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008A -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008A
KR20060080008A KR1020050000455A KR20050000455A KR20060080008A KR 20060080008 A KR20060080008 A KR 20060080008A KR 1020050000455 A KR1020050000455 A KR 1020050000455A KR 20050000455 A KR20050000455 A KR 20050000455A KR 20060080008 A KR20060080008 A KR 2006008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heat exchanger
contai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현
서형덕
Original Assignee
윤대진
주식회사 티엠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진, 주식회사 티엠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filed Critical 윤대진
Priority to KR102005000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008A/ko
Publication of KR2006008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pidem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버섯재배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컨테이너 형상이고 일측면에 개폐문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버섯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흡입하면서 내부의 열과 외부의 열의 교환을 방지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하는 송기덕트;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내부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습도를 상승시키는 가습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고, 버섯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열교환기에 의하여 하절기에는 공기를 환기하는 동안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고, 동절기에는 의부로 배출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서 버섯재배장치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버섯, 재배, 장치, 열교환, 컨테이너

Description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Container typed mushroom culture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버섯재배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버섯재배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버섯재배장치의 구성도.
도5a 내지 도5c는 버섯재배장치의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버섯재배장치의 채광창에 구비된 차양막이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버섯재배장치의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버섯재배장치, 20:본체,
23:선반, 27:송기덕트,
29:배기덕트, 30:냉각기,
40:가열기, 50:가습기,
200:열교환기, 210:하우징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 효율이 양호하여 외부의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버섯을 재배할 수 있고,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동절기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하절기에는 외부에서 열기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온도, 습도, 및 햇빛의 조사량을 제어하여 최적의 버섯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균류(菌類)가 형성하는 대형의 자실체(子實體;포자를 만드는 기관)를 일컫고 있고, 균(菌)은 지금은 균계(菌界)를 이루고 있는 균류를 뜻하나, 원래는 버섯, 즉 영어의 mushroom을 가리킨다
식품으로서의 버섯의 가치는 영양가면에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성과 동물성 식품에서는 얻을 수 없는 물질이 버섯을 비롯한 균류에 들어 있다는 것이다. 식용버섯은 단백질·지방 외에 조섬유, 칼륨, 인산, 비타민B와 D, 효소 등이 풍부한 알칼리식품이다. 식용버섯의 독특한 맛과 향기는 아미노산·만니톨·트레할로오스 등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목이·송이·표고·느타리·능이·싸리버섯·꾀꼬리버섯·팽나무버섯·맛버섯·젖버섯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버섯은 재배하며 공급되고 있으며, 한국·일본은 표고버섯을 주로 재배하고 중국·동남아시아는 풀버섯을 재배하며, 유럽·미국은 머쉬룸(한국명 양 송이)을 주로 재배하여서, 이들 버섯을 세계의 3대 재배버섯이라고 한다. 표고는 목재부후균, 풀버섯과 머쉬룸은 낙엽과 마른풀 등을 썩히는 사물기생균(死物寄生菌)이기 때문에 재배가 용이하다. 같은 생활양식을 취하는 버섯은 식용이나 약용에 관계없이 재배가 가능하다. 최근 식용버섯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팽나무버섯·나도팽나무버섯·느타리의 재배가 활발하며, 목이·흰목이·잎새버섯·밤버섯·느티만가닥버섯 등도 재배되고 있다. 이에 비해서 송이·잿빛만가닥버섯·젖버섯아재비 등과 같이 균근을 만드는 버섯은 재배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데, 농가에서 버섯을 재배하고 있는 방법은 대부분이 비닐하우스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여름에는 고온에 의해 버섯재배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버섯 전부가 폐사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며, 겨울에는 영하의 온도에 의해 버섯의 성장 저해와 수확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습도 조절이 어렵고, 환기장치가 미흡하므로 인하여 탄산가스의 영향으로 생장과 발육에 저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일부분 버섯 재배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에너지 공급시스템이 비효율적이며, 가습기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환기시스템도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이 양호하고, 동절기와 하절기에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 는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고, 버섯의 호흡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컨테이너 형상이고 일측면에 개폐문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버섯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흡입하면서 내부의 열과 외부의 열의 교환을 방지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하는 송기덕트;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내부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습도를 상승시키는 가습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흡입관과 배출관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흡입관과 배출관의 내부공간을 관통하면서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전열판;과 상기 흡입관 및 배출관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공기를 송풍하고 배풍하는 한 쌍의 팬; 및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결합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일정거리마다 이격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주프레임과, 주축이 관통되는 축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주프레임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리프레임이 일체로 성형된 분할구;가 복수로 연결되어서 원통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분할구는 상기 볼트구멍에 장착되는 결합볼트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분할구와 분할구 사이에는 전열판이 안착되고, 상기 전열판은 상기 축구멍에 안착되는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계와 상기 습도계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이산화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측정기;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기덕트 사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이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기덕트 사이에는 필터에 의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공기여과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 상부에는 햇빛을 채광하는 채광창;과 상기 채광창에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양막;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와 도3은 도1에 도시된 버섯재배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본체(20), 열교환기(200), 선반(23), 송기덕트(27), 배기덕트(2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중공부가 형성된 컨테이너로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개폐문(2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 상부면에는 외부에서 햇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채광창(62)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20)의 벽면은 단열재에 의하여 단열이 되어있다.
상기 본체(20) 내부 공간에는 버섯을 수납하여서 재배할 수 있는 선반(23)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23)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보통의 선반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채광창(62)에는 햇빛을 가리는 차양막(63)이 설치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63)은 섬유질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61)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양막(63)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조사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61)은 모터에 의하여 일정각도 회전이 되고, 상기 모터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버섯 재배에 필요한 요소는 빛의 강도이다. 버섯 균사의 발육에는 빛이 전혀 필요 없지만 버섯의 발생과 생육에는 필요로 하나 강한 햇빛은 오히려 해롭다. 버섯의 발생에는 40~240룩스 정도의 산광이 필요하며 어두운 곳에서는 발생하지 못한 다. 빛이 어두우면 대가 가늘고 길며 갓의 육질이 얇고 색깔이 희어지므로 상품가치가 떨어지지만 밝으면 그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에는 열교환기(2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열교환기(200)는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11)과 배출관(212)을 구비하는 하우징(26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회전체를 수용하므로 원통형으로 형성하는데, 단열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금속소재의 외면을 단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211)과 배출관(212)은 상기 본체(20)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260)은 분할구(250)의 결합에 의하여 조립된다. 도5c에 도시된 상기 분할구(250)는 링(Ring) 형상의 원주프레임(210)과 상기 원주프레임(210)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리프레임(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원주프레임(210)에는 결합볼트(280)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원주상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격리프레임(220)에는 주축(290)이 관통할 수 있는 축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구(250)와 분할구(250) 사이에는 전열판(230)이 삽입된다. 즉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구(250)와 상기 전열판(230)이 순차적으로 결합볼트(280)에 의하여 결합되게 된다. 상기 원주프레임(210)의 적층에 의하여 원통형상의 하우징(201)가 형성되고, 상기 격리프레임(220)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 내부의 공간이 이등분 되어 흡입관(211)과 배출관(2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열판(230)의 외경은 상기 원주프레임(210)의 내경보다는 작게 하여서, 상기 전열판(230)의 회전이 상기 원주프레임(210)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분할구(250)의 상기 원주프레임(210)의 단부에는 도5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턱에 결합되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원주프레임(210)에 형성된 상기 돌출턱과 단턱에 의하여 상기 분할구(250)는 더욱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열판(230)의 중심에는 축구멍이 형성되어서 주축(29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열판(23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판(23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200)는 모터(215)에 의하여 한 쌍의 팬(213)과 주축(290)을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팬(213)의회전에 의하여 공기는 송풍되거나 배풍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축(290)은 상기 전열판(2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열판(230)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관(211)과 배출관(212)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열을 서로 교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열교환에 의하여 외부로 열이 이동되거나 내부로 열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버섯 발생 한계온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버섯 발생 최적온도는 15℃ 전후이며 버섯의 품질 및 생육기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버섯 균사는 저온에 견디는 힘이 강하나 고온에서는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고온기에는 노화 가 빠르고 후기 수량이 적으며, 심하면 사멸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버섯의 발생은 품종별 적온을 중심으로 온도 변화가 있을수록 버섯 발생이 빨라지며 발생량도 많아지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봄이나 가을에 주야의 온도교차가 생기는 것이 버섯 발생에는 적당하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가열기(40)에 의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냉각기(30)에 의하여 온도를 하강시킨다.
상기 가열기(40)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이 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온도가 13℃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기(4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6)에 의하여 흡입되어서 상기 송기덕트(27)로 공급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본체(20)의 내부온도가 15℃ 이상일 경우에는 냉각기(30)에 의하여 온도를 하강시키는데, 상기 냉각기(30)에 의하여 만들어진 차가운 공기는 상기 송풍팬(26)에 의하여 흡입되어서 상기 송기덕트(27)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냉각기(30)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수액기, 필터, 액분리기, 유분리기 등 단위 기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및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들 단위 기기는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필터, 액분리기, 유분리기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콘덴싱유니트(condensing unit), 증발기 및 팽창밸브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된다. 컨테이너형 냉각기는 직접팽창식과 암모니아 만액식 등이 있으나, 버섯재배장치에 적합한 직접팽창식으로 구성한다. 직접팽창식은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하여 증발기 코일로 흘러 들어간다. 여기서 액냉매가 기화하면서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고 압축기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증발기에서 완전 기체화되어 압축기로 흡입되는 건식 직접팽창형 냉동방식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냉각기를 도입하므로서 시설비를 저렴하게 하고, 고성능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0) 내부에는 가습기(50)가 장착되어서 건조된 실내에 적당한 습기를 공급하게 된다. 버섯의 균사가 생장하는 동안의 습도는 90%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균사가 사멸되지 않고 배지의 수분 감소도 적다. 버섯의 발생 초기에는 습도를 90% 이상 높게 유지하여야 하지만 버섯이 생장함에 따라 습도를 점차 70% 정도로 낮추어 품질이 좋은 버섯이 수확되도록 가습기(50)를 설치한다.
또한 그리고 버섯균은 고등식물과는 달리 잎이 없는 미생물로서 광합성을 할 수 없으므로 볏짚, 폐면 등 죽은 식물체에서 영향을 흡수하면서 산소를 소비하고 탄산가스를 배출한다. 균사 번식 즉 영양생장기간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000 ppm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버섯이 발생할 때와 버섯이 자랄 때는 많은 량의 산소를 소모하고 탄산가스 및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만일 이들 가스가 버섯재배장치(10) 내에 축적되면 생장 지연은 물론 질식 사멸하게 되므로 버섯 발생 직후부터는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절대 필요한 것이다. 환기가 잘되는 재배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품질이 좋은 버섯의 생산은 물론 수량이 많게 되지만 환기가 잘 안되면 가스 축적이 심하게 되어 버섯이 사멸하게 되며 균사는 노화가 빨라 수량 감소요인이 된다. 보통 재배사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0.08%가 되면 버섯의 갓이 작아지면서 대가 길어지고 변화가 오며 수확이 지연되며 0.1%가 되면 어린 버섯이 죽게 된다. 공기의 환기는 상기 열교환기(200)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에 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여과기(25)가 장착된 다. 상기 공기여과기(25)는 상기 열교환기(200)의 흡기관(211)과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본체(20) 내부에 이산환탄소의 량이 증대되면 배기팬(28)이 가동되면서 배기덕트(29)에 의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 내부에는 온도계, 습도계, 이산화탄소측정기 등의 센서가 설치되고, 각각의 센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열교환기(200), 가열기(40), 가습기(50), 냉각기(30)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작동은 도7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온도계, 습도계, 이산화탄소측정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데이터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각기(30)와 상기 송풍팬(26)과 열교환기(2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기(40)와 상기 송풍팬(26)과 열교환기(28)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습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가습기(50)와 상기 송풍팬(26) 및 열교환기(200)를 작동시키게 되며, 습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배기팬(28)과 열교환기(200)를 작동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킨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기팬(28)과 열교환기(200)를 작동시켜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따라, 컨테이너로 이루어져서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고, 바닥공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버섯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햇빛 조사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열교환기에 의하여 하절기에는 공기를 환기하는 동안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고, 동절기에는 의부로 배출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서 버섯재배장치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중공부가 형성된 컨테이너 형상이고 일측면에 개폐문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버섯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흡입하면서 내부의 열과 외부의 열의 교환을 방지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하는 송기덕트;와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되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내부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내부의 습도를 상승시키는 가습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흡입관과 배출관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흡입관과 배출관의 내부공간을 관통하면서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전열판;과 상기 흡입관 및 배출관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공기를 송풍하고 배풍하는 한 쌍의 팬; 및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결합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일정거리마다 이격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주프레임과, 주축이 관통되는 축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주프레임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리프레임이 일체로 성형된 분할구;가 복수로 연결되어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분할구는 상기 볼트구멍에 장착되는 결합볼트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분할구와 분할구 사이에는 전열판이 안착되고, 상기 전열판은 상기 축구멍에 안착되는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계와 상기 습도계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며,상기 본체 내부에는 이산화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측정기;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이산화탄소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기덕트 사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이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기덕트 사이에는 필터에 의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공기여과기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 상부에는 햇빛을 채광하는 채광창;과 상기 채광창에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양막;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KR1020050000455A 2005-01-04 2005-01-04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KR20060080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455A KR20060080008A (ko) 2005-01-04 2005-01-04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455A KR20060080008A (ko) 2005-01-04 2005-01-04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008A true KR20060080008A (ko) 2006-07-07

Family

ID=3717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455A KR20060080008A (ko) 2005-01-04 2005-01-04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00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63B1 (ko) * 2006-05-12 2009-09-15 박승호 자동화가 가능한 버섯 재배기
KR101324745B1 (ko) * 2012-10-25 2013-11-05 김태호 사계절 버섯 재배시스템
KR101655357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의 제어방법
KR101655351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
KR101655354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1655350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690113B1 (ko) * 2016-01-08 2017-01-09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버섯 재배 장치
KR20170018213A (ko) 2015-08-07 2017-02-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표고버섯 재배 챔버
KR20220103368A (ko) * 2021-01-15 2022-07-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 버섯 재배사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63B1 (ko) * 2006-05-12 2009-09-15 박승호 자동화가 가능한 버섯 재배기
KR101324745B1 (ko) * 2012-10-25 2013-11-05 김태호 사계절 버섯 재배시스템
KR20170018213A (ko) 2015-08-07 2017-02-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표고버섯 재배 챔버
KR101655357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의 제어방법
KR101655351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
KR101655354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1655350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690113B1 (ko) * 2016-01-08 2017-01-09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버섯 재배 장치
KR20220103368A (ko) * 2021-01-15 2022-07-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 버섯 재배사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6650B (zh) 一种储粮冷库及储粮方法
CN207744429U (zh) 一种具有内循环功能的低温储粮冷库
CN104366340A (zh) 一种黑蒜加工工艺
KR20060080008A (ko)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KR102187599B1 (ko) 버섯재배 비닐하우스용 냉난방 공기순환장치
JPH0534052A (ja) 園芸作物の保蔵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113504U (zh) 双屋面温室大棚
KR100514434B1 (ko) 시설하우스용 제습기
KR20180031334A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버섯 재배 시스템
KR100331573B1 (ko) 자동버섯재배기
KR101324745B1 (ko) 사계절 버섯 재배시스템
CN208874994U (zh) 一种培育双孢菇温室自动调节湿度装置
CN207741406U (zh) 一种可自动调节内循环的储粮冷库
KR200364381Y1 (ko) 농업용 냉난방 및 습도 제어 장치
KR101263333B1 (ko) 에어컨을 이용한 시설원예 공조 시스템
CN215063126U (zh) 一种甘薯保鲜储藏系统
CN213639062U (zh) 油茶育苗温室大棚控温结构
JPH0276518A (ja) 家庭用きのこ栽培装置
CN106866225A (zh) 食用菌工厂化菇房及环境监控系统
CN106665111A (zh) 香菇高效立体绿色培育室及香菇的培育方法
KR20110066986A (ko) 다목적 저온저장고 및 건조기
CN112021007A (zh) 一种木薯种茎贮藏系统及其安全越冬的贮藏方法
CN201430792Y (zh) 大田藤本植物恒温嫁接装置
KR102668738B1 (ko) 농산물 생산 및 가공형 기능성 절전형 스마트 팜 장치
JPS6058021A (ja) 植物栽培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