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306A -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306A
KR20220099306A KR1020210001392A KR20210001392A KR20220099306A KR 20220099306 A KR20220099306 A KR 20220099306A KR 1020210001392 A KR1020210001392 A KR 1020210001392A KR 20210001392 A KR20210001392 A KR 20210001392A KR 20220099306 A KR20220099306 A KR 2022009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hylin
substituted
lys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281B1 (ko
Inventor
박윤경
박희주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50Isolated enzymes; Isolated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amphibi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nt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r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거나; 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거나; i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거나; iv)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5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는 우수한 항균 활성 및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며, 궁극적으로 항생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생물 농약 및 의약외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Novel peptide derived from Hylin a1 peptid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균 감염은 인간의 질병에서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원인 중 하나로 불행하게도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세균의 항생제 저항성(resistance)이 야기되었다. 실제로, 세균이 새로운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속도는 새로운 항생제의 유사체가 개발되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빨리 일어난다. 예를 들면,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마이코박테리움 투버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및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세균 종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항생제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왔다(Stuart B. Levy, Scientific American, 1998, 46-53).
항생제 내성(tolerance)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과는 구별되는 현상으로 1970년대에 뉴모코커스(Pneumococcus sp.)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페니실린의 작용 기작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내성을 보이는 종은 통상적인 농도의 항생제 존재하에서는 성장을 멈추지만 죽지는 않는다. 내성은 항생제가 세포벽 합성 효소를 저해할 때 오토라이신(autolysin) 등과 같은 세균의 자가분해(autolytic) 효소의 활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는 페니실린이 내인성 가수분해 효소(endogenous hydrolytic enzym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균을 죽이며 세균은 또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해서 항생제 치료시에도 생존하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세균이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것은 임상적으로 대단히 중요한데, 이는 내성 세균을 박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면 임상적인 감염에서 항생제 치료의 효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내성이 생기는 것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게 되는 선행조건이라고 간주되는데 이것은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는 균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균주는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새로운 유전 요소를 획득해서 항생제의 존재 하에서도 계속 성장하게 된다. 실제로 모든 저항성을 보이는 세균들은 내성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러한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신규한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작용 기작의 측면에서 항생제 내성은 크게 두가지 경로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는 모든 세균에 있어서 성장속도가 감소할 때 일어나는 외형적(phenotypic) 내성이며, 두 번째는 특정 세균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적인 내성이다. 두 가지 경우 모두 기본적인 현상은 오토라이신 활성의 하부조절(down regulation)이 일어난다는 것인데, 이러한 하부조절은 외부자극에 대한 외형적인 내성일 경우에는 일시적이며, 세포 용혈을 조절하는 경로의 변화를 야기하는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적인 내성의 경우에는 영구적이다. 가장 간단한 유전적인 내성의 경우는 오토라이신 효소에 결손이 일어나는 것인데, 확실하지 않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이러한 자살 효소의 결손에 의해 내성을 가지는 균주가 임상적으로 발견된 적은 없으며, 오히려 임상적인 내성은 오토라이신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균들과 싸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울러 오토라이신 활성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박테리오신(bacteriocin)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항균성 단백질로 생산균과 유사한 균종에 대하여 살균 작용을 갖는다. 박테리오신은 구조적으로 세 부류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란티바이오틱스(lantibiotics)이며, 두 번째는 비란티바이오틱스(nonlantibiotics)이고, 세 번째는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에 의해 분비되는 것들이다. 미생물뿐만 아니라 곤충을 포함하는 동물들 역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펩타이드 항생제를 생산하는데, 상기 펩타이드 항생제는 구조적으로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시스테인이 풍부한(cysteine-rich) β-쉬트(sheet) 펩타이드이고, 두 번째는 α-나선형(helical)의 양친화성 분자이며, 세 번째는 프롤린이 풍부한(proline-rich) 펩타이드이다. 이들 항균 펩타이드들은 숙주방어 및 선천적 면역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항균 펩타이드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들 중 개구리(Hypsiboas albopunctatus)에서 발견된 항균 펩타이드인 Hylin a1는 양친화성 알파 나선형 구조를 형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2158036호
본 발명은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거나;
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거나;
i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거나;
iv)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5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된 펩타이드.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및 항생제 내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4. 위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균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인, 펩타이드.
5. 위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인, 펩타이드.
6. 위 3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균은 항생제 내성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인, 펩타이드.
7. 위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8. 위 7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9. 위 7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생물 농약, 방부용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항균용 조성물.
본 발명 펩타이드는 우수한 항균 활성 및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며, 이에 항생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생물 농약 및 의약외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균 펩타이드인 Hylin a1(대조군) 및 Hylin a1 유사체 신규 펩타이드인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및 Hylin a1-15K(실험군)의 다양한 용매 상에서 2차 구조 형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로, ○은 10mM 인산 나트륨 용액, □은 30mM 황산 도데실 나트륨 용액. 및 △은 50%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용액에 첨가한 경우를 의미한다.
도 2는 Hylin a1 펩타이드 및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및 Hylin a1-15K 펩타이드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의 바이오필름 제거 능력을 확인한 결과이다(Hy a1: Hylin a1, 2A: Hylin a1-2A, 3K: Hylin a1-3K, 11K: Hylin a1-11K, 15K: Hylin a1-15K).
도 3은 Hylin a1 펩타이드(대조군) 및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및 Hylin a1-15K 펩타이드(실험군)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 막에 대한 작용 여부를 유세포분석기(FACS)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다재 내성 균주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10에 감염된 마우스 마크로파지 세포에서 염증반응에 관련된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율을 확인한 결과이다(IL-1β: 인터루킨-1 베타, IL-6: 인터루킨-6, TNF-α: 종양괴사인자-알파, EJAB 10: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10이 감염된 세포 그룹, 11K: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10이 감염된 세포에 Hylin a1-11K를 처리한 그룹, 15K: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10이 감염된 세포에 Hylin a1-15K를 처리한 그룹).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거나; 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거나; i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거나; iv)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5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기존에 알려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는 남아메리카 개구리(frog Hypsiboas albopunctatus)의 점액질에서 분리된 항균 펩타이드이다.
[서열번호 1]
IFGAILPLALGALKNLIK
Hylin a1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Hylin a1 펩타이드의 합성을 위한 방법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펩타이드의 화학적 합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solution-phase peptide synthesis),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is), 단편 응축법 및 F-moc 또는 T-BOC 화학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i), ii), iii) 또는 iv)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i) 조건은 서열번호 1의 모체 펩타이드에서 2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이 소수성을 가지는 아미노산인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는 것이며, ii) 조건은 서열번호 1의 모체 펩타이드에서 2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이 소수성을 가지는 아미노산인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는 것이며, iii) 조건은 서열번호 1의 모체 펩타이드에서 2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이 소수성을 가지는 아미노산인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는 것이며, iv) 조건은 서열번호 1의 모체 펩타이드에서 2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이 소수성을 가지는 아미노산인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고, 15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Asparagine, N)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서열번호 2]
IAGAILPLALGALKNLIK
[서열번호 3]
IAKAILPLALGALKNLIK
[서열번호 4]
IAKAILPLALKALKNLIK
[서열번호 5]
IAKAILPLALKALKKLIK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로부터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로 Hylin a1-2A로 명명하였다.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로부터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K)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로 Hylin a1-3K로 명명하였다.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로부터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으로 치환되고, 3번째 및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K)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로 Hylin a1-11K로 명명하였다.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로부터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으로 치환되고, 3번째, 11번째 및 15번째 아미노산이 리신(K)으로 치환된 펩타이드로 Hylin a1-15K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4 내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전술한 아미노산의 치환에 의해 펩타이드의 전극의 증/감이 일어날 수 있고 세포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아미노산의 치환에 의해 펩타이드의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항생제 내성균 또는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증가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또는 항생제 내성균 및 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람 음성균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에스케리키아 속(Escherichia), 살모넬라 속(Salmonella), 렙토스피라 속(Leptospira) 및 리케치아 속(Ricketts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슈도모나스 속 또는 에스케리키아 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리스테리아 속(Listeria),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및 바실러스 속(Bacill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스타필로코커스 속 또는 리스테리아 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항생제 내성균은 항생제 내성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coli)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생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아미노글리코사이드,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등), 페니실린 계열(앰피실린 등), 술폰아미드 계열, 베타-락탐 계열(베타-락탐,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등), 클로람페니콜 계열, 에리트로마이신 계열, 플로르페니콜 계열, 포스포마이신 계열, 카나마이신 계열, 린코마이신 계열, 메티실린 계열, 퀴놀론 계열, 스트렙토마이신 계열,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트리메소프림 계열 및 반코마이신 계열의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진균은 크립토코커스 속(Cryptococcus), 소포자균 속(Microsporum), 칸디다 속(Candida) 및 백선균 속(Trichophyt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쥐 및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Hylin a1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 내지 5는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면서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펩타이드 이외에도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임상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nasal), 흡입, 안구 및 피하와 같은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통한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펩타이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유효용량은 0.1 내지 2mg/kg일 수 있고, 하루 1 회 내지 3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총 유효량은 볼루스(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주입(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항생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생물 농약, 방부용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Hylin a1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 내지 5는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면서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펩타이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펩타이드를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Hylin a1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 내지 5는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면서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균용 식품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펩타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 양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식품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또는 비타민 복합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Hylin a1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 내지 5는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면서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균용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고 유해한 식품 병원성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외의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사료를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발효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방부 조성물, 항균용 생물 농약, 및 항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Hylin a1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 내지 5는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면서 인간 유래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항균용 방부 조성물, 항균용 생물 농약, 및 항균용 의약외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방부 조성물에는 식품의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또는 의약품 보존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의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및 의약품 보존제는 변질, 부패, 변색 및 화학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살균제, 산화방지제가 이에 포함될 수 있고,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 및 의약품에서 부패미생물의 발육저지 또는 살균작용을 하는 등의 기능성 항생제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부 조성물의 이상적인 조건으로는 독성이 없어야 하며, 미량으로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유효성분인 펩타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방법을 제공한다.
개체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펩타이드의 합성 및 분리정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Merrifield, RB., J.Am. Chem. Soc., 85, 2149, 196)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번째 아미노산 잔기를 알라닌(Alanine, A)으로, 3번째, 11번째, 15번째 아미노산 잔기를 리신(K)으로 순차적으로 치환하여 5 종의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계한 펩타이드의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인 펩타이드는 링크 아미드 MBHA-레진(Rink Amide MBHA-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 말단이 OH 형태의 펩타이드는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아미노산-Wang 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펩타이드 사슬(chain)의 연장은 DCC(N-hydroxybenzo trizole(HOBt)-dicyclo-hexycarbodiimide)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의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시킨 후, NMP(20% piperidine/N-methyl pyrolidone)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NMP 및 DCM(dichoromethane)으로 여러 번 씻어준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TFA(trifluoroacetic acid), 페놀(phenol), 씨이오아니졸(thioanisole), H2O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레인(triisopropylsilane)을 각각 85:5:5:2.5:2.5(v/v)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가하고 2~3시간 동안 반응시켜 보호기의 제거 및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시킨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로 펩타이드를 침전하여 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크루드(crude) 펩타이드는 0.05%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acetonitrile gradient)에서 정제형 역상(reverse phase, RP)-HPLC 컬럼(Delta Pak, C18300Å,15,19.0mm×30 cm, Waters, USA)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합성 펩타이드를 6N 염산으로 110℃에서 가수분해한 후 잔사를 감압 농축하고, 0.02N 염산에 녹여서 아미노산 분석기(Hitachi 8500 A)로 아미노산 조성을 측정한 후, 펩타이드의 순도 및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MALDI 질량 분석법(Hill, et al., Rapid Commun. Mass Spectrometry, 5: 395, 1991)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표 1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되는 펩타이드를 95% 이상의 순도로 합성하였고, 이의 분자량은 예상한 분자량과 동일한 분자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펩타이드 명칭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보유시간 분자량
Hylin a1 IFGAILPLALGALKNLIK-NH2 1 23.533 1863.9
Hylin a1-2A IAGAILPLALGALKNLIK-NH2 2 26.420 1788.7
Hylin a1-3K IAKAILPLALGALKNLIK-NH2 3 23.700 1859.8
Hylin a1-11K IAKAILPLALKALKNLIK-NH2 4 23.342 1930.3
Hylin a1-15K IAKAILPLALKALKKLIK-NH2 5 22.175 1945.0
Hylin a1의 서열(서열번호 1)을 기준으로 신규 펩타이드 서열번호 2 내지 5의 치환된 아미노산의 종류 및 치환된 위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위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Hylin a1
(서열번호 1)
I F G A I L P L A L G A L K N L I K
Hylin a1-2A
(서열번호 2)
- A - - - - - - - - - - - - - - - -
Hylin a1-3K
(서열번호 3)
- A K - - - - - - - - - - - - - - -
Hylin a1-11K
(서열번호 4)
- A K - - - - - - - K - - - - - - -
Hylin a1-15K
(서열번호 5)
- A K - - - - - - - K - - - K - - -
[공백 : 아미노산 결실, - : 아미노산 치환 없음]
2. 항균 활성 측정
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들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균체가 분열되지 않는 펩타이드의 최소 농도인 생육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3에 기재된 균주를 구입하여, 각 균주에 적합한 조성의 배지에서 중간-로그 상(mid-log phase)까지 배양한 다음, 2×104 세포/100㎕의 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Nunc, USA)에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위 1에서 합성한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각 웰에 1/2배씩 계열 희석(serial dilution)하여 첨가한 후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 판독기(Merck Elisa reader, 독일)를 이용하여 60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에 대한 MIC 값을 결정하였다.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분 균주명 출처 기탁번호
그람
음성균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미국 세포주은행 ATCC 25922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
한국 세포주은행 ATCC 2508
그람
양성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미국 세포주은행 ATCC 25923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ius cereus)
한국 세포주은행 KCTC 1012
항생제
내성균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
분리주 1
분리주 2
분리주 3
분리주 4
분리주 5
분리주 6
분리주 7
분리주 8
분리주 9
분리주 10
분리주 11
분리주 12
분리주 13
분리주 14
분리주 15
분리주 16
분리주 17
분리주 18
분리주 19
분리주 20
분리주 21
분리주 22
분리주 23
분리주 24
분리주 25
분리주 26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ylin a1-11K 및 Hylin a1-15K 펩타이드는 대조군인 모체 펩타이드 Hylin a1에 비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아시네토 바우마니에 대해 유사하거나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3. 항생물막 활성 측정
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들의 항균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균체가 분열되지 않는 펩타이드의 생물막 억제 농도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3에 기재된 균주 중 생물막이 잘 형성되는 균을 각 배지에서 중간-로그 상(mid-log phase)까지 배양한 다음, 5×104 세포/100㎕의 균체 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SPL)에 접종하였다. 그런 다음 위 1에서 합성한 Hylin a1,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각 웰에 1/10배씩 10mM 인산 나트륨 용액(sodium phosphate, pH 7.2)으로 희석하여 10㎕ 첨가한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완벽히 제거한 후 100% 메탄올로 15분간 고정시키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용액으로 1시간 염색시킨 후, 3번 세척한 뒤 95% 에탄올로 용해하여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59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에 대한 생물막 최소억제 농도값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처럼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에서는 대조군인 Hylin a1에 비해 균주 모두에서 비슷하거나 강한 생물막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생물막 최소억제농도 (μM)
Hylin a1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Hylin a1-15K
그람 양성균
S. 아우레우스 (ATCC 25923) 4 4 2 2 2
S. 아우레우스 5 8 32 8 4 4
S. 아우레우스 11 4 16 16 4 4
그람 음성균
A. 바우마니 (KCTC 2508) 4 16 16 4 4
A. 바우마니 10 8 16 8 4 4
A. 바우마니 26 16 16 8 8 4
4. 용혈 활성 측정
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들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합성한 펩타이드들의 적혈구 용혈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쥐(Balb/c, 6주령, 암컷) 적혈구를 8%의 농도가 되도록 PBS(pH 7.0)로 희석하고, Hylin a1,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각각 3.12, 6.25, 12.5, 25.0 및 50.0μM/웰의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그런 다음 1,000xg로 원심 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량을 414㎚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세포 파괴 정도의 기준이 되는 대조군으로, 1% 트리톤 X-100(sigma, USA)을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수득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적혈구 용혈활성 100%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각 펩타이드의 용혈활성(hemolysis)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적혈구 파괴능(%) = (흡광도 A-흡광도 B)/(흡광도 C-흡광도 B) X 100
(위 수학식 1에서, 흡광도 A는 414㎚ 파장에서 측정한 각 펩타이드를 처리한 반응 용액의 흡광도를 나타내며; 흡광도 B는 414㎚ 파장에서 측정한 PBS를 처리한 반응 용액의 흡광도를 나타내며; 흡광도 C는 414㎚ 파장에서 측정한 1% 트리톤 X-100를 처리한 반응 용액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하기 표 6처럼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 펩타이드는 50μM 농도를 처리하였을 때 쥐 적혈구에 대하여 94%의 용혈작용이 유발되었으나,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는 50μM 농도에서도 적혈구에 대한 파괴능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는 모체 펩타이드에 비해 세포독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혈구 파괴능 (%)
펩타이드 농도 50 μM 펩타이드 농도 25 μM 펩타이드 농도 12.5 μM 펩타이드 농도 6.25 μM 펩타이드 농도 3.125 μM 펩타이드 농도 1.625 μM
Hylin a1
(서열번호 1)
94 39 7 1 1 1
Hylin a1-2A
(서열번호 2)
3 0 0 1 1 1
Hylin a1-3K
(서열번호 3)
15 0 0 0 0 1
Hylin a1-11K
(서열번호 4)
33 5 0 0 1 1
Hylin a1-15K
(서열번호 5)
28 4 0 0 1 1
5. 원이색법 스펙트럼 측정
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가 2차 구조인 α-나선형 구조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이색법(circular dichroism) 방법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mM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pH 7.4), 50% 트리플루오로에탄올(2,2,2-trifluoroethanol, TFE) 또는 30mM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용액에 Hylin a1,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40μM로 첨가하여 0.1cm 길이(path-length)의 셀에 가한 후, jasco 810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에 온도를 25℃로 고정하여 원이색법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원이색법 스펙트럼을 위한 α-나선형 구조 계산식은 하기 수학식 2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위 수학식 2의 θobs는 신호의 밀리도(milidegrees)를 나타내며, l은 셀 크기(cm)의 광학 길이(optical path-length)를 나타내고, c는 첨가한 펩타이드의 농도(mol/L)를 나타낸다)
그 결과, 10mM 인산나트륨 용액에 펩타이드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구조를 형성하지 않은 반면, 50% TFE 용액과 30mM SDS 용액에 펩타이드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만 모든 펩타이드에서 2차 구조인 α-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미생물인 박테리아 막과 유사한 SDS와 TFE 용액 상에서 α-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1 참조).
6.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 측정
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가 박테리아 막에 작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체 펩타이드와 유사한 항균활성을 보이며, 고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모체 Hylin a1 펩타이드 또는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의 최소억제농도(MIC) 값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에 처리한 후 1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10,000rpm)를 이용해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10㎍/㎖ 농도의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 PI)로 4℃에서 30분간 염색하였다. 그런 다음 결합하지 않은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제거하고 생리식염수(PBS) 1㎖를 첨가하여 세포의 뭉침 현상을 제거한 후, Bechman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막에 대한 펩타이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ylin a1, Hylin a1-2A, Hylin a1-3K,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 모두 형광시그널이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박테리아 막에 손상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는 대조군인 모체 펩타이드와 박테리아 막에 작용하는 기작이 동일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7. 정량적 실시간 PCR을 이용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분석
세균의 감염과 치유시 인터루킨-1 베타 (IL-1β), 인터루킨-6 (IL-6), 종양괴사인자-알파 (TNF-α)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mRNA 발현의 변화가 일어나는 점에 기초하여, 세균이 감염되지 않은 마우스 마크로파지 세포와 세균에 감염된 마우스 마크로파지 세포, 세균에 감염된 후 Hylin a1-11K 및 Hylin a1-15K 펩타이드를 처리한 마우스 마크로파지 세포에서 염증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여 Hylin a1-11K 및 Hylin a1-15K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트리졸 시약을 사용하여 상처 조직으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 준비된 총 RNA는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qPCR은 qPCR 2x premix (SYBR Green)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염증 유전자들 중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발현 수준은 β-액틴을 기준으로 정량화 하였고, PCR 수행 과정은 50℃에서 2분, 95℃에서 10분; 95℃에서 15초, 60℃에서 1분, 40 사이클; 95℃에서 15초, 60℃에서 1분 및 95℃에서 30초, 60℃에서 15초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Hylin a1-11K 또는 Hylin a1-15K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이들을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인터루킨-1 베타 (IL-1β), 인터루킨-6 (IL-6), 종양괴사인자-알파 (TNF-α)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전술한 실험결과들로부터 본 발명 4종의 Hylin a1 유사체(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는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낮고,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 보다 우수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 및 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합성된 펩타이드 유사체 중, Hylin a1-11K 및 Hylin a1-15K 펩타이드(서열번호 4 내지 서열번호 5)는 모체 펩타이드인 Hylin a1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본 발명의 펩타이드 20mg
유당 20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의 제조
성분 중량(mg)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액제의 제조
성분 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20mg
이성화당 10g
만나톨 5g
정제수 적략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1-5. 주사제의 제조
성분 첨가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mg/㎖
묽은 염산 BP pH 7.6로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 7.6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기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화장품의 제조
2-1. 유연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유연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2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2
에탄올 8.0
구연산 0.02
구연산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2-2. 영양화장수(로션)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3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유창목오일 0.1~30
1,3-부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2
에탄올 8.0
구연산 0.02
구연산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2-3. 에센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에센스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4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시토스테롤 1.7
플리글리세릴2-올레이트 1.5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1.2
콜레스테롤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산탄검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2-4. 세안제(클렌징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세안제(클렌징폼)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5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N-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20.0
글리세린 10.0
PEG-400 15.0
프로필렌글리콜 10.0
POE(15) 올레일알코올에테르 3.0
라우린유도체 2.0
메틸파라벤 0.2
EDTA-4Na 0.03
향료 0.2
정제수 To 100
2-5. 영양크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6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바셀린 7.0
유동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60 2.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산탄검 0.5
토코페닐아세테이트 0.1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2-6. 마사지크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마사지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7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닐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산탄검 0.5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2-7. 팩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팩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8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0.1~3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코올 10.0
에탄올 7.0
파이지-40 히드로게비이티드캐스터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120> Novel peptide derived from Hylin a1 peptide and uses thereof <130> 20P12022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lin a1 <400> 1 Ile Phe Gly Ala Ile Leu Pro Leu Ala Leu Gly Ala Leu Lys Asn Leu 1 5 10 15 Ile Lys <210> 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lin a1-2A <400> 2 Ile Ala Gly Ala Ile Leu Pro Leu Ala Leu Gly Ala Leu Lys Asn Leu 1 5 10 15 Ile Lys <210> 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lin a1-3A <400> 3 Ile Ala Lys Ala Ile Leu Pro Leu Ala Leu Gly Ala Leu Lys Asn Leu 1 5 10 15 Ile Lys <210> 4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lin a1-11A <400> 4 Ile Ala Lys Ala Ile Leu Pro Leu Ala Leu Lys Ala Leu Lys Asn Leu 1 5 10 15 Ile Lys <210> 5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lin a1-15A <400> 5 Ile Ala Lys Ala Ile Leu Pro Leu Ala Leu Lys Ala Leu Lys Lys Leu 1 5 10 15 Ile Lys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lanine, A)으로 치환되거나;
    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lysine, K)으로 치환되거나;
    iii)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거나;
    iv) 2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3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1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되고, 15번째 아미노산이 리신으로 치환된 펩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및 항생제 내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균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인, 펩타이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인, 펩타이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균은 항생제 내성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인, 펩타이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생물 농약, 방부용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항균용 조성물.
KR1020210001392A 2021-01-06 2021-01-06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0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92A KR102603281B1 (ko) 2021-01-06 2021-01-06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92A KR102603281B1 (ko) 2021-01-06 2021-01-06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06A true KR20220099306A (ko) 2022-07-13
KR102603281B1 KR102603281B1 (ko) 2023-11-16

Family

ID=8240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92A KR102603281B1 (ko) 2021-01-06 2021-01-06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42B1 (ko) * 2008-07-22 2011-06-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이신과 프롤린 잔기 치환으로 박테리아 선택성을 높인새로운 수딘 유도체 항생 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1998106B1 (ko) * 2017-09-22 2019-07-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p1404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58036B1 (ko) 2019-03-25 2020-09-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seudin-2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42B1 (ko) * 2008-07-22 2011-06-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이신과 프롤린 잔기 치환으로 박테리아 선택성을 높인새로운 수딘 유도체 항생 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1998106B1 (ko) * 2017-09-22 2019-07-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p1404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58036B1 (ko) 2019-03-25 2020-09-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seudin-2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희주,"항생 펩타이드 Hylin a1과 그 유사체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및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조선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pp. 1-60, 202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281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064B1 (ko) 마이시니딘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899552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KR102224929B1 (ko) 해삼에서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595440B1 (ko) Cm-ma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유사체 펩타이드 cma3 및 이의 용도
KR102415725B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h123 및 이의 용도
KR102415734B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58036B1 (ko) Pseudin-2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53836A1 (ko)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펩타이드 h103b 및 이의 용도
WO2023048411A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98106B1 (ko) Hp1404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80897B1 (ko) Ll37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039400B1 (ko) mBjAMP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76573B1 (ko) 홍어 껍질 유래의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03281B1 (ko)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02983B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08336B1 (ko) Pep27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51854B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h103 및 이의 용도
KR102540598B1 (ko) 태평양굴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90033839A (ko) 마크로핀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084412A (ko) 파래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40784A (ko)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곤충유래 프로테티아마이신-11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20190038714A1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lavaspirin peptide analogue as effe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