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595A -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595A
KR20220100595A KR1020227016297A KR20227016297A KR20220100595A KR 20220100595 A KR20220100595 A KR 20220100595A KR 1020227016297 A KR1020227016297 A KR 1020227016297A KR 20227016297 A KR20227016297 A KR 20227016297A KR 20220100595 A KR20220100595 A KR 2022010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cigarette
tube
generating devi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페이 리
용바오 위엔
Original Assignee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0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장치(1) 및 추진기구(30)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고정해 설치하여 담배(2)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수용 튜브(20)를 포함하고, 수용 튜브(20)는 담배(2)를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1 단을 포함하며;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수용 튜브(20)와 서로 매칭되어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서부터 밀어내는 추진기구(30)를 더 포함하고, 추진기구(30)는 추진부재(31)를 포함하고, 추진부재(31)는 수용 튜브(20)와 서로 매칭되는 추진부(311)를 포함하며, 추진부(311)는 수용 튜브(20)의 내부에서 담배(2)의 바닥부와 밀착하고 수용 튜브(20)에 상대되게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여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서부터 밀어내보낼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본 발명은 무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신흥 기술로서, 가열된 담뱃진 또는 저온 궐련의 방식으로 종래의 연소형 궐련을 대체하므로, 작동 온도가 낮고, 발생되는 담배 연기 중의 유해 성분이 종래의 연소형 궐련보다 아주 많이 적으며,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사용할 경우, 궐련이 인체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최대로 피할 수 있어 더 건강한 흡연방식으로 되었다. 현재 시장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주로 2개의 유형으로 나뉘어 지는 데, 그 중의 첫 번째는 담뱃진을 증발시켜 흡입이 가능한 담배 연기를 형성하는 전자 무화 담배도구이고, 그 중의 두 번째는 저온 가열 불연소 방식으로 연초(煙草) 담배를 가열해 흡입 가능한 담배 연기를 형성하는 저온 가열 담배도구이다. 저온 가열 담배도구는 통상적으로 가열기, 예를 들어, 가열편을 담배에 삽입해 담배에 대한 가열을 진행하고, 가열 온도를 제어해 담배 중의 성분을 휘발시키고, 담배 연기를 발생시켜 사용자들이 빨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한 대의 담배를 일정 시간 가열할 경우, 이로부터 발생되는 담배 연기량이 상한에 도달한 후, 담배를 담배도구에서부터 뽑아내거나 또는 흡입을 정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담배를 교체해 계속 흡입해야 하며, 이때, 담배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담배도구에서 뽑아내고, 담배를 파손하지 않고, 가열기에 잔여물이 없는 것이 하나의 지극히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의 저온 담배도구는 통상적으로 수동으로 당겨 뽑는 방식으로 담배를 담배도구에서부터 꺼낸다.
수동으로 당겨 뽑는 방식으로 담배를 담배도구에서 꺼내는 것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 당겨 뽑는 힘의 강도에 아주 큰 차이가 나므로, 아주 많은 사용자들이 담배를 뽑을 때 늘 담배가 부러지고 대담배(cut tobacco)가 발열체에 잔류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개선된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기술방안이 구성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고정해 설치하여 담배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수용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튜브는 담배를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1 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상기 수용 튜브와 서로 매칭되어 담배를 수용 튜브에서부터 내보내는 추진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진기구는 추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재는 상기 수용 튜브와 서로 매칭되는 추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는 상기 수용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담배의 바닥부와 밀착하고 상기 수용 튜브에 상대되게 상기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상기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 튜브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진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부의 반경방향 사이즈가 상기 수용 튜브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담배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발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에는 상기 발열 어셈블리를 관통해 설치하도록 구성된 바이어 홀(via hole)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담배 중에 삽입하는 발열편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편은 상기 바이어 홀(3111)을 관통해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기구는 상기 추진부재와 연결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재는 상기 추진부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수용 튜브의 측벽에 개설하여 상기 연결부와 매칭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2개의 세트의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2개의 상기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튜브와 횡방향을 따라 병렬시켜 설치한 감응 코일 및 상기 추진부재와 연결한 자기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부재와 상기 감응 코일은 축방향을 따라 병렬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하에 상기 감응 코일과 전자기 감응을 발생시켜 상기 감응 코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추진부재를 움직여 상기 수용 튜브 중의 담배를 밀어 내보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부재는 상기 추진부와 연결해 상기 자기성 부재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의 외경이 상기 감응 코일의 내경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감응 코일과 연결해 상기 감응 코일에 송전되도록 하는 송전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송전소자와 연결해 상기 송전소자를 작동 또는 폐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튜브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해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추진부재에 대해 위치한정을 진행하는 위치고정기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추진부재와 연결한 연결로드 및 종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해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한 추진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더 구성하는 추진기구는 추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재는 담배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수용 튜브와 서로 매칭하는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는 상기 수용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담배의 바닥부와 밀착하여 상기 수용 튜브에 상대되게 상기 수용 튜브의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상기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여 상기 담배를 상기 수용 튜브에서부터 밀어 내보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부의 반경방향 사이즈가 상기 수용 튜브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부에는 바이어 홀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추진부재와 연결하여 상기 추진부재를 구동해 이동시키며;
상기 추진부재는 상기 추진부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튜브와 횡방향으로 병렬시켜 설치한 감응 코일 및 상기 추진부재와 연결한 자기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부재와 상기 감응 코일은 축방향을 따라 병렬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하에 상기 감응 코일과 전자기 감응을 발생시켜 상기 감응 코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추진부재를 움직여 상기 수용 튜브 중의 담배를 밀어 내보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부재는 상기 추진부와 연결해 상기 자기성 부재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는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이룬다.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추진기구를 설치하고, 이 추진기구의 추진부재의 추진부가 수용 튜브의 내부에서 담배의 바닥부와 밀착하고, 수용 튜브에 상대되게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 및 제1 단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고, 더 나아가, 담배를 수용 튜브에서부터 밀어 내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담배를 뽑아낼 필요가 없고, 더 나아가, 담배가 부러지는 것을 피하고, 담배 중의 성분이 발열 어셈블리에 잔류하는 것을 줄인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해 본 발명을 한층 더 설명하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입체 구조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가열될 경우의 내부 구조 상태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가열이 완성된 경우의 내부 구조 상태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추진부재의 입체 구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특징, 목적과 효과를 더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면과 대조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엇보다도, “전”, “후”, “좌”, “우”, “상”, “하”, “제1”, “제2” 등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할 뿐이고, 지칭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특수한 차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가리키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하나의 부재가 다른 하나의 부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간주될 경우, 이는 다른 하나의 부재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 부재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별도로 정의하지 않은 한, 본문에서 이용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같다. 본문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이용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이고,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을 취지로 삼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저온 가열 불연소 방식으로 연초(煙草) 담배(2)를 가열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담배 연기를 형성하며, 이는 사용하는 데 간편하고 담배(2)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케이스(10), 수용 튜브(20), 추진기구(30) 및 발열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10)는 수용 튜브(20)의 추진기구(30) 및 발열 어셈블리(40)를 수용하는 데 사용한다. 이 수용 튜브(20)는 이 케이스(10)에 설치하여 담배(2)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추진기구(30)는 이 케이스(10)에 설치하여 이 수용 튜브(20) 중의 담배(2)를 밀어내보낼 수 있다. 이 발열 어셈블리(40)는 케이스(10)에 설치하고 상기 추진기구(30)를 관통해 나가 설치함으로써, 상기 담배(2)에 관통해 진입하여 담배(2)에 대한 가열 및 무화를 진행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이 케이스(10)는 장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일부 실시예의 이 케이스(10)는 장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데 한정되지 않고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케이스(10)는 꼭대기 벽(11), 바닥 벽(12), 꼭대기 벽(11) 및 바닥 벽(12) 사이에 설치한 2개의 제1 측벽(13)과 2개의 제2 측벽(14)을 포함한다. 이 꼭대기 벽(11)과 바닥 벽(12)은 상대되게 설치하고, 이 꼭대기 벽(11)에는 삽입구(111)가 설치되며; 이 삽입구(111)는 담배(2)가 수용 튜브(2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2개의 제1 측벽(13)은 상대되게 설치하고, 이 2개의 제2 측벽(14)은 상대되게 설치한다. 이 케이스(10)는 중공구조이고, 그 내측은 수용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이 수용 튜브(20)는 원형 튜브 형상이고, 그는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며; 이 제1 단은 담배(2)를 삽입하는 데 사용하고, 이 제1 단과 제2 단의 양단은 관통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수용 튜브(20)가 원형 튜브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수용 튜브(20)는 축방향을 따라 이 케이스(10)에 설치하며, 제1 단은 이 삽입구(111)에 설치하는 데, 그의 중축선(中軸線)은 이 케이스(10)의 중축선과 겹쳐지고, 그의 높이는 케이스(10)의 높이보다 낮다. 이 수용 튜브(20)의 내경은 담배(2)의 외경과 엇비슷하여 담배(2)를 고정시키는 데 편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는 분리된 구조이다. 이 수용 튜브(20)의 외경은 이 삽입구(111)의 내경과 엇비슷하다.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는 분리하도록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는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의 연결구조를 설치해 연결한다. 이 연결구조는 끼움 연결 구조일 수 있고, 이 끼움 연결 구조를 통해 이 수용 튜브(20)는 삽입구(111)의 내부에 슬라이딩하여 끼움 연결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가 분리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수용 튜브(20)와 이 케이스(10)는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세하게, 그는 삽입구의 하방에서 사출 및 주조를 통해 이 케이스(10)와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이 추진기구(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 가이드기구는 이 수용 튜브(20)의 측벽에 개설되어 이 추진기구(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1)일 수 있으며; 이 가이드 홈(21)은 수용 튜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해 설치하고, 그는 뒤집힌 U형을 이룰 수 있고, 2개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가이드 홈(21)은 2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이 발열 어셈블리(40)는 발열편과 고정베이스를 포함한다. 이 발열편은 세로로 긴 엽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담배(2)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발열편의 일단은 담배(2)에 삽입하는 데 편리하도록 고깔구조일 수 있다. 이 고정베이스는 추진기구(30)와 수용 튜브(20)가 서로 등지게 설치된 일측에 설치해 발열편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이 추진기구(30)는 추진부재(31) 및 구동 어셈블리(32)를 포함한다. 이 추진부재(31)는 제2 단에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구동 어셈블리(32)와 연결하고, 이 구동 어셈블리(32)의 구동하에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더 나아가,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서부터 밀어내보낼 수 있다.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이 케이스(10)에 설치하고, 이 추진부재(31)를 구동해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2개의 세트일 수 있어 이 추진부재(31)가 더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구동 어셈블리(32)가 하나의 세트 또는 다수 개의 세트일 수도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추진부재(31)는 추진부(311), 연결부(312) 및 장착부(313)를 포함한다. 이 추진부(311)는 수용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연결부(312)는 2개일 수 있고, 각각 2개의 세트의 구동 어셈블리(32)와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312)는 일단이 이 추진부(311)와 연결하고 다른 일단이 장착부(313)와 연결하며며, 이 장착부(313)는 구동 어셈블리(32)를 연결해 장착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장착부(313)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가열할 경우, 이 추진부(311)는 수용 튜브의 내부에서 담배(2)의 바닥부와 밀착하고, 수용 튜브에 상대되게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가열이 완성된 후, 이 추진부(311)는 구동 어셈블리(32)에 의해 구동되고, 수용 튜브가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에서부터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까지 이동하고, 더 나아가,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서부터 밀어내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수용 튜브(20)의 횡방향 사이즈는 수용 튜브(20)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고, 이 추진부(311)의 횡단면 형상은 이 수용 튜브(20)의 횡단면 형상과 서로 매칭된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이 추진부(31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반경방향 사이즈가 수용 튜브(20)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추진부(311)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데 한정되지 않고, 장방체 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일 수 있고, 수용 튜브(20)에 관통해 진입할 수만 있다면 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발열편은 이 추진부(311)에 관통해 설치하고, 상세하게, 이 추진부(311)에는 이 발열편이 관통해 지나가도록 하는 바이어 홀(via hole)(3111)이 설치된다. 이 바이어 홀(3111)은 막대기형 홀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연결부(312)는 이 추진부(311)가 상대되게 설치된 2개의 외측벽에 설치하고, 더 나아가, 이 추진부(311)가 더 잘 평형이 되도록 조작하여 더 안정적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연결부(312)는 이 가이드 홈(21)과 매칭될 수 있고, 이 가이드 홈(21)을 관통해 나가 설치할 수 있다. 이 연결부(312)와 이 추진부(311)는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상세하게, 본 실시예는 사출 또는 가압 주조를 통해 이 추진부(311)와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연결부(312)는 막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연결부(312)가 막대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장착부(313)는 2개이고, 2개의 세트의 구동 어셈블리(32)와 일일이 대응되게 설치하며, 이 장착부(313)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이 중공구조이다. 이는 이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하고, 각각 이 수용 튜브(20)의 양측에 위치하고, 이 구동 어셈블리(32)의 구동하에 이 연결부(312)을 움직여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이 추진부(311)를 움직여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 연결부(312)는 이 장착부(313)의 외측벽과 연결한다 이 장착부(313)는 이 연결부(312) 및 추진부(311)와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상세하게, 본 실시예에서, 이 장착부(313)는 사출 또는 가압 주조를 통해 이 연결부(312) 및 추진부(311)와 일체형으로 성형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위치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위치고정기구는 이 케이스(10)에 설치해 추진부재(31)와 연결할 수 있고, 이 추진부재(31)에 대해 위치한정을 진행하여 그가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 전 또는 구동 정지 후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발열편을 알맞게 담배(2)에 삽입하는 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게, 이 위치고정기구는 추진부재(31)에 설치한 탄성 위치고정 볼록점과, 이 케이스(10)의 내측벽에 설치하여 이 탄성 위치고정 볼록점에 대응되게 설치된 위치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 위치고정 볼록점은 장착부(313)와 수용 튜브(20)가 서로 등지게 설치된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위치고정기구는 탄성 위치고정 볼록점 및 위치고정 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일 수 있고, 이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전기가 통한 상태하에 전자기 감응을 발생시키고, 더 나아가, 추진부재(31)를 움직여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감응 코일(321)과 자기성 부재(322)를 포함하며; 이 감응 코일(321)은 케이스(10)에 설치하고,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 수용 튜브(20)와 횡방향을 따라 병렬시켜 설치하고, 전기가 통한 상태하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자기성 부재(322)는 이 장착부(313)에 장착하며, 이 감응 코일(321)에 전기가 통하고 자기장이 발생할 경우, 이 자기성 부재(322)는 이 감응 코일(321)에 의해 흡착되어 상향으로 이동하고, 더 나아가, 이 추진부재(31)를 움직여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추진부(311)에 의해 이 수용 튜브(20) 중의 담배(2)를 밀어내보낼 수 있다. 이 자기성 부재(322)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의 외경은 이 장착부(313)의 내경과 엇비슷하다. 선택가능하게, 이 자기성 부재(322)는 자석 기둥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송전소자를 더 포함하며; 이 송전소자는 이 감응 코일(321)과 연결하여 이 감응 코일(321)에 송전할 수 있다. 이 송전소자는 이 케이스(10)에 설치할 수 있고, 이 케이스(1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선택가능하게, 이 송전소자는 배터리 어셈블리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이 스위치는 버튼 스위치일 수 있고, 케이스(10)의 측벽에 설치할 수 있고, 송전소자와 연결해 송전소자를 작동 또는 폐쇄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이 감응 코일(321)이 정전되거나 또는 전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감응 코일(321)이 작동해 가열되고, 가열을 완성하는 시간에 도달한 후, 자동으로 전기가 통하고, 더 나아가, 담배 밀어내기를 시작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전원장치(50)와 메인 제어판(60)을 더 포함하며; 전원장치(50)와 메인 제어판(60)은 케이스(10)에 설치해 서로 연결하고, 이 발열 어셈블리(4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 전원장치(50)는 이 발열 어셈블리(40)에 송전할 수 있고, 이 메인 제어판(60)은 이 발열 어셈블리(40)의 작동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게, 이 전원장치(50)는 배터리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감응 코일(321)과 이 발열 어셈블리(40)는 하나의 전원장치(50)를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 삽입할 경우, 발열편은 추진부(311)의 바이어 홀(3111)에서부터 담배(2)에 삽입해 담배(2)에 대한 가열을 진행한다. 흡연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이 버튼 스위치를 조종하여 이 감응 코일(321)에 전기가 통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자기성 부재(322)를 흡착해 축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이 추진부재(31)을 움직여 축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 추진부(311)는 이 수용 튜브(20)에 관통해 진입하고 상향으로 이동하여 수용 튜브(20) 중의 담배(2)를 밀어 내보낸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버튼 스위치는 생략할 수 있고, 이 메인 제어판(60)에 가열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가열이 종료되는 시간에 자동으로 제어하여 송전소자에게 감응 코일(321)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여러 번 담배를 내보내는 효과를 이루는 데 편리하도록 간격을 두고 여러 번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이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이 케이스(10)가 상부가 하우징(11a)과 하부 하우징(11b)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있다. 이 상부 하우징(11a)과 이 하부 하우징(11b)은 분리하도록 연결한다. 이 수용 튜브(20)는 이 상부 하우징(11a)에 설치하여 이 상부 하우징(11a)과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이 전원장치(50)와 메인 제어판(60)은 이 하부 하우징(11)에 설치한다.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에 한정되지 않고, 이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생략할 수 있다.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수동 구동 어셈블리일 수 있다. 이 구동 어셈블리(32)는 연결로드(323)와 추진 버튼(324)을 포함한다. 이 연결로드(323)는 이 추진부재(31)와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 그는 이 연결부(312)와 연결하고, 이 케이스(10)에서부터 관통해 나가 설치하며, 이 추진 버튼(324)은 이 케이스(10)의 외측벽에 설치해 이 연결로드(323)와 연결하고 종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담배를 내보낼 경우, 사용자는 이 추진 버튼(324)을 밀어 움직이고, 더 나아가,추진부재(31)를 움직여 이동시킴으로써, 담배 내보내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진 버튼(324)과 이 연결로드(323)는 연결부(312)와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 추진 버튼(324), 연결로드(323)와 연결부(312)도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연결부(312)는 생략할 수 있고, 이 연결로드(323)는 직접 이 추진부(311)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설명할 뿐이고, 그의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특허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무엇보다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 상기 기술특징에 대해 자유로운 조합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변형과 개선을 진행할 수도 있고, 이 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근거해 실시한 등가적 변환과 수식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의 포괄적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있어서,
    고정해 설치하여 담배(2)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수용 튜브(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튜브(20)는 담배(2)를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1 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상기 수용 튜브(20)와 서로 매칭되어 담배(2)를 수용 튜브(20)에서 내보내는 추진기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진기구(30)는 추진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재(31)는 상기 수용 튜브(20)와 서로 매칭되는 추진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311)는 상기 수용 튜브(20)의 내부에서 상기 담배(2)의 바닥부와 밀착하고 상기 수용 튜브(20)에 상대되게 상기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상기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튜브(20)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진부(31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부(311)의 반경방향 사이즈가 상기 수용 튜브(20)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2)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발열 어셈블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311)에는 상기 발열 어셈블리를 관통해 설치하도록 구성된 바이어 홀(via hole)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어셈블리(40)는 상기 수용 튜브(2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담배(2) 중에 삽입하는 발열편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편은 상기 바이어 홀(3111)을 관통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구(30)는 상기 추진부재(31)와 연결한 구동 어셈블리(32)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재(31)는 상기 추진부(311)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를 연결하는 연결부(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수용 튜브(20)의 측벽에 개설하여 상기 연결부(312)와 매칭하는 가이드 홈(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2개의 세트의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21)은 2개의 상기 가이드 홈(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튜브(20)와 횡방향을 따라 병렬시켜 설치한 감응 코일(321) 및 상기 추진부재(31)와 연결한 자기성 부재(322)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부재(322)와 상기 감응 코일(321)은 축방향을 따라 병렬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하에 상기 감응 코일(321)과 전자기 감응을 발생하여 상기 감응 코일(321)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추진부재(31)를 움직여 상기 수용 튜브(20) 중의 담배(2)를 밀어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31)는 상기 추진부(311)와 연결해 상기 자기성 부재(322)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3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13)의 외경이 상기 감응 코일(321)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상기 감응 코일(321)과 연결해 상기 감응 코일(321)에 송전되도록 하는 송전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상기 송전소자와 연결해 상기 송전소자를 작동 또는 폐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튜브(20)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해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추진부재(31)에 대해 위치한정을 진행하는 위치고정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상기 추진부재(31)와 연결한 연결로드(323) 및 종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해 상기 연결로드(323)와 연결한 추진 버튼(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5. 추진기구에 있어서,
    추진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재(31)는 담배(2)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수용 튜브(20)와 서로 매칭하는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는 상기 수용 튜브(20)의 내부에서 상기 담배(2)의 바닥부와 밀착하여 상기 수용 튜브(20)에 상대되게 상기 수용 튜브(20)의 제1 단에 가까운 제1 위치와 상기 제1 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여 상기 담배(2)를 상기 수용 튜브(20)에서부터 밀어 내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31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부(311)의 반경방향 사이즈가 상기 수용 튜브(20)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311)에 바이어 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18. 제15항에 있어서,
    구동 어셈블리(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상기 추진부재(31)와 연결하여 상기 추진부재(31)를 구동해 이동시키며;
    상기 추진부재(31)는 상기 추진부(311)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2)는 자기 흡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흡인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튜브(20)와 횡방향으로 병렬시켜 설치한 감응 코일(321) 및 상기 추진부재(31)와 연결한 자기성 부재(322)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부재(322)와 상기 감응 코일(321)은 축방향을 따라 병렬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하에 상기 감응 코일(321)과 전자기 감응을 발생하여 상기 감응 코일(321)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추진부재(31)를 움직여 상기 수용 튜브(20) 중의 담배(2)를 밀어 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31)는 상기 추진부(311)와 연결해 상기 자기성 부재(322)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3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구.
KR1020227016297A 2019-12-27 2019-12-27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KR20220100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29302 WO2021128296A1 (zh) 2019-12-27 2019-12-27 气雾产生装置及推动机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95A true KR20220100595A (ko) 2022-07-15

Family

ID=7657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297A KR20220100595A (ko) 2019-12-27 2019-12-27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82365A4 (ko)
JP (1) JP7410293B2 (ko)
KR (1) KR20220100595A (ko)
WO (1) WO20211282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421A (en) * 1991-03-11 1998-03-10 Philip Morris Incorporated Protective and cigarette ej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CN106683710B (zh) 2017-03-20 2023-01-1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三自由度运动平台
EP3610746A4 (en) 2017-04-11 2021-04-28 KT & G Co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CN108378424B (zh) 2018-02-11 2021-09-10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气雾产生装置及其气雾发生棒的提取装置
CN110403241B (zh) * 2018-04-28 2021-02-23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和系统
CN110547506B (zh) * 2018-05-30 2021-03-26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
CN110547507B (zh) * 2018-05-30 2020-11-24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一种气溶胶生成装置
WO2019228037A1 (zh) * 2018-05-30 2019-12-05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
CN110547510B (zh) * 2018-05-31 2024-04-16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电动退烟低温烟具
CN110547509A (zh) * 2018-05-31 2019-12-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电动退烟低温烟具
CN110574967A (zh) * 2018-06-07 2019-12-17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烘焙烟具
CN111084424B (zh) * 2018-10-23 2023-06-13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具电动退烟的控制方法
CN209251758U (zh) 2018-11-15 2019-08-16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
CN110403255B (zh) * 2019-08-26 2024-01-2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能使发烟材料与其封装纸分离的加热不燃烧型烟具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8833A (ja) 2023-03-06
WO2021128296A1 (zh) 2021-07-01
JP7410293B2 (ja) 2024-01-09
EP4082365A1 (en) 2022-11-02
EP4082365A4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9828B1 (en) Cigarette heating device
US10004264B2 (en) Vaporizer and detachable power source
US11337464B2 (en) System for charging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5079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19095268A1 (zh) 一种雾化组件以及电子烟
KR102448475B1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00014373A (ko) 담배를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전기 가열 장치
KR2023001986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4605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KR101094727B1 (ko) 전자담배
KR102465233B1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30002476A (ko) 에어러졸 발생장치
WO2019228431A1 (zh) 气溶胶生成装置
CN110946330A (zh) 一种电子雾化装置及其提取器
EP3838004A1 (en) Charging device and smoking substitute kit
KR20220100595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추진기구
WO2022052957A1 (zh) 门盖机构以及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1911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61097A (ko) 저온 흡연 도구
CN211882187U (zh) 气雾产生装置及推动机构
CN110959915A (zh) 气雾产生装置及推动机构
CN209788477U (zh) 电加热发烟系统
KR10221555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195963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CN112890290A (zh) 一种提取器及气雾产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