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88A - 치아모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88A
KR20220099288A KR1020210001335A KR20210001335A KR20220099288A KR 20220099288 A KR20220099288 A KR 20220099288A KR 1020210001335 A KR1020210001335 A KR 1020210001335A KR 20210001335 A KR20210001335 A KR 20210001335A KR 20220099288 A KR20220099288 A KR 2022009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kin
maxillary
assembly
man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337B1 (ko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악 모형부와 하악 모형부를 가지는 치아 모형부; 상기 상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상악 홀더부가 구비된 상악 조립체; 상기 하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하악 홀더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악 조립체로부터 회전되는 하악 조립체; 및 하측은 상기 하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상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치아 모형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을 갖는 스킨부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모형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 TOOTH MODEL}
본 발명은 치아모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모형부의 외부 노출이 가능하도록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의 스킨부를 갖는 치아모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는 이와 그 지지 조직 및 입안의 생리ㆍ병리ㆍ치료 기술 따위를 연구하는 의학 분야로, 6년간의 정규 교과 과정 및 4년의 전문의 수련과정을 이수한 자는 이와 구강에 병이 있는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
이러한 치과 분야는 치과 재료 및 치과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치과 술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실습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교육 및 실습을 위해 종래에는 돼지턱을 이용하여 교육 및 실습을 진행하였으나, 이러한 돼지턱은 실제 사람의 구강과 전혀 달라 제대로된 교육 및 실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인체의 구강 내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치아모형을 이용한 치과 실습용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3864호(2000.03.17) 선행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799428호(2017.11.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치아 모형부의 외부 노출이 가능하도록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의 스킨부를 갖는 치아모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악 모형부와 하악 모형부를 가지는 치아 모형부; 상기 상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상악 홀더부가 구비된 상악 조립체; 상기 하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하악 홀더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악 조립체로부터 회전되는 하악 조립체; 및 하측은 상기 하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상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치아 모형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을 갖는 스킨부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악 조립체는, 상기 상악 바디부; 상기 상악 바디부와 결합되며, 외측면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상악 스킨 고정돌기가 구비된 상악 홀더부; 상기 상악 스킨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상악 돌기 수용홀이 형성된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상악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상악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은 상기 상악 스킨 고정돌기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상악 스킨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상악 홀더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악 바디부는, 한 쌍을 이루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부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악 조립체에 구비된 회동 지지바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핀; 상기 지지 고정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동 지지바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는 각도 조절핀; 및 상기 지지 고정핀과 각도 조절핀을 연결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 고정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핀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위치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 조립체는, 외측면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하악 스킨 고정돌기가 구비된 하악 홀더부; 상기 하악 홀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회동 지지바; 상기 하악 스킨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하악 돌기 수용홀이 형성된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하악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하악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하부 고정홀은 상기 하악 스킨 고정돌기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하악 스킨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하악 홀더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악 조립체와 결합되며, 상기 상악 조립체를 대상물에 지지 고정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상악 조립체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설치 고정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클램프가 구비된 제2 설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에는 볼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상악 조립체는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의 가상의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 다양한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치아 모형부의 입벌림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고정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모형 고정장치에는 치아 모형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진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의 스킨부가 구비됨에 따라 실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양한 기구를 구강내로 삽입함에 있어, 스킨부로 인해 기구의 삽입 각도는 일정 각도 범위로 제한된다. 따라서, 치아모형 고정장치를 통해 실습하는 경우, 실제 치과 치료과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스킨 고정돌기에 삽입된 스킨부와 스킨부의 상부측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스킨 고정돌기에 삽입된 스킨부와 스킨부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설치 고정부로부터 상악 조립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스킨 고정돌기에 삽입된 스킨부와 스킨부의 상부측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스킨 고정돌기에 삽입된 스킨부와 스킨부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설치 고정부로부터 상악 조립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2 및 도 4에서는 장치의 구성 설명을 위해 치아 모형부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아모형 고정장치(1000)는 치아 모형부(100), 상악 조립체(200), 하악 조립체(300), 스킨부(400) 및 설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모형부(100)는 상악 모형부(110)와 하악 모형부(12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악 모형부(110)는 실습하고자 하는 치아의 상악 치아가 포함된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하악 모형부(120)는 실습하고자 하는 치아의 하악 치아가 포함된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아 모형부(100)는 치과 치료 실습을 위한 치아 모형으로, 사용자는 상악 모형부(110)를 상악 조립체(200)에 조립하고, 하악 모형부(120)를 하악 조립체(300)에 조립한 상태에서 다양한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악 조립체(200)는 상악 바디부(210), 상악 홀더부(220),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 및 상악 플레이트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바디부(210)는 하부에 구비되는 볼 헤드(511)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악 바디부(210)는 볼 헤드(511)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악 바디부(210)는 볼 헤드(511)의 가상의 수직선상(V)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악 바디부(210)는 지지 플레이트(211), 지지 고정핀(212), 각도 조절핀(213) 및 탄성 지지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211)는 한 쌍을 이루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이격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211) 사이에는 삽입 공간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공간부(201)에는 하악 조립체(300)에 구비되는 회동 지지바(3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11)에는 지지 고정핀(21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 고정홀(202)은 이동홀(203)을 통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홀(202)에는 후술될 각도 조절핀(213)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악 조립체(200)를 기준으로 하악 조립체(300)는 선택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악 모형부(110)와 하악 모형부(120)의 입이 다물어지거나 벌려지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플레이트(211)에는 3개의 위치 고정홀(202)이 형성되어, 교합 상태, 중간 벌림 상태 및 완전 벌림 상태의 3단계로 입 벌림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위치 고정홀(202)의 개수는 반드시 3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 5개 등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위치 고정홀(202)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211)에는 치아 모형부(100)의 현재 입벌림 정도 단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계 표시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표시부는 예를 들어 위치 고정홀(202)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위치 고정홀(202)의 일측에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및 5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 또는 문자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202) 중 어느 하나의 위치 고정홀(202)에 각도 조절핀(213)이 위치할 경우, 각도 조절핀(213)이 삽입되는 위치 고정홀(202)에 마련된 단계 표시부는 나머지 위치 고정홀(202)에 마련된 단계 표시부와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202) 중 각도 조절핀(213)이 삽입되는 위치 고정홀(202)에 마련된 단계 표시부는 검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나머지의 위치 고정홀(202)에 마련된 단계 표시부는 흰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계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는 치아 모형부(100)의 현재 입벌림 정도 단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지지 고정핀(212)은 회동 지지바(320)를 지지 플레이트(211)에 지지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지 고정핀(212)은 삽입 공간부(201)에 삽입되는 회동 지지바(320)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321)에 관통 삽입되어, 회동 지지바(320)를 지지 플레이트(211)에 지지 고정시킨다.
이러한 회동 지지바(320)는 지지 고정핀(2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고정핀(212)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321)은 정공홀 일 수 있다.
그리고 각도 조절핀(213)은 지지 고정핀(212)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각도 조절핀(213)은 지지 고정핀(212)과 함께 회동 지지바(320)를 지지 플레이트(211)에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도 조절핀(213)은 회동 지지바(320)에 형성된 제2 관통홀(322)에 관통 삽입되어, 회동 지지바(320)를 지지 플레이트(211)에 지지 고정시킨다. 이때, 제2 관통홀(322)은 장공홀로 이루어져, 하악 조립체(300)는 상악 조립체(200)를 기준으로 선택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 조절핀(213)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 고정홀(2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악 조립체(200)와 하악 조립체(3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 지지부(214)는 지지 고정핀(212)과 각도 조절핀(213)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부(214)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214)는 각도 조절핀(213)이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202) 중 요구되는 위치 고정홀(20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핀(213)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각도 위치에 하악 조립체(300)는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악 홀더부(220)는 상악 바디부(210)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악 홀더부(220)는 상악 모형부(11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악 홀더부(220)에는 상악 모형부(110)가 삽입되는 상부 모형 삽입부(221)가 마련되어, 상악 모형부(110)는 상부 모형 삽입부(2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모형 삽입부(221)에 삽입된 상악 모형부(110)는 예를 들어 노브 스크류(S)에 의해 상악 홀더부(22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악 모형부(110)와 상악 홀더부(220)는 노브 스크류(S)를 통해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악 모형부(110)와 상악 홀더부(220)에는 자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악 모형부(110)는 상악 홀더부(220)와의 자석 결합을 통해 상악 홀더부(220)에 결합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악 홀더부(220)와 상악 모형부(110)에는 위치 정렬 표시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렬 표시부는 예를 들어, 세로줄 형태로 상악 홀더부(220)와 상악 모형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위치 정렬 표시부를 통해 상악 홀더부(220)에 결합되는 상악 모형부(11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상악 홀더부(220)에 표시된 위치 정렬 표시부와 상악 모형부(110)에 표시된 위치 정렬 표시부를 얼라인시킴으로써, 상악 모형부(110)를 상악 홀더부(220)의 요구되는 안착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렬 표시부는 상악 모형부(110)와 상악 홀더부(22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악 홀더부(220)의 외측면 테두리에는 상악 스킨 고정돌기(222)가 구비된다. 이때, 상악 스킨 고정돌기(222)는 상악 홀더부(220)의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에는 상악 스킨 고정돌기(222)가 삽입되는 상악 돌기 수용홈(2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는 상악 홀더부(220)와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 사이에 개재되는 스킨부(40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는 상악 플레이트 고정부(240)가 상악 홀더부(220)에 결합되며,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를 상악 홀더부(220)에 고정시킴에 있어, 상악 홀더부(220)와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 사이에 개재되는 스킨부(400)를 가압하며 스킨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킨부(400)에는 상부 고정홀(4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고정홀(401)은 상악 스킨 고정돌기(22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스킨부(400)는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230)에 의해 상악 홀더부(220)에 밀착 가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킨부(400)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401)은 스킨부(400)의 결합 위치를 잡아주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킨부(400)의 상부측은 상악 조립체(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악 조립체(300)는 상악 조립체(200)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악 조립체(300)는 하악 홀더부(310), 회동 지지바(320),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 및 하악 플레이트 고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홀더부(310)는 하악 모형부(12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악 홀더부(310)에는 하악 모형부(120)가 삽입되는 하부 모형 삽입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하악 모형부(120)는 하악 모형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모형 삽입부에 삽입된 하악 모형부(120)는 상악 모형부(110)와 같이, 예를 들어 노브 스크류(S)에 의해 하악 홀더부(3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악 모형부(120)와 하악 홀더부(310)는 노브 스크류(S)를 통해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악 모형부(120)와 하악 홀더부(310)에는 자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하악 모형부(120)는 하악 홀더부(310)와의 자석 결합을 통해 하악 홀더부(310)에 결합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 홀더부(310)와 하악 모형부(120)에는 위치 정렬 표시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렬 표시부는 하악 홀더부(310)와 하악 모형부(12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는 위치 정렬 표시부를 통해 하악 홀더부(310)에 결합되는 하악 모형부(12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하악 홀더부(310)에 표시된 위치 정렬 표시부와 하악 모형부(120)에 표시된 위치 정렬 표시부를 얼라인시킴으로써, 하악 모형부(120)를 하악 홀더부(310)의 요구되는 안착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렬 표시부는 하악 모형부(120)와 하악 홀더부(31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악 홀더부(310)의 외측면 테두리에는 상악 홀더부(220)에서와 같이 하악 스킨 고정돌기(312)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악 스킨 고정돌기(312)는 하악 홀더부(310)의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에는 하악 스킨 고정돌기(312)가 삽입되는 하악 돌기 수용홈(331)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는 하악 홀더부(310)와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 사이에 개재되는 스킨부(40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는 하악 플레이트 고정부(340)가 하악 홀더부(310)에 결합되며,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를 하악 홀더부(310)에 고정시킴에 있어,하악 홀더부(310)와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 사이에 개재되는 스킨부(400)를 가압하며 스킨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킨부(400)에는 하부 고정홀(402)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고정홀(402)은 하악 스킨 고정돌기(31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스킨부(400)는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330)에 의해 하악 홀더부(310)에 밀착 가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킨부(400)에 형성된 하부 고정홀(402)은 스킨부(400)의 결합 위치를 잡아주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킨부(400)의 하부측은 하악 조립체(3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지지바(320)는 하악 홀더부(310)와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 지지바(320)에는 지지 고정핀(212)이 관통 삽입되는 제1 관통홀(321)과, 각도 조절핀(213)이 관통 삽입되는 제2 관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 지지바(320)는 상악 조립체(200)에 구비된 지지 고정핀(212)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스킨부(400)는 사람의 얼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킨부(400)는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와 질감이 유사한 실리콘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외 다양한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스킨부(400)는 상악 조립체(200)와 하악 조립체(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스킨부(400)에는 입 모양부(410)가 형성되어, 치아 모형부(100)만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양한 기구를 구강내로 삽입함에 있어, 입 모양부(410)가 형성된 얼굴 형상의 스킨부(400)로 인해 기구의 삽입 각도는 일정 각도 범위로 구속된다. 이에, 실제 치과 치료를 하는 과정과 동일한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모형 고정장치(1000)를 통해 이루어지는 치과 실습의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스킨부(400)는 상악 조립체(200)와 하악 조립체(30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입 모양부(410)의 크기도 함께 조절이 되기에, 실제 치과 치료 상황과 동일한 조건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설치부(500)는 상악 조립체(200)와 결합되어, 상악 조립체(200)를 대상물에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상물은 예를 들어, 책상, 선반, 작업대 등 다양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부(500)는 제1 설치 고정부(510)와 제2 설치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치 고정부(510)는 상악 조립체(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 설치 고정부(510)에는 볼 헤드(511)가 구비되어, 상악 조립체(200)는 제1 설치 고정부(510)의 가상의 수직선상(V)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킨부(400)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하며, 다양한 조건에서 치과 치료를 실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설치 고정부(520)의 일단부는 제1 설치 고정부(5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설치 고정부(520)의 타단부에는 클램프(521)가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521)는 다양한 대상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아모형 고정장치(1000)에는 설치부(50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클램프(521)를 대상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치과 치료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치아 모형부
110: 상악 모형부
120: 하악 모형부
200: 상악 조립체
201: 삽입 공간부
202: 위치 고정홀
203: 이동홀
210: 상악 바디부
211: 지지 플레이트
212: 지지 고정핀
213: 각도 조절핀
214: 탄성 지지부
220: 상악 홀더부
221: 상부 모형 삽입부
222: 상악 스킨 고정돌기
230: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231: 상악 돌기 수용홈
240: 상악 플레이트 고정부
300: 하악 조립체
310: 하악 홀더부
312: 하악 스킨 고정돌기
320: 회동 지지바
321: 제1 관통홀
322: 제2 관통홀
330: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331: 하악 돌기 수용홈
340: 하악 플레이트 고정부
400: 스킨부
401: 상부 고정홀
402: 하부 고정홀
410: 입 모양부
500: 설치부
510: 제1 설치 고정부
511: 볼 헤드
520: 제2 설치 고정부
521: 클램프
1000: 치아모형 고정장치

Claims (10)

  1. 상악 모형부와 하악 모형부를 가지는 치아 모형부;
    상기 상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상악 홀더부가 구비된 상악 조립체;
    상기 하악 모형부를 고정시키는 하악 홀더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악 조립체로부터 회전되는 하악 조립체; 및
    하측은 상기 하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상악 조립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치아 모형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입 모양부가 형성된 얼굴 형상을 갖는 스킨부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조립체는,
    상기 상악 바디부;
    상기 상악 바디부와 결합되며, 외측면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상악 스킨 고정돌기가 구비된 상악 홀더부;
    상기 상악 스킨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상악 돌기 수용홀이 형성된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상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상악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상악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은 상기 상악 스킨 고정돌기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상악 스킨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상악 홀더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바디부는,
    한 쌍을 이루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부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악 조립체에 구비된 회동 지지바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핀;
    상기 지지 고정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동 지지바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는 각도 조절핀; 및
    상기 지지 고정핀과 각도 조절핀을 연결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 고정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 고정홀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핀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위치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악 조립체와 하악 조립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조립체는,
    외측면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하악 스킨 고정돌기가 구비된 하악 홀더부;
    상기 하악 홀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회동 지지바;
    상기 하악 스킨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하악 돌기 수용홀이 형성된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하악 스킨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하악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하악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하부 고정홀은 상기 하악 스킨 고정돌기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하악 스킨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하악 홀더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조립체와 결합되며, 상기 상악 조립체를 대상물에 지지 고정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상악 조립체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설치 고정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클램프가 구비된 제2 설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에는 볼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상악 조립체는 상기 제1 설치 고정부의 가상의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치아 모형부의 입벌림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 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장치.
KR1020210001335A 2021-01-06 2021-01-06 치아모형 고정장치 KR10248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35A KR102483337B1 (ko) 2021-01-06 2021-01-06 치아모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35A KR102483337B1 (ko) 2021-01-06 2021-01-06 치아모형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88A true KR20220099288A (ko) 2022-07-13
KR102483337B1 KR102483337B1 (ko) 2023-01-02

Family

ID=8240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35A KR102483337B1 (ko) 2021-01-06 2021-01-06 치아모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3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64Y1 (ko) 1999-12-31 2000-06-01 경희문 간이 치아모형 고정대
JP3835597B2 (ja) * 2001-09-21 2006-10-18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咬合器、これを用いた歯科頭部模型、歯科実習台
KR101799428B1 (ko) 2015-10-30 2017-1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실습 장치, 치아 모형 및 그 제어 방법
JP6374181B2 (ja) * 2014-02-24 2018-08-15 学校法人神奈川歯科大学 歯科用マネキン
KR102161003B1 (ko) * 2019-06-14 2020-09-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모형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64Y1 (ko) 1999-12-31 2000-06-01 경희문 간이 치아모형 고정대
JP3835597B2 (ja) * 2001-09-21 2006-10-18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咬合器、これを用いた歯科頭部模型、歯科実習台
JP6374181B2 (ja) * 2014-02-24 2018-08-15 学校法人神奈川歯科大学 歯科用マネキン
KR101799428B1 (ko) 2015-10-30 2017-1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실습 장치, 치아 모형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1003B1 (ko) * 2019-06-14 2020-09-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모형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337B1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4377A (en) Device for aligning artificial teeth and crowns
Lee Jaw movements engraved in solid plastic for articulator controls. Part I. Recording apparatus
Nagy et al. Facebow use in clinical prosthodontic practice
WO2016182214A1 (ko) 인공치아 교합기
BRPI0904212A2 (pt) equipamento de posicionamento e reposicionamento rápido e simples das arcadas, sem utilização de gesso, que permite a simulação do movimento mandibular e respectivo método de operação
Brewka Pantographic evaluation of cephalometric hinge axis
Nagy et al. Accuracy of a predetermined transverse horizontal mandibular axis point
Hicks et al. Recording condylar movement with two facebow systems
US8235727B2 (en) Dental articulator with endodontic module
US5586884A (en) Dental articulator
Hickey et al. A new articulator for use in teaching and general dentistry
KR102483337B1 (ko) 치아모형 고정장치
JP6332733B2 (ja) 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フェイスボウ
US7220123B1 (en) Device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KR101918665B1 (ko) 치아 모형물 고정용 지그
US20080254422A1 (en) Dental articulator with endodontic module
US20110136073A1 (en) Dental measuring device
US20220304783A1 (en) Dental model and articulator
KR100332514B1 (ko)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JPH0746949Y2 (ja) 咬合器並びに歯科実習用頭部マネキン
CN211294427U (zh) 牙线使用指导模型
Daher et al. Predictable Technique to Register Retruded Contact Position (RCP) Using a Disposable Jaw Relation Recording Device.
KR102519986B1 (ko)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RU220029U1 (ru) Фантомная модель для отработки мануальных навыков врачом-стоматологом
CN113077696B (zh) 一种医用口腔正畸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