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51A -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351A
KR20220102351A KR1020210004600A KR20210004600A KR20220102351A KR 20220102351 A KR20220102351 A KR 20220102351A KR 1020210004600 A KR1020210004600 A KR 1020210004600A KR 20210004600 A KR20210004600 A KR 20210004600A KR 20220102351 A KR20220102351 A KR 2022010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suspicious event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호범
안주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351A/ko
Priority to PCT/KR2021/019630 priority patent/WO2022154301A1/ko
Priority to US17/564,770 priority patent/US20220223050A1/en
Publication of KR2022010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suspected event)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 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PERFORMING RESOURCE OFFLOAD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문서는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드론(drone)과 같은 이동성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드론이나 로봇을 이용한 특정 동작 또는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이미지 인식 또는 분석을 위해, 중앙 분석 서버인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앙 분석 서버 환경을 구축 및 이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을 위하여 전자 장치(예: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예: 드론)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로 특정한 통신망(예: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이 경우, 획득된 이미지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 통신 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는, 드론과 같은 비행 장치(flying device)에 의하여 특정 동작 또는 행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나의 드론에 다양한 기능이 모두 포함될 경우 장치의 중량을 증가시켜 비행 장치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이 밖에,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영상을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생활 침해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에 의하여 분석하도록 하게 하고 그 결과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가 획득한 후,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정보만을 전자 장치(예: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중앙 분석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예: 획득된 이미지 및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 센싱 데이터)를 특정한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자 장치(예: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에 의하여 분석하도록 하게 하고 그 결과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가 획득한 후,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정보만을 전자 장치(예: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중앙 분석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예: 획득된 이미지 및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 센싱 데이터)를 특정한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자 장치(예: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suspected event)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 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suspected event)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 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획득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에 의하여 분석하도록 하게 하고 그 결과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드론)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제1 드론)가 획득한 후,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정보만을 전자 장치(예: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중앙 분석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예: 획득된 이미지 및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 센싱 데이터)를 특정한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개시 상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외부 전자 장치(예: 제3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e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예: 제4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제4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여,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다른 말로,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 장치로부터 획득된 식별자 및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다른 말로, 비 허가 사용자)인 경우, 비 허가 사용자가 특정 영역(예: 아파트 단지)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예: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제3 외부 전자 장치(14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영역(예: 아파트 단지)(160)내를 이동하며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보다 저 사양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 및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제3 외부 전자 장치(14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프로세서(112), 제1 메모리(114) 및 제1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세서(112)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제1 프로세서(112)에 연결된, 전자 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2)는 다른 구성요소(예: 제1 통신 모듈(116))로부터 획득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1 메모리(114)에 로드하고, 제1 메모리(114)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제1 메모리(114)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2)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메모리(114))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메모리(114)는, 전자 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2) 또는 제1 통신 모듈(11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메모리(114)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미들 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모듈(116)은 전자 장치(1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제3 외부 전자 장치(14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 간의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모듈(116)은 제1 프로세서(112)(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116)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모듈(116)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제3 외부 전자 장치(14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프로세서(121), 제2 메모리(122), 제2 통신 모듈(123), 제1 카메라 모듈(124) 및 제1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세서(121), 제2 메모리(122), 제2 통신 모듈(123)에 대해서는 각각 제1 프로세서(112), 제1 메모리(114) 및 제1 통신 모듈(116)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세서(121)는, 도 2c의 제3 프로세서(131)보다 저 성능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124)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124)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예: 전하 결합소자(CCD), 시모스 소자 (CMOS))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124)은, 제2 프로세서(121)로부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124)은, 도 2d의 제2 카메라 모듈(144)보다 저 성능(예: 저해상도)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GPS 모듈(125)은,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거리 정보가 특정된 시간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 측량법을 적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제3 프로세서(131), 제3 메모리(132), 제3 통신 모듈(133), 서브 프로세서(134) 및 제2 GPS 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프로세서(131), 제3 메모리(132), 제3 통신 모듈(133)에 대해서는 각각 제1 프로세서(112), 제1 메모리(114) 및 제1 통신 모듈(116)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프로세서(131)는, 도 2b의 제2 프로세서(121)보다 고 성능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134)는, 제3 프로세서(131)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센서허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134)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134)는 메인 프로세서(예: 제3 프로세서(13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134)는 메인 프로세서(예: 제3 프로세서(13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134)는,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13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제3 프로세서(131)를 대신하여, 또는 제3 프로세서(13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제3 프로세서(131)와 함께,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메모리(114))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할 수 있다.
도 2d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외부 전자 장치(140)(예: 제3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외부 전자 장치(140)는 제4 프로세서(141), 제4 메모리(142), 제4 통신 모듈(143), 제2 카메라 모듈(144) 및 제3 GPS 모듈(14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프로세서(141), 제4 메모리(142), 제4 통신 모듈(143)에 대해서는 각각 제1 프로세서(112), 제1 메모리(114) 및 제1 통신 모듈(116)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 모듈(144)은, 제1 카메라 모듈(124)보다 고 성능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GPS 모듈(145)에 대해서는 제1 GPS 모듈(125)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e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예: 제4 드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제5 프로세서(151), 제5 통신 모듈(152), 센서 모듈(153) 및 제4 GPS 모듈(1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프로세서(151) 및 제5 통신 모듈(152)에 대해서는 각각 제1 프로세서(112) 및 제1 통신 모듈(116)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GPS 모듈(154)에 대해서는 제1 GPS 모듈(125)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53)은,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53)은, 예를 들면 담배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연기 감지 센서는 반도체식 센서 및 광전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식 센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또는 니코틴 등의 가스에 반응하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담배연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소량의 담배연기(예를 들어, ppm 단위)도 감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센서는 담배연기가 빛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빛의 산란정도에 따라 담배연기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53)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31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는 보행자의 흡연 및/또는 반려견의 배변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정지해 있는 사용자 또는 보행중인 사용자를 모니터링(예: 이미지 획득 후 이미지 분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모니터링 중에, 보행 중 또는 정지 상태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연기의 방출이 검출된 경우(예: 사용자 주변으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흡연 의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모니터링 중에,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반려 동물의 배변 의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의심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움직임 객체 검출법(moving object detection)과 같은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이와 같은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는,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 정보(410), 발견 시간에 대한 정보(420),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430),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위치 정보(440) 및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45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 정보(410)와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위치 정보(440)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 정보(4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의심 이벤트가 검출되면 의심 이벤트가 검출된 주변의 위치로 이동하여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GPS 모듈(125)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시간에 대한 정보(420)는,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최초의 시간(예: 14시 00분 00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430)는 제2 메모리(12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위치 정보는 의심 이벤트를 검출하였을 당시의 위치 정보(예: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450)는, 예를 들면, 흡연 의심 이벤트 또는 배변 의심 이벤트와 같은, 추정되는 의심 이벤트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320에서,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할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추정되는 의심 이벤트로서 흡연 의심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검출한 경우, 흡연 의심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세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GPU 및/또는 NPU를 포함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를 흡연 의심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어떻게 흡연 의심 이벤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또는, 추정)하기 위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430) 및 제1 메모리(114)에 저장된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저 성능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장치라고 판단한 경우, 저 성능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흡연 의심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였다고 판단(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세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GPU 및/또는 NPU를 포함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를 흡연 의심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동작 320을 설명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405에서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예: 흡연 의심 이벤트)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415에서,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로 디스패치 할 후보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저 성능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흡연 의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상세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GPU 및/또는 NPU를 포함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를 흡연 의심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후보 전자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GPU 및/또는 NPU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가장 성능이 좋은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가 후보 전자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수치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GPU 성능의 레벨이 가장 높은 전자 장치가 후보 전자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425에서,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예: 잔여 충전 량이 50% 이상인 경우)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사용 가능(availab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동작 425-예), 동작 435에서,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다른 태스크를 수행 중이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에 대해서 현재 다른 태스크를 수행 중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후보 전자 장치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수신된 응답에 기반하여,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다른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인 경우(동작 435-예), 동작 445에서, 후보 전자 장치를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로 디스패치 할 전자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지정된 레벨 이하이거나(동작 425-아니오), 후보 전자 장치가 현재 다른 태스크를 수행 중인 경우(동작 435-아니오)에는, 동작 455에서, 후보 전자 장치를 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보 전자 장치로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대신에 고성능 카메라를 구비한 제3 외부 전자 장치(140)를 후보 전자 장치로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330에서, 결정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20))가,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에 포함된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440)를,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440)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34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전자 장치(110)에 전송하는,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6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정보를 설명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600)는,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610),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620),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630),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위치 정보(640), 리소스 오프로딩에 관여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650), 획득된 증거에 대한 정보(660) 및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67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은 예를 들면 흡연 의심 이벤트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620)는,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된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에 의하여 이미지가 분석(또는, 추론)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된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AI 모델(예: 매칭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흡연 중인 특정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학습하여 둔 후,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와 학습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객체가 흡연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오프로딩에 관여된 전자 장치는, 의심 이벤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관여된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심 이벤트가 흡연 의심 이벤트이고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에 의해 이미지가 분석된 경우, 리소스 오프로딩에 관여된 전자 장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리소스 오프로딩에 관여된 전자 장치, 즉,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의 식별 정보를 제2 정보(600)로서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된 증거에 관한 정보(660)는, 예를 들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670)는, 흡연 중인 사용자가 특정한 영역 내에 진입이 가능한 사용자인지(다른 말로, 정당한 사용자 또는 허가된 사용자인지)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7a 및 도 7b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350에서, 획득된 제2 정보(600)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 프로시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시큐리티 업체의 서버)로 의심 이벤트(예: 흡연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통보하는 프로시저,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으로 이동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를 디폴트 위치(default position)로 이동하게 하는 커맨드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으로 이동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으로 이동된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으로 이동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후속 프로시저의 수행 후,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이동형 로봇)를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하도록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이동형 로봇)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담배 꽁초와 같은 증거 획득을 위해 이동형 로봇을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하도록 이동형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다른 말로,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된 전자 장치)는, 동작 51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51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1 외부 전자 장치(51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20에서, 캐퍼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비콘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의 캐퍼빌리티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캐퍼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캐퍼빌리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통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130)가 근접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20을 통하여, 상대방의 장치가 어떠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30에서, 오프로딩(offloading)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요소(예: GPU)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가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 530은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요소(예: GPU)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가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4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5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AI 모델(예: 매칭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흡연 중인 특정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학습하여 둔 후,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와 학습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객체가 흡연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60에서, 이미지의 분석 결과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AI 모델을 이용하여 추론한 결과,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사용자가 흡연 중이라고 추론된 결과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70에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이미지 분석 결과로서 특정한 사용자가 흡연 중이라고 추론된 결과를 수신한 경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로서 "흡연 중"이라는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80에서, 도출된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예: "흡연 중")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여,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 (다른 말로,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된 전자 장치들)는, 동작 503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51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1 외부 전자 장치(51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06에서, 캐퍼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비콘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각각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로부터의 캐퍼빌리티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4 외부 전자 장치(150) 각각은 캐퍼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로부터 캐퍼빌리티 정보가 각각 수신되는 경우, 이를 통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가 각각 근접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06을 통하여, 상대방의 장치가 어떠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동작 509에서, 캐퍼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동작 509을 통하여, 상대방의 장치가 어떠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와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동작 512에서, 오프로딩(offloading) 통신 연결을 각각 수립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의 캐퍼빌리티 정보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예: GPU 및 센서 모듈)을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가 각각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 512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요소(예: GPU) 및 담배 연기를 탐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53))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 및 제4 외부 전자 장치(150)가 각각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동작 515에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데이터는 센서 모듈(153)에 의해 센싱된 담배 연기의 농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18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21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AI 모델(예: 매칭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흡연 중인 특정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학습하여 둔 후,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와 학습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객체가 흡연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524에서, 이미지의 분석 결과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AI 모델을 이용하여 추론한 결과,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사용자가 흡연 중이라고 추론된 결과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동작 527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33에서, 이미지 분석 결과 및 센싱 데이터로부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이미지 분석 결과로서 특정한 사용자가 흡연 중이라고 추론된 결과를 수신하였으며, 센싱 데이터(예: 담배 연기 농도)가 일정한 수준의 담배 연기 농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로서 "흡연 중"이라는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동작 536에서, 도출된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예: "흡연 중")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다른 말로,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 장치로부터 획득된 식별자 및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장치(700)는, 동작 710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장치(700)는, 사용자 또는 반려 동물에 부착될 수 있는 소형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장치(70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예: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장치(700)는, 특정한 영역(예: 아파트 단지) 내에 출입이 가능한, 허용된 사용자 및 반려 동물에 대해서 발급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20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identifier)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는, 식별 장치(7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예: 플래그(flag) 값)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30에서, 식별자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740에서, 전송된 식별자를 기반으로, 특정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다른 말로,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특정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에 저장된 플래그 값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에 저장된 플래그 값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특정한 사용자는 정당한 사용자라고 전자 장치(11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동작 750에서, 판단 결과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60에서, 판단 결과 및/또는 식별자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정보(600)에 포함되는 정보(예: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670))로서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다른 말로, 비 허가 사용자)인 경우, 비 허가 사용자가 특정 영역(예: 아파트 단지)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2 외부 전자 장치(130)가 전자 장치(110)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05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미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디스패치 된 위치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스캐닝 동작을 미리 지정된 횟수(예: 10회)만큼 반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스캐닝 동작을 미리 지정된 횟수(예: 10회)만큼 반복하여도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미수신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특정한 사용자(예: 흡연 중인 사용자)가 비허가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15에서, 비 허가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notification)을 전자 장치(110)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동작 725에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라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라는 알림은, 예를 들어, 시각적 알림(예: LED 점등) 또는 청각적 알림(예: (예: 미리 녹음된 음성을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비 허가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수신한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제2 정보(600)에 포함되는 정보(예: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670))를 널(null) 값으로 지정하여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정지해 있는 사용자(800)를 모니터링(예: 이미지 획득 후 이미지 분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모니터링 중에, 보행 중 또는 정지 상태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연기의 방출이 검출된 경우(예: 사용자 주변으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흡연 의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의심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움직임 객체 검출법(moving object detection)과 같은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20)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의심 이벤트 발생 위치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20)가 존재하는 위치에 디스패치 된 제2 외부 전자 장치(130)에 대해서 촬영된 이미지(예: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연기가 담배 연기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130)는 이미지 분석 결과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외부 전자 장치(150)는 센싱 데이터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전송된 이미지 분석 결과 및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심 이베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분석 결과는 "흡연 중"이라고 도출되었지만, 센싱 데이터를 기반하여 판단해 본 결과, 담배 연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사용자(800)가 흡연 중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120)는,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1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1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2))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suspected event)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 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견된 시간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의심 이벤트의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후보 전자 장치를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 및 상기 후보 전자 장치가 사용 가능한(available) 상태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후보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후보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의심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제3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시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통보하는 프로시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디폴트 위치(default position)로 이동하게 하는 커맨드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시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후속 프로시저의 수행 후,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하도록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리소스 오프로딩(resource offloading)에 관여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하여 획득된 증거(evidence)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콘 신호의 브로드캐스팅에 따른 응답으로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의심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된 전자 장치이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캐퍼빌리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의심 이벤트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오프로딩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의심 이벤트 분석 결과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의심 이벤트(suspected event)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dispatch) 할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획득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 프로시저(procedure)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견된 시간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심 이벤트의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후보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전자 장치의 배터리 레벨 및 상기 후보 전자 장치가 사용 가능한(available) 상태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후보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심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 디스패치 할 제3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시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통보하는 프로시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디폴트 위치(default position)로 이동하게 하는 커맨드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시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시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시저의 수행 후,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의심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주변으로 디스패치 하도록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의심 이벤트의 추정 타입에 대한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의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리소스 오프로딩(resource offloading)에 관여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하여 획득된 증거(evidence)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의심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04600A 2021-01-13 2021-01-13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2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00A KR20220102351A (ko) 2021-01-13 2021-01-13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19630 WO2022154301A1 (ko) 2021-01-13 2021-12-22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564,770 US20220223050A1 (en) 2021-01-13 2021-12-29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performing resource offload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00A KR20220102351A (ko) 2021-01-13 2021-01-13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351A true KR20220102351A (ko) 2022-07-20

Family

ID=8244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00A KR20220102351A (ko) 2021-01-13 2021-01-13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2351A (ko)
WO (1) WO20221543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053B1 (ko) * 2014-06-24 2016-03-02 (주)에스앤티 무인기를 이용한 고층건물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EP3038021A1 (en) * 2014-12-26 2016-06-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isk determination method, risk determination device, risk determination system, and risk output device
KR101640204B1 (ko) * 2015-11-30 2016-07-20 백주연 화재 대응 시스템
KR101900812B1 (ko) * 2016-12-12 2018-09-2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드론의 움직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101931298B1 (ko) * 2017-09-29 2018-12-20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301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554B2 (en) Establishing audio connections between users being continuously tracked by collaborative sensors
US20220256429A1 (en) System for multi-path 5g and wi-fi motion detection
US9125146B1 (en) Band scan optimiz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20223050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performing resource offload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EP3163543B1 (en) Alarming method and device
US20080318622A1 (en) Handheld intelligent mobile and fixed wireless device
US9198225B2 (en) Ad-hoc surveillance network
US9699616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20160103850A (ko)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90117477A (ko)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30164033A1 (en) Edge comput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78245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입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9710753B1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of events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CN114022896A (zh) 目标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取存储介质
US1158920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1901025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02351A (ko) 리소스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040457B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13257251B (zh) 机器人使用者的识别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213305766U (zh) 疫情监控系统
US20220148556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task relating to processing of audio signal,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08347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215936B2 (ja) 迷子予防支援システム
CN110633103B (zh) 数据处理系统、服务器装置以及数据处理方法
KR20180035052A (ko)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