20220103725A (ko) 2022-07-22

Family

ID=6869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975A KR20220103725A (ko) 2019-11-26 2020-11-24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80716A1 (ko)
EP (1) EP4065194A1 (ko)
JP (1) JP2023502416A (ko)
KR (1) KR20220103725A (ko)
CN (1) CN114728124A (ko)
IL (1) IL293139A (ko)
WO (1) WO20211050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3206A2 (en) * 2001-04-13 2002-10-24 Nipro Diabetes Systems Infusion set with tape
DE60217853T2 (de) * 2001-05-18 2007-12-13 Deka Products Ltd. Partnership Infusionsvorrichtung für eine flüssigkeitspumpe
US7309326B2 (en) * 2003-11-18 2007-12-18 Icu Medical, Inc. Infusion set
US9821113B2 (en) * 2013-03-15 2017-11-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utomatic angled infusion s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3139A (en) 2022-07-01
EP4065194A1 (en) 2022-10-05
JP2023502416A (ja) 2023-01-24
CN114728124A (zh) 2022-07-08
WO2021105088A1 (en) 2021-06-03
US20220280716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5299B1 (en) Delivery device
US4966588A (en) Device suita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a therapeutic substance
US6840922B2 (en) Medical puncturing device
JP4681795B2 (ja) 流体ポンプ用注入セット
US7014625B2 (en) Needle insertion device
US7303543B1 (en) Medication infusion set
US5607390A (en) Dialysis probe
US20220265210A1 (en) Infusion device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FI3632488T3 (fi) Laite terapeuttisen nesteen pitkäaikaiseen jakeluun
JP2003520082A (ja) 隔膜を有する貯蔵器と共に使用する皮下注射セット
KR20090037492A (ko) 캐뉼라와 약물공급장치
KR102113017B1 (ko) 수조작 압력 작동식 적용 메커니즘
US20210330879A1 (en) Cradle for an infusion pump unit
KR20220103725A (ko) 강성 캐뉼라를 갖는 캐뉼라 시스템
US20220126019A1 (en) Injection molded cannula system
US20230140353A1 (en) Subcutaneous device with leak prevention
JP2002272853A (ja) 留置針セット
CN112007244B (zh) 胰岛素注射用针头注射组件
KR20210135510A (ko) 사출 성형식 캐뉼라 시스템
WO2004022139A1 (en) Mounting platform for skin piercing medical devices
CN209809207U (zh) 神经阻滞针套件及其留置管组件
KR20040110602A (ko) 일회성 밴드 형식의 마이크로 주사침과 약물 팩을 사용한의료용 자동 주사장치
JP2002065848A (ja) 薬液注入用針のプロテク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