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478A -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478A
KR20220100478A KR1020210015122A KR20210015122A KR20220100478A KR 20220100478 A KR20220100478 A KR 20220100478A KR 1020210015122 A KR1020210015122 A KR 1020210015122A KR 20210015122 A KR20210015122 A KR 20210015122A KR 20220100478 A KR20220100478 A KR 2022010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ilm
electrode tab
attachment
attach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385B1 (ko
Inventor
신재호
최성지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0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은, 전극탭을 길이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극탭 공급 단계; 상기 전극탭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상기 전극탭의 타측에 상기 제1 실링 필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및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을 열풍 접착하는 열풍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TAB ATTACHMENT FOR SECONDARY BATTERY}
아래의 실시 예는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구조가 경량화 또는 고기능화됨으로써 전자 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 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로서,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및 용기로 구성되며,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을 통하여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전기적 흐름에 의해 전기가 발생한다.
2차 전지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고, 전극 조립체로부터 전극탭을 연결하여 외부에 단자를 형성하게 된다. 즉, 전극탭은 일측이 전지 포장체(예를 들어, 파우치 등)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이 전지 포장체 외측에 위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전지 포장체 밀봉 및 단락 방지를 위하여 전극탭에서 포장체와 맞닿는 부분에 실링 필름이 부착되게 된다.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은 전극탭 부착체로서 별도의 공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있다.
다만, 종래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에 따르면, 상측 실링 필름과 하측 실링 필름을 동시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치수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시 이러한 치수 오차가 누적되어 상측 실링 필름 부착 위치와 하측 실링 필름 부착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은 실링 필름을 전극탭에 접촉 융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생산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측 및 하측 필름의 부착 위치 공차 누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부착 위치 공차 누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전극탭 부착체의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전극탭 부착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여,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적재할 수 있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은, 전극탭을 길이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극탭 공급 단계; 상기 전극탭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상기 전극탭의 타측에 상기 제1 실링 필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및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을 열풍 접착하는 열풍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은 각각 상기 제1 부착 단계 및 제2 부착 단계 이전에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착 단계는, 상기 제1 실링 필름의 부착된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실링 필름 위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착 단계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전극탭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준 위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위치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 및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는, 140℃ 내지 1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풍 접착 단계는, 180℃ 내지 2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착 단계에서 상기 제1 실링 필름은 상기 전극탭의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착 단계에서 상기 제2 실링 필름은 상기 전극탭의 상측에 부착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검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검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상기 전극탭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는 커팅 단계; 및 불량 여부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여 커팅된 상기 전극탭을 적재하는 적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은,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부착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은, 전극탭 부착체의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은, 불량 검사를 통해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적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부착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부착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21년 01월 08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21-0002499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1)는 2차 전지의 전극탭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전극탭 부착체(1)의 일측은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전극탭 부착체(1)는 전극탭(11), 제1 실링 필름(12) 및 제2 실링 필름(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탭(11)은 금속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탭(11)은 Al, Ni 또는 Cu일 수 있다. 전극탭(11)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커팅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12) 및 제2 실링 필름(13)은 각각 전극탭(1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12) 및 제2 실링 필름(13)은 각각 전극탭(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12)은 전극탭(11)의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실링 필름913)은 전극탭(11)의 타측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12) 및 제2 실링 필름(13)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부착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부착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2)은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부착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향상된 제조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탭 부착체 제조 공정(2)은 전극탭 공급 단계(21), 제1 부착 단계(22), 제2 부착 단계(23), 열풍 접착 단계(24), 카메라 검사 단계(25), 엑스레이 검사 단계(26), 커팅 단계(27) 및 적재 단계(28)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탭 공급 단계(21)는 전극탭을 길이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전극탭은 Al, Ni 또는 Cu일 수 있다. 다만, 전극탭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속도로 전극탭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극탭 롤의 타측에는 앵커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부착 단계(22)는 전극탭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부착 단계(22)에서 부착되는 제1 실링 필름은 제1 부착 단계(22) 이전에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부착 단계(22)는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제1 실링 필름을 전극탭의 일측에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 필름을 미리 절단하여 적재해 놓음으로써, 전체 제조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부착 단계(22)는 기준 위치 인식 단계(221) 및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위치 인식 단계(221)는 일정 간격으로 전극탭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기준 위치 인식 단계(221)는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는 전극탭에 일정 피치마다 제1 실링 필름을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 위치의 기준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기준 위치 인식 단계(221)는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22)는 인식된 위치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은 전극탭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22)는 140℃ 내지 1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부착 단계(23)는 전극탭의 타측에 제1 실링 필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부착 단계(23)에서 부착되는 제2 실링 필름은 제2 부착 단계(23) 이전에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것일 수 있다. 즉, 제2 부착 단계(23)는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제2 실링 필름을 전극탭의 타측에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링 필름을 미리 절단하여 적재해 놓음으로써, 전체 제조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부착 단계(23)는 제1 실링 필름 위치 인식 단계(231) 및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 위치 인식 단계(231)는 제1 실링 필름의 부착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실링 필름 위치 인식 단계(231)는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통해 제1 실링 필름이 부착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인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센서를 통해 제2 실링 필름을 부착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32)는 인식된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실링 필름은 제1 실링 필름과 대응되는 위치의 맞은편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실링 필름은 전극탭의 상측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32)는 140℃ 내지 1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 필름을 먼저 부착하고, 부착된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인식한 후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실링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제1 실링 필름과 제2 실링 필름의 부착 위치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극탭 부착체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도, 제2 실링 필름의 부착마다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오차가 누적되어 큰 오차가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위치 제어가 어려운 하측면에 제1 실링 필름을 먼저 부착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제어가 용이한 상측면에 제2 실링 필름을 나중에 부착함으로써, 부착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열풍 접착 단계(24)는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을 열풍 접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열풍 접착 단계(24)는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22) 및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232)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풍 접착 단계(24)는 180℃ 내지 2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풍 접착 단계(24)를 통해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은 서로 열 융착되어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열풍 접착 단계(24)는 비접촉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별도로 전극탭의 이동을 정지하지 않더라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접촉 방식의 접착과 같이, 접착을 위한 가열부의 이동 시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접착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검사 단계(25)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카메라 검사 단계(25)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부착 위치, 접착 상태 또는 외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엑스레이 검사 단계(26)는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엑스레이 검사 단계(26)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부분을 검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엑스레이 검사 단계(26)는 엑스레이를 통하여,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의 내부 상태, 전극탭의 내부 상태, 두께 또는 스크래치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엑스레이 검사 단계(26)를 통하여, 카메라 검사 단계(25)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부분까지 검사하여 불량을 판별할 수 있다.
커팅 단계(27)는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커팅 단계(27)는 일정한 피치로 전극탭을 커팅할 수 있도록, 센서를 통해 커팅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적재 단계(28)는 불량 여부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여 커팅된 전극탭을 적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적재 단계(28)는 카메라 검사 단계(25) 및 엑스레이 검사 단계(26)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전극탭만 선별하여 적재할 수 있다. 적재 단계(28)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전극탭을 별도로 적재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품 생산 및 검사를 일원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소재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연속 공정으로 분당 20개 내지 60개의 전극탭 부착체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전극탭 부착체
11: 전극탭
12: 제1 실링 필름
13: 제2 실링 필름

Claims (10)

  1. 전극탭을 길이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극탭 공급 단계;
    상기 전극탭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상기 전극탭의 타측에 상기 제1 실링 필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및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을 열풍 접착하는 열풍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은 각각 상기 제1 부착 단계 및 제2 부착 단계 이전에 소정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적재된 것인,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 단계는,
    상기 제1 실링 필름의 부착된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실링 필름 위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실링 필름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단계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전극탭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준 위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위치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1 실링 필름을 가열 부착하는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 및 제2 실링 필름 가열 부착 단계는, 140℃ 내지 160℃에서 수행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접착 단계는, 180℃ 내지 240℃에서 수행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단계에서 상기 제1 실링 필름은 상기 전극탭의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착 단계에서 상기 제2 실링 필름은 상기 전극탭의 상측에 부착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전극탭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필름 및 제2 실링 필름이 부착된 상기 전극탭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는 커팅 단계; 및
    불량 여부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여 커팅된 상기 전극탭을 적재하는 적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KR1020210015122A 2021-01-08 2021-02-03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KR10257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2499 2021-01-08
KR1020210002499 2021-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78A true KR20220100478A (ko) 2022-07-15
KR102572385B1 KR102572385B1 (ko) 2023-09-01

Family

ID=8240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22A KR102572385B1 (ko) 2021-01-08 2021-02-03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72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568A (ko) * 2004-07-02 2006-01-09 주식회사 엘티케이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80019128A (ko) * 2006-08-25 2008-03-03 주식회사 엘티케이 리튬 2차 전지용 전극 탭 자동검사기
WO2014091544A1 (ja) * 2012-12-10 2014-06-19 藤森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の電極リード線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568A (ko) * 2004-07-02 2006-01-09 주식회사 엘티케이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80019128A (ko) * 2006-08-25 2008-03-03 주식회사 엘티케이 리튬 2차 전지용 전극 탭 자동검사기
WO2014091544A1 (ja) * 2012-12-10 2014-06-19 藤森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の電極リード線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72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385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7256B (zh) 電化學裝置及其製造方法
US11251469B2 (en) Lamina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US9977090B2 (en) Insulation failure inspecting apparatus, insulation failure inspecting method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cell
EP4113679A1 (en) Inspection device,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electrode body and inspection method
JPH10208708A (ja) 扁平形電池
KR101516948B1 (ko) 배터리용 전극리드와 필름을 융착하는 융착 장치
KR102025288B1 (ko) 절연성 테이프를 전지셀의 외주 실링부에 부가하는 테이핑 장치
JP6481258B2 (ja) 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方法、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装置、および電気デバイス
CN103018624A (zh) 一种软包装电池极组短路的检测方法
JP2024026062A (ja) 全固体電池用外包材
KR102443461B1 (ko) 열화상 검사를 이용한 전고체 전지 품질 검사 방법
CN102623667A (zh) 一种软包薄型、超薄型电池结构及其制造方法
KR20220100478A (ko) 2차 전지용 전극탭 부착체 제조 방법
US10910664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ck of sheet-shaped electrodes
KR102326441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50056932A (ko) 전극조립체 고정용 접착부재의 부가 장치
CN106505253A (zh) 软包锂电池封装效果的检测方法
JP2012190809A (ja) 双極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036544B1 (ko) 비전 검사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탭 용접 장치
JP2002156211A (ja) 画像処理による製品検査方法
US20230268595A1 (en) Method for Adhering Tape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200008877A (ko) 이차 전지
JP2004247159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72115A1 (en) Secondary battery
US11936033B2 (en) Electrode tab-feeding device including guide for positioning electrode tab at correct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