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555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555B1
KR102215555B1 KR1020190050401A KR20190050401A KR102215555B1 KR 102215555 B1 KR102215555 B1 KR 102215555B1 KR 1020190050401 A KR1020190050401 A KR 1020190050401A KR 20190050401 A KR20190050401 A KR 20190050401A KR 102215555 B1 KR102215555 B1 KR 10221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mold
magnet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86A (ko
Inventor
이종섭
오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5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5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부품의 제조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코어 금형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코어 금형의 외측에 외부 쉘을 배치하여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와,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사출소재와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하여 완성된 부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magnetic element integrated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과 이러한 부품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위생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 중에는 배터리를 포함한 본체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양질의 에어로졸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가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 중에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부품이 장착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부품에 영구 자석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본딩 방법이나 테이프를 이용한 부착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영구 자석을 부품에 부착할 때에는 부품으로부터 자석이 이탈하거나 자석과 부품의 사이의 일부분의 결합 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시예들은 양질의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우스피스를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자성체가 견고하게 일체화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부품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코어 금형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코어 금형의 외측에 외부 쉘을 배치하여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와,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사출소재와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하여 완성된 부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부품은 부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 금형과 외부 쉘이 조립되어 형성된 금형은 장공을 형성하기 위해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하는 돌출벽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코어 금형의 외관 형상은 부품의 내부 통공에 대응할 수 있다.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된 부품의 내부 통공을 향하는 부품의 내측 표면과 내부 통공을 향하는 자성체의 표면은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성체는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는 내부 통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코어 금형과 1차 외부 쉘을 결합하여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1차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1차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와, 1차 금형을 분리하여 코어 금형과 코어 금형의 외측에 배치된 경화된 사출소재를 포함하는 반제품을 수거하는 단계와, 반제품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자성체가 배치된 반제품과 2차 외부 쉘을 결합하여 2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2차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2차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와, 2차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사출소재와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하여 완성된 부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는 본체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여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와,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마우스피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품과, 부품의 본체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한다.
부품은 부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가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부품의 장공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부품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자성체의 본체에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자성체와의 사이에 자기적인 인력을 작용하는 고정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부품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자성체의 본체에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부품의 내측 표면에서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자성체의 자력을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크기의 자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자성체가 부품의 내측 표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며 부품의 내측 표면과 자성체의 표면이 연속하여 이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이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부품을 제조할 때에는 1차 수지와 2차 수지를 색상이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부품 제작이 가능하며, 부품의 내측과 외측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반제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2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에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해서만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청구항과 도면과 설명의 전체 내용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사용 후, 즉 카트리지(2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모두 소진한 이후에는 카트리지(20)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거나, 상이한 유형(발생하는 향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르거나, 포함된 성분이 상이함)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기 위하여 본체(10)로부터 카트리지(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20)를 본체(10)에 결합하는 것과 카트리지(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 및 결합 구조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하여, '카트리지가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장착', '카트리지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장착', '카트리지가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장착' 등의 표현을 사용하였다.
*카트리지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액상 조성물)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 가열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0)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카트리지(20)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0)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0): 액체 저장부 + 무화기(액체 전달 수단+히터)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21)와, 액체 저장부(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1)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1)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 심지)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배출한다. 카트리지(20)는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돌출창(21a)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10)에 결합할 때에 본체(10)의 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돌출창(21a)은 액체 저장부(21)의 양측의 측벽(21w)의 각각에서 돌출한다. 본체(10)는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19)을 포함하고 수용 공간(19)을 둘러싸는 벽(10w)이 액체 저장부(21)의 측벽(21w)이 삽입될 수 있는 홈(11)을 포함한다. 액체 저장부(21)의 돌출창(21a)과 본체(10)의 홈(11)은 각각 2개씩 설치되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연장하는 방향인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이 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돌출창(21a)과 홈(11)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창(21a)과 홈(11)의 구조나, 설치된 위치나,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접속 단자(10t)
본체(10)는 수용 공간(19)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10t)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10)는 접속 단자(10t)를 통하여 카트리지(2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체(10)와 카트리지(20)의 사이에는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이 설치된다. 유지 수단은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하부에 설치된 결합용 홈(20g)과, 본체(10)의 수용 공간(19)을 둘러싸는 벽(10w)의 내측면의 결합용 홈(20g)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하는 결합용 돌기(10g)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를 변형하여, 유지 수단은 카트리지(20)에 설치된 결합용 돌기와 본체(10)에 설치된 결합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2), 배출공(22a)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을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는 또한 카트리지(20)의 내부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배출공(22a)으로 직접 전달하는 전달공(22b)을 포함한다.
배출공(22a)은 전달공(22b)에 연결되며, 에어로졸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전달공(22b)보다 하류 측에 형성된다. 배출공(22a)의 크기는 전달공(22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전달공(22b)을 빠져나온 에어로졸은 전달공(22b)의 크기보다 확장된 배출공(22a)을 통과하면서 순간적인 냉각 작용을 거친 후 사용자의 구강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전달공(22b)과 배출공(22a)에 의한 냉각 작용으로 인하여, 카트리지(20)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의 온도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에어로졸 흡입 시의 청량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7, 슬라이더) 구조
본체(10)에는 부품(7)이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품(7)은 본체(1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품(7)은 카트리지(20)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
부품(7)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부품(7)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품(7) 기능: 자성체, 위치변화 감지 센서(Hall IC)
부품(7)은 본체(10)와 카트리지(20)에 대한 부품(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부품(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부품(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부품(7)의 이동 방향, 즉 본체(10)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예를 들어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일부가 부품(7)의 내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되거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부품(7)의 내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부품(7)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일부가 부품(7)의 내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될 때에는 부품(7)의 내측 표면과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표면이 부품(7)의 길이 방향, 즉 본체(10)에 대한 부품(7)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부품(7)이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품(7)의 내측 표면에서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자성체의 자력을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크기의 자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네오디뮴 자석, 고무 자석, 또는 전자석 등을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사마륨, 스칸듐, 네오디뮴, 또는 이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부품(7)이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부품(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9)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도 수용 공간(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자성체(9)는 예를 들어 영구 자석이나, 영구 자석의 자력에 작용하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자성체(9)는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자성체(9)가 영구 자석일 경우에는 상술한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에 대해 인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를 향하는 고정 자성체(9)의 면이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에 대해 반대 극성의 자극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부품(7)이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부품(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3)를 포함한다. 감지 센서(3)는 본체(10)에 설치된 제어기(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감지 센서(3)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본체(10)와 카트리지(20)와 부품(7)은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2 및 3: 슬라이더 이동 예시, 잔량확인 창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부품(7)이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부품(7)이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2)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부품(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사용하기 위해서 부품(7)을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부품(7)이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부품(7)이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에 마우스피스(22)를 삽입하여 마우스피스(22)의 전달공(22b)과 배출공(22a)을 통해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부품(7)이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부품(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부품(7)이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부품(7)의 제2 자성체(8b)의 위치가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자성체(8b)와 고정 자성체(9)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부품(7)이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덮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부품(7)이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부품(7)의 제1 자성체(8a) 및 제2 자성체(8b)는 본체(10)의 감지 센서(3)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감지 센서(3)에 대해 자성체의 자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어기(4)는 감지 센서(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부품(7)이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인 것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대기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작동과, 에어로졸 발생과 관련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타 기능을 정지시키는 등의 비활성화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부품(7)이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부품(7)의 제1 자성체(8a)의 위치가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 자성체(8a)와 고정 자성체(9)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부품(7)이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부품(7)이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부품(7)의 제2 자성체(8b)의 위치가 본체(10)의 감지 센서(3)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감지 센서(3)는 제2 자성체(8b)로 인한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며, 제어기(4)는 감지 센서(3)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부품(7)이 마우스피스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인 것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작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모드'는 예를 들어 히터를 예열시키는 예열 동작과, 히터를 에어로졸 발생을 위한 충분한 온도까지 작동시키는 가열 동작과, 에어로졸 발생과 관련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타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히터(12000), 센서(13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메모리(15000) 및 제어부(160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11000)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000)는 히터(12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13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메모리(15000) 및 제어부(16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0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12000)
히터(12000)는 제어부(1600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히터(12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장착된 카트리지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12000)는 카트리지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1200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1200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200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200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12000)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히터(12000),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1200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2000)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히터(12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12000)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센서(13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600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600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1200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200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1200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1200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00)
메모리(15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00)는 제어부(1600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0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00)
제어부(16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0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20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0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20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히터(1200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히터(12000)의 모드를 예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히터(12000)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히터(12000)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600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크래들(미도시)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를 충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부품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코어 금형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S100)와, 코어 금형의 외측에 외부 쉘을 배치함으로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S110)와, 조립된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S120)와,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한 이후에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S130)와,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사출소재와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인 부품을 수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들에 의해 완성되는 부품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품(7)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부품(7)은 부품(7)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부품(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7a)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금형 조립 전에 코어 금형(110)에 자성체를 배치한다. 코어 금형(110)은 중공 형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형의 일부 요소에 해당한다.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며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갖는다.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은 부품의 내부 통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코어 금형(110)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코어 금형(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코어 금형(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부품(7)의 길이 방향, 즉 코어 금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자성체가 외측에 배치된 코어 금형(110)의 외측에 외부 쉘(120, 130)을 배치하여 금형을 조립한다. 금형은 부품의 제조를 위하여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 공간(130h)을 포함한다. 주입 공간(130h)의 크기는 코어 금형(110)의 외측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금형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에 외부 쉘(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주입 공간(130h)은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보다 크다.
금형은 부품의 장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품의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입 공간(130h)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130p)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돌출벽(130p)이 금형의 외부 쉘(120, 130)에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벽(130p)은 코어 금형(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코어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쉘(120, 130)은 금형이 조립되었을 때에 사출소재인 수지가 외부로부터 주입될 수 있는 게이트(120g, 130g)를 포함한다. 금형의 전체적인 구조와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외부 쉘(120, 130)과 코어 금형(11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외부 쉘(120, 130)과 코어 금형(110)과 게이트(120g, 130g)의 구조와 개수와 형상 등은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금형이 조립된 상태에서 금형의 게이트(120g, 130g)를 통하여 금형의 내부로 사출소재인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가 실행되며, 수지를 주입한 후에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가 실행된다.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수지가 주입된 금형을 실온에 보관하여 자연적인 냉각을 실시하거나, 금형의 주변 온도를 낮추어 급속한 강제 냉각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사출소재인 수지가 경화되면 금형을 분리하여 금형의 내부로부터 경화된 사출소재에 의해 완성된 완성품을 수거한다. 완성품으로부터 코어 금형(110)을 완전히 분리하면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가 완성된다.
도 1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부품(7)의 내부 통공을 향하는 부품(7)의 내측 표면과 부품(7)의 내부 통공을 향하는 자성체의 표면은 부품(7)의 길이 방향, 즉 부품(7)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즉 부품(7)의 내측 표면과 자성체의 표면은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속하여 이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부품의 내측 표면에서 자성체가 부품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노출되게 배치되며 부품의 내측 표면과 자성체의 표면이 일직선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부품이 이동할 때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와 부품의 사이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부품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품의 내측 표면에서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자성체의 자력을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크기의 자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해당하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제조 방법에서 단사출 공정을 적용한 것과 다르게 두 단계의 사출 공정을 포함하는 이중사출 공정이 적용되었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부품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은, 코어 금형과 1차 외부 쉘을 결합하여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S200)와, 1차 금형에 사출소재인 1차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S210)와, 1차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S220)와, 사출소재가 경화된 이후에 1차 금형을 분리하여 코어 금형과 코어 금형의 외측에 배치된 경화된 사출소재를 포함하는 반제품을 수거하는 단계(S230)와, 수거한 반제품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S240)와, 자성체가 배치된 반제품과 2차 외부 쉘을 조립하여 2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S250)와, 2차 금형에 사출소재인 2차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S260)와, 2차 금형에 주입된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S270)와, 사출소재가 경화된 이후에 2차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사출소재와 자성체가 일체화되어 완성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S2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들에 의해 완성되는 부품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품(7)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부품(7)은 부품(7)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부품(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7a)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어 금형(110)과 1차 외부 쉘(220, 230)을 결합하여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가 먼저 실행된다. 1차 금형은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1차 사출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에 해당한다. 코어 금형(110)은 중공 형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1차 금형의 일부 요소에 해당한다.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며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갖는다.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은 부품의 내부 통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코어 금형(110)의 외측에 1차 외부 쉘(220, 230)을 배치하여 1차 금형을 조립한다. 1차 금형은 부품의 제조를 위한 사출소재인 1차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 공간(230h)을 포함한다. 주입 공간(230h)의 크기는 코어 금형(110)의 외측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금형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에 1차 외부 쉘(220, 230)에 의해 형성되는 주입 공간(230h)은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보다 크다.
1차 금형은 부품의 장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품의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입 공간(230h)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230p)과, 부품에 배치될 자성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주입 공간(230h)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30f)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돌출벽(230p)과 돌출부(230f)가 1차 금형의 1차 외부 쉘(220, 230)에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벽(230p)과 돌출부(230f)는 코어 금형(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코어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1차 외부 쉘(220, 230)은 1차 금형이 조립되었을 때에 사출소재인 1차 수지가 외부로부터 주입될 수 있는 게이트(220g, 230g)를 포함한다. 1차 금형의 전체적인 구조와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1차 외부 쉘(220, 230)과 코어 금형(11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1차 외부 쉘(220, 230)과 코어 금형(110)과 게이트(220g, 230g)의 구조와 개수와 형상 등은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반제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차 금형이 조립된 상태에서 1차 금형의 게이트(220g, 230g)를 통하여 1차 금형의 내부로 사출소재인 1차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가 실행되며, 1차 수지를 주입한 후에 1차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1차 경화 단계)가 실행된다. 1차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수지가 주입된 1차 금형을 실온에 보관하여 자연적인 냉각을 실시하거나, 1차 금형의 주변 온도를 낮추어 급속한 강제 냉각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사출소재인 1차 수지가 경화되면 1차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1차 사출소재에 의해 완성된 반제품(110a)을 1차 금형의 내부로부터 수거한다. 반제품(110a)은 코어 금형(110)과, 코어 금형(110)의 외측에 경화되어 배치된 사출소재(260)를 포함한다.
반제품(110a)의 경화된 사출소재(260)의 측면에 장공(260w)이 형성되고, 자성체가 배치될 위치에 대응하는 사출소재(260)의 상면과 하면에 자성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260v)이 형성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2차 금형 조립 전에 코어 금형(110)을 둘러싼 경화된 사출소재(260)의 수용구멍(260v)에 자성체를 배치한다. 코어 금형(110)은 중공 형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형의 일부 요소에 해당한다.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며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갖는다.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은 부품의 내부 통공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경화된 사출소재(260)는 부품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1차 사출 공정에서 미리 제작되어 부품의 내측의 뼈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경화된 사출소재(260)의 수용구멍(260v)에 자성체를 배치하면 코어 금형(110)을 향하는 자성체의 내측 면과 경화된 사출소재(260)의 내측 면이 코어 금형(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이어지는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 금형(110)의 외측 표면을 향하도록 경화된 사출소재(260)에 배치되는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코어 금형(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코어 금형(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부품의 길이 방향, 즉 코어 금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부품의 제조 방법의 2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자성체가 배치된 반제품(110a)의 외측에 2차 외부 쉘(320, 330)을 배치하여 2차 금형을 조립한다. 2차 금형은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2차 사출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에 해당한다.
2차 금형은 부품의 제조를 위한 사출소재인 2차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 공간(330h)을 포함한다. 2차 금형의 주입 공간(330h)의 크기는 코어 금형(110)과 경화된 사출소재(260)의 조립체인 반제품(110a)의 외측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2차 금형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에 2차 외부 쉘(320, 330)에 의해 형성되는 주입 공간(330h)은 코어 금형(110)의 외관 형상보다 크다.
2차 금형은 부품의 장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품의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입 공간(330h)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330p)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돌출벽(330p)이 2차 금형의 2차 외부 쉘(320, 330)에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벽(330p)은 코어 금형(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코어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2차 외부 쉘(320, 330)은 금형이 조립되었을 때에 2차 사출 공정을 위한 사출소재인 2차 수지가 외부로부터 주입될 수 있는 게이트(320g, 330g)를 포함한다. 2차 금형의 전체적인 구조와 형상은 도 13에 도시된 2차 외부 쉘(320, 330)과 코어 금형(11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2차 외부 쉘(320, 330)과 코어 금형(110)과 게이트(320g, 330g)의 구조와 개수와 형상 등은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차 금형이 조립된 상태에서 금형의 게이트(320g, 330g)를 통하여 2차 금형의 내부로 사출소재인 2차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가 실행되며, 2차 수지를 주입한 후에 2차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가 실행된다. 2차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2차 수지가 주입된 2차 금형을 실온에 보관하여 자연적인 냉각을 실시하거나, 2차 금형의 주변 온도를 낮추어 급속한 강제 냉각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2차 수지는 상술한 1차 사출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수지와 동일한 성분의 소재일 수 있다. 또는 2차 수지는 상술한 1차 사출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수지와 동일한 성분에 색상을 달리하기 위한 색소를 부가한 것일 수 있다. 또는 2차 수지는 상술한 1차 사출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수지와 상이한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되는 과정 중에 또는 경화된 후에 1차 수지와 다른 물리적 특성이나 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사출소재인 2차 수지가 경화되면 2차 금형을 분리하여 2차 금형의 내부로부터 경화된 1차 수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1차 수지에 일체로 형성된 2차 수지에 의해 완성된 완성품을 수거한다. 완성품으로부터 코어 금형(110)을 완전히 분리하면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1차 사출 공정과 2차 사출 공정을 모두 포함하는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부품을 제조할 때에는 1차 수지와 2차 수지를 색상이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부품 제작이 가능하며, 부품의 내측과 외측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부품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부품의 내측은 마찰력이 적은 특성의 1차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부품의 외측은 강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특성의 2차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감지 센서 22a: 배출공
4: 제어기 22b: 전달공
5, 10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a: 반제품
7: 부품 110: 코어 금형
7a: 장공 130p, 230p, 330p: 돌출벽
8a: 제1 자성체 130h, 230h, 330h: 주입 공간
8b: 제2 자성체 230f: 돌출부
9: 고정 자성체 120, 130: 외부 쉘
10t: 단자 260: 사출소재
10g: 결합용 돌기 260v: 수용구멍
10w: 둘러싸는 벽 260w: 측면에 장공
10: 본체 220, 230: 1차 외부 쉘
11: 홈 320, 330: 2차 외부 쉘
19: 수용 공간 11000: 배터리
20g: 결합용 홈 12000: 히터
20: 카트리지 13000: 센서
21a: 돌출창 14000: 인터페이스
21: 액체 저장부 15000: 메모리
21w: 측벽 16000: 제어부
22: 마우스피스 120g, 130g, 220g, 230g, 320g, 330g: 게이트

Claims (17)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코어 금형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 금형의 외측에 외부 쉘을 배치하여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주입된 상기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상기 사출소재와 상기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하여 완성된 상기 부품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상기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금형과 상기 외부 쉘이 조립되어 형성된 상기 금형은 상기 장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하는 돌출벽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고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어 금형의 외관 형상은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통공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된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부품의 상기 내측 표면과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자성체의 표면은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내부 통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7.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코어 금형과 1차 외부 쉘을 결합하여 1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1차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1차 금형에 주입된 상기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
    상기 1차 금형을 분리하여, 상기 코어 금형과 상기 코어 금형의 외측에 배치된 경화된 상기 사출소재를 포함하는 반제품을 수거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에 자성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자성체가 배치된 상기 반제품과 2차 외부 쉘을 결합하여 2차 금형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2차 금형에 사출소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2차 금형에 주입된 상기 사출소재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금형을 분리하여 경화된 상기 사출소재와 상기 자성체가 일체화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하여 완성된 상기 부품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상기 자성체가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고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어 금형의 외관 형상은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통공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품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수거된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부품의 상기 내측 표면과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자성체의 표면은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내부 통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12. 전기를 공급하는 본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상기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상기 마우스피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상기 마우스피스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품; 및
    상기 부품의 상기 본체를 향하는 내측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상기 부품의 상기 장공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소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중공의 내부 통공을 포함하고 양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부품의 상기 내측 표면과 상기 내부 통공을 향하는 상기 자성체의 표면은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자성체의 상기 본체에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와의 사이에 자기적인 인력을 작용하는 고정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자성체의 상기 본체에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50401A 2019-04-30 2019-04-3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1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01A KR102215555B1 (ko) 2019-04-30 2019-04-3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01A KR102215555B1 (ko) 2019-04-30 2019-04-3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86A KR20200126586A (ko) 2020-11-09
KR102215555B1 true KR102215555B1 (ko) 2021-02-15

Family

ID=7342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01A KR102215555B1 (ko) 2019-04-30 2019-04-3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909A1 (ja) * 2022-03-11 2023-09-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54B1 (ko) * 2014-07-14 2015-01-12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KR101862826B1 (ko) 2013-08-30 2018-07-04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배터리 전력 제어를 갖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52Y1 (ko) * 2014-08-23 2017-07-03 석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전자담배
KR20160086118A (ko) * 2015-01-09 2016-07-19 오재호 하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826B1 (ko) 2013-08-30 2018-07-04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배터리 전력 제어를 갖는 장치
KR101481454B1 (ko) * 2014-07-14 2015-01-12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86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4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315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245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620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240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5245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989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12266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14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523678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20220007727A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12661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덮는 커버
KR202100101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62270B1 (ko) 열 전도 요소 및 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1295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가열 요소와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
KR10221555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성체가 일체화된 부품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6859B1 (ko) 무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JP2022524938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21001550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014013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2865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용 전원변환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시스템
KR2021001401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