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247A -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247A
KR20220100247A KR1020210002460A KR20210002460A KR20220100247A KR 20220100247 A KR20220100247 A KR 20220100247A KR 1020210002460 A KR1020210002460 A KR 1020210002460A KR 20210002460 A KR20210002460 A KR 20210002460A KR 20220100247 A KR20220100247 A KR 2022010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antibacterial agent
weight
inorganic antibacterial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256B1 (ko
Inventor
이혁렬
임형균
김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21000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무기담체에 항균성을 갖는 금속이온을 제공함으로써 즉각적인 항균 효과뿐만 아니라 알코올과 같은 용매가 증발한 후에도 항균 성능이 지속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는 은 무기항균제 0.1~10중량%와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90~9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DISINFECTANT WITH SILVER INORGANIC MICROBIC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항균제는 크게 유기항균제와 무기항균제로 나눌 수 있다. 유기항균제는 즉각적인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고온에서 열 분해하여 작업하는데 있어 제한이 따를 뿐만 아니라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최근에는 무기항균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기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과 같은 무기물에 살균 및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이온을 치환 또는 담지시켜 만들며, 종이, 섬유, 플라스틱, 건축자재, 가전, 화장품, 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기항균제는 유기항균제에 비해 일시적인 항균력은 낮지만 인체 안정성이 높고, 내성균이 나타나지 않으며, 항균 지속기간도 비교적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무기항균제 중 인산칼슘계열은 치환되는 금속이온의 농도가 낮아 다른 무기항균제들에 비해 항균력이 낮고, 인산지르코늄계열은 인산칼슘에 비해 항균력이 높기는 하나 그 수준이 미미할 뿐 아니라 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반면 제올라이트계 무기항균제는 금속이온의 농도가 높아 항균력이 높기는 하나 제올라이트에 치환된 금속이온들이 수중조건에서 물에 의해 용출됨에 따라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기항균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각각 브로화은을 적용한다거나 은-산화아연 나노 복합체를 적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 브롬화은의 형태는 항균력을 개선할 수 있기는 하나 남성의 인체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허문헌 2에서 은-산화아연 나노 복합체의 제조공정은 비교적 복잡하여 제조 비용 면에서 자유롭지 못해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9481호(2003.09.16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178호(2020.03.09)
무기담체에 항균성을 갖는 금속이온을 담지시켜 제공함으로써 항균효과가 수시간 지속 가능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는 은 무기항균제 0.1~10중량% 및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90~99.9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은 무기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담체와 상기 무기담체에 담지되는 은, 구리 및 아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되, 상기 은 무기항균제의 크기는 1.0~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액 1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왕겨액은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 후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식물 추출물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항균식물 추출물은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식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은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담체를 표면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에 항균금속을 담지시켜 은 무기항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은 무기항균제를 1.0~10㎛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은 무기항균제 분말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균금속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항균금속은 상기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로 담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10~30℃의 온도에서 100~200RPM의 속도로 10~200분 동안 교반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 이후에, 왕겨액, 항균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담체에 항균성을 갖는 금속이온을 제공함으로써 즉각적인 항균 효과뿐만 아니라 알코올과 같은 용매가 증발한 후에도 항균성능이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구성 및 항균성능이 기존대비 연장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용매의 화학성분 일부를 항균성을 갖는 왕겨액 및 항균식물 추출물과 같은 천연성분으로 대체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산업전반에 걸쳐 폭넓게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왕겨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는 은 무기항균제 0.1~10중량%, 및 용매 90~99.9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은 무기항균제의 크기는 1.0~10㎛, 바람직하게는 3.0~7.0㎛ 일 수 있고, 비표면적은 1,000~3,000㎡/g, 바람직하게는 1,300~2,700㎡/g,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2500㎡/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은 무기항균제의 크기가 1.0㎛미만이면,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소실되는 양이 많아질 수 있고, 10㎛를 초과하면, 표면적이 작아져 항균효과가 기존과 동일하거나 그다지 크게 향상 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은 무기항균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은 무기항균제의 크기라 함은 평균입경 또는 평균지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담체에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이온을 담지시켜 은 무기항균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내구성뿐 아니라 내열성 및 세균에 대한 항균성능을 기존대비 20~50% 정도 연장하였다.
은 무기항균제는 무기담체와 상기 무기담체에 담지되는 금속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담체로는 제올라이트(zeolite),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지르코늄(zirconium phosphate), 및 실리카(silica, silicon dioxid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이온으로는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이온이라면 그 사용에 있어서 크게 제한하지 않으나 일 예로 은(Ag), 구리(Cu)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은(Ag)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은(Ag)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은(Ag)의 평균입경은 2~3㎛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인체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세균, 진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가 은(Ag)과 접촉 시 6분 이상 생존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은(Ag)은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다.
예컨대, 무기담체 표면에는 복수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항균기능을 갖는 항균입자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항균입자는 전이금속 또는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중공 및 항균입자에 의해 유해성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하거나 화학반응을 통해 흡착할 수 있는 바 항균성능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은 무기항균제는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2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은 무기항균제가 0.1중량% 미만이면, 항균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원하는 물성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용매는 항균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목적 및 용도에 맞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ethanol)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90~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8~9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용매가 9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물성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99.9중량%를 초과하면, 용매의 함량 대비 은 무기항균제의 함량이 미비하여 항균효과가 저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매의 화학성분 일부를 왕겨액 및 항균식물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로 대체하여 화학성분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항균과 살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왕겨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고, 항균식물 추출물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30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왕겨액은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 후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수득된 것으로, 주 원료인 왕겨는 벼의 ?周?질 또는 겉겨로 매조밋겨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왕겨가 탄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미세한 벌집 같은 무수한 구멍을 만드는데 그 표면적은 1g 당 200평 이상의 면적이며, 왕겨 자체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성 및 통기성이 뛰어나다. 또한, 구조가 치밀하고 많은 공극을 가지므로 유해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즉, 왕겨의 세포벽이 타면서 수많은 미세한 구멍이 생기고, 이 구멍들은 강한 흡착력을 발휘함으로써 해로운 세균, 바이러스나 독소 등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항균식물 추출물은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식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식물로 병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균식물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와 같은 유산균과 2:1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시킨 후 상술한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추가적으로 향기 및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향료를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향료로는 에센셜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벤더, 유칼립투스, 로즈마리, 레몬, 버가못, 티트리, 페퍼민트, 및 사이프러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성분이 함유된 티트리 및 레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는 사용목적에 따라 용매의 함량을 조절하여 페이스트 연고, 크림, 밀크, 파프제, 분제, 침투 패드, 용액, 겔, 분무제, 로션 또는 현탁액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은 함유 무기항균제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함유 무기항균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은 함유 무기항균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제올라이트(zeolite),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지르코늄(zirconium phosphate), 및 실리카(silica, silicon dioxid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담체를 표면 처리한다(S10).
무기담체 100중량부에 전이금속 또는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0.1~20중량부 첨가하여 표면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질이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비표면적이 크게 증대되지 않아 해로운 세균, 바이러스나 독소 등에 대한 흡착 효율이 저조할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물질의 증가에 따른 표면 개질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담체로는 제올라이트(zeolite),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지르코늄(zirconium phosphate), 및 실리카(silica, silicon dioxid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에 항균금속을 담지시켜 은 무기항균제를 제조한다(S20).
상기 S10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 100중량부에 항균금속 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부를 담지시켜 은 무기항균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항균금속으로는 은(Ag), 구리(Cu)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은(Ag)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은(Ag)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은(Ag) 및 아연(Zn)을 사용하는 경우 은(Ag) 및 아연(Zn)은 2: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항균효과 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항균금속의 농도는 5~15mol/ℓ, 바람직하게는 9~10mol/ℓ일 수 있다.
그 후 상기 은 무기항균제를 1.0~10㎛의 크기 분쇄한다(S30).
상기 S20단계에서 제조된 은 무기항균제를 볼 밀(Ball mill), 아크리션 밀(Attrition mill), 제트 밀(Jet mill), 회전밀(Rotary mill) 및 진동 밀(Vibration mill)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1.0~10㎛, 바람직하게는 3.0~7.0㎛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를 실시하여 은 무기항균제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은 무기항균제 분말의 크기가 1.0㎛미만이면, 공기 중으로 쉽게 비산되어 소실되는 양이 많아질 수 있고, 10㎛를 초과하면, 용매에 분산 시 침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은 무기항균제 분말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 분산시킨다(S40).
상기 S30단계에서 분쇄된 은 무기항균제 분말 0.1~10중량%를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90~99.9중량%에 투입한 후 10~30℃, 바람직하게는 15~25℃의 온도에서 100~200RPM, 120~180RPM의 속도로 10~200분, 바람직하게는 30~6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온도가 10℃미만이면, 분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용매 성분이 증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분산시간이 10분 미만이면 용매에 은 무기항균제 분말이 균일하게 섞이기 어렵고, 200분을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분산시간에 따른 상승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상기 언급한 시간 범위 내로 교반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S40단계 이후에 왕겨액, 항균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50)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왕겨액은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 후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항균식물 추출물은,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식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왕겨액, 항균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외에 항료를 더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향료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로 첨가하여 함께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향료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왕겨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왕겨액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왕겨액은 우선, 왕겨의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한다(S51).
왕겨는 하기 후술할 탄화 및 액화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표면에 존재하는 흙, 모래, 돌가루 등과 같은 불순물을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하거나 흐르는 물에 수차례 세척하여 준비할 수 있다.
그 후,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다(S52).
상기 S51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왕겨를 400~700℃, 바람직하게는 500~600℃로 가열하여 왕겨의 셀룰로오스 등의 목질계가 제거되도록 탄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700℃ 이상으로 가열되는 기존의 가열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인 500~600℃의 온도 범위로 가열을 실시하여 700℃ 이상에서 변성될 여지가 있는 칼륨과 같은 미네랄 마저도 포함되도록 하고, 가열로 인한 미네랄 성분의 증발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왕겨를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킨다(S53).
상기 S52단계에서 탄화가 완료된 왕겨를 100~200℃, 바람직하게는 130~17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을 가해 액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온도 및 압력은 액화에 있어서 최적의 조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를 대상물질에 분사할 경우, 알코올과 같은 용매 증발 이후에도 은 무기항균제가 대상물질의 표면에 남아 1시간~1일 이상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조예 1. 혼합 추출물 제조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를 2: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후 물로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왕겨액 제조
왕겨의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 5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켰다. 그 다음 150℃의 온도에서 5kg/㎠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왕겨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용매에 분산된 제올라이트 분말 500g에 Amino propyl-triethoxy silane 50g을 투입한 후 80℃에서 500분 동안 가열 교반하여 제올라이트 분말을 표면 처리하였다. 그 다음에 AgNO3 10g을 첨가하여 60℃에서 500분 동안 가열 교반하고, 슬러리는 세척 및 건조한 후 5㎛의 크기로 분쇄하여 은 무기항균제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를 에탄올에 투입한 후 20℃에서 150RPM으로 60분 동안 분산시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5㎛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왕겨액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AgNO3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5㎛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 성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소독제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균주로는 Staph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를 사용하였다.
준비된 시편에 각 시험균주 배양액을 20,000배 희석하여 1ml씩 시편에 적하한 후 25℃에서 24시간 보존 후 꺼낸다. 이를 멸균 처리된 한천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습식 평판 배양법으로 조사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아래의 식 1에 따라 세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식 1
시험항목 시험 결과
세균감소율(%)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시험 실시예 1 97.89
실시예 2 97.89
실시예 3 98.89
실시예 4 99.99
비교예 1 35.72
비교예 2 95.35
폐렴간균에 의한 항균시험 실시예 1 96.75
실시예 2 96.75
실시예 3 98.75
실시예 4 99.99
비교예 1 40.64
비교예 2 93.9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소독제가 황색포도상구균 및 폐렴간균에서 모두 90% 이상에 가까운 세균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4는 약 99.9%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세균 감소율이 저조한 바 이는 입자의 크기가 세균 사멸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은 무기항균제 0.1~10중량%; 및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90~99.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무기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담체;와
    상기 무기담체에 담지되는 은, 구리 및 아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되,
    상기 은 무기항균제의 크기는 1.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액 1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왕겨액은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킨 후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식물 추출물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항균식물 추출물은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식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5.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담체를 표면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에 항균금속을 담지시켜 은 무기항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은 무기항균제를 1.0~10㎛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은 무기항균제 분말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구연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은 무기항균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항균금속은 상기 표면 처리된 무기담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로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10~30℃의 온도에서 100~200RPM의 속도로 10~200분 동안 교반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 이후에, 왕겨액, 항균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왕겨액은
    왕겨의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왕겨를 400~7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왕겨를 100~200℃의 온도에서 1~5kg/㎠의 압력으로 액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식물 추출물은,
    병풀, 삼백초 및 어성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식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의 제조방법.
KR1020210002460A 2021-01-08 2021-01-08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60A KR102576256B1 (ko) 2021-01-08 2021-01-08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60A KR102576256B1 (ko) 2021-01-08 2021-01-08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47A true KR20220100247A (ko) 2022-07-15
KR102576256B1 KR102576256B1 (ko) 2023-09-11

Family

ID=824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460A KR102576256B1 (ko) 2021-01-08 2021-01-08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2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562A (ja) * 1996-08-08 1998-02-17 Noevir Co Ltd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H11240812A (ja) * 1998-02-23 1999-09-07 Dowa Mining Co Ltd 銀系抗菌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9481B1 (ko) 2001-06-16 2003-09-29 최귀분 은과 브롬화합물을 이용한 새로운 항균제인 은염제조
KR20120060650A (ko)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50141938A (ko) * 2013-02-28 2015-12-21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은이온 항균액의 생성방법, 그 방법으로 생성되는 은이온 항균액 및 그 항균액을 함유한 은이온 함유 제품
KR101975550B1 (ko) * 2018-02-26 2019-05-07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탈취 기능성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089178B1 (ko) 2018-11-02 2020-03-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은-산화아연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562A (ja) * 1996-08-08 1998-02-17 Noevir Co Ltd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H11240812A (ja) * 1998-02-23 1999-09-07 Dowa Mining Co Ltd 銀系抗菌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9481B1 (ko) 2001-06-16 2003-09-29 최귀분 은과 브롬화합물을 이용한 새로운 항균제인 은염제조
KR20120060650A (ko)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50141938A (ko) * 2013-02-28 2015-12-21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은이온 항균액의 생성방법, 그 방법으로 생성되는 은이온 항균액 및 그 항균액을 함유한 은이온 함유 제품
KR101975550B1 (ko) * 2018-02-26 2019-05-07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탈취 기능성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089178B1 (ko) 2018-11-02 2020-03-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은-산화아연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256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2146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olymer masterbatch and fiber thereof having anti-bacterial and odor eliminating functions
EP1927286B1 (de) Verwendung eines textilen mikrobioziden Speichers
CN101107934A (zh) 含有五倍子提取物的杀菌剂及其组合物
CN105968973B (zh) 中草药防霉抗菌抗病毒涂料及其制备方法
CN107326470B (zh) 一种抗菌持久改性聚酯纤维的加工方法
El-Naggar et al. Nanoemulsion of Capsicum fruit extract as an eco-friendly antimicrobial agent for production of medical bandages
CN110102269B (zh) 一种负载精油的阳离子型聚合物改性多孔二氧化硅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13009B1 (ko) 친환경 유해물질 차단 조성물
CN103947641B (zh) 一种缓释生根剂及其制备方法
CN104005303A (zh) 一种纳米银复合抗菌纸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308176A (zh) 硅藻土基植物抗菌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8815307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olymer masterbatch and fiber thereof having anti-bacterial and odor eliminating functions
CN112472863B (zh) 负离子功能芯片、制备方法及负离子卫生巾
KR102030590B1 (ko)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6256B1 (ko)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5975A (ko) 해조류 섬유 및 천연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물티슈
CN102763689B (zh) 一种含加拿大一枝黄花提取物的复合杀菌剂
KR101334149B1 (ko) 항균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용 항균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CN105519584A (zh) 一种冻干粉干悬浮杀菌剂及其制备方法
KR101870257B1 (ko) 은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3005B1 (ko) 박테리아 및 효모의 공동배양 기술을 활용한 작물 병해방제 및 생육촉진용 친환경 발효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430526A (zh) 一种多功能抗菌复合制剂及其应用
CN108513995A (zh) 一种羊舍夏季用强效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02763688B (zh) 一种含加拿大一枝黄花提取物的复合杀虫剂
KR101445689B1 (ko) 천연효소 및 미생물이 담지된 광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