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63A -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 Google Patents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363A
KR20220102363A KR1020210004635A KR20210004635A KR20220102363A KR 20220102363 A KR20220102363 A KR 20220102363A KR 1020210004635 A KR1020210004635 A KR 1020210004635A KR 20210004635 A KR20210004635 A KR 20210004635A KR 20220102363 A KR20220102363 A KR 2022010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lter
coil
filter uni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895B1 (ko
Inventor
김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엠
Priority to KR102021000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8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363A/ko
Priority to KR1020230010597A priority patent/KR102622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필터에서 발생하는 방사 노이즈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형성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3단자와 제4단자가 형성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100) 및 상기 제1필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제2코어, 상기 제2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5단자와 제6단자가 형성되는 제3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7단자와 제8단자가 형성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4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3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차시켜 노이즈를 저감 시킨다.

Description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Line filter for 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라인 필터에서 발생하는 방사 노이즈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스위칭 전원용 라인 필터이며, 상기 스위칭 전원은, AC 전압을 정류하도록 구성되는 정류 유닛과, 상기 정류 유닛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변환해서 그 결과로 발생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과, 상기 스위칭 유닛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구성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필터는, 상기 정류 유닛과 상기 변압기가 접속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사이에 접속되는 용량 소자; 및 상기 변압기와 상기 용량 소자 사이에 노이즈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류 경로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용 라인 필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환형 코어 및 이 환형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트로이덜 라인필터에 있어서, 1차 코일이 상기 환형 코어의 최하단에서 임의의 위치까지 올려 감기고, 2차 코일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환형 코어의 최하단까지 내려 감기며, 3차 코일이 환형 코어의 최하단에서 최상단까지 올려 감기고, 4차 코일이 환형 코어의 최상단에서 상기 임의의 위치까지 내려 감기며, 5차 코일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환형 코어의 최상단까지 올려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이덜 라인필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공급전원에 직렬연결되고, 전류센서와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서킷브레이커가 구비된 과부하 차단스위치(11); 상기 차단스위치(11)의 후단에 병렬연결되고, 전류와 전압, 그리고 전력량을 측정하여 입력된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파워모니터회로(12); 상기 파워모니터회로(12)의 후단에 병렬연결되고, 공급된 AC라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RC공진회로를 구비하여 인체에 유해한 저주파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잡음및전자기장방지회로(13); 상기 파워모니터회로(12)의 후단에 병렬연결되고, 공급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고, 부하가 연결되면 동작하여 대기전력을 줄인 스위칭모드파워회로부(14); 상기 스위칭모드파워회로부(14)의 후단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모드파워회로부(14)의 출력전원을 시간별로 제어하는 컨트롤회로(15); 상기 컨트롤회로(15)의 후단에 병렬연결되고, 릴레이 온오프 노이즈, 방사선노이즈, 방송파, 출력전원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고주파필터링을 수행하는 방사선잡음및방송파 방지회로(16)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회로부(14)는 중앙에 설치된 스위칭모듈을 기준으로 전단에는 WA2, 노이즈필터(NF1), 브리지다이오드(BD1), 사이리스터(TH1), 콘덴서(CY1)(C2)로 이루어진 EMI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와, 후단에는 코일(L1)(L2), 정전압레귤레이터(Q1), 콘덴서들(C3)(C4)(C5)(C6)(C7)(C8)로 이루어진 파형필터로 이루어진 잡음 및 전자기장 방지기능을 가진 전원분배회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AC 입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AC를 인가 받아 AC 라인에 혼입되어 인가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와, 상기 라인 필터로부터 인가되는 AC를 인가 받아 캄몬(Common) 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캄몬(Common) 모드 노이즈 필터와, 상기 캄몬(Common) 모드 노이즈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AC를 인가받아 노말(Normal)모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말(Normal) 모드 노이즈 필터와, 상기 노말(Normal) 모드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AC를 인가 받아 정류하여 DC를 출력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역률을 개선하는 PFC 회로를 포함하는 PFC에 부합하는 노이즈 필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3-0024784 (2013년03월08일) KR 10-0662907 (2007년01월02일) KR 10-1046911 (2011년07월06일) KR 10-1998-074954 (1998년11월05일)
본 발명은 라인 필터에서 발생하는 방사 노이즈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AC전원과 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형성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3단자와 제4단자가 형성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제2코어, 상기 제2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5단자와 제6단자가 형성되는 제3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7단자와 제8단자가 형성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는 상기 AC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5단자와 상기 제7단자는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8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4단자는 상기 제6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4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3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차 시킨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단자, 상기 제3단자, 상기 제5단자 및 상기 제7단자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단자, 상기 제4단자, 상기 제6단자 및 상기 제8단자는 타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제1필터부를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제2필터부를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홀은 복수개이며, 서로 인접한 상기 홀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복수개 형성된 상기 홀의 형상 및 면적은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코어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외곽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코어는, 철 또는 니켈계 금속합금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는 측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적층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에 관한 발명이며, AC필터와 전자기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하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에 흐르는 전류는 서로 교차된다.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필터부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도록, 각각의 필터부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서로 상쇄되어,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필터부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저감함과 동시에 라인필터의 설계사항 또는 라인필터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필터부를 측면에 연달아 배치하거나 적층 배치하여, 라인필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가 필터부에 포함되어 필터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더욱더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에 홀이 관통 형성되어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가 적용된 시스템의 회로도.
도 2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의 제1필터부의 사시도.
도 3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가 적용된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의 다른 형태의 개략도.
도 5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의 또 다른 형태의 개략도.
도 6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의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AC전원(10)과 전자기기(20) 사이에 설치되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제1코어(110), 상기 제1코어(110)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1단자(1)와 제2단자(2)가 형성되는 제1코일(121) 및 상기 제1코어(110)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3단자(3)와 제4단자(4)가 형성되는 제2코일(122)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100) 및 상기 제1필터부(100)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제2코어, 상기 제2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5단자와 제6단자가 형성되는 제3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7단자와 제8단자가 형성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는 상기 AC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5단자와 상기 제7단자는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8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4단자는 상기 제6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4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3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차시키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단자(1), 제3단자(3), 제5단자(5) 및 제7단자(7)는 라인 필터의 일측에, 제2단자(2), 제4단자(4), 제6단자(6) 및 제8단자(8)는 타측에 위치한다.
AC전원(10)과 전자기기(20) 사이에는 두 개의 필터부, 즉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AC전원(10)은 제1필터부(100)의 전원경로를 따라 전류가 순환되되, AC전원(10)의 특성상 입력경로와 출력경로는 바뀌어, 전류의 흐름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는 일종의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일 수 있으며, 외부인 AC전원(10)에서 유입되는 노이즈가 전자기기(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부인 전자기기(20)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외부로 나가는 것 또한 방지한다. 다만,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또한 전류가 흐르는 일종의 전자소자이므로, 자체적으로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자체의 배치를 통해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제1필터부(100)는 제1코어(110)와, 제1코어(100)에 권선되는 제1코일(121) 및 제2코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 각각은 일종의 전류패스일 수 있으며, 제1코일(121)의 양단은 각각 제1단자(1)와 제2단자(2)를 형성하고, 제2코일(122)의 양단은 각각 제3단자(3)와 제4단자(4)를 형성한다. 제2필터부(200) 또한 제2코어 및 제2코어에 권선되는 제3코일, 제4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코일의 양단은 각각 제5단자(5)와 제6단자(6)를, 제4코일의 양단은 제7단자(7)와 제8단자(8)를 형성한다. 제1단자(1)와 제3단자(3)는 AC전원(10)에 연결되고, 제5단자(5)와 제7단자(7)는 전자기기(20)에 연결되며, 제2단자(2)는 제8단자(8)와 연결되고, 제4단자(4)는 제6단자(6)와 연결된다. 제1코일(121)과 제4코일에 AC전원(10)으로부터 전자기기(20)측으로 흐르는 입력전류가 흐를 때, 제2코일(122)과 제3코일에는 전자기기(20)로부터 AC(10)전원으로 흐르는 출력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와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는 제1코일(121)에 흐르는 전류와 제4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차되고, 제2코일(122)과 제3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21)에 흐르는 전류와 제4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고, 제2코일(122)과 제3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차되려면 제1단자(1), 제3단자(3), 제5단자(5) 및 제7단자(7)는 라인 필터의 일측에, 제2단자(2), 제4단자(4), 제6단자(6) 및 제8단자(8)는 라인 필터의 타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는 제1코일(121)에 흐르는 전류와 제4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일정부분 서로 상쇄되어 저감되는 효과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제2코일(122)과 제3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일정부분 서로 상쇄되어 저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1필터부(100)와 상기 제2필터부(200)는 서로 적층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가 서로 적층 배치되어, 제1코일(121)과 제4코일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제2코일(122)과 제3코일 각각에서 흐르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사이에는 플레이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1필터부(100)와 상기 제2필터부(200)는 서로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가 서로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1코일(121)과 제4코일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제2코일(122)과 제3코일 각각에서 흐르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1-2와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제1필터부(100) 및 제2필터부(200)의 배치관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라인 필터를 설계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교차되도록 두 쌍 이상의 필터부가 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쌍 이상의 필터부가 포함되는 일예로, 제1필터부(100), 제2필터부(200), 제3필터부(310), 제4필터부(430)를 포함한다.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3필터부(310)는 제2필터부(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4필터부(430)는 제1필터부(1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필터부(100)는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며, 제2필터부(200)는 제3코일과 제4코일을 포함하고, 제3필터부(300)는 제5코일과 제6코일을 포함하며, 제4필터부(400)는 제7코일과 제8코일을 포함한다.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각각에 포함되는 코일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인 연결구조를 가지되, 제2필터부(200)에 포함되는 제3코일과 제4코일의 끝단은 전자기기(20)에 연결되지 않고, 제3필터부(310)의 제5코일과 제6코일에 연결되며, 제3필터부(310)의 제5코일과 제6코일의 끝단은(설명하지 않은 끝단) 제4필터부(430)의 제7코일과 제8코일에 각각 연결되며, 제7코일과 제8코일의 끝단은 전자기기(20)와 연결된다. 제1필터부(100), 제2필터부(200), 제3필터부(310) 및 제4필터부(430) 각각이 이렇듯 적층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각각의 필터부에 포함되는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되어 흐르기 때문에 필터부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100)를 덮는 제1커버(410) 및 상기 제2필터부(200)를 덮는 제2커버(420)를 포함한다.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는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각각을 덮도록 설치된다.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각각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차폐 또는 흡수하여,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는 각각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410)의 단부와 제2커버(420)의 단부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양면에 맞닿으며, 제1커버(410), 제2커버(420) 및 플레이트(300)에는 각각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410)와 플레이트(300), 제2커버(420)와 플레이트(3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시키는 방식의 몇몇 예로 볼팅, 부착식, 끼움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410) 또는 상기 제2커버(42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커버(410)는 또는 제2커버(420)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라인 필터의 설계 사항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제1커버(410) 또는 제2커버(420)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그 외형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410) 및 상기 제2커버(420)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이 관통 형성된다.
제1커버(410) 및 제2커버(420) 각각에 형성되는 홀(H)은 내부에 수용되는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홀(H)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제1커버(410) 및 제2커버(420) 각각의 일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H)의 면적 및 간격에 따라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 각각에서 발생하는 방사 전자파 또는 노이즈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홀(H)은 복수개이며, 서로 인접한 상기 홀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커버(410) 및 제2커버(420) 각각에 형성되는 홀(H)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홀(H)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홀(H)은 커버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가 방출되는 부분으로, 서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각각의 홀(H)을 연결하면 격자 형태를 나타낸다. 격자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홀(H)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 이 간격은 1cm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한 홀(H) 사이의 간격은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의 차단 주파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복수개의 홀(H) 각각의 형상과 면적은 모두 동일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 4-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홀(H) 사이의 간격이 중요하듯, 홀(H)의 면적과 형상 또한 중요하다. 모든 홀(H)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그 형상 또한 동일할 수 있다. 홀(H)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필터부에 포함되는 코어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외곽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철 또는 니켈계 금속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에 포함되는 코어 또한 제품의 설계사항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코어를 구성하는 재질은 철 또는 니켈계 금속함금 재질일 수 있으며, 코어를 구성하는 재질의 몇몇 예로, 페라이트(Ferrite)계열, 아몰퍼스(Amorphous), MPP(Moly-Permalloy Powder) 및 센더스트(Sendus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1 : 제1단자 2 : 제2단자
3 : 제3단자 4 : 제4단자
5 : 제5단자 6 : 제6단자
7 : 제7단자 8 : 제8단자
10 : AC전원 20 : 부하
30 : 정류부 100 : 제1필터부
110 : 제1코어 121 : 제1코일
122 : 제2코일 200 : 제2필터부
310 : 제3필터부 410 : 제1커버
420 : 제2커버 430 : 제4필터부
H : 홀

Claims (11)

  1. AC전원과 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형성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3단자와 제4단자가 형성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100); 및
    상기 제1필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제2코어, 상기 제2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5단자와 제6단자가 형성되는 제3코일 및 상기 제1코어에 권선되어 양단에 제7단자와 제8단자가 형성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는 상기 AC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5단자와 상기 제7단자는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8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4단자는 상기 제6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4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3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차시키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상기 제3단자, 상기 제5단자 및 상기 제7단자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단자, 상기 제4단자, 상기 제6단자 및 상기 제8단자는 타측에 위치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00);
    상기 제1필터부를 덮는 제1커버(410); 및
    상기 제2필터부를 덮는 제2커버(420);
    를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이 관통 형성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복수개이며, 서로 인접한 상기 홀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된 상기 홀의 형상 및 면적은 서로 동일한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외곽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철 또는 니켈계 금속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는 측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적층되어 배치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11. AC필터와 전자기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하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에 흐르는 전류는 서로 교차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KR1020210004635A 2021-01-13 2021-01-13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KR10249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35A KR102494895B1 (ko) 2021-01-13 2021-01-13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KR1020230010597A KR102622568B1 (ko) 2021-01-13 2023-01-27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35A KR102494895B1 (ko) 2021-01-13 2021-01-13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597A Division KR102622568B1 (ko) 2021-01-13 2023-01-27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363A true KR20220102363A (ko) 2022-07-20
KR102494895B1 KR102494895B1 (ko) 2023-02-06

Family

ID=826091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35A KR102494895B1 (ko) 2021-01-13 2021-01-13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KR1020230010597A KR102622568B1 (ko) 2021-01-13 2023-01-27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597A KR102622568B1 (ko) 2021-01-13 2023-01-27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4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895B1 (ko) * 2021-01-13 2023-02-06 주식회사 엠디엠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954A (ko) 1997-05-17 1998-11-05 윤종용 Pfc에 부합하는 노이즈 필터
KR20000011419A (ko) * 1998-07-01 2000-02-25 모리시타 요이찌 라인필터
JP2006013717A (ja) * 2004-06-23 2006-01-12 Tdk Corp ラインフィルタ
KR100662907B1 (ko) 2004-09-1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로이덜 라인필터 및 그 권선방법
KR101046911B1 (ko) 2009-02-27 2011-07-06 김이혜숙 잡음 및 전자기파 방지기능을 가진 전원분배회로
KR20130024784A (ko) 2011-08-31 2013-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라인 필터, 라인 필터를 탑재한 스위칭 전원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60010981A (ko) * 2014-07-21 2016-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2단 노이즈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0465A (ja) * 2004-09-29 2006-04-13 Tdk Corp 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
JP2012034149A (ja) * 2010-07-30 2012-02-16 Univ Of Tokyo 電源ラインフィルタ
JP7171026B2 (ja) * 2018-09-12 2022-11-15 北川工業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KR102494895B1 (ko) * 2021-01-13 2023-02-06 주식회사 엠디엠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954A (ko) 1997-05-17 1998-11-05 윤종용 Pfc에 부합하는 노이즈 필터
KR20000011419A (ko) * 1998-07-01 2000-02-25 모리시타 요이찌 라인필터
JP2006013717A (ja) * 2004-06-23 2006-01-12 Tdk Corp ラインフィルタ
KR100662907B1 (ko) 2004-09-1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로이덜 라인필터 및 그 권선방법
KR101046911B1 (ko) 2009-02-27 2011-07-06 김이혜숙 잡음 및 전자기파 방지기능을 가진 전원분배회로
KR20130024784A (ko) 2011-08-31 2013-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라인 필터, 라인 필터를 탑재한 스위칭 전원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60010981A (ko) * 2014-07-21 2016-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2단 노이즈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895B1 (ko) 2023-02-06
KR20230020474A (ko) 2023-02-10
KR102622568B1 (ko)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EMI filtering in power supplies
EP3979277A1 (en) Planar transformer,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adapter
TWI439031B (zh) 非對稱耦合電感、多相直流轉直流轉換器以及用於控制多相直流轉直流轉換器之操作之控制器
JP5790700B2 (ja) フィルタ部品
KR102622568B1 (ko) 노이즈 저감을 위한 라인 필터
EP0474610A2 (en) Combined differential and common mode choke for a power supply
US9793818B2 (en) Unit current transformer device and magnetic induction power supplying device for linearly controlling output power by using the same
US9866103B2 (en) Magnetic capacitive current limit circuit for transformers
KR20140033708A (ko) 자기 집적 회로 및 위상 천이에 의한 자속 밀도 감소 방법
US11374548B2 (en) Filter circuit for reducing feedback of a consumer on an energy supply
JP5729626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4278290B2 (ja) 集塵用電源装置
KR20190008385A (ko) 전력 변환 장치
EP0769238B1 (en) An energy converter for heating units for foodstuffs
CN111245209B (zh) 一种干扰信号抑制电路及电器设备
US5117214A (en) Integrated magnetic power converter core
KR100467047B1 (ko) 자기 차폐 공심 리액터
EP1410489B1 (en) Power converters
US3683260A (en) Three-phase static converter with a stabilized output voltage
JP410088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S59225677A (ja) 水平偏向回路
GB2433653A (en) Multiplex rectifier circuit
JP20100289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250535Y1 (ko) 고조파 및 에너지 절감장치
de Souza et al. Overvoltage Protection for High Frequency High Voltage Power Transfor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