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470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470A
KR20190083470A KR1020180001154A KR20180001154A KR20190083470A KR 20190083470 A KR20190083470 A KR 20190083470A KR 1020180001154 A KR1020180001154 A KR 1020180001154A KR 20180001154 A KR20180001154 A KR 20180001154A KR 20190083470 A KR20190083470 A KR 2019008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ternal device
electronic device
processor
a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173B1 (ko
Inventor
고창건
권회진
민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73B1/ko
Priority to US16/959,784 priority patent/US20200367142A1/en
Priority to PCT/KR2018/016710 priority patent/WO2019135543A1/ko
Publication of KR2019008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시된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장치의 관리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무선연결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다른 장치와의 무선연결이 가능하다. 무선연결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데,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등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외부장치와 무선연결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무선연결 할 외부장치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할 외부장치와 전자장치의 무선연결 과정 중에서 무선연결을 위한 보안키가 노출될 염려가 있다. 보안키가 노출되면,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원하지 않는 다른 외부장치와 전자장치의 무선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많은 외부장치와 연결이 되어있는 전자장치의 보안키가 유출될 경우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보안키를 노출하지 않고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원하는 장치를 지정하여 제한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지만, 다수의 외부장치와 무선연결을 하는 전자장치의 관리 측면에서 불편하다.
따라서, 전자장치의 보안키가 누출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외부장치와 전자장치의 무선연결을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연결에 있어서, 무선연결 시 보안키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전자장치와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외부장치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연결 수행에 대한 관리부담을 줄 일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연결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시된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에서 전자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연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원하는 외부장치를 선택하여 전자장치와 무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무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외부장치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가 아닌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가 둘 이상 존재하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거리가 문턱치를 초과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연결 시도를 차단하고, 연결 시도를 한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이후의 연결 시도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에서 전자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 연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원하는 외부장치를 선택적으로 전자장치와 무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통해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무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른 외부장치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가 아닌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가 둘 이상 존재하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거리가 문턱치를 초과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연결 시도를 차단하는 단계; 연결 시도를 한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이후의 연결 시도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의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에서 전자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와 외부장치의 무선연결 수행 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무선연결 수행에 대한 관리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연결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외부장치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리 정한 위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대상체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블랙리스트를 추가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출력하는 내용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예컨대, TV, 휴대폰, 냉장고 등의 가전기기 또는 셋탑박스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V, 휴대폰, 냉장고 등의 가전기기 또는 셋탑박스 외에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에게 소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10)와 무선 연결(이하 '페어링' 이라고도 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컨대, Internet of Things(IoT)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와 무선연결되는 외부장치(10)는, 예컨대, 스마트폰, 리모트 컨트롤러, 휴대용 전자기기, 전구,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외부장치(10)는 상기 나열한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장치(1)와 무선연결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외부장치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네트워크를 형성 및 제어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1)는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다. 다른 라우터 및 종단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라우터(Router) 그리고 라우터 또는 코디네이터와 통신하는 종단기기(End device)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의 외부장치(10)는 라우터 또는 종단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와, 외부장치(10) 간의 연결구조는 크게 스타(Star)방식(210), 클러스터 트리(Cluster Tree)방식(220) 그리고 메쉬(Mesh)방식(230) 3가지 형태가 있다. Star방식(210)는 하나의 코디네이터에 다른 외부장치(10)가 코디네이터에 직접 연결되어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Cluster Tree방식(220)은 라우터 또는 종단기기가 코디네이터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Mesh방식(230)은 라우터 또는 종단기기와 코디네이터의 연결에서 둘 이상의 통신경로를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연결구조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연결구조의 형태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V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와 같은 동작수행부(360)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장치(1)는 직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와 같은 동작수행부(360)가 마련되어있지 않은 서버 또는 셋탑박스와 같은 전자장치(1)는 직접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직접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전자장치(1)는 무선연결된 외부장치(10)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의 전자장치(1)에 대한 설명은, 단독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1)와 무선연결된 외부장치(10)를 포함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1)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위와 같은 무선연결에서 1:1의 무선통신이 아닌 1:N의 무선통신을 할 수 있다. 1:N의 무선통신 구조에서는, 전자장치(1)와 사용자가 무선연결을 원하는 외부장치(10)를 선택적으로 무선연결을 할 수 있는 것이 통신의 보안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전자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프로세서(310), 통신부(320) 및 사용자입력수신부(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장치(1)는 프로세서(310), 통신부(320) 및 사용자입력수신부(330) 이외에 저장부(340), 센서부(350) 및 동작수행부(360)와 같은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32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장치(10)와의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다양한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Wide Band), Wirelr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도 2에서 설명한 코디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20)가 코디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전자장치(1)의 다른 구성이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코디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성은 전자장치(1)의 구성일 수 있고, 또는 전자장치(1)의 접속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사용자입력수신부(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 음성과 같은 사용자입력을 사용자입력수신부(330)를 통하여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수신부(330)는 터치스크린, 버튼, 마이크(M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는 통신부(320)등을 통하여 사용자입력을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 등에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사용자입력을 통신부(32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저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센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50)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대상체는 외부장치(10)에 대응하는 피감지체로서, 외부장치(10) 자체 혹은 외부장치(10)를 대신하는 특정 대상일 수 있다. 외부장치(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센서부(350)의 감도가 높은 경우 외부장치(10) 자체를 대상체로서 감지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외부장치(10)를 직접 감지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센서부(350)는, 외부장치(10)를 대신하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대상체는, 예컨대, 휴대폰과 같은 외부장치(10)를 들고 있는 사용자일 수 있다. 대상체는 사용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구 등 전자장치(1)의 주변에 있는 물체일 수도 있다. 센서부(350)가 감지하는 대상체는 전자장치(1)가 놓여진 환경이나, 연결할 외부장치(1)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센서부(350)는, Ultra Wide Band(UWB)를 포함하는 레이더센서,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및 레이저센서 등을 포함한다. 센서부(35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상체의 존재를 감지하고, 그 위치 정보를 획득 가능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센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 색을 감지할 수 있는 컬러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 또는 컬러센서로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내부에 센서부(350)를 포함하거나, 혹은, 내부의 센서부(350)와 함께 또는 이를 대체하여, 외부에 마련된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장치(1)로 전송한 신호를 통신부(320) 등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동작수행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수행부(36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1)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와 같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수행부(360)는 상기 장치와 같은 출력부를 통해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수행부(360)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장치(1)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31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전자장치(1)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1)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0)로부터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동작 S410). 프로세서(310)는 통신부(320) 또는 사용자입력수신부(330)를 통해 외부장치(10)로부터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한다(동작 S420). 연결 요청신호는 외부장치(10)와 전자장치(1)의 무선연결을 위해, 외부장치(10)가 전자장치(1)에 보내는 신호이다.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한 전자장치(1)는 무선연결을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으로서,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프로세서(310)는 동작수행부(3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연결이 허용되는 위치(이하 '연결허용위치'라고도 함)를 알리도록 제어한다(동작 S430). 연결허용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고, 혹은 무선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정해지거나, 다른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정해질 수도 있다. 연결허용위치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310)가 동작수행부(3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를 알리는 동작에 대하여는 도 8 및 도 1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동작 S44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를 알린 후, 외부장치(10)로부터의 연결 시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외부장치(10)의 연결 시도가 있으면(동작 S440), 프로세서(310)는, 센서부(350)에 의해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동작 S445). 프로세서(310)는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가 연결허용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동작 S450). 확인 결과, 센서부(350)에 의해 감지된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동작 S450의 'No'), 프로세서(310)는 무선연결을 시도한 외부장치(10)의 연결요청을 거절하고, 외부장치(10)의 새로운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동작 S410). 확인 결과,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에 존재하면(동작 S450의 'Yes'), 프로세서(310)는 무선연결을 시도한 외부장치(10)의 연결을 허용한다(동작 S460). 연결을 허용하면, 프로세서(310)는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310)가 연결허용위치에 대상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연결허용위치에 대상체가 존재할 때만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0)의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전자장치(1)의 무선연결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장치(1)와 무선연결을 수행할 외부장치(10)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에 따라, 보안키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에서 전자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관련한 연결허용위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501)는, 외부에 마련된 센서부(502)로부터 대상체의 감지 결과를 수신한다.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501)의 예에서는, 감지부(502)가 하나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감지부(50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허용위치는 감지부(502)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연결허용위치의 범위는, 감지부(502)가 감지할 수 있는 한계 거리와,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 연결을 허용할 것인지의 정책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연결허용위치(503, 504)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영역일 수 있다. 연결허용위치(503, 504)는, 다각형, 폐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영역일 수 있다. 연결허용위치(50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적인 영역이거나, 혹은 3차원 공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허용위치(503, 504)은 상기 나열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위치, 영역 또는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대상체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에서는 도 4의 동작 S450에서 언급된 바 같은, 연결허용위치(503)에 대상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판단 등의 전자장치(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는 대상체(604)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있는 경우와 대상체(605)가 연결허용위치(503) 밖에 있는 경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전자장치(601)의 예에서, 대상체는, 예컨대, 무선연결을 수행할 외부장치(1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일 수 있다. 대상체(604)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감지부(502)를 통해 감지된 대상체(604)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604)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부호 600 참조). 이와 달리, 대상체(604)가 연결허용위치(503) 밖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감지부(502)를 통해 감지된 대상체(605)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605)가 연결허용위치(503) 밖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부호 610 참조). 프로세서(310)가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의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부(320)를 통해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면, 프로세서(310)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가 외부장치(10)의 무선연결을 허용하는 시간(이하, '연결허용시간'이라고도 함)을 시각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부호 700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310)는 무선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때, 연결허용시간 내에 유효한 연결 시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연결허용시간 내에 센서부(350)에 의해 감지된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프로세서(310)는, 연결허용시간 이외에 연결 시도(701 내지 704)가 있거나, 연결허용시간 이내라도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연결 시도를 허용하지 않고, 연결허용시간 내에 감지된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에 존재하는 경우(705)에만 연결 시도를 허용한다. 도 7에 도시된 전자장치(1)의 예에서는 연결허용시간을 120초로 하였지만, 설정에 따라 또는 통신 방법에 따라 연결허용시간은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설명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연결 가능시간 내에서의 전자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부호 701 내지 704는 무선연결 가능시간 이내에,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 밖에 존재할 때(도 6의 부호 605 참조)의 외부장치(10)의 연결 시도를 의미한다. 부호 705는 무선연결 가능시간 이내에,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존재할 때(도 6의 부호 604)의 외부장치(10)의 연결 시도를 의미한다. 이는 동작 S450의 'No' 에 대응하며, 프로세서(310)는 상기 무선연결 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동작 S450의 'No'). 연결허용위치(503)에 대상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외부장치(1)의 연결 시도는 정당한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 의한 연결 시도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무선연결 가능시간의 제한을 둠으로써,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안에 있을 때만 연결을 허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보안이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도 4 및 도 6에서 언급한 연결허용위치(503)를 전자장치(1)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는 프로세서(310)가 연결허용위치(503)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과정 및 전자장치(1)와 무선연결을 수행할 외부장치(10) 이외의 중계장치(80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연결허용위치(503)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먼저, 전자장치(1)가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503)의 위치를 알리는 동작을 설명한다.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장치(1)의 경우, 프로세서(310)는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503)의 위치를 직접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없는 전자장치(1)의 경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503)에 대한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전송하여, 다른 장치가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가능한 장치의 예시로 중계장치(801)가 있다.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중계장치(801)는 사용자에게 연결허용위치(503)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UI, 그림,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권한이 있는 장치가 있는 경우, 전자장치(1) 또는 중계장치(801)는 권한이 있는 장치로 연결허용위치(503)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권한이 있는 장치는 중계장치(801)의 일 예시일 수 있다.
중계장치(801)는 전자장치(1)와 같은 공간에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공간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장치(1)가 아닌 중계장치(801)로부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위치에 대한 정보에 접근하기가 어려워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는 프로세서(310)가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310)은 연결허용위치(503)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허용위치(503)를 정할 수 있다. 설정되는 연결허용위치(901, 902, 903)는 한 개 이상일 수 있다(부호 900 참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입력을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은 UI 또는 음성 등일 수 있다. 사용자입력으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는 특정위치일 수 있으며, 특정 대상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장치(1)와 통신으로 연결된 중계장치(도 8의 801)을 통해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연결을 수행할 외부장치(10)가 아닌 서버와 같은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와 같은 다른 외부장치는 사용환경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위치정보를 전자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서버와 같은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내재되어 있는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한 후, 산출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가 위치정보를 산출할 때, 사용자의 사용환경, 연결하려는 물체 또는 감지된 대상체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앞선 설명과 같은 방법에 따라,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연결허용위치(503)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허용위치(503)는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는 센서부(350)에 의해 감지된 대상체가 둘 이상인 경우, 전자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대상체(604, 1005)가 둘 이상일 때, 전자장치(1)가 무선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람만을 대상체로 도시하였으나, 제1 대상체(604) 및 제2대상체(1005)는 사람 또는 외부장치(10)일 수 있다. 연결허용위치(503)가 존재하는 공간에는 제1대상체(604)와 다른 악의의 목적을 가진 제2대상체(1005)가 있을 수 있다(부호 1000 참조). 제1대상체(604)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존재하는 동안에 외부장치(10)가 무선연결을 시도하면,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대상체(1005)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존재하는 동안에 외부장치(10)가 연결을 시도하여도, 프로세서(310)는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악의의 목적을 가진 제2대상체(1005)는 연결허용위치(503)의 위치 또는 존재를 알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모든 외부장치(10)의 무선연결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악의의 제2대상체(1005)로부터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는 특정 공간 밖에서 무선연결을 시도하는 외부장치(10)에 대한 전자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장치(1)가 있는 공간의 외부에서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장치(1105)가 존재한다(부호 1100 참조).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대상체(604)가 있을 때, 외부장치(1105)가 연결을 시도하면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105)의 연결을 거부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105)가 공간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외부장치(1105)의 위치정보 및 전자장치(1)가 있는 공간의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외부장치의(10)의 위치정보는 수신한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는 연결허용위치(503)이 있는 공간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위치정보 및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장치(10)가 소정 거리를 넘거나 특정 공간의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외부장치(10)의 연결 시도를 거부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특정영역 밖의 연결 시도를 거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는 특정공간 밖의 외부장치(10)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장치(1)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는 프로세서(310)가 외부장치(10)가 블랙리스트에 추가될 대상인지 또는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대상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블랙리스트에 대한 UI를 도시하는 도 13에 대한 설명은 도 12의 설명에 이어서 후술하도록 한다.
외부장치(10)로부터 연결 시도가 있으면(동작 S440), 프로세서(310)는 대상체의 위치와 약속된 위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한다. 대상체의 위치가 약속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동작 S450의 'No'), 프로세서(310)는 무선연결 시도한 외부장치(10)의 연결을 차단한다.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0)의 식별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로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저장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등록(동작 S1260)하고, 다른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프로세서(310)가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로 등록하는 예시는 흐름도의 설명 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대상체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응한다고 판단되면(동작 S450의 'Yes'), 프로세서(310)는 연결 시도한 외부장치(10)가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장치인지 판단한다(동작 S1250). 연결 시도한 외부장치(10)가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로 판단되면(동작 S1250의 'Yes'), 프로세서(310)는 해당 기기의 연결 시도를 거부하고, 다른 외부장치(10)의 무선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무선연결 시도한 외부장치(10)가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동작 S1250의 'No'), 프로세서(310)는 해당 기기의 무선연결 시도에 응답하여 무선연결을 완료하도록 제어한다(동작 S460).
프로세서(310)가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부호 700에서 외부장치(10)가 부호 701의 조건에서 무선연결을 시도한다면,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310)는 부호 701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외부장치(10)가 부호 701과 같이 부호 702, 703 및 704에서 연결을 시도한다면, 마찬가지로 프로세서(310)는 연결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허용위치(305)에 대상체가 존재하고, 부호 705와 같이 외부장치(10)가 연결을 시도한다면, 프로세서(310)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허용시간이 아닌 구간에서의 외부장치(10)의 연결시도에 대응하여, 프로세서(310)는 외부장치(10)의 연결시도를 거부하고,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후, 프로세서(310)는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외부장치(10)의 연결을 거부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해당 블랙리스트 및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외부장치(10)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가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조건은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장치(10)의 최초 연결 시도 시, 연결허용위치(503)에 대상체가 없으면, 프로세서(310)는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외부장치(10)의 반복적인 연결 시도 시, 프로세서(310)는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서 설명한 특정 영역 밖의 외부장치(10)의 무선연결 시도 시, 프로세서(310)는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310)가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조건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조건으로 변경되거나, 다른 조건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블랙리스트를 추가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3에서는 프로세서(310)가 블랙리스트를 추가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부호 1300에서의 블랙리스트에서는 장치 ID, 연결 거부횟수,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등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프로세서(310)는 전자장치(1)로부터의 거리, 장치의 종류 또는 연결된 횟수 등을 더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가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예시로, 부호 1300에서와 같이 프로세서(310)는 누적 연결 거부횟수가 10회 이상인 장치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외부장치(10)가 무선연결을 시도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특정영역 밖에서의 외부장치(10)가 연결을 시도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해당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외부장치(10)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거나 블랙리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출력하는 내용을 도시한다. 프로세서(310)는 동작수행부(360)에 포함된 출력부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해진 위치로 이동할 것을 알리거나, 위치를 정할 것을 요구하거나, 대상체의 위치가 현재 연결허용위치(503)에 있는지 또는 무선연결 허용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려줄 수 있다.
부호 1400은 위치가 정해진 경우,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해 연결허용위치(503)로 이동할 것을 출력하는 내용을 도시한다. 프로세서(310)는 전자장치(1)가 직접 해당 내용을 직접 출력할 수 있고, 중계장치(80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부호 1410은 연결허용위치(503)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으로 위치를 정할 것을 출력하는 내용을 도시한다. 프로세서(310)는 사용자가 위치를 정하는 경우 위치를 정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인 부호 1410을 출력할 수 있다.
부호 1420은 위치가 정해지고, 무선연결 허용 시간이 진행중인 경우,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있는지 여부 또는 무선연결 허용 잔여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알려주는 것을 출력하는 내용을 도시한다. 대상체가 정해진 위치에 있는지 여부는 부호 1420에서와 같이 O 또는 X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상체가 연결허용위치(503) 안에 있는지 여부는 색깔, 글자, 모양, 음성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무선연결 허용 잔여시간은 부호 1420에서와 같이 원형 도형에서 색깔로 구분하여 남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무선연결 허용 잔여시간은 숫자, 글자, 음성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의 동작수행부(360)가 출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1: 전자장치
10: 외부장치
310: 프로세서
503: 연결허용위치 또는 Safety Zone
504: 연결허용위치 또는 Safety Zone

Claims (19)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시된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연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외부장치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전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가 아닌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가 둘 이상 존재하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전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거리가 문턱치를 초과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전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연결 시도를 차단하고, 연결 시도를 한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이후의 연결 시도를 차단하는 전자장치.
  10.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시된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 상기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연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통해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다른 외부장치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출력하도록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아닌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둘 이상 존재하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거리가 문턱치를 초과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외부장치가 연결 시도 시, 연결 시도를 차단하는 단계; 연결 시도를 한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이후의 연결 시도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전자장치 주변에 감지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연결이 허용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을 허용하고, 연결을 허용하면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KR1020180001154A 2018-01-04 2018-01-0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54A KR102474173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959,784 US20200367142A1 (en) 2018-01-04 2018-12-27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8/016710 WO2019135543A1 (ko) 2018-01-04 2018-12-2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54A KR102474173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470A true KR20190083470A (ko) 2019-07-12
KR102474173B1 KR102474173B1 (ko) 2022-12-08

Family

ID=6714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54A KR102474173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67142A1 (ko)
KR (1) KR102474173B1 (ko)
WO (1) WO20191355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65A1 (en) * 2019-09-02 2021-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WO2023054991A1 (ko) * 2021-09-28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40A (ko) * 2014-10-20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4107A (ko) * 2015-07-01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4882B2 (en) * 2007-03-09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Blacklisting of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users via AAA policy database
US20090195445A1 (en) * 2008-01-31 2009-08-06 Dehaas Ronald J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arameters based on physical location of a computer device
KR101658093B1 (ko) * 2014-12-15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44868B1 (ko) * 2015-10-19 2017-06-08 주식회사 와이스퀘어 보안키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351491B1 (ko) * 2015-12-29 2022-01-17 주식회사 마크애니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40A (ko) * 2014-10-20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4107A (ko) * 2015-07-01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65A1 (en) * 2019-09-02 2021-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KR20210027716A (ko) *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1716679B2 (en) 2019-09-02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WO2023054991A1 (ko) * 2021-09-28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7142A1 (en) 2020-11-19
WO2019135543A1 (ko) 2019-07-11
KR102474173B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5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EP3177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US10560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inding with device
EP320042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715800B1 (ko)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4254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mart camera
US20170330439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control device and sensing device
EP29782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KR101713305B1 (ko) 스마트 기기의 라우터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7010523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connection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2017012745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network connection
CN106714081B (zh) 网络连接方法及智能设备
KR101797410B1 (ko) 경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30766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network
KR102390405B1 (ko) 도어벨 장치
US9503965B2 (en) Set-top box setup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JP6429896B2 (ja) 基地局アクセス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550383B (zh) 网络连接方法及智能设备
TW201625038A (zh) 控制無線對接系統中的對接方的模態
CN108012270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8347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158019A (zh) 终端控制方法、终端控制系统及存储介质
US20170041377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6219997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