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10U - 강섬유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강섬유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10U
KR20080005310U KR2020070007563U KR20070007563U KR20080005310U KR 20080005310 U KR20080005310 U KR 20080005310U KR 2020070007563 U KR2020070007563 U KR 2020070007563U KR 20070007563 U KR20070007563 U KR 20070007563U KR 20080005310 U KR20080005310 U KR 20080005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fiber
rotating body
steel fib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김대성 filed Critical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7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310U/ko
Publication of KR20080005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10U/ko

Links

Image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섬유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보다 원활하게 집결시킬 수 있으며, 집결된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강섬유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한곳으로 집결시켜 고르게 배열하는 강섬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집결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지지판(28)을 매개로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나선봉(20)과;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고르게 배열하고,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인출시키도록 내부에 상기 강섬유의 상/하측에 간섭되게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부재(30)와; 상기 롤러부재(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롤러부재(30)를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볼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2020070007563
보빈회전체, 나선봉, 조정롤러, 직선롤러, 안내홈

Description

강섬유 배열장치{ARRANGEMENT DEVICE OF STEEL FIB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섬유 배열장치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된 강섬유의 배열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판에 장착된 나선봉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빈회전체 15: 회전체프레임
20: 나선봉 22: 제1나선봉
23: 제1나사선 23a: 강섬유집결홈
24: 제2나선봉 25: 제2나사선
28: 지지판 30: 롤러부재
32: 조정롤러부 33: 조정롤러
34, 38: 안내홈 36: 직선롤러부
37: 직선롤러 40: 조임볼트
50: 안내레일 51: 강섬유가이드홈
55: 레일프레임
본 고안은 강섬유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보다 원활하게 집결시킬 수 있으며, 집결된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강섬유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내화물 등의 구조물을 성형할 때는 이들 구조물의 기계, 물리적인 성질을 향상시켜 주기위하여 그 재료인 콘크리트 및 내화물 복합체에 강섬유를 혼합하여 성형한다.
이러한 강섬유는 다수개의 보빈회전체에 권취된 강연성선재(이하 '강섬유'라 한다)를 권출시켜 강섬유 배열수단을 통과한 후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냉/온풍장치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상태로 성형롤러에 의해 특정 형상으로 성형시킨 후 절단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강섬유의 배열시 얼마나 고르게 배열하고,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느냐에 따라 최종 완성품의 품질이 좌우되어 진다.
종래의 강섬유 배열시에는 강섬유의 배열시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고르게 배열한 상태에서 별도의 가압판 또는 밀착판을 이용하여 가압밀착시킴으로써 팽팽하게 인장시키고 있으나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가 혼선되는 등 배열이 어려워 다수개의 롤러가 일정 길이 이상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롤러부재의 설치시 공간이 협소하게 되며, 더욱이 배열된 상태의 강섬유를 팽팽하게 인장시키기 위하 여 가압판 또는 밀착판 등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장치의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상기 강섬유의 인장을 위한 상기 가압판 또는 밀착판의 조절이 어려워 부직포를 사용하는 등 2차적인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원활하게 집결시킬 수 있으며, 집결된 강섬유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강섬유 배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수개의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한곳으로 집결시켜 고르게 배열하는 강섬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집결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지지판(28)을 매개로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나선봉(20)과;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고르게 배열하고,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인출시키도록 내부에 상기 강섬유의 상/하측에 간섭되게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부재(30)와; 상기 롤러부재(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롤러부재(30)를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볼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빈회전체(10)와 나선봉(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가 혼선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나선봉(20)으로 집결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롤러부재(30)는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하도록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조정롤러(33)가 지그재그형으로 구비된 조정롤러부(32)와, 상기 조정롤러부(32)를 통과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팽팽하게 인장시키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직선롤러(37)가 지면에 직각이 되게 구비된 직선롤러부(36)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롤러(33)와 직선롤러(37)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강섬유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배열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의 안내홈(34,38)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강섬유 배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섬유 배열장치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된 강섬유의 배열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판에 장착된 나선봉을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강섬유 배열장치는 강섬유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냉/온풍장치를 통과시킨 다음 일정 크기로 절단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한곳으로 집결시켜 고르게 배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집결시키도록 지지판(28)을 매개로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나선봉(20)과,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인출시키도록 내부에 상기 강섬유의 상/하측에 간섭되게 다수개의 롤 러가 구비된 롤러부재(30)와, 상기 롤러부재(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롤러부재(30)를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볼트(40)로 구성된다.
상기 나선봉(20)은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하부면으로 간섭되게 하면서 1차적으로 집결시키는 제1나선봉(22)과, 상기 제1나선봉(22)에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나선봉(22)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가 상부면에 간섭되면서 2차적으로 집결되는 제2나선봉(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나선봉(22)과 제2나선봉(24)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선(23)과 제2나사선(25)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선(23)의 간격이 상기 제2나사선(25)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선(23)의 홈에는 상기 강섬유가 모아지도록 강섬유집결홈(23a)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섬유집결홈(23a)은 상기 보빈회전체(10)가 회전체프레임(15)의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강섬유의 집결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나선봉(24)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나선봉(2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나사선(23)의 홈에 바깥쪽으로 편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롤러부재(30)는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하도록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조정롤러(33)가 지그재그형으로 구비된 조정롤러부(32)와, 상기 조정롤러부(32)를 통과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팽팽하게 인장시키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직선롤러(37)가 지면에 직각이 되게 구비된 직선롤러부(36)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롤러부(32)와 직선롤러부(36)는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강섬유를 더욱 고르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정롤러(33)와 직선롤러(37)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강섬유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배열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의 안내홈(34,38)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강섬유가 상기 조정롤러(33)와 직선롤러(3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롤러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는 등 상기 강섬유의 배열이 흐트러지지않도록 상기 안내홈(34, 38)이 각각 형성되게 한다.
한편, 상기 보빈회전체(10)와 나선봉(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가 혼선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나선봉(20)으로 집결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50)은 상기 보빈회전체(10)를 지지하는 회전체프레임(15) 또는 지면에 레일프레임(55)을 매개로 지지되되, 통상 상기 보빈회전체(10)가 상기 회전체프레임(15)에 2단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50)도 상기 레일프레임(55)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내레일(50)에는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안내하도록 상기 보빈회전체(10)의 갯수보다 더 많은 갯수의 강섬유가이드홈(5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회전체프레임(15)에 회전되게 보빈회전체(10)를 구비시킨 상태에서 보빈회전체(10)로부터 강섬유를 권출시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냉/온풍장치를 통과시킨 다음 성형롤러를 통해 성형시킴과 아울러 일정 크기로 절단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접착제 를 도포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강섬유를 안내레일(50)를 통해 혼선되지 않은 상태로 권출시킨 다음 제1나선봉(22)의 하부면을 통과시켜 제2나선봉(24)의 상부면을 경유한 후 롤러부재(30)로 인입시켜 배열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강섬유가 상기 제1나선봉(22)에 간섭되면서 제1나사선(23)의 홈으로 인입된 후 강섬유집결홈(23a)으로 여러선의 강섬유가 집결된 상태로 상기 제2나선봉(24)에 간섭되면서 제2나사선(25)으로 인입된 후 상기 롤러부재(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롤러부재(30)로 인입된 강섬유는 먼저 조정롤러부(32)의 조정롤러(33)에 의해 고르게 배열되면서 직선롤러부(36)로 이동하게 되고, 직선롤러부(36)로 인입된 강섬유는 직선롤러(37)에 의해 팽팽하게 인장되면서 인출되어 지는 것으로서, 접착제의 도포시 정확하게 도포되게 하며, 강섬유의 성형 및 절단시 휘는 등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원활하게 집결시킬 수 있으며, 집결된 강섬유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고르게 배열함과 아울러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수개의 보빈회전체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한곳으로 집결시켜 고르게 배열하는 강섬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를 집결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지지판(28)을 매개로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나선봉(20)과;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고르게 배열하고, 팽팽하게 인장시킨 상태로 인출시키도록 내부에 상기 강섬유의 상/하측에 간섭되게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부재(30)와;
    상기 롤러부재(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롤러부재(30)를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볼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섬유 배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회전체(10)와 나선봉(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기 보빈회전체(10)로부터 권출되는 강섬유가 혼선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나선봉(20)으로 집결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섬유 배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30)는, 상기 나선봉(20)을 경유한 상기 강섬유를 고르게 배열하도록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조정롤러(33)가 지그재그형으로 구비된 조정롤러부(32)와,
    상기 조정롤러부(32)를 통과한 상기 강섬유를 인입시켜 팽팽하게 인장시키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직선롤러(37)가 지면에 직각이 되게 구비된 직선롤러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섬유 배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롤러(33)와 직선롤러(37)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강섬유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배열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의 안내홈(34,38)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섬유 배열장치.
KR2020070007563U 2007-05-08 2007-05-08 강섬유 배열장치 KR200800053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63U KR20080005310U (ko) 2007-05-08 2007-05-08 강섬유 배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63U KR20080005310U (ko) 2007-05-08 2007-05-08 강섬유 배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10U true KR20080005310U (ko) 2008-11-12

Family

ID=4132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563U KR20080005310U (ko) 2007-05-08 2007-05-08 강섬유 배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31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63B1 (ko) * 2012-08-13 2013-01-09 전한준 구리칩 제조장치
CN113275484A (zh) * 2021-06-17 2021-08-20 美克钢纤维(马鞍山)有限公司 一种钢纤维多轮校直器
CN114379118A (zh) * 2021-12-31 2022-04-22 陕西斯福特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吊杆及其生产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63B1 (ko) * 2012-08-13 2013-01-09 전한준 구리칩 제조장치
CN113275484A (zh) * 2021-06-17 2021-08-20 美克钢纤维(马鞍山)有限公司 一种钢纤维多轮校直器
CN114379118A (zh) * 2021-12-31 2022-04-22 陕西斯福特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吊杆及其生产工艺
CN114379118B (zh) * 2021-12-31 2024-04-19 陕西斯福特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吊杆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409B1 (ko) 로터-블레이드 스파 캡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73598B1 (ko)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부품들의 제조를 위한 보강 요소,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부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80005310U (ko) 강섬유 배열장치
JP2011111329A (ja) Ud層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4213297A (zh) 一种整经装置
JPS6211098B2 (ko)
EP2151517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unidirektionalen Faserlage, multiaxiales Fadengelege und Vorrichtung zum Spreizen von Fasern
CN109531178B (zh) 一种成卷板材加工生产线
KR100934941B1 (ko)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CN110565229A (zh) 一种整经机用的伸缩筘
CN106283322A (zh) 一种双层式整经设备
CN111824862B (zh) 一种纱线绕转改进型纱筒
KR101061374B1 (ko) 케이블타이용 스트립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760905B1 (ko) 로프 제조기
CN111020875A (zh) 纤维织物加筋增强土工布的生产工艺
KR100934949B1 (ko)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CN105442190B (zh) 特别是用于通过针刺法加固纤维垫的设备
US20170088978A1 (en) Sliver Guide for a Drawing Frame, and Drawing Frame
US202200415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quantity of binder resin that follows a thread
CN207903643U (zh) 一种倒盘机
EP300059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blegen einer folie bei de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glas
CN217322835U (zh) 一种穿线更均匀的线架
CN206173543U (zh) 一种双层式整经设备
KR20160089061A (ko) 스프레딩 장치 및 그 스프레딩 장치를 포함하는 원사의 스프레딩 시스템
CN115571720B (zh) 一种热塑碳纤维短切产品生产工艺及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