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035A -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 Google Patents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035A
KR20220099035A KR1020210001074A KR20210001074A KR20220099035A KR 20220099035 A KR20220099035 A KR 20220099035A KR 1020210001074 A KR1020210001074 A KR 1020210001074A KR 20210001074 A KR20210001074 A KR 20210001074A KR 20220099035 A KR20220099035 A KR 2022009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fastening handle
handle
quick coup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312B1 (ko
Inventor
임옥택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3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는 제1디스크를 구비하는 제1몸체;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몸체에 부분 수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되, 지지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2디스크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디스크를 밀거나 당겨 전후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개폐손잡이;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의 돌출부가 상기 제2몸체 외주면에 밀착 또는 상기 제2몸체 외주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몸체를 물어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한 쌍의 체결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quick coupling with fastening handle}
본 발명은 퀵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회전에 의한 조임에 의해 일 몸체와 다른 몸체가 결합됨으로써 몸체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유체, 예컨대 연료유 또는 연료가스의 이송을 위하여 관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관체 하나의 길이는 한정되 있으므로 복수 개의 관체를 전후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있다.
여기서, 관체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의 연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4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커플링'이 있다.
'커플링'은 이분된 몸체를 포함하는바, 일 관체 선단에 어느 하나 몸체를 결합하고, 다른 일 관체 선단에 다른 하나 몸체를 결합한 후 어느 하나 몸체와 다른 하나 몸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관체의 전후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통상의 커플링은 어느 하나 몸체와 다른 하나 몸체가 나선 물림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었던바, 나선 물림을 위하여 몸체와 몸체가 서로 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 몸체를 회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몸체 상에서 볼트를 회전시켜야만 했으므로 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관체 연결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나선 물림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몸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플링은 나선 물림이 미흡하거나 볼트 체결이 미흡함에 따라 몸체 간의 연결 부위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므로 유체 누출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몸체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몸체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는 제1디스크를 구비하는 제1몸체;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몸체에 부분 수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되, 지지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2디스크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디스크를 밀거나 당겨 전후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개폐손잡이;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의 돌출부가 상기 제2몸체 외주면에 밀착 또는 상기 제2몸체 외주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몸체를 물어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한 쌍의 체결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을 제안한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개폐손잡이와 상기 제1디스크 사이에 이어지는 한 쌍의 크랭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지지부재는,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유로는 입구와 출구 사이의 직경이 상기 제2디스크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에 부분 수용되는 일단의 외주면 돌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체결손잡이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손잡이의 상기 돌출부는 가장자리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중심에 이르는 거리가 가장자리 다른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중심에 이르는 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은, 제1몸체에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의 돌출부가 제2몸체 외주면에 밀착 또는 제2몸체 외주면로부터 이격되는 체결손잡이를 포함하는바, 체결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단의 돌출부가 제2몸체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 상태가 고정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제1몸체와 제2몸체 결합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은, 체결손잡이의 돌출부가 제2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특히 제2몸체 일단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함몰부에 걸리는바, 체결손잡이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키지 않고서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므로 관체 연결 상태에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가 방지될 수 있어 유체 이송 과정에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에 따른 유체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은, 제1몸체에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디스크를 밀거나 당기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고, 개폐손잡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바, 제1디스크 개폐에 작용하는 힘이 개폐손잡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 분산되므로 개폐손잡이에 미치는 부하를 덜 수 있어 개폐손잡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에서 체결손잡이에 의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 상태 해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에서 개폐손잡이에 의한 유로 개방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A)은 제1몸체(10); 제2몸체(20); 개폐손잡이(30); 및 체결손잡이(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11) 내측에 유체 진행을 단속하는 제1디스크(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몸체(10)의 유로(11)에 의해 유체의 이동 경로가 제공되고, 제1디스크(12)에 의해 유로(1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몸체(10)는 개폐손잡이(30)와 제1디스크(12) 사이에 이어지는 한 쌍의 크랭크(13)를 포함함으로써 개폐손잡이(30)의 회전 운동이 크랭크(13)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디스크(12)의 전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크랭크(13)는 개폐손잡이(3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크랭크(1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몸체(20)는, 길이 방향 일단이 제1몸체(10)에 부분 수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21)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유동을 단속하되, 지지부재(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2디스크(2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몸체(10)의 유로(11)와 연통하는 제2몸체(20)의 유로(21)에 의해 유체의 이동 경로가 제공되고, 제2디스크(22)에 의해 유로(2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몸체(20)의 지지부재(23)는,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23a); 및 스프링(23a)을 지지하는 지지편(23b);을 포함함으로써 스프링(23a)에 의해 제2디스크(22)가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지지편(23b)에 의해 스프링(23a)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23b)은 중심에 형성되는 통공(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함으로써 제2디스크(22)의 중심축(도면부호 미표시)이 통공을 관통함에 따라 지지편(23b)과 무관하게 제2디스크(22)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20)의 유로(21)는 입구와 출구 사이의 직경(D1)이 상기 제2디스크(22)의 직경(D2)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유로(21) 입구와 출구 사이의 내면과 제2디스크(22) 외면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해당 부위를 통해 유체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몸체(20)의 제2디스크(22)는 제1몸체(10)의 제1디스크(12)가 전방으로 유동, 다시 말해 제2몸체(20)를 향해 유동함에 따라 가압되어 유로(21) 출구측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에 부분 수용되는 일단의 외주면 돌레를 따라 형성되어 체결손잡이(41)의 돌출부(42)를 수용하는 함몰부(24)를 포함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가 함몰부(24)에 걸림에 따라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손잡이(30)는 제1몸체(10)에서 제1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디스크(12)를 밀거나 당겨 전후로 유동시킨다.
따라서 개폐손잡이(30)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개폐손잡이(30)는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디스크(12) 개폐에 관여하는 힘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손잡이(40)는 제1몸체(10)에서 제2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의 돌출부(42)가 제2몸체(20) 외주면에 밀착 또는 제2몸체(20) 외주면로부터 이격되어 제2몸체(20)를 물어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한다.
따라서 체결손잡이(40) 작동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손잡이(40)는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결합에 관여하는 힘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 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는 가장자리 일 지점으로부터 회전축(41) 중심에 이르는 거리가 가장자리 다른 지점으로부터 회전축(41) 중심에 이르는 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돌출부(42)에서 회전축(41)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일 지점이 제2몸체(20)의 함몰부(24)에 위치함에 따라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의 이탈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는 제1몸체(10)의 개방 부위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몸체(10) 내측의 제2몸체(20) 외주면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1몸체(10)는 어느 하나 관체(도면상 미도시) 일단에 결합되고, 제2몸체(20)는 다른 하나 관체의 일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전후로 이어지게 결합함으로써 관체 간의 전후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결합에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몸체(10)에서 제2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체결손잡이(40)를 포함하는바, 제2몸체(20) 길이 방향 일단이 제1몸체(10)에 부분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손잡이(40)를 회전시켜 선단의 돌출부(42)가 제2몸체(20)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2몸체(20)가 물려 고정되므로 이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와 제2몸체(20) 외주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에 부분 수용되는 일단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체결손잡이(41)의 돌출부(42)를 수용하는 함몰부(24)를 포함하는바, 제2몸체(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가 특히 함몰부(24)에 밀착됨으로써 제2몸체(20) 외주면과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체결손잡이(40)의 돌출부(42)는, 가장자리 일 지점으로부터 제2회전축(41) 중심에 이르는 거리가 가장자리 다른 지점으로부터 제2회전축(41) 중심에 이르는 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는바, 돌출부(42)에서 제2회전축(41)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일 지점이 제2몸체(20)의 함몰부(24)에 위치함에 따라 함몰부(24)에 돌출부(42)가 걸리게 되므로 이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손잡이(40)가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42)는 제2회전축(41)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일 지점이 상기 함몰부(24)에 위치하게 되어 제2몸체(20)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이에 의해 제2몸체(20)의 가압 해제, 다시 말해 고정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체결손잡이(40)는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결합에 관여하는 힘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체결손잡이(4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짐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유로(11, 21)를 통한 유체 유동은 개폐손잡이(30)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개폐손잡이(30)는 제1몸체(10)에서 제1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개폐손잡이(30)의 회전 운동은 한 쌍의 크랭크(13)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디스크(12)로 전달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0)의 일 방향 회전, 예컨대 외측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디스크(12)가 전진, 다시 말해 제2디스크(22) 측으로 이동하여 제2디스크(22)를 가압함에 따라 제2몸체(20)의 유로(21)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이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유로(11, 21)를 통한 유체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개폐손잡이(30)의 이전과 역 방향 회전, 예컨대 내측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디스크(12)가 후진, 다시 말해 제2디스크(22) 반대 측으로 이동하여 제2디스크(22)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제2몸체(20)의 유로(21) 폐쇄가 이루어지므로 이에 의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유로(11, 21)를 통한 유체 유동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손잡이(30) 회전을 통해 제2몸체(20)의 유로(21)를 개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유로(11, 21)를 통해 유체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디스크(22)는, 지지부재(23)를 이루는 스프링(23a)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바, 제1디스크(12)의 가압에 의해 유로(21)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로(21)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디스크(12)에 의한 가압 해제에 의해 수축되었던 스프링(23a)이 신장됨에 따라 이전 위치로 복귀, 더욱 구체적으로 유로(21)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로(21)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몸체(20)의 유로(21) 입구와 출구 사이의 직경은 제2디스크(22)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바, 유로(21) 입구와 출구 사이 내면과 제2디스크(22) 외면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유로(21)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폐손잡이(30)는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디스크(12) 개폐에 관여하는 힘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개폐손잡이(3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짐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몸체 11 : 유로
12 : 제1디스크 13 : 크랭크
20 : 제2몸체 21 : 유로
22 : 제2디스크 23 : 지지부재
23a : 스프링 23b : 지지편
24 : 함몰부 30 : 개폐손잡이
31 : 제1회전축 40 : 체결손잡이
41 : 제2회전축 42 : 돌출부
A : 퀵 커플링

Claims (6)

  1.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는 제1디스크를 구비하는 제1몸체;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몸체에 부분 수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진행을 단속하되, 지지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2디스크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디스크를 밀거나 당겨 전후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개폐손잡이;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의 돌출부가 상기 제2몸체 외주면에 밀착 또는 상기 제2몸체 외주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몸체를 물어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한 쌍의 체결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개폐손잡이와 상기 제1디스크 사이에 이어지는 한 쌍의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지지부재는,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유로는 입구와 출구 사이의 직경이 상기 제2디스크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에 부분 수용되는 일단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체결손잡이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가능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손잡이의 상기 돌출부는 가장자리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중심에 이르는 거리가 가장자리 다른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중심에 이르는 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KR1020210001074A 2021-01-05 2021-01-05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KR10249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4A KR102497312B1 (ko) 2021-01-05 2021-01-05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4A KR102497312B1 (ko) 2021-01-05 2021-01-05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035A true KR20220099035A (ko) 2022-07-12
KR102497312B1 KR102497312B1 (ko) 2023-02-07

Family

ID=8241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74A KR102497312B1 (ko) 2021-01-05 2021-01-05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7091A (en) * 1972-06-08 1975-07-29 Dover Corp Dry-break coupler
JP2005207539A (ja) * 2004-01-26 2005-08-04 Kyowa Kogyo Kk 管継手
JP2015102103A (ja) * 2013-11-21 2015-06-0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KR101773945B1 (ko) 2016-11-24 2017-09-04 (주)해성 배관 내 물질 배출용 퀵 커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7091A (en) * 1972-06-08 1975-07-29 Dover Corp Dry-break coupler
JP2005207539A (ja) * 2004-01-26 2005-08-04 Kyowa Kogyo Kk 管継手
JP2015102103A (ja) * 2013-11-21 2015-06-0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KR101773945B1 (ko) 2016-11-24 2017-09-04 (주)해성 배관 내 물질 배출용 퀵 커플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312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639A (en) Tube coupling mechanism
JP5585896B2 (ja) バルブ連結器用インタロックシステム
US6015171A (en) Releasable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two tubular elements
RU2100684C1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US7614605B2 (en) Universal connector for a pneumatic tool with unlocking by air flow
KR950704640A (ko) 압력 매체용 호스 또는 파이프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coupling for coupling together hoses or pipes for a pressure medium)
KR101955084B1 (ko) 파이프 커플러
JP2006138472A (ja) スナップ装着式の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US20110025047A1 (en) End fitting for holding a high pressure capillary tube
US7121592B2 (en) Fluid quick connect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valve
US3127149A (en) cruse
ES2322856T3 (es) Union para tubos encajable y bloqueable.
KR20220099035A (ko)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퀵 커플링
JP2020051558A (ja) 管継手
US6565127B2 (en) Pipe coupling device and assembly
US7028982B2 (en) Coupling member for a pipe coupling
CZ68895A3 (en) Rotary coupling for flexible piping with a straight end
JPH0110557Y2 (ko)
FR2687757A1 (fr) Accouplement emboitable pour relier des conduits parcourus par un fluide.
US20080061554A1 (en) Connector Part
US936627A (en) Hose-coupling.
KR20100051542A (ko) 연료 탱크용 파이프 조인트
US20050283903A1 (en) Connecting device for water connecting a shower head assembly to a wall-mount supplying pipe
FR3087868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conduits d’une canalisation comportant un jeu de collerettes tronconiques et canalisation comprenant ledit dispositif de raccordement
JP4567900B2 (ja) より戻し継手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