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047A -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047A
KR20220103047A KR1020220003232A KR20220003232A KR20220103047A KR 20220103047 A KR20220103047 A KR 20220103047A KR 1020220003232 A KR1020220003232 A KR 1020220003232A KR 20220003232 A KR20220003232 A KR 20220003232A KR 20220103047 A KR20220103047 A KR 2022010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ituation
call
intellig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정
박현호
변성원
손교훈
신원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10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Abstract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DISASTER RESPONSE SUPPORT SERVICE BASED ON INTELLIGENT DISASTER CONTEXT AWARENESS THROUGH EMERHENCY CALL RECEP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신호전화 접수자 개인의 능력 및 경험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초동 조치(신고자 응대, 상황전달 등)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회구조의 다양화 및 전문화에 따라 생활환경도 대형화, 도시화, 지하화, 고층화 등으로 매우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화재 관련 재난 상황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유류, 가스, 전기 등 에너지 사용의 증가와 에너지원 종류가 다양화됨으로 인해 사고 유형도 복잡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화재에서부터 첨단 산업시설과 관련된 대형 사고에 이르기까지 그 유형이 다양하며, 그로 인한 재난피해도 대형화되면서 재난 발생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소방분야의 경우에는 신고접수 및 출동대 편성, 출동지령, 현장정보지원 등의 긴급구조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통해 재난사건을 접수하고 있다. 하지만, 점차 유형이 다양해지는 긴급한 신고 내용에 대해 신고 접수자가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시스템 상 한계가 존재한다.
미국은 재난 현장에 투입된 대원 및 차량의 위치, 항공영상정보, 기상 및 GIS 등의 연계 정보를 모바일로 공유하여 다 부처와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재난대응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재난 초기 대응 방식에 있어서도, 음성과 대면 중심의 방식에서 재난현장 지휘시스템을 기반으로 웹 기반의 GIS 화이트보드 화면에 표시된 재난을 소방, 경찰 등 다양한 현장대원들이 공유 및 대응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도 소방본부 상황실 개선안에 대한 항목으로 광역시와 중소도시, 농어촌지역을 구분하여 교통상황을 고려한 평균 목표도착시간을 재설정하거나, 출동차량에 웹 패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방서 및 안전센터에서 거리기준 평균 현장 도착시간 산식 개발하는 등의 내용이 제시되었다. 이외에 고려해야 할 중요변수로는 교통량, 구간평균속도, 구간통과 소요시간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화재(주택, 아파트, 공장 등)나 및 심정지 기준을 정립하거나, 한국형 요 구조자 생존가능성 분석모델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는 등 현재의 긴급신고접수에 대한 처리를 지능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수요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긴급 신고접수 시 119 상황실 및 다수의 대응기관 사이에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고(긴급 상황 발생으로 119로 신고 시, 20초 안에 소방서에서 답변을 해야 하고, 40초 안에 출동을 하며, 소방출동대는 3분 30초안에 현장 도착) 미국의 선진사례 차이분석을 통해 기존 119 신고 서비스 고도화를 상황실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119 신고 접수의 경우, 연간 1개의 접수대에서 13,677건의 출동관련 신고접수 업무를 처리하며 통계적으로 3초에 한번 신고접수 전화가 수신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신속하고 원활한 신고접수 업무 수행을 위한 최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8650호, 2019년 7월 4일 등록(명칭: 재난 발생 신고에 대한 수보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 접수 상황실의 접수자가 재난발생 지역에 대한 주변 상황정보(재난발생 위치, 거주자 정보, 위험물 정보, 주변교통상황 등)를 기 구축된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객관적인 판단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재난 상관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신고전화접수를 통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신고 접수자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대응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재난 상황에 대해 효과적이고 지능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신고 진행 단계 별로 신고 접수자에게 적절한 대응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긴급신고에 효과적인 초동 대처를 수행하고, 신속하고 원활한 신고접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고 접수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출력하여 대화의 의도를 분석하고, 자동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정보를 신고 접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긴급 신고전화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위험대상물 정보와 도로교통 정보 등을 연계하여 신고발생 및 위험등급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하고, 상기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재난 상황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 접수 상황실의 접수자가 재난발생 지역에 대한 주변 상황정보(재난발생 위치, 거주자 정보, 위험물 정보, 주변교통상황 등)를 기 구축된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객관적인 판단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재난 상관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신고전화접수를 통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신고 접수자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대응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재난 상황에 대해 효과적이고 지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신고 진행 단계 별로 신고 접수자에게 적절한 대응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긴급신고에 효과적인 초동 대처를 수행하고, 신속하고 원활한 신고접수 업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고 접수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출력하여 대화의 의도를 분석하고, 자동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정보를 신고 접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긴급 신고전화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위험대상물 정보와 도로교통 정보 등을 연계하여 신고발생 및 위험등급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시도 소방본부 긴급신고전화 접수를 통해 상황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수자와 신고자 음성 구분을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수대 인입 음성 구분을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내용 분리를 통한 재난 상황 인지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 내용을 응용 프로그램 레벨에서 분리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 내용을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벨에서 분리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낸 세부 유형, 위험물정보, 위험등급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의 유형별 발생 빈도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시도 소방본부 긴급신고전화 접수를 통해 상황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도 소방본부 긴급신고전화 접수를 통해 상황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통해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응급상황 발생 시 신고전화 접수에서부터 출동지령, 상황관제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재난에서의 관제를 수행할 수 있다.
신고자(110)가 긴급상황에 대한 신고전화를 하면, 신고 접수자는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을 통해 상황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고 접수자는 지령운영, 지령관제, 활동정보 보고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각종재난에 대한 119 신고접수단계, 출동 및 작전수행단계, 임무수행 및 종료단계 등의 전체 단계를 수행할 수 잇다.
이 때,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을 통한 지령운영 과정에서는 신고접수와 신고자에 대한 위치정보 조회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난에 따른 출동대 편성 및 소방서(140), 지구대와 유관기관에 재난정보를 전파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을 통한 지령관제 과정에서는 출동대가 재난현장(150)으로 출동한 이후 시점부터 상황 종료시점까지의 일련의 활동을 관제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처리, 사건진행 상황관리, 추가 출동대 편성 및 관제 현황조회 업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에는 전화망과 연계하여 호 제어 및 운영, 녹취, GIS, 방송시스템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장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에 구비된 녹취 시스템은 119 신고전화를 접수한 종합 접수대의 통화내역, 방송과 관련된 음성지령 내역, 재난 현장(150)과 본부의 무선 교신내용을 녹음, 재생,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에서 호 제어를 담당하는 CTI 시스템의 경우, 교환기와 CTI 서버의 분배방식에 따라 교환기로부터 착신된 신고전화를 가장 적합한 접수대로 호 분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접수대가 정상적으로 신고전화를 수신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등 착신 완료시까지 접수대의 상태 및 프로세스를 감독하여 후 순위 착신 호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분배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은 호 폭주 시 접수 안내를 위한 음성안내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응답시스템(ARS시스템)과 음성변환 시스템을 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교환기 및 CTI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응답시스템(ARS시스템) 및 음성변환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자동응답시스템(ARS시스템)은 교환기에서 판단된 전화기 호 착신가능상태가 호 폭주 상태일 경우에 ARS로 호를 전환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재난지역에 대한 신고일 경우, 자동응답시스템(ARS시스템)은 TTS(Text to Speech) 시스템와 연동하여 동일재난 멘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자동응답시스템(ARS시스템)은 TTS(Text to Speech) 시스템와 연동하여 신고전화 폭주 시 접수대기, 장난전화에 대한 음성안내, 대형 긴급구조 시 동일지역 내 동일한 긴급구조요청 안내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120)에서 접수 및 처리되는 정보는 소방청 시스템(130)과 연계되어 재난상황 별 관련 데이터를 연계 운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긴급신고접수 시 상황실 또는 접수대에서 신고를 접수하는 신고 접수자가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야 하는 필수적인 정보는 재난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 재난 발생에 대한 현재 상황 그리고 지속적인 사건정보 공유를 위한 연락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재난현장으로 출동한 대원들이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초기대응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수대의 통화내역이 기록되는 녹취시스템으로부터 신고 접수자와 신고자의 음성 데이터를 분리 및 획득하여 재난 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인지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한 상황 대응 정보를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다(S21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망 시스템(310)이 실시간 음성전송서버(311) 및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320)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음성전송서버(311)가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3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음성전송서버(311)에서는 교환기에서 호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한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신고자 음성 패킷과 접수자 음성 패킷 간 세션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망 시스템(310)의 교환기에서는 교환기와 CTI 서버 사이의 분배규칙에 따라 결정된 접수대로 호를 분배할 수 있고, 호 분배된 접수대에서 긴급신고전화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신고자 음성 패킷은 실시간으로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320)으로 전송되어 텍스트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변환된 텍스트는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34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화망 시스템(310)의 녹취 서버를 통해 기록되는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내용을 분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전화망 시스템(310)에 연계되어 동작하는 녹취서버(510)는 포트미러링을 지원하는 L2 스위치(5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L2 스위치(520)에 녹취서버(510)의 입력 포트를 특정 포트로 미러링하여 패킷을 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복제된 패킷은 실시간 음성전송서버(530)로 전송될 수 있고, 음성 패킷 필터를 통해 패킷에서 음성 패킷만 분리할 수 있다(S531). 이 때, 신고자 및 접수자의 호 분배 시 할당된 고유번호가 음성 패킷을 구분하는 세션 고유번호로 할당되어 접수대 세션이 분리될 수 있다(S532).
이 후, 음성 스트림에 대한 음성패킷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고(S533), 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적용을 통해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320) 또는 음성인식 서버로 음성 패킷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S534).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화망 시스템(410)을 연계하지 않더라도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430)에서 직접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420)으로 음성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430)에서는 개별 접수대의 IP 전화기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음성 데이터에서 신고자 음성 패킷과 접수자 음성 패킷 간 세션 분리를 수행함으로써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420)으로 제공할 실시간 음성 전송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접수대의 IP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패킷에 대한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접수대의 IP 전화기(6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내용을 응용프로그램 레벨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수대의 접수자가 사용하는 IP 전화기(6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IP 전화기(610)에 연결된 L2 스위치(620)를 기반으로 포트 미러링되어 지능형 상황인지 시스템(6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통해 미러링되어 전송된 패킷은 음성패킷 필터로 입력되어 음성 패킷만 추출될 수 있다. 이 후, 음성 패킷은 스트림 형태로 핵심 엔진 모듈(631)을 구성하는 STT(Speech To Text) 엔진에 입력되기 위해서 음성 스트림 전송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접수대의 IP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신고자와 접수자의 통화내용을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벨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수대의 접수자가 사용하는 IP 전화기(7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IP 전화기(710)에 연결된 L2 스위치(720)를 기반으로 포트 미러링되어 지능형 상황인지 시스템(7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지능형 상황인지 시스템(730)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통해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벨의 음성패킷 필터(731)를 통해 음성 데이터에서 음성 패킷만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추출된 음성 패킷은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732)를 거치거나 또는 직접 음성 캡처 모듈로 전달될 수 있고, 스트림 형태로 핵심 엔진 모듈(733)을 구성하는 STT(Speech To Text) 엔진에 입력되기 위해서 음성 스트림 전송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한다(S22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340)를 통해 신고 내용이 텍스트로 출력되면, 출력된 텍스트를 통해 신고전화를 통해 접수된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430)이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440)로 음성 데이터(음성 패킷)를 전송하면,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440)에서 텍스트 형태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값을 기반으로 긴급신고전화를 통해 접수된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한다(S2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한다(S240).
예를 들어, 도 3의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340)에서는 실제 긴급신고전화로 수신된 내용에 따라 적절한 대화 질의문을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330)의 접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후, 접수된 내용을 추가 연계하여 현재 발생된 재난 상황에 대한 세부 유형을 구분하여 사전에 구축된 재난상황 별 대응 정보를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330)의 접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상황에 유형에 대해 대응 정보를 추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STT 엔진에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면(S802), 변환된 텍스트를 사전에 구축된 대화이해 학습모델로 입력하여 통화내용에 따른 현재 대화의 의도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S804).
이 때, 대화 의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대화 질의문을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의 의도가 인명파악, 화재규모, 화재 확산 여부, 건물의 상태, 요 구조자 상태 등 기정의된 의도 분류항목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어떤 질의문을 제공해야 최선의 대응이 가능할 것인지를 고려하여 추천 질의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도 분류항목에 따라 재난상황을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접수자가 시스템을 통해 신고 접수내용을 입력하면(S806), 언어모델을 통한 자연어 분석을 통해(S808) 주요 문장의 키워드를 추출하고(S810), 추출된 키워드를 재난유형별 용어사전(810)과 매칭하여 재난 세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S812).
이 후, 대응정보 DB(820)를 통해 재난 세부 유형에 따른 정확한 대응정보를 추천함으로써(S814) 빠르고 정확하게 재난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재난 세부 유형에 따른 정확한 대응정보를 추천하기 위해 활용되는 데이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도 소방본부에서는 긴급신고전화에 의해 재난 상황이 접수될 때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재난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재난 번호에 따라 발생한 재난의 종류, 위치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관련 소방대상물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해 획득된 텍스트 데이터와 접수자가 입력한 신고내역 데이터를 통해 재난 세부 유형을 자동 분류하는 것 이외에도, 재난의 발생 위치와 관련이 있는 소방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위험종류에 따라 위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의 초기대응 시간은 실시간 도로 교통정보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재난 발생 인근지역 또는 출동대가 이동해야 하는 경로 상의 특징 정보를 도 11과 같은 데이터 형태로 분석하여 초동 대응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험 등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재난번호 별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대상분류 정보, 세부유형, 위험 연관성에 대한 기본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위험 등급 산출을 위한 추가 정보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험대상물 관리정보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재난번호 별 관련된 위험 정보에 대한 실시간 위치 기반 도로교통 정보에 대한 특징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재난종별 발생 빈도 예측 모델(1200)로 신고 데이터(1210), 위험대상물 데이터(1220), 실시간 교통 및 도로 정보 데이터(1230) 등을 입력하여 재난종별 발생 빈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종별 발생 빈도 예측 모델(1200)은 딥러닝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재난 접수 상황실의 접수자가 재난발생 지역에 대한 주변 상황정보(재난발생 위치, 거주자 정보, 위험물 정보, 주변교통상황 등)를 기 구축된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객관적인 판단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재난 상관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300)은 버스(13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10), 메모리(1330), 사용자 입력 장치(1340), 사용자 출력 장치(1350) 및 스토리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300)은 네트워크(13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330)나 스토리지(13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30) 및 스토리지(13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331)이나 RAM(13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0)는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또한, 프로세서(1320)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한다.
또한, 프로세서(1320)는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한다.
메모리(1330)는 재난 상황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재난 접수 상황실의 접수자가 재난발생 지역에 대한 주변 상황정보(재난발생 위치, 거주자 정보, 위험물 정보, 주변교통상황 등)를 기 구축된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객관적인 판단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재난 상관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신고자
120: 소방본부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 130: 소방청 시스템
140: 소방서 150: 재난현장
310, 410: 전화망 시스템 311, 530: 실시간 음성전송서버
320, 420, 630, 730: 지능형 상황인식 시스템
330, 430: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시스템
340, 440: 지능형 신고접수 클라이언트 UI
350, 450: 본부 재난관리운영 시스템 360, 460: 출동 및 상황관리 서버
370, 470: 신고접수 및 출동지령 서버 및 DB
531: 접수대 네트워크 DB 610, 710: 접수대 IP 전화기
620, 720: L2 스위치
631, 733: 핵심 엔진 모듈
731: 음성패킷 필터 732: 가상 NIC
810: 재난유형별 용어사전 820: 대응정보 DB
1200: 재난종별 발생 빈도 예측 모델 1210: 신고 데이터
1220: 위험대상물 데이터
1230: 실시간 교통 및 도로 정보 데이터
1240: 재난종별 발생 빈도 예측 결과
1300: 컴퓨터 시스템 1310: 프로세서
1320: 버스 1330: 메모리
1331: 롬 1332: 램
1340: 사용자 입력 장치 1350: 사용자 출력 장치
1360: 스토리지 13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80: 네트워크

Claims (1)

  1. 긴급 신고전화에 상응하게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세부 유형 및 위험 등급에 상응하는 대응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03232A 2021-01-14 2022-01-10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20103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5174 2021-01-14
KR1020210005174 2021-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047A true KR20220103047A (ko) 2022-07-21

Family

ID=8260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32A KR20220103047A (ko) 2021-01-14 2022-01-10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0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50B1 (ko) 2019-02-12 2019-07-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재난 발생 신고에 대한 수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50B1 (ko) 2019-02-12 2019-07-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재난 발생 신고에 대한 수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537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WO2017211172A1 (zh) 应急案件处理方法、装置及城市应急联动系统
Kropczynski et al. Identifying actionable information on social media for emergency dispatch
CN111563833A (zh) 一种智慧社区的云平台服务系统
CN107510914B (zh) 一种面向园区的智慧消防远程监控系统及其方法
Averill Five grand challenges in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KR101741974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 시스템
US20150261769A1 (en) Local Safety Network
CN111792487A (zh) 基于大数据平台的电梯智能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497140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火灾监控预警方法及系统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CN114444932A (zh) 区域安全应急一体化平台系统及其工作方法
EP3804287B1 (en) Call management system for a dispatch center
CN115400383A (zh) 一种消防救援管理方法及系统
KR20230042856A (ko)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4601280B2 (ja) 災害情報ネットワーク
KR20220103047A (ko) 긴급 신고전화 접수를 통한 지능형 재난 상황 인지 기반의 재난 대응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apalo et al. Failing to plan is planning to fail: capturing the pre-incident planning needs of firefighters
CN104299075B (zh) 一种基于语音的安全应急工作流模型的构建方法
CN102930699A (zh) 公安应急联动指挥的网络实现方法及其系统
Nunavath et al. LifeRescue: A web based application for emergency responders during fire emergency response
KR102113419B1 (ko) 영상통화 자동전환을 이용한 재난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56189A (zh) 基于云平台的消防人员调度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1160780A (zh) 调度机器人及调度方法
CN112541606A (zh) 基于应急响应数据的化学事故预警系统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