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368A - 버섯 재배사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368A
KR20220103368A KR1020210005868A KR20210005868A KR20220103368A KR 20220103368 A KR20220103368 A KR 20220103368A KR 1020210005868 A KR1020210005868 A KR 1020210005868A KR 20210005868 A KR20210005868 A KR 20210005868A KR 20220103368 A KR20220103368 A KR 2022010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ontrol unit
air
exhaus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951B1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
Priority to KR102021000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이산화 탄소의 원활한 배출을 통하여 개선된 버섯 생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버섯 재배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된 내부 공간에 배지 적재함을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일측 설치되는 급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는 급기덕트홀까지 연장 형성되는 급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닛 및 복수 개의 배기덕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바닥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사{Mushroom Cultivating Shed}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이산화 탄소의 원활한 배출을 통하여 개선된 버섯 생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버섯 재배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사는 노지재배, 부직포 하우스재배, 자동화된 판넬하우스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 노지재배는 표고버섯 등과 같은 일부 버섯에 적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수의 버섯은 모두 하우스 재배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버섯의 생육조건은 우리나라의 사계절 중 봄, 가을에 적합하나, 여름과 겨울에는 부적합함에 따라 사계절 내내 버섯을 키우기 위해서 재배사 실내 공간을 봄 또는 가을과 같이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버섯 재배사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경우 버섯은 온도 편차로 인하여 갈반병이나 푸른곰팡이 병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66130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순환장치의 냉, 온풍기(1)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2) 내에 가습기(3)가 설치되어 상기 가습기(3)로부터 배출되는 가습공기가 상기 냉, 온풍기(1)로부터 송출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배출공(4)으로 분출됨에 따라 내부 공간(S)으로 적절한 온도의 가습공기를 공급하는 버섯 재배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섯 재배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공(4)이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덕트(2)에서 배출되는 가습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 공간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버섯 재배사는 상기 공기배출공(4)과 인접한 공간에는 가습공기의 배출 속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각이 생기며, 비교적 무거운 가습공기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함에 따라 상기 덕트(2)와 비교적 먼 거리의 공간 역시 사각이 다수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종래의 버섯 재배사는 내부 공간에 온도 및 습도 편차로 인하여 사각 공간에 위치하는 버섯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섯의 원활한 생육을 위해서는 버섯 재배사 내부 공간의 적절한 습도와 원활한 산소 공급은 물론 버섯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66130호(공개일 1998.12.0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섯 재배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공간으로 원활한 산소 공급은 물론 버섯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버섯 재배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구획된 내부 공간에 배지 적재함을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일측 설치되는 급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는 급기덕트홀까지 연장 형성되는 급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닛 및 복수 개의 배기덕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바닥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온기 또는 냉기을 배출하고, 상기 습도조절유닛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무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의 온기 또는 냉기를 배출하는 온냉기 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습도조절유닛의 분무를 배출하는 분무노즐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물질이 상기 배기덕트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홀은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팬은 상기 배기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실내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 편차를 최소화하여 사계절 내내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내부 공간으로 원활한 산소 공급은 물론 버섯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원활하게 배출함에 따라 버섯 재배에 더욱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온도 및 습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상면도이다.
도 5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에서 내부 공간의 온기 또는 냉기의 순환, 분무의 흐름 및 급배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사에서 내부 공간의 온기 또는 냉기의 순환, 분무의 흐름 및 급배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구조물(100)과 온도조절유닛(200)과 습도조절유닛(300)과 급기유닛(400) 및 배기유닛(5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100)은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구획되는 내부 공간과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자 또는 장비 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110)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지 적재함(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110)는 내부 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지 적재함(120)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에 버섯 배지가 적재된다.
이때, 버섯 배지라 함은 버섯을 배양하기 위하여 버섯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고형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지 적재함(120)은 상기 도어(110) 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통로(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2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통로(130)를 제외한 상기 배지 적재함(120)의 주면에는 보조 통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100)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은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기 또는 냉기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으로 배출된 온기 또는 냉기는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가 바닥 측으로 흐르는 동시에 상기 구조물(100)의 측벽 측을 거쳐 바닥 측으로 흐르고, 상기 바닥 측에서 지열 등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천장 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순환이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은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조물(100) 내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 등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은 사방으로 온기 또는 냉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온냉기 배출구(2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온기 또는 냉기가 버섯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 전체를 순환함에 따라 온기 또는 냉기가 닿지 않는 사각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의 설치 위치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온, 냉기의 배출 방향으로 인하여 단시간 내에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적합한 온도로 조절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분무를 배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고주파 및 진동을 이용하여 물 입자를 쪼개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가습기로서 일반적인 가열식 가습기와 비교하여 가습량이 뛰어나 상기 배지 적재함(120)에 적재된 버섯 배지 내부까지 습기가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무노즐(310)에 의하여 분무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상기 배지 적재함(120)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적재함(120)이 상기 도어(110) 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통로(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된 분무는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 측에서 측벽 측으로 흐르는 동시에 낙하함에 따라 상기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고루 분포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상기 구조물(100) 내에 설치되는 습도 센서 등에 의하여 감지된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은 상기 분무노즐(310)로부터 배출된 분무의 흐름과 상기 온도조절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온기 또는 냉기의 흐름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무노즐(310)의 높이가 상기 온냉기 배출구(210)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상기 온도조절유닛(200)과 상기 습도조절유닛(300)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온기 또는 냉기의 흐름과 분무의 흐름이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온기 또는 냉기와 분무가 혼합됨에 따라 대류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급기유닛(400)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기팬(410)과 상기 급기팬(410)으로부터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 측에 형성되는 급기덕트홀(421)까지 연장 형성되는 급기덕트(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기팬(410)은 전면으로 향해 있는 여러 개의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다익 송풍기로서 상기 구조물(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부 환경 요건에 따라 상기 급기팬(410)은 상기 구조물(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420)는 강도 및 기밀성이 우수한 스파이럴 덕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홀(421)은 상기 배지 적재함(120)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적재함(120)이 상기 도어(110) 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통로(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급기덕트(42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420)는 각각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급기덕트홀(421)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급기덕트홀(421)은 총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기덕트(420)와 급기덕트홀(421)의 개수는 상기 구조물(100)의 면적과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급기팬(410) 또는 상기 급기덕트(420) 내에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동물의 털, 머리카락 등 비교적 큰 입자의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필터와 미세먼지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입자의 먼지를 걸러주는 해파필터 등으로 구성되는 필터 조립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조립체는 교체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급기팬(410)과 상기 급기덕트(420)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유닛(500)은 상기 구조물(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기팬(510)과 상기 배기팬(510)으로부터 상기 구조물(100)의 바닥 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기덕트(5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팬(510)은 전면으로 향해 있는 여러 개의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다익 송풍기로서 상기 구조물(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부 환경 요건에 따라 상기 배기팬(510)은 상기 구조물(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팬(510)은 상기 배기덕트(520) 및 상기 급기덕트(420)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급기팬(4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520)는 강도 및 기밀성이 우수한 스파이럴 덕트로서 상기 버섯 배지함(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520)는 상기 구조물(100)의 실내 공간 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기덕트홀(521)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적재함(120)이 상기 도어(110) 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통로(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기덕트(52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홀(521)은 버섯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다량 포함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520) 내로 유입되는 입구로서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상기 배기덕트(52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520)의 측방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520)는 상기 배기팬(510)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지면에 먼지 등이 상기 배기덕트홀(521)을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52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지면과 충분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사는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오염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오염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기팬(410)과 상기 배기팬(510)이 각각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의 c를 참조하여 상기 급기유닛(400)과 상기 배기유닛(5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구조물(100) 내부의 공기 순환 과정은 하기와 같다.
상기 급기팬(410)이 작동함에 따라 신선한 외부 공기가 상기 급기덕트(420)를 거쳐 상기 급기덕트홀(421)을 통하여 상기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기덕트홀(421)이 상기 구조물(100)의 천장 측에 형성됨에 따라 신선한 외부 공기는 상기 구조물(100) 내부 공간 전체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지 적재함(120)에 적재된 버섯은 신선한 공기로 인하여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다.
또한, 버섯 재배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다량 포함하는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에서 공급된 신선한 공기와 비교하여 무겁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100)의 바닥 측으로 가라 앉는다.
이때, 상기 배기팬(510)이 작동함에 따라 오염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홀(521)을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520)를 거쳐 상기 구조물(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구조물
110, 도어
120. 배지 적재함
130. 메인 통로
140. 보조 통로
200. 온도조절유닛
210. 온냉기 배출구
300. 습도조절유닛
310. 분무노즐
400. 급기유닛
410. 급기팬
420. 급기덕트
421. 급기덕트홀
500. 배기유닛
510. 배기팬
520. 배기덕트
521. 배기덕트홀

Claims (5)

  1. 구획된 내부 공간에 배지 적재함을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상기 구조물의 일측 설치되는 급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천장 측에 설치되는 급기덕트홀까지 연장 형성되는 급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닛; 및
    복수 개의 배기덕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기팬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바닥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온기 또는 냉기을 배출하고,
    상기 습도조절유닛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무를 배출하는 버섯 재배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의 온기 또는 냉기를 배출하는 온냉기 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습도조절유닛의 분무를 배출하는 분무노즐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되는 버섯 재배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홀은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버섯 재배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은 상기 배기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버섯 재배사.
KR1020210005868A 2021-01-15 2021-01-15 버섯 재배사 KR10253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68A KR102537951B1 (ko) 2021-01-15 2021-01-15 버섯 재배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68A KR102537951B1 (ko) 2021-01-15 2021-01-15 버섯 재배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68A true KR20220103368A (ko) 2022-07-22
KR102537951B1 KR102537951B1 (ko) 2023-05-30

Family

ID=8260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868A KR102537951B1 (ko) 2021-01-15 2021-01-15 버섯 재배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30U (ko) 1997-05-12 1998-12-05 조항보 버섯 재배사의 가습구조
KR20060080008A (ko) * 2005-01-04 2006-07-07 윤대진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KR20130056501A (ko) * 2011-11-22 2013-05-30 김호원 친환경 버섯 재배용 플랜트 시스템
KR102088593B1 (ko) * 2019-06-14 2020-03-16 주식회사 지엘인코리아 순환식 버섯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30U (ko) 1997-05-12 1998-12-05 조항보 버섯 재배사의 가습구조
KR20060080008A (ko) * 2005-01-04 2006-07-07 윤대진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KR20130056501A (ko) * 2011-11-22 2013-05-30 김호원 친환경 버섯 재배용 플랜트 시스템
KR102088593B1 (ko) * 2019-06-14 2020-03-16 주식회사 지엘인코리아 순환식 버섯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951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586B1 (ko) 버섯재배 시스템
JP3311740B2 (ja) 回転流通風方法
CN101076701A (zh) 冷却组件
JP3026253B2 (ja) 人工環境装置
KR200207824Y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JP2016140249A (ja) 多段式棚及びこれを備えた多段式栽培装置
JP2001231376A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US20220361437A1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animal barn
CN105830819A (zh) 一种湿帘风机正压通风循环降温系统及其分段降温方法
EP3986116B1 (en) Greenhouse
KR101976264B1 (ko)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US20220192105A1 (en) Hvac system for hydroponic farm
US201601313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Air Pockets, Eliminating Air Stratification, Minimizing Inconsistent Temperature, and Increasing Internal Air Turns
KR102151951B1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102141718B1 (ko)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
KR20200011724A (ko)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공기조화장치
KR102537951B1 (ko) 버섯 재배사
JP5274218B2 (ja) 植物養生・育成管理装置
JP2011144957A (ja) ふく射冷暖房パネル、空調システム及び植物工場
JP2001211763A (ja) 園芸施設の室温調節装置
CN205658103U (zh) 一种湿帘风机正压通风循环降温系统
CN107223494A (zh) 一种动、植、微生物生长机控温通风系统
JP3427372B2 (ja) キノコ栽培室の栽培環境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8453Y2 (ja) 植物育成装置
US2022033049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laminar air flow for indoor grow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