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586B1 - 버섯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섯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586B1
KR101710586B1 KR1020160089082A KR20160089082A KR101710586B1 KR 101710586 B1 KR101710586 B1 KR 101710586B1 KR 1020160089082 A KR1020160089082 A KR 1020160089082A KR 20160089082 A KR20160089082 A KR 20160089082A KR 101710586 B1 KR101710586 B1 KR 10171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mushroom
temperatur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람
Original Assignee
임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람 filed Critical 임우람
Priority to KR102016008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86B1/ko
Priority to PCT/KR2017/007496 priority patent/WO20180128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냉각과정, 이물질제거과정, 그리고 가습 과정을 통해 처리된 공기를 재순환하여 공급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병균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안정화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나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버섯 생육이 향상되게 하는 버섯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버섯재배시설(11) 내에 구비된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버섯이 자라게 하는 버섯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로써 버섯 생육을 위해 소정 온도와 소정 습도를 형성한 공기인 성장공기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흡입덕트(31);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로부터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공급덕트(33);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시키며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에 대응되어 가온 또는 감온시킨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재배 시스템{MUSHROOM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버섯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냉각과정, 이물질제거과정, 그리고 가습 과정을 통해 처리된 공기를 재순환하여 공급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병균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안정화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나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버섯 생육이 향상되게 하는 버섯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습하고 차광된 장소에서 주로 잘 자라고 이에 근래에는 양식을 위해 비닐하우스 등의 별도의 재배시설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버섯종균을 포함한 버섯배지를 버섯 용기에 담아 재배시설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설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맞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버섯 생육이 양호하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버섯이 생육함에 따라서 밀폐된 재배시설은 노지와 다르게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는 여름철에 너무 더운 온도환경에서는 단순한 환기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냉풍기를 가동하나 외부 온도가 너무 고온이라서 냉풍에 소용되는 에너지도 상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버섯 생육에 있어서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며 포자도 생기게 된다. 따라서 밀폐된 구조의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의 정화가 필요하며, 이로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 시설과,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 시설이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시설에 의하면 재배시설 내의 이산화탄소나 포자는 줄일 수 있어 공기의 질은 개선할 수 있다. 반면 그만큼 외부의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곰팡이 등의 유해균이나 버섯파리와 같은 가볍게 날리는 벌레 등이 유입될 경우 버섯 생육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재배시설에 의하면 외부 공기를 유입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더울 경우 열기를 식혀서 유입해야 하며, 반대로 겨울에는 온풍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식히거나 온풍을 위해서 전기나 연료의 소모가 상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버섯 생산 단가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생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비가 오거나 우기인 경우에는 외부 공기와 함께 다량의 습기가 함께 유입되므로 인해서 재배시설 내부의 습도가 상당히 올라가며, 반면 오랜 도안 비가 오지 않는 날이 지속될 경우에는 가습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등, 외부 환경에 의하여 재배시설 내부의 환경이 변화될 수 있어서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들을 다수로 작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등록특허번호 제10-1625659호(2016년 05월 30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37454호(2001년 05월 07일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1633781호(2016년 06월 27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147563호(2012년 05월 21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섯 성장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한 버섯재배시설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버섯이 안정적으로 성장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버섯의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섯 생육에 최적화된 버섯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를 무작정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재순환시킴으로써 무관한 외부 공기를 다시 버섯 생육환경에 맞추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도록 하여 버섯재배에 따른 효율을 최적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곰팡이 등의 유해균이나 버섯파리와 같은 벌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양질의 버섯 생산을 이루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습도나 온도 환경에 영향을 줄임으로 인해서 외부 환경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갖추어야 할 별도의 시설을 줄이면서도 에너지 소모도 현저히 줄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섯재배시설(11) 내에 구비된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버섯이 자라게 하는 버섯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로써 버섯 생육을 위해 소정 온도와 소정 습도를 형성한 공기인 성장공기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흡입덕트(31);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로부터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공급덕트(33);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시키며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에 대응되어 가온 또는 감온시킨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분무하는 물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아래 부분에 담기는 영역인 순환수담체영역(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공급받아 살균처리하는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는,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41);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폐가 가능한 흡입살균처리덮개(45); 상기 흡입살균처리덮개(45)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살균부(46);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46) 아래에 형성된 공간으로써, 공기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고 유입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며 유입된 후 배출 측으로의 흐름 방향의 변화로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살균공기와류공간(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성장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시키는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는,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 또는 가온의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로부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라인(53); 및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에서 물을 배출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배수라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포집가습장치(6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포집가습장치(60)는,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공간인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줄기 형태 또는 물방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및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과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포집가습펌프(63)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되는 물에 의해,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공기 중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공기 중에 수분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 또는 분사되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망을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 고정시키는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 및 상기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에 의해 고정되고, 공기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물방울이 부딪혀 미세하게 분할하는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를 포함하며,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는, 다수의 메시망줄(73)이 메시 형태로 된 분할망인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에서 버섯재배시설(11)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하는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는, 공기가 흐르는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공급라인(82); 및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내의 물을 배수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배수라인(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을 공급하는 간접온도조절장치(90)를 포함하고, 상기 간접온도조절장치(90)는, 상기 순환온도조절물이 담기고 간접열교환패널(92)이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 형상의 간접온도장치몸체(91); 상기 간접온도장치몸체(91)의 중앙으로 위치되고,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다공의 순환물흐름공과, 순환온도조절물과의 열교환을 위한 간접열교환액이 흐르는 열교환흐름로가 형성된 간접열교환패널(92);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간접열교환액을 간접열교환패널(92)로 공급하고 배수하는 간접열교환액공급라인(931) 및 간접열교환액배수라인(932);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부터 유입된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일측에 위치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 및 상기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 내의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의 순환물흐름공을 지난 후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타측에 위치되고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공급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출영역(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버섯 성장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한 버섯재배시설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버섯이 안정적으로 성장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품질의 버섯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버섯 생육에 최적화된 버섯재배시설 내부의 공기를 무작정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다시 재순환시키는 과정에 의해 일정한 내부 환경을 유지하여 버섯 생육환경에 있어서의 최적의 상태를 제공함으로 인해 버섯 재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 의하여 최적의 재배 상태를 유지함에 의해 양호한 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별도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곰팡이 등의 유해균이나 버섯파리와 같은 벌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양질의 버섯 생산을 이루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외부의 습도나 온도 환경에 영향을 줄임으로 인해서 외부 환경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갖추어야 할 별도의 시설을 줄이면서도 에너지 소모도 현저히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 재배를 위한 비용을 줄이면서도 버섯 상태도 양호하여 버섯 생산량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시설 내부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각 처리 과정에 따른 구성들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살균처리 및 온도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서 물의 분무를 통해 가습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 있어서 물 입자를 분할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에서 재배시설과 공기순환공급시스템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공기순환공급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공기순환공급시스템에서 장치 본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제어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에서 받침이 제거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 중에서 버섯배지뚜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 중에서 버섯배지뚜껑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A 선분에 대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 중에서 버섯배지뚜껑에서 공기의 유출입에 대한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시스템의 버섯재배용기에서 버섯이 자란 상태에 대한 예시도로, 버섯배지뚜껑의 상부로 버섯이 자라 올라온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 시스템(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이, 버섯재배 시스템(10)으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에 구비된 버섯재배선반(12)에 놓인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버섯이 자라게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버섯은 버섯재배용기(20)에 버섯배지를 담아 소정 조건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 조건은 맞춘 상태에 놓이게 하여 배지로부터 자라게 하는 것이다. 대체로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고 산소를 필요로 하며, 환경 조건에 따라 포자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온도, 습도, 조도 등에 더하여 환기의 필요성이 부가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 대부분의 기술에서는 암실처럼 만들어진 비닐 하우스 내부로, 가습장치, 외부 공기 투입장치, 내부 공기 배출장치 등을 설치하며, 온도 조절을 위해 냉풍기나 온풍기가 별도로 설치된다. 특히 이들 장치들을 별도로 각각 운영하면서 온도 조절, 습도 조절, 환풍 등 필요에 따라 각각의 장치들을 개별로 작동하게 된다.
각각의 장치들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상당한 전력이 소모되고 있으며, 열풍기의 경우 별도의 열원이 소모되게 된다. 반면 장치의 작동으로 최적 조건의 온도, 습도, 환기의 상태를 맞춘 다음에는 다른 조건(예: 온도의 경우 습도나 공기 오염도 등의 다른 조건)에 의해 다시 내부 공기 상태를 맞춰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온도를 예를 들면, 열풍기나 온도 조절장치로 시설 내부 온도를 맞춘다고 할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거나 포자가 발생될 경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그만큼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된다. 이럴 경우 소정 온도 상태로 맞췄다고 해도 새로운 외부 공기 유입으로 인해 다시 온도 조절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조건을 어느 상황이 되어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특별히 별도의 장치를 가동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과대한 전력의 소모 등이 발생되지 않는 등 저전력 가동이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시스템인 것이다.
특히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를 연동장치인 공기 순환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순환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특별히 변형상태가 나타나지 않아 안정적인 버섯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를 연동장치인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 재순환을 위해 배출하고,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부터 일시 배출되었다가 온도조건, 이산화탄소나 포자 등의 이물질 제거 및 습도 조절된 상태의 양질의 공기를 재공급받음으로써, 별도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지 않는 것이다. 이로써 불필요하게 추가로 가동시키는 장치가 없이도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저전력 재배시설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각 장치들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버섯이 자라는 버섯재배시설(11)은 소정 정도의 조도를 이루면서 소정 온도, 소정 습도를 가지게 되고,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포자 등의 이물질 농도를 측정하게 한다. 필요한 환경에서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만 측정할 수도 있다.
대체로 도 14 내지 도 20 등의 예에서처럼 버섯배지가 담겨진 버섯재배용기(20)를 다수 버섯재배선반(12)에 놓은 다음에 버섯 생육에 필요한 환경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부 환경을 맞추어 버섯이 자라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가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있어서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는 넓은 면적을 이루는 형태로써 수평면 형상이 사각, 삼각, 원형, 다각형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원형의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 상하의 두께는 비교적 수평 방향의 너비에 비해 낮은 높이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과열됨을 방지하고, 반면 공기의 순환이 잘되어 버섯 생육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버섯배지담체부(21)에서 중앙의 배지담체공간(211)으로 버섯배지가 담겨지는 것이고, 주위 벽체인 담체수직벽(212)은 배지담체공간(211)의 폭에 비해 짧은 길이의 낮은 높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담체수직벽(212)의 상부 가장자리는 소정 폭을 이루어 'ㄷ'자 형태로 꺾여 강성을 보강한 담체라운드턱(213)을 이루며, 담체라운드턱(213)과 같은 형상으로 후술되는 버섯배지뚜껑(22)의 뚜껑테두리(221)가 상부로 겹쳐지면서 안정되게 결착된 상태를 이룬다. 즉 담체라운드턱(213) 및 뚜껑테두리(221) 등이 서로 'ㄷ'자 형태로 꺾인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옆 방향으로의 요동이 작용하여도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에 덮인 버섯배지뚜껑(22)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결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버섯배지담체부(21)의 담체수직벽(212)에는 상하의 종방향으로 긴 길이로 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강성을 주는 요동방지수직돌기(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재배용기(20) 등이 겹으로 놓이거나, 내부의 배지가 담겨지거나, 또는 상부로 버섯이 자라 버섯의 무게가 누르더라도 버섯배지담체부(21)의 담체수직벽(212)의 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체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로 위치되는 버섯배지뚜껑(2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는 상하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 등은 외부로부터 해로운 세균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고 버섯재배용기(20) 내의 온도를 어느 정도 보존하여 버섯의 생육이 활발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상하의 두께는 너비에 비하여 낮게 형성하고, 넓은 면적을 이룸으로써 열적으로 과열됨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한 버섯 생육의 불균일한 상태를 방지한다. 또한 버섯배지담체부(21)에 담긴 배지의 상부와 버섯배지뚜껑(22) 사이의 공간을 옆으로 넓게 형성함으로써 버섯 생육으로 과열된 공기가 버섯배지뚜껑(22) 아래의 넓은 공간에서의 흐름이 가능한 공간형성구조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된 온도를 형성하여 일정하게 버섯이 자라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는 넓은 너비를 이루면서 높이는 너비에 비해 낮게 하며 뚜껑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 공기가 흐름으로써 버섯 생육으로 고온으로 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과열을 방지하고 열적으로도 균일한 상태를 이루어 버섯 생육이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형성된 용기공간 내의 공기와 외기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통공을 이루며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용기공기순환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중앙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버섯재배용기(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버섯재배용기(20) 내로 유입되어 버섯 생육에 양호한 작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섯은 자라게 됨에,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을 통하여 버섯이 자라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총 5개의 통공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의 버섯배지에 의한 버섯 생육에 따라 가온된 고온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의 상측으로써 버섯배지뚜껑(22) 아래부분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버섯배지뚜껑(22) 저부에서 넓게 분포된 상승된 공기를 용기공기순환부(23)로 유도하고 상방향으로 형성된 긴 장홈인 고온유도장홈(24)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가 점차 상승하여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인 버섯배지뚜껑(22) 하부 아래에 접하여 모이게 된다. 그런 후 고온유도장홈(24)을 따라서 통공이 형성된 용기공기순환부(23)로 흐르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고온유도장홈(24)은,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며 여러 개가 방사형을 이루는 긴 장홈인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도 17, 도 18 등의 예에서처럼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와 중앙으로 이어지는 다수 개의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이 형성됨으로써,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나 중앙 등의 상부로 모인 고온 공기가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고온유도장홈(24)은, 다수의 상기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다수로 분포된 용기공기순환부(23)를 이어 긴 홈을 이루는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버섯재배용기(20) 상측의 가장자리나 중앙을 걸쳐 형성된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연결되어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이 형성됨으로써,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흐르는 고온 공기가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버섯재배용기(20) 상부로 넓게 퍼진 고온 공기가 고온유도방사장홈(241) 및 고온측방유도장홈(242) 등의 고온유도장홈(24)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로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섯재배용기(20)의 아래 저부를 받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용기받침(26)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받침(26)은 대체로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사각형태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 2 등에서와 같이 선반 형태의 버섯재배시스템(10)에 버섯재배용기(20)를 손쉽게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상부로 덮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수확투명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용기공기순환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버섯성장통공(27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확투명커버(27)는 버섯배지뚜껑(22) 상부로 놓이는 것이며,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순환흐름통공(231) 주위의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의 상면으로 원형으로 돌출되는 투명커버통공삽입돌출부(236)의 주위로 버섯성장통공(271)이 끼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성장통공(271) 내향으로 돌출된 투명커버통공삽입돌출부(236)에 걸려 결국 수확투명커버(27)가 버섯배지뚜껑(22)의 정해진 위치로 안정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과, 버섯배지뚜껑(22)의 순환흐름통공(231)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를 이루어, 버섯 성장시 버섯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잘 자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 상면 가장자리의 원형 홈인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에 위치되며, 수확투명커버(27)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원형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버섯배지뚜껑(22)은 소정 높이를 이루는 뚜껑테두리(221)가 형성되고, 뚜껑테두리(221) 안쪽으로는 뚜껑테두리(221) 보다 낮은 높이로써 대체로 버섯배지뚜껑(22) 저부 높이를 이루는 뚜껑테두리저면부(222)가 형성되며, 이러한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면에 수확투명커버(27)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은 버섯배지뚜껑(22)의 뚜껑테두리저면부(222)에 위치하면서 외향으로 뚜껑테두리(221)에 걸리기 때문에 외부로 수확투명커버(27)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은 상측의 수확투명커버(27)의 높이와, 버섯배지뚜껑(22)에서 통공 상부의 높이와 같도록 하기 위한 측방향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은 다수 개로 구비하여 각각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들과 맞춰 대응되게 마련한 것이다. 그리하여 도 20의 예에서처럼 자라는 버섯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버섯이 다 자라면,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들 및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 외부로 버섯이 자란 상태를 이루며, 결국 버섯성장통공(271) 주위의 수확투명커버(27)의 상면으로 자란 버섯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버섯을 수확할 때에는 단지 수확투명커버(27)만 버섯배지뚜껑(22) 및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들어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도 20의 예에서처럼 다자란 버섯이 수확투명커버(27)에 의해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손쉽게 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확투명커버(27)를 이용하여 버섯이 자란 그대로 수확하기 때문에, 연약한 버섯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과정에서도 일일이 버섯을 손으로 만지지 않기 때문에 버섯 제품의 상태를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상기 용기공기순환부(23)에 대한 상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경우, 버섯 생육 중에 고온으로 된 공기는 바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와류로 순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의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으로 형성되는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흐름통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벽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종축을 이루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와류유도장벽(232)을 포함한다.
즉 와류유도장벽(232)은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면서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와류유도장벽(232)에 의해 버섯재배용기(20) 상부로 상승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을 지나지 못하고 와류유도장벽(232) 외부면에 형성된 공간에 머물게 된다.
이에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상부의 주위를 두르면서 수평면을 이루는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은 당연히 순환흐름통공(231)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순환흐름통공(231)의 아래 부분과,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고온 공기가 모이는 것이다.
또한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외향에서 아래로 경사지며 버섯배지뚜껑(22) 상면으로 이어지는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주위로 형성된 공간으로, 내측은 와류유도장벽(232)에 접하고 외향은 라운드포집경사면(234)과 접하며 상측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과 접하는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는,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 및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의 아래보다 높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아래로 일시 담겨지는 공간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재배용기(20) 내에서 자라는 버섯의 생육으로 인해 고온 공기가 발생되어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상측으로 고온 공기가 상승하게 되어 버섯배지뚜껑(22) 아랫면에 넓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버섯배지뚜껑(22)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온유도장홈(24)의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흐르면서 고온측방유도장홈(242) 등에 의해 순환흐름통공(231)이 형성된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버섯배지뚜껑(22)이나 고온유도장홈(24) 등의 높이에 비해서, 와류유도장벽(232)의 아래 부분이 낮거나 비슷한 높이를 이루기 때문에, 용기공기순환부(23)에서는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와류유도장벽(232)에 막혀 와류유도장벽(232)의 외측인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서는, 버섯배지뚜껑(22)이나 고온유도장홈(24) 등의 높이에 비해서 높은 높이로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면서, 순환흐름통공(231) 주위의 여러 곳으로부터 고온 공기가 모이기 때문에 서로 섞이면서 와류의 흐름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고온의 공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어느 정도 버섯재배용기(20) 내에 담겨진 상태를 갖기 때문에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대체로 버섯 배지로부터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공과 멀기 때문에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 공기가 발생됨에, 멀리 있는 곳의 공기는 쉽게 배출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면 통공 부근의 공기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전체적으로 열기나 공기 순환이 불균일하게 되어 버섯 생육 상태가 불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버섯재배용기(20)의 버섯배지담체부(21)가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옆으로는 넓은 너비를 이루는 형태를 이루어,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 공기는 대체로 상부로 상승하여, 버섯재배용기(20)의 상측인 버섯배지뚜껑(22) 아랫면에 모이게 된다.
그러면서 고온유도장홈(24)에 의해 용기공기순환부(23)로 모이는 것으로, 넓은 너비의 버섯배지뚜껑(22) 아래로 넓게 퍼져 모인 것으로 대체로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온도는 일정하면서 균일하게 유지되어, 종래에서처럼 어느 특정 부분만 고온을 형성하는 불균형 온도 상태를 갖지는 않는다. 이로써 버섯 생육에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섯 생육 중에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며 버섯 생육에 도움이 되는 산소가 새로이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고온 공기는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기공기순환부(23) 주위에 일시 와류로 혼합된 상태를 이룬 후 배출된다.
즉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바로 배출되려 하지 않으면서 용기공기순환부(23) 부근으로 모여 일정한 정압을 형성한다. 그러면서 버섯 생육으로 고온을 이루기 때문에 어느 정도 배출되는 것이며 이로써 그만큼 새로운 산소를 포함한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유입되는 공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고온 공기 등이 용기공기순환부(23)의 넓은 공간을 형성한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서 서로 섞이는 와류 현상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면서 유입되는 공기는 너무 급작스럽게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를 낮추지 않고, 반면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열기도 급작스럽게 빠지지 않는 등,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를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온도 조건이나 산소 유입 등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섯 생육이 잘 이루어져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버섯재배용기(20)가 다수로 마련된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온도와 습도, 이물질의 농도 등을 맞추기 위해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공기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 시스템(10)에 대한 공기순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이,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로써 버섯 생육을 위해 소정 온도와 소정 습도를 형성한 공기인 성장공기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흡입덕트(31)가 마련된다. 그리고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가 공기흡입덕트(31)로 흡입되도록 공기흡입덕트(31)의 흐름 경로 중에 공기흡입팬(312)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가 공기흡입팬(312)의 작동으로 공기흡입덕트(31)를 따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1) 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로부터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공급덕트(33)가 마련된다. 그리고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와 연결된 공기순환공급덕트(33)에서의 공기 흐름 경로 중에 공기순환공급팬(332)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 의하여, 최초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에 대해서, 이산화탄소, 포자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산소공급을 이루며 수분을 더 포함하며 온도 조절도 이루어진 공기를 공기순환공급팬(332)에 의하여 다시 버섯재배시설(11) 내로 순환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즉 최초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공기흡입팬(312), 공기흡입덕트(31)에 의해 흡입하여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 흐르게 하고,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 의해 이물질제거, 산소 공급을 이루며 온도조절 및 수분조절된 상태의 공기를 다시 공기순환공급팬(332), 공기순환공급덕트(33)에 의해 버섯재배시설(11) 내로 순환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새로운 외부 공기의 투입이 없으므로, 외부로부터 침투될 수 있는 오염세균이나 벌레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면서, 외부의 온도환경이나 습도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시키며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에 대응되어 가온 또는 감온시킨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에서 언급된 '성장공기'에 대해 살펴보면, 버섯재배시설 내의 공기이며, 이에 버섯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습도가 80 ~ 95% 정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온도의 경우도 18℃ 에서 23℃ 이내이어야 한다. 대체로 15℃로 되는 경우는 종래 기술을 적용한 재배시설에서 저온 성장을 위해 설정하게 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처럼 안정적인 재배 환경을 이루는 경우에는 대체로 20℃ 이상의 온도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특히 외부 조건이 여름철, 겨울철, 다습 상황, 건조 상황 등 다양한 환경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대체로 23℃ 정도의 온도조건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를 유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습도의 경우에서도 대체로 90% 정도로 유지함을 바람직할 것이다. 버섯의 성장 중에 이산화탄소가 발생되고 때로는 버섯에서 포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산화탄소나 버섯 포자 등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버섯의 성장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온도조건, 습도조건, 그러면서 광양의 조건(조도), 공기 중 이물질 농도(공기 오염도 등) 등이 소정 정해진 조건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처럼 버섯 성장에 알맞은 조건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 조건을 맞춘 공기에 대해서 '성장공기'라고 명명한 것이다. 따라서 성장공기에 놓인 버섯의 경우 더욱 성장이 잘 될 것이다.
이러한 성장공기에 놓인 버섯은 잘 자라게 되며 버섯의 성장 중에 수분이 필요하고 산소가 필요하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 포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고, 산소 공급이나 습도 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 의해 양질의 상태로 처리된 공기는 다시 버섯재배시설(11) 내로 순환공급됨으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에 기존에 있던 성장공기와 서로 섞임으로써, 성장공기의 상태를 일정하게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인 성장공기를 재순환하면서 양질의 공기로 처리되어 공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공기는 재순환 처리된 공기를 연속해서 공급함으로써 버섯 생육에 알맞은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인 '성장공기'를 공기흡입덕트(31)를 통해서 흡입하여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장치본체(101)로 흐르게 하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서 처리된 공기를 공기순환공급덕트(33)를 통해서 다시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순환 공급의 공기 흐름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각 부재들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및 포자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온도를 낮추며 수분을 공급하여 결국 버섯재배시설(11)에서의 온도 조절, 이물질 제거에 따른 공기의 청정 상태 유지, 습도 조절되어 성장공기가 양호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한 각 부재들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분무하는 물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아래 부분에 담기는 영역인 순환수담체영역(102)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체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장치본체(101) 내에서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온도 조절, 이산화탄소 및 포자 등의 이물질 제거, 습도 조절 등을 위해 흐르는 공기에 대해 물을 분무(분사)하는 것이며, 이에 필요한 물은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상태를 이룸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순환수담체영역(102) 내의 물을 별도의 펌프(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노즐 등에서 물이 분무(분사)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물은 지하수로 이용할 경우 온도조건(지하수는 대체로 10℃ ~ 15℃ 정도로 유지됨)을 맞추는데 있어서 별도의 열원(가온 또는 감온 등)이 필요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에너지 소모가 없어도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필요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수도의 물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버섯의 성장 중에 열이 발생되어 봄과 여름철, 가을철 등에는 주로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열기를 감온시키는 것이며, 겨울철에는 주위 온도 환경이 너무 저온을 형성하므로, 버섯재배시설(11) 내부 공기를 가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성장공기를 공급받아 흐르는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는 긴 길이를 이루는 함체 형상을 이루고,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아래에는 물이 담기는 순환수담체영역(102)을 이룬다. 이러한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 위를 흐르는 공기는 계속해서 물 위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물과 흐르는 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있을 경우에는 어느 정도 열교환 작용을 이루게 된다. 즉 순환수담체영역(102)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고 물이 담겨진 것으로, 순환수담체영역(102)의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게 되어 과도한 열교환 장치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를 비롯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과는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물론 시스템 내부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른 습도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열교환 장치를 부가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공급받아 살균처리하는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도 4, 도 5 등의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는,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41)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유입부(41)는 버섯재배시설(11) 내부와 연결되는 공기흡입덕트(31)와 연결되어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성장공기를 공급받는다. 이에 공기유입부(41)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가 마련된 부분으로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공간인 살균공기와류공간(47) 일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유입부(41) 안에는 평판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공기유입방향조절개폐부(4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기유입방향조절개폐부(411)가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공기유입부(41)의 종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된 경우에는 공기의 유입이 자유롭게 된다. 반면 공기유입방향조절개폐부(411)가 공기유입부(41)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장치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유입방향조절개폐부(411)가 배치된 방향이 공기유입부(41) 종방향과 소정 각도로 틀어진 경우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방향이 소정 각도로 휘어져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즉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는 필요에 따라서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살균공기와류공간(47)의 다른 측으로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의 외부공기흡입부(43)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외부공기흡입부(43)에서 외부 측으로는 외부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외부이물필터(431)를 구비한다. 그리고 파이프 형상의 외부공기흡입부(43) 내에는 회전가능한 외부공기흡입개폐부(432)가 마련된다. 이러한 외부공기흡입개폐부(432)는 외부공기흡입부(43)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공기흡입부(43)의 종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외부공기흡입부(43)의 종방향과 소정 각도로 틀어지게 외부공기흡입개폐부(432)를 배치하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에서 소정 흐름 각도로 틀어져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살균공기와류공간(47)으로 유입할 때 공기유입방향조절개폐부(411)에 의해 흐름 방향을 유도하고, 외부공기를 외부공기흡입개폐부(432)로 흐름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살균공기와류공간(47)에서 바로 배출측으로 흐르지 않고 좀더 오랜 시간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에 머물게 함으로서 별도로 마련된 살균 장치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균들을 살균하는데 효율을 좀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폐가 가능한 흡입살균처리덮개(45)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살균처리덮개(45)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살균부(46)를 포함한다. 이에 자외선살균부(46)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자외선램프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살균부(46) 아래에 형성된 공간으로써, 공기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고 유입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며 유입된 후 배출 측으로의 흐름 방향의 변화로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살균공기와류공간(47)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살균공기와류공간(47)을 흐르는 공기를 대상으로 하여 자외선살균부(46)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살균작용을 이루는 것이며, 이에 좀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에서 흐르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게 하여, 좀더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살균 효율을 향상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성장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시키는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는,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 또는 가온의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를 구비한 것이다.
즉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는 유사한 실시 형태로는 자동차 등의 엔진의 열기를 방열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radiator)의 형태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냉수가 다수의 냉수튜브로써 물흐름로를 통해 흐르며, 냉수튜브 주위로 열교환 향상을 위한 방열핀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냉수튜브(물흐름로) 및 열교환을 위한 방열핀들 사이로는 공기가 흐르는 관통공(공기흐름공)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를 지나는 공기는 물흐름로의 냉수튜브와 방열핀을 지나면서 이들과의 열교환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물흐름로의 물과 공기 사이의 열교환으로 공기는 물과 열적 평형을 이루는 온도로 가온 또는 감온될 것이다.
대체로 버섯 성장시 열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열기를 식히기 위해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은 공기보다 낮은 온도로 공급되어 공기에 대한 감온 작용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를 지나는 공기는 저온으로 감온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겨울 철에는 주위 온도가 영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가온하게 되며, 이를 위해 물흐름로를 지나는 물은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대체로 버섯 성장에는 대략 23℃ ~ 25℃ 정도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봄, 여름, 가을 철 등에는 이보다 낮은 온도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감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주 더운 여름의 경우에는 별도로 칠러(chiller) 등과 같은 냉각기를 이용하여 지하수보다 낮게 물을 공급하여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를 설정된 만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18℃ 이하, 특히 15℃ 이하에서는 버섯 성장이 안되거나 성장 속도가 늦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20℃ 이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가온장치를 통해서 따뜻한 물을 공급하여,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가온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유입되는 성장공기에 대해 가온 또는 감온을 하여 버섯 성장에 양호하게 하는 온도조건을 이루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로 공급되는 물은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장치에서 물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가 마련된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의 아래에 마련된 순환수담체영역(102)의 물을 공급하도록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이처럼 순환수담체영역(102) 내에 물을 담은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길고 큰 상자 형태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 내에 담겨진 물의 온도에 의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의 온도가 담겨진 물의 온도와 거의 비슷한 온도환경을 이루게 된다.
물론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등으로 직접 공기가 지나기 때문에 열 교환이 잘 이루어져 공기 온도 조절이 손쉽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공기가 계속해서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순환수담체영역(102) 내에 담겨진 물의 온도 환경하에 놓인 것이므로, 결국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담겨진 물의 온도로 자연스럽게 가온 또는 감온되는 것이므로, 결국 별도의 복잡하고 강력한 가온이나 감온장치가 없어도 원하는 온도로 공기의 온도조절이 손쉽게 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로부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라인(53)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에서 물을 배출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배수라인(54)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공급받는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를 지나는 공기는 가온 또는 감온되어 흐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포집가습장치(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6, 도 7 등의 예에서처럼 상기 공기포집가습장치(60)는,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공간인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을 구비한다. 그리고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상부로는 분무된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포집가습덮개를 포함한다. 물론 양양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상부로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가 전체적으로 마련되거나 각 장치 영역별로 분할되는 덮개들(예: 공기포집가습덮개, 흡입살균처리덮개 등)을 각각 별체로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내부의 물이나 습기 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을 포함한다.
대체로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을 통해서 분무되는 물은 안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은 물입자에 의하여 이산화탄소가 쉽게 물에 결합되게 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은 입자인 물입자에 포자 등의 입자들도 쉽게 붙기 때문에 포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이산화탄소나 포자 등의 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는 아래로 낙하게 되며 이로써 이산화탄소나 포자 등은 순환수담체영역(102)의 물에 포함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후 이러한 물을 정화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며, 이에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화장치의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줄기 형태 또는 물방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에서는 물방울 형태, 물줄기 형태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그리하여 분사되는 물줄기, 물방울 등은 앞서 설명한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에서 분무되는 물입자보다 강한 직진성을 갖게 된다. 그리하여 분사되는 물입자들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벽면이나 다른 물체에 부딪히게 된다. 이처럼 강한 힘으로 직진하다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분사된 물입자들은 더욱 작은 크기의 물입자로 분할될 것이다. 물론 양양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에서 분무되는 물입자도 공기 흐름을 타고 다른 물체에 부딪히게 될 경우 좀더 작은 크기로 분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공기포화습유도분사노즐(68)을 통해서 강한 직진의 힘으로 분사되는 물입자는 보다 활발하게 다른 물체에 여러 번 부딪히게 될 것이며, 이로써 이러는 과정에서 일부 물입자는 아주 작은 크기의 물입자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작은 크기로 분할된 입자는 흐르는 공기와 함께 흘러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되어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습도를 높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과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포집가습펌프(6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공기포집가습펌프(63)의 작동으로 인해 공기포집가습물공급라인(64)을 통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일측 벽면에 설치된 파이프 형상의 공기포집가습물분배라인(65)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공기포집가습물분배라인(65)에는 상하 방향으로 총 4개의 분리된 파이프형상의 노즐설치라인들이 마련된 것을 예로 보이고 있다. 즉 제일 처음의 노즐설치라인에는 물줄기나 물방울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들이 다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다음 노즐설치라인에는 물을 안개처럼 분무하는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들이 다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음 노즐설치라인에는 다시 다수 개의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들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마지막 노즐설치라인에는 다시 다수 개의 공기포집가습분무조즐(67)들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됨을 예로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다수 노즐들이 설치되어 내부로 흐르는 물을 물줄기나 물방울 형태로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안개처럼 분무하게 하는 노즐들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들에 의해 분무, 분사되는 물방울들은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서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벽면, 천장 등에 부딪혀 좀더 작은 크기의 물방울로 분할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되는 물에 의해,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공기 중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공기 중에 수분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로는 안개처럼 작은 크기의 물입자로 형성되게 하며, 분무된 물입자들은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 퍼지게 할 뿐 별도로 다른 벽면이나 물체에 부딪히지 않게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작은 크기로 분무된 물입자들은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 넓게 퍼져, 이사이를 흐르는 공기와 함께 흐르는 이산화탄소나 포자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물질의 포집 과정 중에는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에 의해 강하게 분사되고 분할된 물입자에 의해서도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집에 의해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지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에 의해 강한 직진을 힘을 가지도록 분사되는 물입자는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의 다른 물체에 부딪혀 보다 작은 입자들로 분할되는 것이다. 이후의 과정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흘러 버섯재배시설(11)로 공급되고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습도 조절에 기여하게 된다.
이를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 또는 분사되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에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망을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 고정시키는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에 의해 고정되고, 공기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물방울이 부딪혀 미세하게 분할하는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는, 다수의 메시망줄(73)이 메시 형태로 된 분할망인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에 대한 상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즉 앞선 공기흐름의 과정에서 공기포집가습장치(60)의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등에 의해 물이 분무, 분사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는 수많은 물방울들이 분포하게 된다. 이에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의 다음의 공기 흐름 경로에는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의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가 마련된다. 따라서 공기 흐름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물방울은 분무 및 분사로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 넓게 분포된 상태를 이루고, 이 중에서 이물질 포집 등을 이루는 물방울로써 비교적 크기가 큰 물방울들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의 물로 떨어져 기존의 담겨졌던 물들과 하나가 된다.
반면 공기의 흐름을 위해 가동하는 공기흡입팬(312), 공기순환공급팬(332) 등에 의한 힘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것이며, 이러한 공기 흐름 힘에 의해 함께 흐를 정도로 작은 크기의 물방울들은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 대해서, 공기 흐름 경로의 다음에 있는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 측으로 공기와 함께 흐르게 된다.
다만 물의 분무에 의해 어느 정도 공기는 포화습도에 근접된 습도를 형성하게 된다. 다만 앞선 과정에서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에 의해 공기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에서의 성장공기의 온도인 대략 20℃ ~ 25℃ 정도의 온도보다 낮은 대략 13℃ ~ 18℃ 정도로 낮은 온도로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을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에 더하여 물의 분무에 의해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의 공기는 한층 온도가 낮아질 것이다. 공기 내의 습도와 관련하여, 최대한 포함할 수 있는 습도를 포화습도라고 하며, 포화습도 이상으로 공기에 수분을 포함한 경우에는 소정 조건 하에서 물방울을 형성하여 포화습도 정도의 수분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하여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내에서 대체로 15℃ 정도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므로, 낮은 온도의 공기에서는 높은 온도의 공기보다 포화습도가 낮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낮은 온도 환경의 공기에 최대한 수분을 포함시키도록 포화습도만큼 수분을 포함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그대로 버섯재배시설(11) 내로 다시 공급하게 되면, 버섯재배시설(11) 내부는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환경이므로, 포화습도를 비롯하여 버섯재배에 알맞은 대략 90% 이상의 습도를 이루기가 곤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는 공기처리를 위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온도보다 높은 상태를 이루며, 이로써 버섯재배시설(11)에서의 포화습도는 높고, 이와 비교되는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에서는 낮은 온도로 그만큼 포화습도도 낮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에서의 온도 환경에 맞춘 포화습도 만큼의 수분만 버섯재배시설(11)로 공급한다면, 당연히 버섯재배시설(11)의 습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 시스템(10)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서 포화습도에 해당하는 수분에 더하여, 작은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하여 분할된 초미세분할된 크기로 물방울을 분할함으로써, 공기흡입팬(312) 및 공기순환공급팬(332) 등에 의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의 힘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흐르도록 하며, 이처럼 공기 흐름에 포함된 초미세로 분할된 물방울들이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조건은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며, 수분도 밀집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버섯재배시설(11)로 유입된 초미세분할된 물방울들은 넓게 퍼지면서 함께 수분으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습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하여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습도를 소정 정도로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결국 별도의 수분 공급장치가 없어도 버섯재배시설(11)의 습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써,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는 다수의 메시망줄(73)이 메시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마치 그물과 같이 이루어져, 수많은 물방울들이 다수 메시망줄(73)과 부딪히게 하여 더 작은 크기의 물방울들로 분할 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시망줄(73)은 금속, 비금속,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실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분 등에 의한 부식도 없게 하여 오랜 사용이 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의 단단한 구조물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 힘으로 충돌하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분할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의 다수 메시망줄(73)은, 도 7의 예에서처럼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각도(a)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a)로 기울어진 다수 메시망줄(73)에 부딪히는 물방울이, 경사진 메시망줄(73)에 의해 좀더 잘 분할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메시망줄(73)은 대략 15도 ~ 80도의 기울기를 갖게 경사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5도 이하로 경사진 경우에는 공기 흐름 방향과 별반 차이가 없을 수 있어 이에 물방울이 부딪혀도 쉽게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80도 이상의 각도에 대해서는 오히려 물방울이 분할되지 않고 메시망줄에 붙어 아래로 흐를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메시망줄들이 메시 형태의 그물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분할망을 이루면서, 이러한 분할망이 공기 및 물방울의 흐름 방향으로 다수 겹을 이룸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의 메시망을 통과하는 물방울이 다수 메시망들에 여러 번 부딪혀 다수로, 좀 더 작은 크기로 분할되어 초미세의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수 겹으로 이루어진 분할망은 예를 들면, 선두미세분할망(741), 연속분할망(742), 후단초미세분할망(743) 등과 같이 3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2겹에서부터 10겹 등 다수로 겹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대체로 6겹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 많은 경우에는 여러 겹을 이룸에 비하여 더 이상 분할의 효과가 미미하게 될 수 있으며, 오히려 공기나 물방울의 흐름을 방해할 우려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망의 메시망줄(73)들은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것이며, 아울러 다수 메시망줄(73)들은 서로 앞서거나 뒷쪽의 메시망줄과 서로 다른 경사진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의 예로 볼 때, 선두미세분할망(741)과 이후의 연속분할망(742)은 서로 반대로 경사진 방향을 갖게 함으로써, 선두미세분할망(741)에 부딪혀 분할된 물방울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연속분할망(742)에 의해 더욱 잘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체로 물방울이나 보통의 비는 대략 2,000 ㎛ ~ 3,000 ㎛ 정도의 크기를 이루고, 이슬비는 대략 500 ㎛ 정도의 크기를 이루며, 안개는 대략 100 ㎛ 정도의 크기를 이루는 것이다. 이에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으로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에 의해 분무되는 물방울은 안개 형태로 분무되는 것으로 대략 100 ㎛ 정도 크기의 물방울 형태를 이루게 될 것이다.
대략 이정도 크기의 물입자에 대해 공기 흐름에 의하여 메시망들에 부딪혀 분할되는 물방울들은 부딪힘에 의해 더욱 세분화된 작은 크기의 물방울들로 분할되며, 일부 분할된 입자들 중에는 아주 작은 크기의 물방울들이 형성될 것이다. 이에 수증기 형태로써 대략 0.0001 ㎛ 내지 0.001 ㎛ 정도의 크기인 초미세 크기의 물방울들은 공기 흐름과 함께 흐를 수 있으며, 이러한 물방울들은 버섯재배시설(11) 내로 유입됨으로써 습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참고로 미세라고 언급하는 크기는 대략 10 ㎛ 정도의 크기입자를 말하고, 초미세 입자는 대략 0.1 ㎛ 크기 이하의 입자를 이를 경우를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초미세 크기의 물방울의 크기는 반드시 물입자 크기를 0.1 ㎛ 크기 이하인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의 '초미세 크기 물입자'는 흐르는 공기와 함께 흐르면서 버섯재배시설(11)로 유입되어 버섯재배시설(11)의 습도에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크기의 물방울 입자를 지칭한다고도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물방울 입자에 대해서는 반드시 분무 또는 분사 등을 비롯하여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에서 공기와 함께 흐를 수 있는 정도로 초미세 크기를 이루면서 버섯재배시설(11)로 유입되어 습도 형성에 기여하는 물입자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 및 물입자 흐름 경로 중에 다수의 메시망줄(73)에 의해 비교적 큰 크기의 물입자들이 부딪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초미세 물입자를 될 수 있으면 많이 분포되게 하는 것이다.
물론 메시망들에 부딪힌다고 해서 반드시 모든 물방울들이 초미세 크기를 이루는 것은 아닐 것이고, 커다란 물방울의 경우 이후의 과정들에 의해 뭉쳐 다시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으로 모이게 될 것이다.
반면 초미세 크기로 분할된 물방울들은 단지 몇몇이 모인다고 하여도 초미세 크기를 유지할 수 있어 그대로 공기 흐름을 따라 버섯재배시설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다수 겹을 이루어 메시망줄(73)들로 이루어진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에서 다수 메시망들이 서로 겹을 이루되 겹을 이루는 수는 공기의 흐름양, 분사되는 물의 분사량,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온도 및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의 차이나, 버섯재배시설(11) 면적이나 체적 등에 따라 알맞은 겹으로 정하여져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에서 소정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여 버섯의 성장에 알맞게 하게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에서 버섯재배시설(11)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하는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는 도 8 등의 예에서처럼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처럼 배출되는 양양공기의 온도는 결국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를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의 상세 구성을 보면, 공기가 흐르는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공급라인(82)을 구비하며,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내의 물을 배수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배수라인(83)을 포함하는 것이다. 물론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함께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는 대체로 자동차나 엔진 등에서의 열교환기에 해당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내부로는 저온 또는 고온의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로써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냉매튜브가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다수 냉매튜브인 물흐름로 주위로 방열을 위한 열교환핀이 일체로 결합된 것이며, 물흐름로 및 열교환핀 사이사이의 공간으로는 공기가 흐르는 공기흐름공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물흐름로인 냉매튜브 내부를 지나는 물과, 공기흐름공을 지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흐르는 공기에 대한 감온 또는 가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를 흐르는 물의 온도는, 계절이나 주변의 습도, 온도 등에 따라 정하여질 것이며, 이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하여 버섯의 재배가 잘 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을 공급하는 간접온도조절장치(9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 의해 흐르는 공기에 대한 감온, 가온 등의 온도조절 과정은,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최종 처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로써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 환경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 의한 온도조절은, 처음 과정으로써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에서의 온도조절보다도 좀더 인위적인 작용을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버섯재배시설(11)에서의 온도환경을 잘 조절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맞추기 위한 구성으로써 별도로 마련된 간접온도조절장치(9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즉 앞서 온도조절을 위한 구성으로써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에서는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저부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열교환 상황을 제공한 것인 반면, 최종 온도조절 작용을 이루게 되는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에서는, 좀더 온도조절을 최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간접온도조절장치(90)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간접온도조절장치(9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순환온도조절물이 담기고 간접열교환패널(92)이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 형상의 간접온도장치몸체(9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간접온도장치몸체(91)의 중앙으로 위치되고,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다공의 순환물흐름공과, 순환온도조절물과의 열교환을 위한 간접열교환액이 흐르는 열교환흐름로가 형성된 간접열교환패널(92)을 구비한 것이다.
아울러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간접열교환액을 간접열교환패널(92)로 간접열교환액펌프(933) 작동으로 공급하고 배수하는 간접열교환액공급라인(931) 및 간접열교환액배수라인(932)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하여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의 냉매가 간접열교환패널(92)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냉매는 별도의 열교환 전용 냉매가 이용될 수도 있고 저온 또는 고온의 물이 이용될 수도 있는 등 실시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가열장치 또는 가온장치로써 일명 칠러(chiller) 등의 냉각기, 가열장치 등이 적용될 것이며, 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열교환장치의 상세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작동의 방식으로는 가온의 경우 전기를 이용하거나 연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냉각의 경우에는 압축기, 냉매 등에 의한 냉각 과정을 수행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열이나 감온 등을 거친 냉매(주로 물)를 간접열교환패널(92)로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이처럼 저온 또는 고온의 물을 공급받는 간접열교환패널(92)은 저온 또는 고온의 상태를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간접열교환패널(92) 내부의 냉매튜브로 저온 또는 고온의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마치 라디에이터(radiator)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 물흐름로 주위로는,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된 것이다.
즉 간접온도조절장치(90)의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에는,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부터 유입된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일측에 위치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 내의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의 순환물흐름공을 지난 후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타측에 위치되고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공급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출영역(95)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냉매(주로 물)를 공급받아 고온 또는 저온을 형성한 간접열교환패널(92)의 일측으로는,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부터 유입된 순환온도조절물이 모인 것이고, 이러한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의 물 흐름공을 지나서 반대측으로 모인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간접열교환패널(92)을 순환온도조절물이 지나면서, 순환온도조절물과 간접열교환패널(92) 내부의 물 사이에 열교환을 이루어, 순환온도조절물이 감온 또는 가온된 상태가 되며, 이처럼 열교환된 순환온도조절물은 다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공급되어,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를 지나는 공기를 가온 또는 감온시키는 것이다.
이에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가 25℃ 정도를 이루고, 계절이 겨울이 아닌 조건을 이룰 경우 대부분 버섯 성장시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가 상승하므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부터 순환되어 다시 유입받는 공기에 대해 감온의 작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저온의 냉각된 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로써 간접열교환패널(92)은 저온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간접열교환패널(92)은 대략 15℃ 정도의 저온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간접열교환패널(92)을 지나는 순환온도조절물도 대략 15℃ 정도의 저온 상태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공급됨으로써,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를 지나는 공기도 대략 15℃ 정도의 온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저온을 이루는 공기는 버섯재배시설(11) 내로 다시 순환공급되어, 버섯재배시설(11)의 일반적인 온도인 25℃에서 더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를 25℃ 정도가 유지되게 한다.
반면 이처럼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를 25℃ 정도로 유지하는 것은 버섯의 종류, 시설되는 상태, 계절이나 비오는 날인지 여부 등의 버섯재배 상황에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루 중에서도 버섯재배시설(11) 외부 환경에 있어서, 한낮의 기온은 맑은 날씨에는 최고 기온을 이루고 반면 한밤중에는 비교적 낮은 기온을 형성하므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를 대략 23℃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냉각 조건도 다소 변동을 주어야 할 것이다.
즉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 의해 흐르는 공기에 대한 감온을 일관되게 15℃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섯재배시설(11) 내부 및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서의 감온 설정 온도를 15℃에서 변동을 주어 냉각과정을 이루게 될 것이다. 즉 맑은 날 한낮에는 외부 온도가 상당히 올라가므로, 될 수 있으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서는 15℃ 이하로 감온이 이루어지게 하여 가능하면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가 23℃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 한밤에는 외부 온도가 상당히 내려가므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서 15℃ 이상의 온도 환경에서 감온이 이루어지게 작동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에서의 온도 설정은,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에서 공급되는 냉매(주로 물)의 온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이처럼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인 성장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 흐르게 하고,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으로 유입된 공기에 대해 살균처리하는 과정, 유입된 공기의 온도조절과정, 각 노즐에서 물이 분무되게 하는 과정, 가습의 과정, 다시 버섯재배시설(11)로 흐르는 공기에 대한 열교환을 통한 온도조절과정 등을 이루기 위해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버섯재배제어부(15)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공기흡입팬(312)을 작동하여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흡입덕트(31)를 통해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로 공급하는 성장공기흡입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살균공기와류공간(47) 내에 위치된 공기에 대한 살균작용을 위해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자외선살균부(46)를 작동시켜, 공기에 대한 살균처리과정을 이루게 하는 흡입공기살균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가 흐르는 공기흐름공의 주위의 물흐름로를 형성한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의 물에 담겨진 수중펌프인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를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로 작동되게 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로써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의 물과 공기 사이의 열교환으로 흐르는 공기에 대한 온도조절을 이루게 된다.
물론 계절 조건이나 버섯 종류, 시설의 상태조건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나, 대체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가 23℃ 정도를 유지한다고 할 경우에, 유입공기온도조절단계(S30)에서는 물의 온도를 15℃ 정도로 이루게 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게 한다. 즉 버섯의 성장 중에 대체로 버섯재배시설 내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온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기 위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낮추는 온도조절과정을 이루게 된다.
다음의 과정에 대한 것으로, 흐르는 공기가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을 흐를 때, 흐르는 공기측으로 물을 분무하게 되는 것으로,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포자 등의 이물질을 물입자들에 의한 포집으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게 하는 이물질포집단계(S40)를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분무되는 물이나 별도로 분무되게 하는 장치로써, 이산화탄소 또는 포자를 손쉽게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 조성물이 별도로 분무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또는 포자의 포집용 조성물이나 구성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술 사항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대체로 본 발명에서는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긴 물을 안개나 작은 물방울 형태로 분무, 분사하여 이산화탄소나 포자를 포집하도록 실시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처럼 분무, 분사된 작은 물입자들에 의해 흐르는 공기 중의 습도를 높여 포화상태를 이루게 하는 가습단계(S50)를 수행한다.
아울러 물의 분무, 분사된 상태에서 계속적인 공기의 흐름 과정 중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 힘에 의해 분무, 분사된 물 입자가 공기 흐름 과정의 이후 영역에 마련된 메시망의 메시망줄(73)에 부딪혀 보다 작은 초미세물입자로 분할되는 초미세분할단계(S60)를 수행한다.
이처럼 초미세 물입자로 분할된 물입자는 공기 흐름과정에 의해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흐르게 되며,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습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최종 버섯재배시설(11)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최종 온도조절 과정을 이루게 되는 순환공기온도조절단계(S70)를 수행한다.
이러한 순환공기온도조절단계(S70)에서는,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흐름공의 주변으로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가 구비되는 것이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의 물흐름로인 튜브를 흐르는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은 별도로 마련된 간접온도조절장치(90)의 간접열교환패널(92)을 지나면서 설정된 상태의 온도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에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로,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의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 측으로 흐르면서 설정의 온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간접열교환패널(92) 내부로도 온도 조절된 상태의 물이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것으로,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가 작동하며, 또한 온도 조절된 물이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에서 간접열교환패널(92) 사이를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후 최종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에서 온도조절되면서, 이전의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포자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산소가 포함된 비중이 높이게 되며 온도조절을 이룬 공기는, 버섯재배제어부(15)의 제어로 작동되는 공기순환공급팬(332)의 작동으로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공급단계(S80)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 시스템(10)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여 버섯재배시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구성인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을 통해 흐르게 하면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의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에 마련된 구성들에 의하여, 순환되게 흐르는 공기에 대한 이물질 포집과정, 온도 조절, 가습 등의 과정을 이루어진 공기를 다시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순환공급하는 것이다. 이로써 항상 버섯재배시설(11)은 버섯 생육에 알맞은 온도, 습도를 유지하면서, 버섯 생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나 포자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면서 고품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처럼 습도나 온도 조절을 위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경우, 외부 공기에 포함된 곰팡이 등의 유해균,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버섯파리와 같은 벌레, 해충 등이 그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버섯 재배가 불가능할 수도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반면 대체로 여름철, 겨울철 등과 같이 외부 조건은 계절별 온도 환경이 계속해서 변화되므로, 그만큼 버섯 생육에는 좋지 않은 환경조건이 발생한다. 또한 습도에 대한 것도, 비가 오면 외부 습도가 높게 되고, 맑은 날에는 외부 습도가 낮게 되므로, 이처럼 습도나 온도가 일정하지 않은 외부 공기를 그대로 유입하게 되면 그 때 마다 버섯 생육을 위하여 온도조절장치나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다른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항상 일정한 온도나 습도 상황을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버섯재배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버섯재배시스템 11 : 버섯재배시설
20 : 버섯재배용기 30 :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
101 :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
40 : 흡입공기살균처리부 50 :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
60 : 공기포집가습장치 70 :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
80 : 순환공기온도조절부 90 : 간접온도조절장치

Claims (8)

  1. 버섯재배시설(11) 내에 구비된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버섯이 자라게 하고,
    상기 버섯재배시설(11) 내의 공기로써 버섯 생육을 위해 소정 온도와 소정 습도를 형성한 공기인 성장공기를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흡입덕트(31);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로부터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공급덕트(33);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시키며 버섯재배시설(11) 내부 온도에 대응되어 가온 또는 감온시킨 공기를 버섯재배시설(11)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을 포함하는 버섯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포집가습장치(6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포집가습장치(60)는,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공간인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중에 물줄기 형태 또는 물방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및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과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포집가습펌프(63)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되는 물에 의해, 공기포집가습분무공간(62)에서 흐르는 공기 중에 포함된 포자 및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공기 중에 수분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포집가습분무노즐(67) 및 공기과포화습유도분사노즐(6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분무 또는 분사되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과포화습유도발생부(70)는,
    물방울을 미세하게 분할하는 망을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일측에 고정시키는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 및
    상기 과포화습유도분할망설치부(71)에 의해 고정되고, 공기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물방울이 부딪혀 미세하게 분할하는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를 포함하며,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부(72)는, 다수의 메시망줄(73)이 메시 형태로 된 분할망인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포화초미세입자분할망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대해 분무하는 물이,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의 아래 부분에 담기는 영역인 순환수담체영역(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를 공급받아 살균처리하는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는,
    버섯재배시설(11) 내의 성장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41);
    상기 흡입공기살균처리부(40)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폐가 가능한 흡입살균처리덮개(45);
    상기 흡입살균처리덮개(45)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살균부(46);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46) 아래에 형성된 공간으로써, 공기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고 유입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며 유입된 후 배출 측으로의 흐름 방향의 변화로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살균공기와류공간(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버섯재배시설(11)로부터 공급된 성장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시키는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장치(50)는,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 또는 가온의 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 아래의 순환수담체영역(102)에 담겨진 물을,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
    상기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펌프(52)로부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공급라인(53); 및
    상기 유입공기열교환패널부(51)에서 물을 배출하는 유입공기온도조절수배수라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기순환공급장치본체(101) 내부에서 버섯재배시설(11)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해 감온 또는 가온하는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공기온도조절부(80)는,
    공기가 흐르는 공기흐름공과, 공기흐름공 사이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물흐름로를 포함하며, 물흐름로를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열교환을 이루는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공급라인(82); 및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내의 물을 배수하는 순환공기열교환수배수라인(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속순환공급시스템(30)은,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 감온용 또는 가온용의 물인 순환온도조절물을 공급하는 간접온도조절장치(90)를 포함하고,
    상기 간접온도조절장치(90)는,
    상기 순환온도조절물이 담기고 간접열교환패널(92)이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 형상의 간접온도장치몸체(91);
    상기 간접온도장치몸체(91)의 중앙으로 위치되고, 순환온도조절물이 흐르는 다공의 순환물흐름공과, 순환온도조절물과의 열교환을 위한 간접열교환액이 흐르는 열교환흐름로가 형성된 간접열교환패널(92);
    간접열교환액공급장치(97)로부터 간접열교환액을 간접열교환패널(92)로 공급하고 배수하는 간접열교환액공급라인(931) 및 간접열교환액배수라인(932);
    상기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로부터 유입된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일측에 위치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 및
    상기 순환열교환수유입영역(94) 내의 순환온도조절물이 간접열교환패널(92)의 순환물흐름공을 지난 후 간접온도장치몸체(91) 내부의 간접열교환패널(92) 타측에 위치되고 순환공기열교환패널부(81) 측으로 공급되는 영역인 순환열교환수유출영역(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시스템.
KR1020160089082A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 시스템 KR10171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2A KR101710586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 시스템
PCT/KR2017/007496 WO2018012892A1 (ko) 2016-07-14 2017-07-13 버섯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2A KR101710586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586B1 true KR101710586B1 (ko) 2017-02-27

Family

ID=5831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082A KR101710586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0586B1 (ko)
WO (1) WO201801289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92A1 (ko) * 2016-07-14 2018-01-18 백문석 버섯재배 시스템
KR102006280B1 (ko) * 2018-11-23 2019-10-08 (주)주원엔지니어링 버섯 재배 장치
KR102251194B1 (ko) * 2020-11-06 2021-05-13 주식회사 시스웍스 가축사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KR20210101827A (ko) 2020-02-11 2021-08-19 황태철 버섯 재배 시스템 및 버섯 재배 방법
KR20210109930A (ko) * 2020-02-28 2021-09-07 임종구 역대류를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20210109929A (ko) * 2020-02-28 2021-09-07 임종구 지열을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102381853B1 (ko) * 2021-04-15 2022-04-01 김동열 무균 양압식 버섯 재배 방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KR102474291B1 (ko) * 2022-06-03 2022-12-05 주식회사 엔씽 식물공장의 열 순환 시스템
KR20230135291A (ko) 2022-03-16 2023-09-25 박상우 데크형 버섯 재배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8280A1 (en) * 2018-01-31 2019-08-08 Terracube International Inc. Airflow system and method for a chamber
CN109302950A (zh) * 2018-11-29 2019-02-05 盐城爱菲尔菌菇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食用菌工厂用通风设备
CN113796265A (zh) * 2021-09-27 2021-12-17 巫溪县凤芝农业有限公司 一种食用菌栽培用生产基地智能管理控制系统
CN114793767B (zh) * 2022-06-09 2023-06-20 宿州学院 一种移动式食用菌种植用灌溉喷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50Y1 (ko) * 1996-07-08 1999-01-15 권혁경 열교환 및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버섯재배용 환기장치
KR200207824Y1 (ko)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성우크린테크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KR20010037454A (ko) 1999-10-18 2001-05-07 김효성 버섯 재배사의 온도/습도 조절방법 및 이의 장치
KR101147563B1 (ko) 2010-04-21 2012-05-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 향상을 위한 생체촉매 고정화 방법
KR20120052836A (ko) * 2010-11-16 2012-05-24 김명한 버섯재배사의 에너지 절약형 무창환기시스템
KR101625659B1 (ko) 2015-08-05 2016-05-30 김우정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도/습도조절시스템
KR101633781B1 (ko) 2010-03-05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칠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953A (ko) * 1996-07-01 1998-04-30 이봉림 버섯재배용 공조기
KR20060118035A (ko) * 2005-05-16 2006-11-23 이정인 버섯재배사 환기 장치
KR101710586B1 (ko) * 2016-07-14 2017-02-27 임우람 버섯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50Y1 (ko) * 1996-07-08 1999-01-15 권혁경 열교환 및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버섯재배용 환기장치
KR20010037454A (ko) 1999-10-18 2001-05-07 김효성 버섯 재배사의 온도/습도 조절방법 및 이의 장치
KR200207824Y1 (ko)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성우크린테크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KR101633781B1 (ko) 2010-03-05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칠러
KR101147563B1 (ko) 2010-04-21 2012-05-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 향상을 위한 생체촉매 고정화 방법
KR20120052836A (ko) * 2010-11-16 2012-05-24 김명한 버섯재배사의 에너지 절약형 무창환기시스템
KR101625659B1 (ko) 2015-08-05 2016-05-30 김우정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도/습도조절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92A1 (ko) * 2016-07-14 2018-01-18 백문석 버섯재배 시스템
KR102006280B1 (ko) * 2018-11-23 2019-10-08 (주)주원엔지니어링 버섯 재배 장치
KR20210101827A (ko) 2020-02-11 2021-08-19 황태철 버섯 재배 시스템 및 버섯 재배 방법
KR20210109930A (ko) * 2020-02-28 2021-09-07 임종구 역대류를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20210109929A (ko) * 2020-02-28 2021-09-07 임종구 지열을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102360373B1 (ko) 2020-02-28 2022-02-08 임종구 지열을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102391023B1 (ko) 2020-02-28 2022-04-25 임종구 역대류를 이용하는 버섯 재배 시스템
KR102251194B1 (ko) * 2020-11-06 2021-05-13 주식회사 시스웍스 가축사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KR102381853B1 (ko) * 2021-04-15 2022-04-01 김동열 무균 양압식 버섯 재배 방
KR20230135291A (ko) 2022-03-16 2023-09-25 박상우 데크형 버섯 재배시설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KR102474291B1 (ko) * 2022-06-03 2022-12-05 주식회사 엔씽 식물공장의 열 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892A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586B1 (ko) 버섯재배 시스템
US11412668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674680B2 (en) Fan coil for greenhouse
US20030188477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ditioning system particularly for a greenhouse
DK2521436T3 (en) Greenhouses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CN101076701A (zh) 冷却组件
KR101557197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KR200207824Y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EP3986116B1 (en) Greenhouse
KR101938003B1 (ko) 식물벽 필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연 공기 공급 열교환 환기 효과 시스템
US20220192105A1 (en) Hvac system for hydroponic farm
JP6081003B1 (ja) 植物栽培温室
EP1945020B1 (en) System for conditioning crops
KR20200011724A (ko)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공기조화장치
JP2020191847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219736A (ja) 育苗用の開放型空調装置
JP2004008049A (ja) 植物栽培用施設及び植物栽培方法
US11033008B2 (en) Vivarium systems
JP2008281288A (ja) 細霧冷房装置
KR102537951B1 (ko) 버섯 재배사
CN202035339U (zh) 一种温室换热通风系统
JP5669404B2 (ja) 建屋の局所送風機と、その局所送風方法
TW546113B (en) Sprout cultivation device
MX2007008107A (es) Invernadero y sistema y metodo de control de clima de invernadero forzado.
CN209556437U (zh) 具有除霾功能的微气候调节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