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560A -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 Google Patents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560A
KR20220103560A KR1020210006351A KR20210006351A KR20220103560A KR 20220103560 A KR20220103560 A KR 20220103560A KR 1020210006351 A KR1020210006351 A KR 1020210006351A KR 20210006351 A KR20210006351 A KR 20210006351A KR 20220103560 A KR20220103560 A KR 2022010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sheet
film
rainbow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이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일 filed Critical 이동일
Priority to KR102021000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560A/ko
Publication of KR2022010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투명 구조의 레인보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나 건물, 파티션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레인보우 필름으로서, 홀로그램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이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에 점착 고정되는 이형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은 홀로그램시트가 제1,2홀로그램시트의 이중 구조로 구분하고, 제1홀로그램시트와 제2홀로그램시트의 사이에는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이 구비하여 양면으로 홀로그램 효과를 갖도록 하면서도 내,외측의 투과율을 현저히 줄이고 불투명의 레인보우 시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Opaque rainbow film attached to the window}
본 발명은 빛이 조사되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반사가 이루어지는 레인보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투명 구조의 레인보우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레인보우 필름은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시각, 빛, 조명, 밝기에 따라 여러 가지 컬러를 띄도록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는 필름으로서, 보는 각도에 따라 화려하고 다양한 색상을 보여주며, 색상이 다양하게 구현되어 입체적인 느낌을 부여하므로 세련되고 돋보이게 보여진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기술로는 일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55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 표면에 고분자 화합물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연질성 고분자를 접착시킨 후 가열 챔버를 통과시켜 접착제에 함유된 용제를 휘발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화합물과 결합된 레디언트 라이트 보호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레인보우 필름은 자동차 유리의 선팅이나 유리문, 쇼윈도 디스플레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등 유리창에 부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특히, 최근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햇빛에 노출되어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고, 빛 차단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유리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편이 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레인보우 필름은 일정한 투과율이 있기 때문에 레인보우 필름을 시공하더라도 일정부분 보여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실내,외를 차단하거나 파티션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등 개인적인 공간을 마련할 때 유리창을 통해 보여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리창이나 파티션 등에 부착할 때 유리창의 내면과 외면에 모두 레인보우 필름을 시공하여 투과율을 낮춰주는 등의 시공방법이 사용되지만, 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과율을 줄여서 어느정도의 차단효과는 있으나, 내,외면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외측으로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는 차단구조의 레인보우 필름을 제공하고, 한 장의 시트 사용만으로도 유리창의 양면 접착이 필요없이 개인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게 공간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 파티션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레인보우 필름으로서, 홀로그램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이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에 점착 고정되는 이형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은 홀로그램시트가 제1,2홀로그램시트의 이중 구조로 구분하고, 제1홀로그램시트와 제2홀로그램시트의 사이에는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이 구비하여 양면으로 홀로그램 효과를 갖도록 하면서도 내,외측의 투과율을 현저히 줄이고 불투명의 레인보우 시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에 의하면, 빛 투과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오로지 홀로그램 효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간단한 시공만으로도 개인적인 영역을 보호하고 개인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및 빛 차단효율을 향상시켜 열기를 최대한 차단시키며 온도를 유지하여 연료 등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인보우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베이스필름의 다층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접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인보우 필름의 제조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필름”과 "시트"는 얇고 유연한(flexible) 막(membrane) 또는 층(layer)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두께와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층”은 상기 필름 또는 시트를 접합하거나 수지 또는 용액을 인쇄, 코팅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용액을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될 수 도 있고, 상기 용액이 반건조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인보우 필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량이나 건물, 파티션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베이스필름(100)과 접착층(200)과 이형시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필름(100)은 레인보우 필름을 보는 각도에 따라 화려하고 다양한 색상을 표출하는 기능을 갖는 홀로그램시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홀로그램시트(120)는 시각, 빛, 조명, 밝기에 따라 여러 가지 컬러를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00)의 이면에는 접착층(200)과, 그 접착층(200)에 덧붙여진 이형시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접착층(200)은 베이스필름(100)을 유리창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조성물이 도포되거나 접착시트가 합지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시트(300)는 접착층(2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인보우시트를 시공하기 전까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는 이형시트(300)에 의하여 필름이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하면서도 접착층(200)이 보호되며, 레인보우시트를 시공하기 직전에 시공자가 이형시트(300)를 제거한 후 베이스필름(100)을 접착하여 홀로그램에 의한 레인보우 필름의 컬러표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100)는 다층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홀로그램시트(120)는 제1,2홀로그램시트(120a,120b)의 이중 구조로 구분되고, 제1홀로그램시트(120a)와 제2홀로그램시트(120b)의 사이에는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140)이 구비되어 베이스필름(100)의 양면에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투과율을 현저하게 낮춰서 레인보우 필름이 불투명 특성을 갖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2홀로그램시트(120b)의 하부면에 상술한 접착층(200)이 도포되고, 접착층에 이형시트(300)가 점착되어 베이스필름(100)이 접착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형시트(300)를 제거한 후 필요한 부분에 베이스필름(100)을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층(140)은 반사율이 높은 은박이 홀로그램시트에 증착되어 제1홀로그램시트(120a) 또는 제2홀로그램시트(120b)의 표면에 빛이 조사될 경우 빛반사를 극대화하여 레인보우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차단층(140)은 은박을 증착하는 대신 은박지를 접착하거나 니켈, 알루미늄등을 도금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시트(120)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되, 유색 또는 무색의 기재필름(122) 표면에 홀로그램층(124)을 형성하기 위하여 간섭무늬로 인한 무지개색을 표출하는 코팅염료를 도포하거나 홀로그램 박막을 열전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122)과 홀로그램층(124)과의 접착성을 위하여 원단플름의 표면에 에칭을 형성하거나 프라이머층을 먼저 형성한 후, 코팅염료를 도포하거나 홀로그램 박막을 열전사함으로써 밀착성을 향상하고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122)은 강도, 열수축성, 투명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지, 용융, 압축하여 형틀에서 압축시킬 때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신시켜 만든 이축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염료 또는 홀로그램 박막은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무기물로서,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아미이드수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레인보우 필름 및 베이스필름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홀로그램시트(12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0)와, 베이스필름(100)을 제작하는 제2단계(S200)와, 베이스필름(100)의 일면에 접착층(200)과 이형시트(300)를 부착하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단계(S100)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기재필름(122)의 표면에 홀로그램층(124)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홀로그램층(124)은 롤상의 기재필름(122)이 와인딩되면서 그 표면에 코팅이나 전사방식으로 홀로그램층(12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필름에 홀로그램층을 덧댄 상태에서는 건조로를 통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며, 권취롤에 리와인더되어 제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2단계(S200)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작한 홀로그램시트(120)를 이용하여 베이스필름(100)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홀로그램시트(120)를 제1홀로그램시트(120a)와 제2홀로그램시트(120b)의 다층구조로 구비하고, 그 제1,2홀로그램시트의 사이에 차단층(140)을 구성하여 투과율을 현저히 떨어트리고 레인보우 필름이 시공된 상태에서 불투명구조를 갖도록 된다.
상기 차단층(140)은 홀로그램시트(120)에 은박 라미네이트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은박을 증착하는 대신 은박지를 덧대어 접착하거나 홀로그램시트(120)의 표면을 알루미늄이나 니켈로 도금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층(140)은 필름 전체가 백색, 회색, 흑색 중 어느 하나의 무채색으로 구성되게 하면 홀로그램시트(120)의 표면 컬러특성을 다양하게 표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3단계(S300)는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제조된 베이스필름(100)의 일면이 접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접착층(200)과 이형시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형시트(300)를 덧대는 구조는 접착층(200)이 도포된 베이스필름(100)과 이형시트(300)를 두 개의 가압롤러의 사이를 통과시켜서 상호간에 압착하고, 이렇게 상호간에 압착된 상기 이형시트(300)와 베이스필름(100)을 권취롤러에 권취하여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인보우시트에서 이형시트를 제거한 후 접착층을 이용하여 유리창에 부착하면 유리창의 일면에만 부착하더라도, 내,외측으로 모두 레인보우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선전, 홍보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낱장을 시공함에도 불구하고 투과율을 현저히 줄여서 불투명으로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레인보우 필름
100: 베이스필름
120: 홀로그램시트 120a: 제1홀로그램시트 120b: 제2홀로그램시트
122: 기재필름 124: 홀로그램층
140: 차단층
200: 접착층
300: 이형시트

Claims (3)

  1. 차량이나 건물, 파티션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레인보우 필름으로서,
    홀로그램시트(120)를 포함하는 베이스필름(1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0)과,
    상기 접착층(200)에 점착 고정되는 이형시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홀로그램시트(120)가 제1,2홀로그램시트(120a,120b)의 이중 구조로 구분되고, 제1홀로그램시트(120a)와 제2홀로그램시트(120b)의 사이에는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140)이 구비되어 양면으로 홀로그램 효과를 갖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140)은 홀로그램시트(120)에 은박 라미네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140)은 필름 전체가 백색, 회색, 흑색 중 어느 하나의 무채색으로 구성되어 필름 표면 컬러특성을 표출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KR1020210006351A 2021-01-15 2021-01-15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KR20220103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51A KR20220103560A (ko) 2021-01-15 2021-01-15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51A KR20220103560A (ko) 2021-01-15 2021-01-15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60A true KR20220103560A (ko) 2022-07-22

Family

ID=8260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351A KR20220103560A (ko) 2021-01-15 2021-01-15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5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88971B (zh) 具有抗反射涂层的透明覆盖物
US7002720B2 (en) Electrically controllable device having variable optical and/or energy properties
CN105263706B (zh) 层叠窗玻璃
JP2019197877A (ja) コーティング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ソーラーモジュール
WO2005081210A1 (ja)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及び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502578A5 (ko)
CA25260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pact resistant and insulated glass unit composite with solar control and low-e coatings
JP2011082558A (ja) 耐久性のあるemiシールド・フィルム
JP2003255847A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カバーウインドウ
JP2020511781A (ja) 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CN114144242B (zh) 复合板
JP2002019309A (ja) 熱転写画像形成用光透過性粘着シート及び光透過性装飾粘着シート
KR101110303B1 (ko) 복합 창유리
US8486213B2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laminated product
KR20220103560A (ko) 불투명의 유리창 부착용 레인보우 필름
CN114144243A (zh) 具有全息元件的复合玻璃板以及制造方法
CN115335218A (zh) 层叠体
KR20190047971A (ko) 플랙시블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3.4.차원 형상으,복곡률 구조의 윈도우 및 백카바 글라스 유닛
NL2006223C2 (nl) Gelaagde veiligheidsbeglazing met mogelijk geperforeerde tussenlaag.
JP2013171099A (ja) ホログラム付き遮熱フィルム
JP2002154177A (ja) 半透過積層板
JP2001228316A (ja) 再帰反射性シート、再帰反射性部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安全部材、屋外部材、寒冷地部材、移動車両用部材
CN218519338U (zh) 复合板材
JPS6130849Y2 (ko)
KR100419781B1 (ko) 롤 방식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실내 창문용 차광필름 및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