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902A -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902A
KR20220101902A KR1020210003954A KR20210003954A KR20220101902A KR 20220101902 A KR20220101902 A KR 20220101902A KR 1020210003954 A KR1020210003954 A KR 1020210003954A KR 20210003954 A KR20210003954 A KR 20210003954A KR 20220101902 A KR20220101902 A KR 2022010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rotective film
film
flat surface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285B1 (ko
Inventor
권만호
이진엽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2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30Tamping or vibrating apparatus other than rollers ; Devices for ram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 E01C19/34Power-driven rammers or tampers, e.g. air-hammer impacted shoes for ramming stone-sett paving; Hand-actuated ramming or tamping machines, e.g. tampers with manually hoisted dropping weight
    • E01C19/40Power-driven rammers or tampers, e.g. air-hammer impacted shoes for ramming stone-sett paving; Hand-actuated ramming or tamping machines, e.g. tampers with manually hoisted dropping weight adapted to impart a smooth finish to the paving, e.g. tamping or vibrating fini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데크 휘니셔(deck finisher)가 보호필름이 감겨진 보빈(bobbin)으로 이루어진 필름 롤을 끌고 가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데크 휘니셔의 이동 중에 보호필름이 보빈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포설되도록 함으로써, 보호필름의 포설작업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호필름 포설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등을 감축시켜서 시공비용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되는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Installing Method of Protect Film on Concrete Surface using Deck Finisher}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을 시공할 때, 평탄화된 콘크리트의 표면("콘크리트 평탄면")을 표면크랙(crack) 및 기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포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타설되어 평탄화된 콘크리트 평탄면에 표면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또는 기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포설함에 있어서, 보호필름이 감겨진 보빈(bobbin)으로 이루어진 필름 롤(film roll)을 데크 휘니셔(deck finisher)가 끌고 가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데크 휘니셔의 전진이동 중에 보호필름이 필름 롤에서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포설되도록 함으로써, 보호필름 포설작업의 진행속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호필름 포설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등의 감축을 통해 보호필름 포설작업에 소요되는 비용도 크게 줄여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슬래브, 도로포장 등의 구조물을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시공함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고르게 하여 평탄화시키기 위해 데크 휘니셔가 이용된다. 데크 휘니셔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4585호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데크 휘니셔에 의해 고르게 마감된 콘크리트 평탄면에는 표면보호를 위하여 소위 비닐포 등으로 불리는 보호필름이 포설된다. 종래에는 보호필름을 콘크리트 평탄면에 포설하는 작업의 수행은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는 인력작업에 의존하였다. 그런데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포설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바람이 불어서 보호필름이 날리면서 콘크리트 평탄면의 위에 제대로 포설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며, 보호필름의 아래에 공기가 유입되어 보호필름에 다시 벗겨지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히, 종래의 인력에 의한 포설작업으로는 보호필름이 고르게 펼쳐지지 않고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생기고 이로 인하여 비닐자국이 발생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긁힘이나 파임 및 기타 콘크리트 평탄면에 보호필름이 충분히 포설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건조수축과 그로 인한 표면크랙 발생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되며, 그에 따라 추가적인 보수작업이 필요하고 그만큼 비용과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로나 교량 등에서는 1회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평탄면이 100m 이상의 긴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에 의한 인력작업으로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긴 구간 전체에 고르게 보호필름을 포설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많은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061호(2012.03.26.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데크 휘니셔에 의해 표면이 평탄화된 콘크리트 평탄면에 보호필름을 포설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투입에 의한 인력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소요비용 및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 평탄면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회 콘크리트 타설구간이 긴 경우에도, 해당 타설구간 전체에 대해 콘크리트 평탄면에 고르게 보호필름을 포설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공을 가진 원통형의 보빈에 보호필름이 감겨진 형태의 필름 롤을 데크 휘니셔의 후방에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뉘어 놓고, 보빈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고정봉을 삽입 배치하고, 고정봉의 횡방향 양단과 데크 휘니셔 사이는 견인부재로 연결시켜 놓는 단계; 및 데크 휘니셔를 전진 이동시켜서 견인부재에 의해 필름 롤을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 평탄화가 완료된 데크 휘니셔의 후방에서는 필름 롤의 보빈이 회전하면서 보빈으로부터 보호필름이 풀려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를 보호필름이 덮도록 보호필름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포설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는 복수개의 필름 롤이 뉘어서 놓이는데, 각각의 필름 롤에 구비된 보빈의 중공이 서로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놓이며; 고정봉은 횡방향으로 연통된 각 보빈의 중공을 모두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되고; 견인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횡방향의 양쪽 최외측에 위치하는 견인부재의 일단부는 각각 고정봉의 횡방향 양단에 결합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견인부재의 일단부는 복수개의 보빈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견인부재 각각의 타단부는 데크 휘니셔에 결합되어 있어서; 데크 휘니셔가 전진 이동할 때, 복수개의 견인부재 전부가 동시에 고정봉을 견인하여 필름 롤이 데크 휘니셔와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엉킴방지판이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보호필름 사이에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필름 롤이 이동하면서 보호필름이 풀릴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필름 롤에서 풀리는 보호필름이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견인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견인부재는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견인부재가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필름 롤의 위쪽으로는, 종방향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태의 밀착부재가 배치되는데, 밀착부재의 종방향 일측은 견인부재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밀착부재의 종방향 타측은 콘크리트 평탄면에 포설된 보호필름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보호필름이 보빈으로부터 풀려서 콘크리트 평탄면에 포설된 상태에서 밀착부재의 종방향 타측이 보호필름의 상면에 밀착하여 보호필름을 콘크리트 평탄면에 가압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견인부재는, 수직바와 수평바로 이루어져 그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며, 프레임부재의 수직바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휘니셔가 원래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면, 그 후방에서는 데크 휘니셔와 연결된 견인줄에 의해 필름 롤이 함께 전진이동하면서 필름 롤에서 보호필름이 자동적으로 풀려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고르게 포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호필름의 포설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작업자 투입 감소를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으로 1회 콘크리트 타설구간이 긴 경우에도, 해당 타설구간 전체에 대해 콘크리트 평탄면에 고르게 보호필름을 포설할 수 있게 되며, 필름 롤의 폭 내지 필름 롤의 설치 개수를 횡방향으로 타설 구간의 폭에 쉽게 맞출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횡방향 폭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포설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이 최소화된 상태로 보호필름을 콘크리트 평탄면에 고르게 포설할 수 있게 되므로, 긁힘이나 주름, 그리고 표면균열 등이 없는 매끈한 형태의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었던 추가적인 보수를 위한 2차적인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비용 및 공기를 절감하고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설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보호필름을 포설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고정봉과 견인부재 사이에 엉킴방지판을 더 설치한 실시예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태에 후속하여 데크 휘니셔가 소정 거리로 전방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설 시공방법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보호필름을 포설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의 전체에서는 데크 휘니셔가 전진 이동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아울러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의 전체에서는 "전방"은 종방향으로 데크 휘니셔가 전진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이와 반대로 종방향으로 데크 휘니셔의 뒤쪽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포설 시공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 보호필름(3)을 포설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과 같이 두께를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 평판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구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공지의 데크 휘니셔(10)가 종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고르게 평탄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진 콘크리트의 평면 즉, 데크 휘니셔(10)의 후방 구간에 존재하는 콘크리트 평탄면(12)에는 본 발명의 포설 시공방법에 따라 보호필름(3)이 포설된다.
보호필름(3)은 소위 비닐 등과 같이 합성수지 내지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sheet) 형태의 것으로서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 덮여서 콘크리트 평탄면(12)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 있어서 중공(中空)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보빈(bobbin)(2)에 보호필름(3)이 감겨진 필름 롤(film roll)의 형태로 시판된다. 본 발명의 포설 시공방법에서는 이러한 필름 롤을 이용하는데, 원통형의 보빈(2)에 보호필름(3)이 감겨진 필름 롤을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하면서 견인부재(4)로 끌고 가게 되고, 그에 따라 필름 롤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보빈(2)으로부터 보호필름(3)이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 포설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보빈(2)에 보호필름(3)이 감겨진 형태의 필름 롤을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 뉘어 놓는다. 즉, 보호필름(3)이 폭이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평탄면(12)의 횡방향 폭에 맞추어서, 복수개의 필름 롤을 횡방향으로 연속한 상태로 놓을 수 있다. 복수개의 필름 롤은 보빈(2)의 중공이 서로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놓이는데, 각각의 보빈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놓이게 된다.
보빈(2)의 중공 내에는 고정봉(1)이 관통된 상태로 삽입 배치된다. 고정봉(1)의 굵기는 보빈(2)의 중공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고정봉(1)이 보빈(2)의 중공 내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보빈(2)은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필름 롤이 배치될 경우, 고정봉(1)은 복수개의 필름 롤 각각의 보빈(2) 모두를 관통한 상태로 중공 내에 끼워져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고정봉(1)에는 견인부재(4)의 일단이 결합되고, 견인부재(4)의 타단은 데크 휘니셔(10)에 결합된다. 따라서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하게 되면 견인부재(4)에 의해 고정봉(1) 및 필름 롤도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견인부재(4)는 와이어(wire)로 이루어져 있지만 견인부재(4)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횡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견인부재(4)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부에 결합된다. 보빈(2)의 중공 내에 관통 배치된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부는 보빈(2)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빈(2) 밖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보빈(2) 밖의 위치에서 고정봉(1)의 양단부 각각에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복수개의 필름 롤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필름 롤 사이 즉, 보빈(2)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빈(2) 사이의 간격에서는 고정봉(1)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렇게 고정봉(1)이 노출된 부분에도 중간 위치의 견인부재(4) 일단부가 결합된다. 즉, 복수개의 필름 롤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견인부재(4)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며, 횡방향의 양쪽 최외측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각각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에 결합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복수개의 보빈(2)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고정봉(1)이 노출된 부분에 고리(5)를 설치하고 고리(5)에 견인부재(4)의 일단부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리(5)에 끼워진 고정봉(1)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후술하는 것처럼 보호필름(3)을 포설하는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에 견인부재(4)의 일단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필름 롤에서 풀리는 보호필름(3)이 서로 엉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엉킴방지판(7)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엉킴방지판(7)이 설치된 실시예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은 엉킴방지판(7)의 일측을 관통하게 되고,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엉킴방지판(7)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엉킴방지판(7)은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보호필름 사이에 끼워져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필름 롤이 이동하면서 보호필름이 풀릴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보호필름이 서로 엉키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견인부재(4) 각각의 일단부는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부 및 보빈 사이 간격에서 고정봉(1)이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는데, 견인부재(4) 각각의 타단부는 견인부재(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데크 휘니셔(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데크 휘니셔(10)는 종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원래 부여된 작업 즉,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견인부재(4)에 연결된 고정봉(1)도 전방으로 당겨져서 함께 전인 이동하게 된다. 즉,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할 때, 복수개의 견인부재(4) 전부를 이용하여 고정봉(1)을 견인함으로써, 필름 롤이 데크 휘니셔(10)와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보빈(2)은 고정봉(1)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보빈(2)이 회전하면서 각각의 보빈(2)에 감겨져 있던 보호필름(3)이 보빈(2)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도 5에는 도 1의 상태에 후속하여 데크 휘니셔(10)가 소정 거리로 전방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빈(2)으로부터 풀린 보호필름(3)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보빈(2)의 후방에서 콘크리트 평탄면 위를 덮게 된다. 즉, 데크 휘니셔(10)가 원래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면, 그 후방에서는 보호필름(3)이 자동적으로 콘크리트 평탄면 위에 고르게 포설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호필름(3)을 보빈(2)으로부터 인위적으로 풀어낼 필요도 없고, 풀어내진 보호필름(3)을 펼치거나 또는 보호필름(3)이 콘크리트 평탄면의 전부 덮도록 당길 필요도 전혀 없게 된다. 보호필름(3)의 포설 작업에 작업자가 직접 개입해야 할 사항이 크게 줄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필름(3)의 포설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작업자 투입 감소를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종방향으로 1회 콘크리트 타설구간이 긴 경우에도, 해당 타설구간 전체에 대해 콘크리트 평탄면에 고르게 보호필름을 포설할 수 있게 되며, 필름 롤의 폭 내지 필름 롤의 설치 개수를 횡방향으로 타설 구간의 폭에 맞출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횡방향 폭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포설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견인부재(4)가 선재 또는 와이어(wire)로 이루어져 있으나, 견인부재(4)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임부재 등과 같이 그 형태가 유지되는 강체(剛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견인부재(4)가 강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보호필름(3)을 눌러주는 밀착부재(6)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포설 시공방법에서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견인부재(4)를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견인부재(4)가 형태를 유지하는 강체에 해당하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재의 일단부는 앞서 도 1 내지 도 5의 와이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봉(1)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는 데크 휘니셔(10)에 결합되어 있다. 견인부재(4)에 해당하는 프레임부재는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이 경량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프레임부재의 재질이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견인부재(4)에 해당하는 프레임부재에는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보호필름(3)을 눌러주는 밀착부재(6)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밀착부재(6)는 종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부재(6)는 필름 롤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종방향 일측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며 종방향 타측은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보호필름(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보호필름(3)이 풀려서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상태에서 밀착부재(6)의 종방향 타측은 보호필름(3)의 상면에 밀착하여 보호필름(3)을 콘크리트 평탄면(12)에 가압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하게 되면, 데크 휘니셔(10)의 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부재에 의해 고정봉(1) 및 보빈(2)이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고 보호필름(3)이 보빈(2)으로부터 풀리면서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되는데,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보호필름(3)은 밀착부재(6)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콘크리트 평탄면(12)에 더욱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호필름(3)에 의한 콘크리트 평탄면 보호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견인부재(4)가 위와 같이 그 형태를 유지하는 강체 즉,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데크 휘니셔(10)의 전방 이동 경로가 곡선일 때에도 안정적으로 필름 롤을 견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예를 들어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곡선일 경우에도, 필름 롤이 해당 곡선 형태에 맞추어서 안정적으로 굴러가면서 이동하게 되어 보호필름의 포설이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밀착부재(6)가 철망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밀착부재(6)의 아래에 위치하는 필름 롤의 상태 및 보호필름이 풀리는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밀착부재(6)가 이러한 망(net) 형태의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명한 강재판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견인부재(4)가 위와 같이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에 견인부재(4)의 일단부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필름 롤에서 풀리는 보호필름(3)이 서로 엉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엉킴방지판(7)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견인부재(4)가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고정봉과 견인부재 사이에 엉킴방지판을 더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엉킴방지판(7)의 설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앞서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견인부재(4)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프레임부재로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부재는 각각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는 수직바(bar)(4a)와 수평바(bar)(4b)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직바(4a)를 그 길이가 신축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바(4a)를 신축가능한 형태로 만듦으로써, 고정봉(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필름 롤을 용이하게 사용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 롤에서 보호필름(3)이 풀어짐으로써 필름 롤의 직경이 줄어드는 것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수평바(4b) 역시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레임부재의 수직바(4a)와 수평바(4b)를 신축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신축이 불가능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1: 고정봉
2: 보빈
3: 보호필름
4: 견인부재
6: 밀착부재
7: 엉킴방지판
10: 데크 휘니셔

Claims (6)

  1. 데크 휘니셔(10)의 후방에서, 중공을 가진 원통형의 보빈(2)에 보호필름(3)이 감겨진 형태의 필름 롤을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 뉘어 놓고, 보빈(2)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고정봉(1)을 삽입 배치하고,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과 데크 휘니셔(10) 사이는 견인부재(4)로 연결시켜 놓는 단계; 및
    데크 휘니셔(10)를 전진 이동시켜서 견인부재(4)에 의해 필름 롤을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 평탄화가 완료된 데크 휘니셔(10)의 후방에서는 필름 롤의 보빈(2)이 회전하면서 보빈(2)으로부터 보호필름(3)이 풀려서 보호필름(3)이 콘크리트 평탄면 위를 덮도록 보호필름(3)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는 복수개의 필름 롤이 뉘어서 놓이는데, 각각의 필름 롤에 구비된 보빈(2)의 중공이 서로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놓이며;
    고정봉(1)은 횡방향으로 연통된 각 보빈(2)의 중공을 모두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되고;
    견인부재(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횡방향의 양쪽 최외측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각각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에 결합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견인부재(4) 각각의 타단부는 데크 휘니셔(10)에 결합되어 있어서;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할 때, 복수개의 견인부재(4)를 이용하여 고정봉(1)을 견인함으로써, 필름 롤이 데크 휘니셔(10)와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평탄면(12) 위에는 복수개의 필름 롤이 뉘어서 놓이는데, 각각의 필름 롤에 구비된 보빈(2)의 중공이 서로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놓이며;
    고정봉(1)은 횡방향으로 연통된 각 보빈(2)의 중공을 모두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되고;
    견인부재(4)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횡방향의 양쪽 최외측에 위치하는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각각 고정봉(1)의 횡방향 양단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의 간격에서 고정봉(1)은 엉킴방지판(7)의 일측을 관통하게 되고, 견인부재(4)의 일단부는 엉킴방지판(7)의 타측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견인부재(4) 각각의 타단부는 데크 휘니셔(10)에 결합되어 있어서;
    데크 휘니셔(10)가 전진 이동할 때, 복수개의 견인부재(4)를 이용하여 고정봉(1)을 견인함으로써 필름 롤이 데크 휘니셔(10)와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는데;
    엉킴방지판(7)이 복수개의 필름 롤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보호필름 사이에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필름 롤이 이동하면서 보호필름(3)이 풀릴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필름 롤에서 풀리는 보호필름이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부재(4)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부재(4)는,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며;
    필름 롤의 위쪽으로는, 종방향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태의 밀착부재(6)가 배치되는데, 밀착부재(6)의 종방향 일측은 견인부재(4)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밀착부재(6)의 종방향 타측은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보호필름(3)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보호필름(3)이 보빈(2)으로부터 풀려서 콘크리트 평탄면(12)에 포설된 상태에서 밀착부재(6)의 종방향 타측이 보호필름(3)의 상면에 밀착하여 보호필름(3)을 콘크리트 평탄면(12)에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부재(4)는, 수직바(4a)와 수평바(4b)로 이루어져 그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며;
    프레임부재의 수직바(4a)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KR1020210003954A 2021-01-12 2021-01-12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KR10242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54A KR102426285B1 (ko) 2021-01-12 2021-01-12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54A KR102426285B1 (ko) 2021-01-12 2021-01-12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02A true KR20220101902A (ko) 2022-07-19
KR102426285B1 KR102426285B1 (ko) 2022-07-28

Family

ID=8260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954A KR102426285B1 (ko) 2021-01-12 2021-01-12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14U (ja) * 1991-10-09 1993-04-27 株式会社東洋内燃機工業社 半剛性舗装用ビニルシート貼着機
JPH07119133A (ja) * 1993-10-22 1995-05-09 Shimizu Corp 全天候式コンクリート打設工法および装置
KR20120029061A (ko)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한엔코 집진기 차량
JP2017206319A (ja) * 2016-05-16 2017-11-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シート敷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14U (ja) * 1991-10-09 1993-04-27 株式会社東洋内燃機工業社 半剛性舗装用ビニルシート貼着機
JPH07119133A (ja) * 1993-10-22 1995-05-09 Shimizu Corp 全天候式コンクリート打設工法および装置
KR20120029061A (ko)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한엔코 집진기 차량
JP2017206319A (ja) * 2016-05-16 2017-11-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シート敷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285B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201900001841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CA279733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lowcore slabs
DE3437350A1 (de) Kabel fuer bauwerke, insbesondere schraegkabelbrueck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426285B1 (ko) 데크 휘니셔를 이용한 콘크리트 평탄면의 보호필름 포설 시공방법
JPH03120176A (ja) ケーブルまたは類似物をリールの外側表面に複式に巻き付ける方法及び該方法実施のための装置
KR100467171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토목섬유 포설방법
KR100890399B1 (ko) 토목섬유매트권취기를 이용한 토목섬유포설방법
KR100934941B1 (ko)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KR101193552B1 (ko) 도관 보수용 부재
RU2019117644A (ru) Усили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ыступающими усилив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CN206584087U (zh) 一种变电站光纤专用收容工具
JP2851090B2 (ja) 架空線への光ケーブル巻付け布設方法
CN112290457A (zh)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的施工方法
KR102278105B1 (ko)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시트
JP6809760B2 (ja) 防水シートの敷設方法
JP7407639B2 (ja) 水平ドレーン材の布設方法
KR20080005310U (ko) 강섬유 배열장치
CN106772861A (zh) 一种变电站光纤专用收容工具
CN110948676A (zh) 预制件钢材张拉装置
KR100934949B1 (ko)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CN112900882B (zh) 穿过后浇筑区域的缓粘结预应力筋的施工方法
JPH07292610A (ja) 人工芝敷設装置
CN221295645U (en) Film paving device for paving concrete road
JPH0324929B2 (ko)
CN218619453U (zh) 一种pe防弹板用ud布的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