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19A - 안구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안구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19A
KR20220099219A KR1020210001168A KR20210001168A KR20220099219A KR 20220099219 A KR20220099219 A KR 20220099219A KR 1020210001168 A KR1020210001168 A KR 1020210001168A KR 20210001168 A KR20210001168 A KR 20210001168A KR 20220099219 A KR20220099219 A KR 2022009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smartphone
shaft
attache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203B1 (ko
Inventor
윤희준
Original Assignee
윤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준 filed Critical 윤희준
Priority to KR102021000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203B1/ko
Priority to JP2023541547A priority patent/JP7495579B2/ja
Priority to PCT/KR2021/018187 priority patent/WO2022149731A1/ko
Publication of KR2022009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203B1/ko
Priority to US18/218,702 priority patent/US202400090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탠드(10)의 기둥(11) 상단에 기어드 모터(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이 회전 아암(3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31)이 끼워져 연결되며,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에 연결축(35)이 출력축(21)과 평행하게 장착되고, 연결축(35)이 밸런스추(40)의 상부 수평 축구멍(41)에 베어링(50)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40)의 정면에 자석(60)이 장착되고, 자석(60)에 스마트폰(70)의 케이스(75)에 부착된 철판(7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구운동장치{APPARATUS FOR EXERCISING EYEBALL}
본 발명은 안구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의 기둥 상단에 기어드 모터가 장착되고, 아암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때, 아암의 자유단에 형성된 연결축에 밸런스추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밸런스추의 자석에 부착된 스마트폰의 화면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폰이 자석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계속해서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안구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075499호(2020년 2월 4일, 등록)에 "안구운동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안구운동장치는 복수개의 시선유도판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시선유도판이 배치되고, 사용자의 안구와 시선유도판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좌측 시선유도판과 우측 시선유도판의 간격이 조정되며, 사용자의 눈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시선유도판과, 사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시선유도판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안구와 중앙 시선유도판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상부 시선유도판과 하부 시선유도판의 간격이 조정되며, 상기 시선유도판은 스탠드에 장착되며, 배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스탠드 지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시선유도판은 정면에 LED 모듈이 장착되며, LED 모듈의 작동이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LED 모듈에 의해 정면에 숫자가 표시됨으로써, LED 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숫자 순서로 안구를 움직여,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안구운동장치는 스마트 폰을 보는 것과 안구운동을 연계시키기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암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때, 아암의 자유단에 형성된 연결축에 밸런스추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밸런스추의 자석에 부착된 스마트폰의 화면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폰이 자석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계속해서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안구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이 회전 뿐만 아니라 좌우, 상하 및 사선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스마트 폰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회전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 및 사선 방향으로 안구운동을 할 수 있는 안구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의 기둥 상단에 기어드 모터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 아암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이 끼워져 연결되며, 회전 아암의 자유단에 연결축이 출력축과 평행하게 장착되고, 연결축이 밸런스추의 상부 수평 축구멍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의 정면에 자석이 장착되고, 자석에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드 모터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고, 출력축이 저속으로 회전되고, 출력축이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런스추는 상부 수평 축구멍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장착되고, 베어링에 아암의 연결축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밸런스추의 자석에 스마트폰이 부착된 상태에서, 아암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면, 아암의 연결축이 밸런스추의 상부 수평 축구멍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져 있어, 밸런스추가 뭉치 웨이트부에 의해 연결축의 배치위치에 따라 연결축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언제나 밸런스추는 뭉치 웨이트부가 상부 수평 축구멍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밸런스추의 자석에 부착된 스마트폰의 부착 상태가 아암의 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기울어지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다른 예는 스탠드의 외팔보에 회전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 샤프트의 선단에 회전 아암의 연결단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 아암의 자유단이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아암의 내부에 리니어 스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와 이송 너트가 장착되고, 이송 너트에 연결축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축의 타단이 밸런스추의 상부 수평 축구멍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의 정면에 자석이 장착되고, 자석에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이 부착되고, 회전 샤프트의 후단에 종동 풀리가 장착되며, 스탠드의 받침대의 내부에 기어드 모터가 배치되고,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에 구동풀리가 장착되고, 구동풀리와 종동 풀리가 벨트에 의해 연결되며, 외팔보의 선단에 통전수단의 고정링이 장착되고, 고정링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슬립링이 아암에 결합되고, 고정링의 접속부에 슬립링의 접촉단자가 접속되어, 통전수단을 통해 전원이 리니어 스텝 모터로 공급되고, 스탠드의 받침대에 콘트롤러와 기어드 모터가 각각 배치되고, 콘트롤러가 전선을 통해 통전장치의 고정링과 기어드 모터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도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아암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아암에 배치된 볼 스크류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이 세워지면, 회전 아암에 배치된 볼 스크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이 대각선으로 배치되면, 회전 아암에 배치된 볼 스크류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또 다른 예는 스탠드의 기둥 상단에 기어드 모터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받침대가 장착되고, 회전 받침대에 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하우징의 중심부가 장착되고, 박스 하우징의 내부에 벨트와 풀리 수단이 배치되고, 박스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절개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벨트에 이송 받침대가 결합되고, 이송 받침대의 수직 받침판부의 중앙에 연결축의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고, 연결축이 밸런스추의 상부 수평 축구멍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의 정면에 자석이 장착되고, 자석에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회전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하우징은 일단에 벨트와 풀리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모터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되며, 밸런스 웨이트의 내부에 배터리 소켓이 배치되고, 배터리 소켓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감속모터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절개부가 형성된 측면에 제 1 및 제 2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감지센서가 이송 받침대를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받침대는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판부와, 결합판부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상단에서 굴절되는 상부 수평부와, 상부 수평부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 받침판부와, 수직 받침판부의 중앙에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런스추는 상부 수평 축구멍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장착되고, 베어링에 연결축이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수 있고, 박스 하우징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 및 이송 받침대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박스 하우징이 세워진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 및 이송 받침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박스 하우징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 및 이송 받침대에 의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운동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또 다른 예는 스탠드의 기둥 상단에 기어드 모터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에 박스 하우징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축연결부에 연결되고, 박스 하우징의 내부에 래크와 피니언이 배치되고, 피니언이 스탭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스탭모터에 배터리 케이스가 장착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에서 스탭모터로 전원이 인가되고, 박스 하우징의 측면부에 절개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스탭모터의 샤프트가 피니언 및 박스 하우징의 절개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스탭모터의 샤프트가 밸런스추의 상부 수평 축구멍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의 정면에 자석이 장착되고, 자석에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회전 또는 박스 하우징의 절개부를 따라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상기 밸런스추는 상부 수평 축구멍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장착되고, 베어링에 샤프트가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는 동안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따라 회전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 및 사선 방향으로 안구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회전 아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스마트폰 부착을 위해 벨트장치에 받침대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박스 하우징에 래크와 피니언이 장착되고, 스마트폰 부착을 위해 밸런스추가 스텝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10)의 기둥(11) 상단에 기어드 모터(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이 회전 아암(3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31)이 끼워져 연결되며,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에 연결축(35)이 출력축(21)과 평행하게 장착되고, 연결축(35)이 밸런스추(40)의 상부 수평 축구멍(41)에 베어링(50)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40)의 정면에 자석(60)이 장착되고, 자석(60)에 스마트폰(70)의 케이스(75)에 부착된 철판(76)이 부착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20)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고, 출력축(21)이 저속으로 회전되고, 출력축이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추(40)는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4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50)이 장착되고, 베어링(50)에 회전 아암(30)의 연결축(35)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밸런스추(40)의 자석(60)에 스마트폰(70)이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면, 회전 아암(30)의 연결축(35)이 밸런스추(40)의 상부 수평 축구멍(41)에 베어링(50)을 통해 끼워져 있어, 밸런스추(40)가 뭉치 웨이트부(42)에 의해 연결축(35)의 배치위치에 따라 연결축(35)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언제나 밸런스추(40)는 뭉치 웨이트부(42)가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밸런스추(40)의 자석(60)에 부착된 스마트폰(70)의 부착 상태가 회전 아암(30)의 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기울어지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때, 밸런스추(40)의 자석(60)에 부착된 스마트폰(70)의 화면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폰(70)이 자석(60)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계속해서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70)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의 위치에서 스마트폰(70)이 세워진 상태로 자석(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아암(30)이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90도 회전하여 b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도 밸런스추(40)에 의해 스마트폰(70)이 세워진 상태를 계속하게 유지하게 되고, 회전 아암(30)이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45도 더 회전하여 c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도 밸런스추(40)에 의해 스마트폰(70)이 세워진 상태를 계속하게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자석에 부착되는 것이 스마트폰으로 언급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안구운동을 위한 지시판 또는 영상기기 등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대신에 이러한 안구운동을 위한 지시판 또는 영상기기를 자석에 부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210)의 외팔보(213)에 회전 샤프트(2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 샤프트(220)의 선단에 회전 아암(230)의 연결단(231)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232)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아암(230)의 내부에 리니어 스텝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242)와 이송 너트(243)가 장착되고, 이송 너트(243)에 연결축(245)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축(245)의 타단이 밸런스추(250)의 상부 수평 축구멍(251)에 베어링(252)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250)의 정면에 자석(255)이 장착되고, 자석(255)에 스마트폰(3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311)이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회전 샤프트(220)의 후단에 종동 풀리(265)가 장착되며, 스탠드(210)의 받침대(211)의 내부에 기어드 모터(261)가 배치되고, 기어드 모터(261)의 출력축(262)에 구동풀리(263)가 장착되고, 구동풀리(263)와 종동 풀리(265)가 벨트(264)에 의해 연결되며, 외팔보(213)의 선단에 통전수단(270)의 고정링(271)이 장착되고, 고정링(271)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슬립링(273)이 아암(230)에 결합되고, 고정링(271)의 접속부(272)에 슬립링(273)의 접촉단자(274)가 접속되어, 통전수단(270)을 통해 전원이 리니어 스텝 모터(241)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210)의 받침대(211)에 콘트롤러(281)와 기어드 모터(261)가 각각 배치되고, 콘트롤러(281)가 전선(282, 283)을 통해 통전장치(270)의 고정링(271)과 기어드 모터(26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261)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고, 출력축(21)이 저속으로 회전되고, 출력축이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추(250)는 상부 수평 축구멍(25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253)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25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252)이 장착되고, 베어링(252)에 연결축(245)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기어드 모터(261)의 동력이 풀리(263, 265)와 벨트(264)를 통해 회전 샤프트(220)로 전달되고, 회전 샤프트(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232)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에 배치되는 스마트폰(300)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360도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에 배치된 연결축(245)이 밸런스추(250)의 상부 수평 축구멍(251)에 베어링(252)을 통해 끼워져 있어, 밸런스추(250)가 뭉치 웨이트부(253)에 의해 연결축(245)의 배치위치에 따라 연결축(245)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언제나 밸런스추(250)는 뭉치 웨이트부(4253)가 상부 수평 축구멍(25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밸런스추(250)의 자석(255)에 부착된 스마트폰(300)의 부착 상태가 회전 아암(230)의 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기울어지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때, 밸런스추(250)의 자석(255)에 부착된 스마트폰(300)의 화면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폰(300)이 자석(60)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계속해서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300)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 아암(230)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하지만, 통전수단(270)을 통해 전원이 리니어 스텝 모터(241)로 공급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아암(230)이 좌측으로 수평한 (a) 위치에 배치되면, 리니어 스텝 모터(241)에 의해 볼 스크류(242)가 정회전하게 되어, 이송 너트(243)가 볼 스크류(242)를 따라 화살표(235) 방향과 같이 회전 아암(230)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300)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안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후, 리니어 스텝 모터(241)에 의해 볼 스크류(242)가 역회전하게 되어, 이송 너트(243)가 볼 스크류(242)를 따라 회전 아암의 안쪽에서 외측으로 화살표(235)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30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300)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후, 회전 아암(230)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90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전 아암(230)이 세워져, 스마트폰(300)이 (b)위치인 회전 아암(230)의 상단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이후, 회전 아암(230)이 세워진 상태에서, 리니어 스텝 모터(241), 볼 스크류(242) 및 이송 너트(243)에 의해 스마트폰(300)이 화살표(337) 방향과 같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300)을 따라 상하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아암(230)이 직각이 아닌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30, 45, 또는 60도중 어느 한 각도)만큼 각회전한 상태에서, 리니어 스텝 모터(241), 볼 스크류(242) 및 이송 너트(243)에 의해 스마트폰(300)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30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410)의 기둥(411) 상단에 기어드 모터(4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420)의 출력축(421)에 회전 받침대(430)가 장착되고, 회전 받침대(430)에 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하우징(440)의 중심부가 장착되고, 박스 하우징(440)의 내부에 벨트와 풀리 수단(450)이 배치되고, 박스 하우징(440)의 어느 한 측면(441)에 절개부(442)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벨트(452)에 이송 받침대(460)가 결합되고, 이송 받침대(460)의 수직 받침판부(464)의 중앙에 연결축(465)의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고, 연결축(465)이 밸런스추(470)의 상부 수평 축구멍(471)에 베어링(475)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470)의 정면에 자석(480)이 장착되고, 자석(480)에 스마트폰(5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510)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5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회전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420)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고, 출력축(21)이 저속으로 회전되고, 출력축이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박스 하우징(440)은 일단에 벨트와 풀리 수단(450)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모터(455)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런스 웨이트(445)가 장착되며, 밸런스 웨이트(445)의 내부에 배터리 소켓(더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배터리 소켓에 장착되는 배터리(더시하지 않음)가 감속모터(455)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절개부(442)가 형성된 측면(441)에 제 1 및 제 2 감지센서(491, 492)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감지센서(491, 492)가 이송 받침대(460)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센서(491, 492)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터치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벨트와 풀리 수단(450)은 박스 하우징(440)의 일단과 타단에 구동 풀리(451)와 종동 풀리(453)가 각각 배치되고, 벨트(452)가 구동 풀리(451)와 종동 풀리(453)에 걸리고, 감속모터(455)에 의해 구동풀리(451)가 구동되어, 벨트가 구동풀리(451)와 종동 풀리 사이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 받침대(460)는 벨트(452)에 결합되는 결합판부(461)와, 결합판부(461)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부(462)와, 수직부(462)의 상단에서 굴절되는 상부 수평부(463)와, 상부 수평부(463)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 받침판부(464)와, 수직 받침판부(464)의 중앙에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는 연결축(4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런스추(470)는 상부 수평 축구멍(47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47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47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475)이 장착되고, 베어링(475)에 연결축(465)이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480)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박스 하우징(440)의 양 단부가 기어드 모터(420)의 출력축(4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면, 이송 받침대(460)의 연결축(465)이 밸런스추(470)의 상부 수평 축구멍(471)에 베어링(475)을 통해 끼워져 있어, 밸런스추(470)가 뭉치 웨이트부(472)에 의해 연결축(465)의 배치위치에 따라 연결축(465)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언제나 밸런스추(470)는 뭉치 웨이트부(472)가 상부 수평 축구멍(47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밸런스추(470)의 자석(480)에 부착된 스마트폰(500)의 부착 상태가 박스 하우징(440)의 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기울어지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밸런스추(470)의 자석(480)에 부착된 스마트폰(500)의 화면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폰(500)이 자석(480)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계속해서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폰(500)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박스 하우징(44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감속모터(455)의 동력이 구동풀리(451)로 전달되어, 벨트(452)에 장착된 이송 받침대(460)가 제 1 감지센서(491)와 제 2 감지센서(492) 사이를 좌에서 우로 그리고 우에서 좌로 천천히 좌우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이송 받침대(460)에 장착된 스마트폰(5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500)을 따라 화살표(515) 방향과 같이 좌우로 움직여 운동을 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이후, 박스 하우징(440)이 90도 회전하게 되면, 박스 하우징(440)이 세워져, 스마트폰(500)이 (b)위치인 박스 하우징(440)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후, 박스 하우징(440)이 세워진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벨트와 풀리 수단(470)에 의해 스마트폰(500)이 화살표(517) 방향과 같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500)을 따라 상하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더 나아가, 박스 하우징(440)이 직각이 아닌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30, 45, 또는 60도중 어느 한 각도)만큼 각회전한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470)에 의해 스마트폰(500)이 화살표(520)과 같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50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스탠드(610)의 기둥(611) 상단에 기어드 모터(6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620)의 출력축(621)에 박스 하우징(630)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축연결부(631)에 연결되고, 박스 하우징(630)의 내부에 래크(640)와 피니언(645)이 배치되고, 피니언(645)이 스탭모터(650)에 의해 구동되고, 스탭모터(650)에 배터리 케이스(655)가 장착되어, 배터리 케이스(655)의 배터리에서 스탭모터(650)로 전원이 인가되고, 박스 하우징(630)의 측면부에 절개부(631)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스탭모터(650)의 샤프트(651)가 피니언(645) 및 박스 하우징(630)의 절개부(631)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스탭모터(650)의 샤프트(651)가 밸런스추(660)의 상부 수평 축구멍(661)에 베어링(465)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660)의 정면에 자석(670)이 장착되고, 자석(670)에 스마트폰(7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710)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7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700)을 따라 회전 또는 박스 하우징(630)의 절개부(631)를 따라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밸런스추(660)는 상부 수평 축구멍(66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66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66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665)이 장착되고, 베어링(665)에 샤프트(651)가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670)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스마트폰(500)이 기어드 모터(620)의 출력축(6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하거나, 박스 하우징(440)이 수평, 수직 또는 사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래크(640)와 피니언(645)에 의해 좌우, 상하, 및 사선으로 천천히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5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500)을 따라 회전, 좌우, 상하 및 사선으로 움직여 운동을 하게 된다.
10 : 스탠드 20 : 기어드 모터
30 : 회전 아암 40 : 밸런스추
50 : 베어링 60 : 자석
70 : 스마트폰

Claims (13)

  1. 스탠드(10)의 기둥(11) 상단에 기어드 모터(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이 회전 아암(3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31)이 끼워져 연결되며,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에 연결축(35)이 출력축(21)과 평행하게 장착되고, 연결축(35)이 밸런스추(40)의 상부 수평 축구멍(41)에 베어링(50)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40)의 정면에 자석(60)이 장착되고, 자석(60)에 스마트폰(70)의 케이스(75)에 부착된 철판(76)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20)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고, 출력축(21)이 저속으로 회전되고, 출력축이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추(40)는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4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50)이 장착되고, 베어링(50)에 회전 아암(30)의 연결축(35)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밸런스추(40)의 자석(60)에 스마트폰(70)이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 아암(30)의 자유단이 기어드 모터(20)의 출력축(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면, 회전 아암(30)의 연결축(35)이 밸런스추(40)의 상부 수평 축구멍(41)에 베어링(50)을 통해 끼워져 있어, 밸런스추(40)가 뭉치 웨이트부(42)에 의해 연결축의 배치위치(35)에 따라 연결축(35)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언제나 밸런스추(40)는 뭉치 웨이트부(42)가 상부 수평 축구멍(4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밸런스추(40)의 자석(60)에 부착된 스마트폰(70)의 부착 상태가 히전 아암(30)의 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기울어지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마트 폰(70)의 화면을 보면서 안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5. 스탠드(210)의 외팔보(213)에 회전 샤프트(2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 샤프트(220)의 선단에 회전 아암(230)의 연결단(231)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 아암(230)의 자유단(232)이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아암(230)의 내부에 리니어 스텝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242)와 이송 너트(243)가 장착되고, 이송 너트(243)에 연결축(245)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축(245)의 타단이 밸런스추(250)의 상부 수평 축구멍(251)에 베어링(252)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250)의 정면에 자석(255)이 장착되고, 자석(255)에 스마트폰(3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311)이 부착되고,
    회전 샤프트(220)의 후단에 종동 풀리(265)가 장착되며, 스탠드(210)의 받침대(211)의 내부에 기어드 모터(261)가 배치되고, 기어드 모터(261)의 출력축(262)에 구동풀리(263)가 장착되고, 구동풀리(263)와 종동 풀리(265)가 벨트(264)에 의해 연결되며, 외팔보(213)의 선단에 통전수단(270)의 고정링(271)이 장착되고, 고정링(271)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슬립링(273)이 아암(230)에 결합되고, 고정링(271)의 접속부(272)에 슬립링(273)의 접촉단자(274)가 접속되어, 통전수단(270)을 통해 전원이 리니어 스텝 모터(241)로 공급되고,
    스탠드(210)의 받침대(211)에 콘트롤러(281)와 기어드 모터(261)가 각각 배치되고, 콘트롤러(281)가 전선(282, 283)을 통해 통전장치(270)의 고정링(271)과 기어드 모터(261)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00)은 회전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360도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아암(23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아암(230)에 배치된 볼 스크류(242)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230)이 세워지면, 회전 아암(230)에 배치된 볼 스크류(24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230)이 대각선으로 배치되면, 회전 아암(230)에 배치된 볼 스크류(242)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300)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7. 스탠드(410)의 기둥(411) 상단에 기어드 모터(4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420)의 출력축(421)에 회전 받침대(430)가 장착되고, 회전 받침대(430)에 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하우징(440)의 중심부가 장착되고, 박스 하우징(440)의 내부에 벨트와 풀리 수단(450)이 배치되고, 박스 하우징(440)의 어느 한 측면(441)에 절개부(442)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벨트(452)에 이송 받침대(460)가 결합되고, 이송 받침대(460)의 수직 받침판부(464)의 중앙에 연결축(465)의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고, 연결축(465)이 밸런스추(470)의 상부 수평 축구멍(471)에 베어링(475)을 통해 끼워지며, 밸런스추(470)의 정면에 자석(480)이 장착되고, 자석(480)에 스마트폰(5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510)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5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을 따라 회전 또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하우징(440)은 일단에 벨트와 풀리 수단(450)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모터(455)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런스 웨이트(445)가 장착되며, 밸런스 웨이트(445)의 내부에 배터리 소켓(446)이 배치되고, 배터리 소켓(446)에 장착되는 배터리(447)가 감속모터(455)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절개부(442)가 형성된 측면(441)에 제 1 및 제 2 감지센서(491, 492)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감지센서(491, 492)가 이송 받침대(460)를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받침대(460)는 벨트(452)에 결합되는 결합판부(461)와, 결합판부(461)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부(462)와, 수직부(462)의 상단에서 굴절되는 상부 수평부(463)와, 상부 수평부(463)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 받침판부(464)와, 수직 받침판부(464)의 중앙에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는 연결축(46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추(470)는 상부 수평 축구멍(47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47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47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475)이 장착되고, 베어링(475)에 연결축(465)이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48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500)은 기어드 모터(420)의 출력축(421)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원운동을 할 수 있고, 박스 하우징(44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450) 및 이송 받침대(46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박스 하우징(440)이 세워진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450) 및 이송 받침대(4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박스 하우징(440)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와 풀리 수단(450) 및 이송 받침대(460)에 의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500)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12. 스탠드(610)의 기둥(611) 상단에 기어드 모터(620)가 장착되고, 기어드 모터(620)의 출력축(621)에 박스 하우징(630)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축연결부(631)에 연결되고, 박스 하우징(630)의 내부에 래크(640)와 피니언(645)이 배치되고, 피니언(645)이 스탭모터(650)에 의해 구동되고, 스탭모터(650)에 배터리 케이스(655)가 장착되어, 배터리 케이스(655)의 배터리에서 스탭모터(650)로 전원이 인가되고, 박스 하우징(630)의 측면부에 절개부(631)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스탭모터(650)의 샤프트(651)가 피니언(645) 및 박스 하우징(630)의 절개부(631)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스탭모터(650)의 샤프트(651)가 밸런스추(660)의 상부 수평 축구멍(661)에 베어링(465)을 통해 끼워지고, 밸런스추(660)의 정면에 자석(670)이 장착되고, 자석(670)에 스마트폰(700)의 케이스에 부착된 철판(710)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700)의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구가 스마트폰(700)을 따라 회전 또는 박스 하우징(630)의 절개부(631)를 따라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추(660)는 상부 수평 축구멍(661)의 하부에 뭉치 웨이트부(662)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 축구멍(661)의 내부에 복수개의 베어링(665)이 장착되고, 베어링(665)에 샤프트(651)가 끼워지고, 정면에 자석(67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치.
KR1020210001168A 2021-01-06 2021-01-06 안구운동장치 KR10251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68A KR102514203B1 (ko) 2021-01-06 2021-01-06 안구운동장치
JP2023541547A JP7495579B2 (ja) 2021-01-06 2021-12-03 眼球運動装置
PCT/KR2021/018187 WO2022149731A1 (ko) 2021-01-06 2021-12-03 안구운동장치
US18/218,702 US20240009065A1 (en) 2021-01-06 2023-07-06 Eye mov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68A KR102514203B1 (ko) 2021-01-06 2021-01-06 안구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19A true KR20220099219A (ko) 2022-07-13
KR102514203B1 KR102514203B1 (ko) 2023-03-24

Family

ID=823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68A KR102514203B1 (ko) 2021-01-06 2021-01-06 안구운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9065A1 (ko)
KR (1) KR102514203B1 (ko)
WO (1) WO20221497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672A (ja) *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力回復訓練装置
JP2009153658A (ja) * 2007-12-26 2009-07-16 Hollywood Mirror:Kk 視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装置
CN110200789A (zh) * 2019-06-01 2019-09-06 张禧 能引导眼部运动的视力保健装置
KR102075499B1 (ko) * 2019-07-24 2020-02-10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CN112137850A (zh) * 2020-09-14 2020-12-29 湖南师范大学 一种视力康复用眼外肌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67B1 (ko) * 2007-07-11 2009-02-1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통화자 얼굴 추적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및이동통신단말기
JP2018057624A (ja) * 2016-10-06 2018-04-12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表示・伝達ロボット
CN106667732A (zh) * 2017-03-08 2017-05-1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全自动眼球训练仪及其使用方法
KR102075508B1 (ko) * 2019-07-24 2020-02-10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672A (ja) *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力回復訓練装置
JP2009153658A (ja) * 2007-12-26 2009-07-16 Hollywood Mirror:Kk 視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装置
CN110200789A (zh) * 2019-06-01 2019-09-06 张禧 能引导眼部运动的视力保健装置
KR102075499B1 (ko) * 2019-07-24 2020-02-10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CN112137850A (zh) * 2020-09-14 2020-12-29 湖南师范大学 一种视力康复用眼外肌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203B1 (ko) 2023-03-24
WO2022149731A1 (ko) 2022-07-14
JP2024502603A (ja) 2024-01-22
US20240009065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8042C (zh) 测量器件,利用其测量物体的方法及测量和加工设备
US8081432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6354167B1 (en) Scara type robot with counterbalanced arms
CN207371798U (zh) 视觉r轴旋转喷射点胶系统
CN108356794A (zh) 控制装置及机器人系统
JP2009153658A (ja) 視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装置
CN108468925A (zh) 集成式教学信息管理平台
CN212163541U (zh) 一种拍摄距离可调的立体拍照装置
CN217277810U (zh) 一种柔性可自全方位检测的视觉检测装置
KR20220099219A (ko) 안구운동장치
CN105067618A (zh) 一种多株植物生长双目视觉监测系统
JP7495579B2 (ja) 眼球運動装置
CN108869996A (zh) 机器人投影装置及其教育机器人
KR200244781Y1 (ko) 골프스윙 연습기
CN2883271Y (zh) 平板搬运装置
CN101793504B (zh) 带有激光测距探头的物体三维轮廓测量仪
CN209373014U (zh) 一种汽车显示屏用检测装置
CN208224602U (zh) 光学组件的驱动装置
CN217132521U (zh) 光学防抖测试装置以及光学防抖测试仪
CN201555565U (zh) 物体三维轮廓测量仪用升降机构
CN109521031A (zh) 一种平板状产品的外观检测装置
CN220233987U (zh) 一种电力线带电作业巡检装置
CN2462415Y (zh) 一种三维激光扫描仪
CN211121197U (zh) 一种水平尺的铅垂精度调整设备
CN115508059B (zh) 多功能光学实验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