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251A -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251A
KR20220098251A KR1020227020975A KR20227020975A KR20220098251A KR 20220098251 A KR20220098251 A KR 20220098251A KR 1020227020975 A KR1020227020975 A KR 1020227020975A KR 20227020975 A KR20227020975 A KR 20227020975A KR 20220098251 A KR20220098251 A KR 2022009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upport
driven
support component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리앙 위안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9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7Baby-carriers with rigi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6Cradles ; Bassinet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other articles or structures, e.g. adult's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는 측면 지지체(204), 상부 프레임(202), 하부 플레이트(203) 및 접이 기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와 상기 상부 프레임(202)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와 상기 상부 프레임(20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접히거나 펴진다. 상기 접이 기구(100)는 피동 구성요소(10), 잠금 구성요소(30) 및 작동 구성요소(20)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에 결합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foldable child carrier)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진보, 경제의 발전, 기술의 향상에 따라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질적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재가 시장에 나오고 있다. 유아용 캐리어는 다양한 소비재 중 하나이다. 자녀가 있는 부모는 외출 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요구에 따라 아이를 손으로 안는 대신, 덮개가 있는 유아용 요람(child bassinet), 유아용 바구니(child basket), 유아용 요람(child cradle), 유아용 유모차(child stroller)와 같은, 여러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하여 아이를 데리고 갈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유아용 캐리어, 특히 덮개가 있는 유아용 요람이나 유아용 바구니는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분리 또는 접을 수 없는 고정 지지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는 부피가 너무 커서 운송 및 보관이 어렵다. 유아용 캐리어는 편안함과 안전성이라는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용이한 운송 및 보관이라는 목적도 달성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대응하는 추가 개발 및 개선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구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foldable child carrier)는 측면 지지체(lateral support), 상부 프레임(upper frame),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 및 접이 기구(fold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는 제1 지지 구성요소(supporting component)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접히거나 펴진다. 상기 접이 기구는, 피동 구성요소(driven component), 상기 피동 구성요소와 맞물리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구성된 잠금 구성요소(locking component), 및 상기 피동 구성요소에 결합된(linked) 작동 구성요소(operating component)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구성요소는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동 구성요소 및 상기 작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연결부(connection)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연결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동 구성요소 및 상기 작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작동 구성요소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다른 단부는 상기 잠금 구성요소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구성요소 및 상기 피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상기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동 구성요소는 판 형상의 구조(plate-shaped structure)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동 구성요소는 고정 부분(fixing portion) 및 제한 부분(restraining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 및 상기 제한 부분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반대쪽 양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작동 구성요소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한 부분은 상기 잠금 구성요소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상부 단부(upper end)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멍(connecting hole)이고, 상기 제한 부분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의 하부 단부(lower end)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 블록(inserting block)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구성요소는 플러그 형상의 구조(plug-shaped structure)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구성요소는 삽입 부분 및 작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분과 상기 작동 부분은 상기 작동 구성요소의 횡단 방향(traverse direction)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의 반대쪽 양측(two opposite sides)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 부분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 상에서 삽입 구멍(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작동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밀기 블록(pushing block)이고, 상기 삽입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에 부착된 상기 밀기 블록의 측에서 상기 밀기 블록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삽입 기둥(inserting column)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대향하는 양 측벽(two opposite lateral walls)을 관통하는 긴 구멍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 기구는 탄성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구성요소는 상기 작동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상기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상기 하나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상기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상기 하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상기 잠금 구성요소를 향해 이동하게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와 맞물리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 구성요소는 제한 슬롯(restraining slot)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 슬롯의 개방 구조(opening structure)는 호 형상의 안내면(arc-shaped guiding surfac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는 수용 챔버(accommodating chamber)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챔버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피동 구성요소는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loose-fitting manner)으로 상기 수용 챔버에 삽입된다. 상기 작동 구성요소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횡단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다른 측면에 있는 삽입 구멍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단 단부(top end)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는 제1 연결 부분(connecting portion) 및 제1 선회 부분(pivoting portion)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는 제2 연결 부분 및 제2 선회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선회 부분은 제1 선회 샤프트(pivoting shaft)에 의해 상기 제2 선회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부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는 수용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챔버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연결 부분과 상기 제1 선회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피동 구성요소는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횡단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의 다른 측면 상의 삽입 구멍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지지체는 제1 연결 구성요소 및 제2 연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구성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된다(sleeved). 상기 제1 연결 구성요소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부분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 구성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구성요소의 다른 단부는 제2 선회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2 연결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 작동 구성요소는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이거나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잠금 구성요소와 맞물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 구성요소가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여 피동 구성요소가 잠금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작동될 때 측면 지지체는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접혀서 유아용 캐리어 전체를 접을 수 있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전체의 점유 공간을 줄여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은 피동 구성요소와 잠금 구성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되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우발적인 접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 및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의심할 여지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로서 더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펴진 상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점에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펴진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 사이의 상태에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양 및 구조적 특징, 그리고 달성되는 목적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관련 실시예 및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단(top)", "하단(bottom)", "전방(front)", "후방(back)" 등과 같은, 방향 용어는 설명되는 도면(들)의 방위를 참조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다수의 상이한 방위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용어는 설명 목적으로 사용되며,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성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또한 "연결(connect)" 또는 결합(link)이라는 용어는 간접적이거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연결되거나 결합되면, 그 연결은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통하거나, 다른 기기 및 연결을 통한 간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펴진 상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점에서의 펴진 상태의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 사이의 상태에 있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는 유아용 어린이 요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용 바구니, 유아용 요람, 유아용 침대(child crib) 또는 유아용 유모차일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는 손잡이(handle)(201), 상부 프레임(202), 하부 플레이트(203), 2개의 측면 지지체(204) 및 2개의 접이 기구(100)를 포함한다. 손잡이(201)는 상부 프레임(202)에 선회 가능하게(pivotally) 연결된다. 2개의 측면 지지체(204)는 상부 프레임(202)과 하부 플레이트(203)에 연결되고 상부 프레임(202)과 하부 플레이트(203) 사이에 위치한다. 2개의 접이 기구(100) 각각은 대응하는 측면 지지체(204)에 배치되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측면 지지체(204)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높이를 줄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이 기구는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길이이나 폭 또는 상부 프레임의 길이나 폭을 감소시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전체의 길이이나 폭을 감소시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202)은 하부 플레이트(203) 위에 위치되며, 상부 프레임(202)과 하부 플레이트(203)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2개의 측면 지지체(204)는 상부 프레임(202)의 양측(two opposite sides)을 하부 플레이트(203)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202), 하부 플레이트(203) 및 2개의 측면 지지체(204)에 의해 아이를 수용하는 지지 공간을 둘러싸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는 아이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프레임, 하부 플레이트 및 2개의 측면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의류 구성요소(clothing component) 또는 적어도 하나의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접이 기구(100)는 2개의 측면 지지체(204)에 각각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2개의 측면 지지체(204)를 동시에 접거나 펴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는 양변이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데,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일측의 유아용 캐리어(2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및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를 포함한다.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측면 지지체는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슬라이딩 이동(relative sliding movement)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또한, 접이 기구(100)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연결부에 배치된 피동 구성요소(10), 작동 구성요소(20) 및 잠금 구성요소(30)를 포함한다. 피동 구성요소(10)는 작동 구성요소에 결합된다. 피동 구성요소(10)는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작동 구성요소(20)가 작동될 때 작동 구성요소(20)는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게 하거나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할 수 있다. 피동 구성요소(10)는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려서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적 이동을 억제한다.피동 구성요소(10)는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을 풀어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및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는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판 형상의 구조일 수 있고, 측면 지지체(204)의 점유 공간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1)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빙된(slidably sleeved) 2개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고, 측면 지지체는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제1 연결 부분(2043) 및 제1 선회 부분(2044)을 포함한다. 제2 지지 요소(2042)는 제2 연결 부분(204) 및 제2 선회 부분(204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부분(2043)은 상부 프레임(2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선회 부분(2044)과 제2 선회 부분(2046)은 제1 선회 샤프트(2047)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연결 부분(2045)은 하부 플레이트(2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연결 부분(2043)과 제1 선회 부분(2044) 사이에 위치하는 수용 챔버(204b)를 포함한다. 피동 구성요소(10)는 수용 챔버(204b)에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된다. 작동 구성요소(20)의 일부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횡단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피동 구성요소(10)를 통과하여 제1 지지 구성요소의 다른 측면에 있는 삽입 구멍(204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잠금 구성요소(30)는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단 단부에 배치되고 피동 구성요소(1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측면 지지체(204)를 상부 프레임(202) 및 하부 플레이트(203)에 연결하기 위해,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연결 구성요소(2048) 및 제2 연결 구성요소(2049)를 더 포함한다. 제1 연결 구성요소(2048)의 일 단부는 상부 프레임(202)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된다(sleeved). 제1 연결 구성요소(2048)의 다른 단부는 제1 연결 부분(2043)에 고정 연결된다. 제2 연결 구성요소(2049)의 일 단부는 하부 플레이트(203)에 고정 연결된다. 제2 연결 구성요소(2049)의 다른 단부는 제2 선회 샤프트(2050)에 의해 제2 연결 부분(2045)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피동 구성요소(10) 및 작동 구성요소(20)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잠금 구성요소(30)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연결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피동 구성요소(10)와 작동 구성요소(20)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 구성요소(30)는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에 고정된다. 피동 구성요소(10)의 일 단부는 작동 구성요소(20)에 고정 연결된다. 피동 구성요소(10)의 다른 단부는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피동 구성요소 및 작동 구성요소는 제2 지지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 구성요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잠금 구성요소는 제1 지지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피동 구성요소 및 작동 구성요소는 임의의 다른 이동 가능한 방식,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잠금 구성요소는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동 구성요소(10)는 판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작동 구성요소(20)는 플러그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잠금 구성요소(30)는 제한 슬롯일 수 있다. 더욱이, 제한 슬롯의 개방 구조는 호 형상의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피동 구성요소(10)의 맞물림 단부(engaging end)는 다른 호 형상의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호 형상의 안내면은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을 펴는 조작 중에 피동 구성요소(10)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피동 구성요소(10)가 잠금 구성요소(3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서로 협력할 수 있다.
게다가, 피동 구성요소(10)는 피동 구성요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피동 구성요소(10)의 반대쪽 양단부(two opposite ends)에 위치하는 고정 부분(11) 및 제한 부분(12)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11)은 작동 구성요소(20)에 고정 연결된다. 제한 부분(12)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단 단부에 위치한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고정 부분(11)은 피동 구성요소(10)의 상부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멍일 수 있다. 제한 부분(12)은 피동 구성요소(10)의 하부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 블록일 수 있다. 제한 부분(12)의 형상은 잠금 구성요소(30)의 형상과 매칭될 수 있다. 제한 부분(12)이 잠금 구성요소(30)에 삽입될 때,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및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는 상부 프레임(202) 및 하부 플레이트(203)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여 직선 구조를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제한 부분(12)이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이 풀릴 때,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제1 선회 샤프트(2047) 주위에서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에 대해 회전하거나 선회하여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접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작동 구성요소(20)는 작동 구성요소(20)의 횡단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작동 구성요소(20)의 반대쪽 양측에 위치하는 삽입 부분(21) 및 작동 부분(22)을 포함한다. 삽입 부분(21)은 고정 부분(11)을 통과하여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상에서 삽입 구멍(204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작동 부분(22)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다. 작동 부분(22)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밀기 블록일 수 있다. 삽입 부분(21)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부착된 밀기 블록의 측에서 밀기 블록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기둥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삽입 기둥은 삽입 구멍(204a)과 협력한다. 삽입 구멍(204a)은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대향하는 양 측벽을 관통하는 긴 구멍일 수 있다. 삽입 구멍(204a)의 상부 벽 및 하부 벽은 삽입 부분(21)의 슬라이딩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이 기구(100)는 탄성 구성요소(40)를 더 포함한다. 탄성 구성요소(40)는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피동 구성요소(10)에 연결되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피동 구성요소(10) 사이에 위치하여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게 한다. 탄성 구성요소는 40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 구성요소는 작동 구성요소와, 피동 구성요소 및 작동 구성요소가 설치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 중 하나에 연결되면서 그것들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 구성요소를 움직여서 잠금 구성요소와 맞물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일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접고자 하는 경우, 작동 구성요소(20)를 위쪽으로 밀어 피동 구성요소(10)를 위쪽으로 슬라이딩하게 움직여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이 풀리게 하고 탄성 구성요소(40)를 압축하게 하여, 제1 지지 구성요소(2041)가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에 대해 회전하거나 선회하여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접을 수 있게 해준다.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를 펼치고자 하는 경우, 작동 구성요소(20)을 위쪽으로 밀어 피동 구성요소(10)를 위쪽으로 슬라이딩하게 움직여 피동 구성요소(1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한 다음,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를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에 대해 회전 또는 선회하게 하여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접을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가 완전히 펴진 경우, 작동 구성요소(20)는 해제되어 탄성 구성요소(40)가 피동 구성요소(10)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게 움직여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게 하여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접힌 상태로 위치를 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피동 구성요소(10) 및 잠금 구성요소(30)는 각각 대응하는 호 형상의 안내면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펴는 동작 동안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호 형상의 안내면의 협력에 의해 피동 구성요소(10)를 잠금 구성요소(20)로부터 멀어져 탄성 구성요소(40)를 압축하게 움직일 수 있다. 그 후, 탄성 구성요소(40)는 일단 피동 구성요소(10)가 잠금 구성요소(30)와 정렬되면, 접힐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펴진 상태로 위치를 정하기 위해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도록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를 펴는 동안에는 조작 구성요소(20)의 동작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작동 구성요소는 제1 지지 구성요소 및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이거나,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잠금 구성요소와 맞물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지지체는 잠금 구성요소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피동 구성요소를 움직일 때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접혀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전체를 접을 수 있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전체의 점유 공간을 줄여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지지 구성요소와 제2 지지 구성요소의 상대 이동은 피동 구성요소와 잠금 구성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되어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의 우발적인 접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관찰할 것이다. 따라서, 위의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foldable child carrier)(200)로서,
    측면 지지체(lateral support)(204), 상부 프레임(upper frame)(202),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203) 및 접이 기구(folding mechanism)(1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와 상기 상부 프레임(202)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와 상기 상부 프레임(20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지지 구성요소(supporting component)(2041)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접히거나 펴지며,
    상기 접이 기구(100)는,
    피동 구성요소(driven component)(10);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와 맞물리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구성된 잠금 구성요소(locking component)(30); 및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에 결합된(linked) 작동 구성요소(operating component)(20)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10) 및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연결부(connection)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 구성요소(30)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연결부에 고정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10) 및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 구성요소(30)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일 단부는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다른 단부는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20) 및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상기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는 판 형상의 구조(plate-shaped structure)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는 고정 부분(fixing portion)(11) 및 제한 부분(restraining portion)(1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11) 및 상기 제한 부분(12)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반대쪽 양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분(11)은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한 부분(12)은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11)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상부 단부(upper end)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멍(connecting hole)이고, 상기 제한 부분(12)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의 하부 단부(lower end)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 블록(inserting block)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플러그 형상의 구조(plug-shaped structure)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20)는 삽입 부분(21) 및 작동 부분(22)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분(21)과 상기 작동 부분(22)은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의 횡단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의 반대쪽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 부분(21)은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 상에서 삽입 구멍(204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작동 부분(22)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분(22)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밀기 블록(pushing block)이고, 상기 삽입 부분(21)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에 부착된 상기 밀기 블록의 측에서 상기 밀기 블록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삽입 기둥(inserting column)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204a)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대향하는 양 측벽을 관통하는 긴 구멍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기구(100)는 탄성 구성요소(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구성요소(40)는 상기 작동 구성요소(20),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상기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상기 하나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피동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상기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피동 구성요소(20)와,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와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 중 상기 하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 구성요소를 상기 잠금 구성요소(30)를 향해 이동하게 움직여 상기 잠금 구성요소(30)와 맞물리게 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성요소(30)는 제한 슬롯(restraining slot)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슬롯의 개방 구조(opening structure)는 호 형상의 안내면(arc-shaped guiding surface)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수용 챔버(accommodating chamber)(204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챔버(204b)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는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loose-fitting manner)으로 상기 수용 챔버(204b)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횡단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다른 측면에 있는 삽입 구멍(204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구성요소(30)는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의 상단 단부(top end)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것인,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제1 연결 부분(connecting portion)(2043) 및 제1 선회 부분(pivoting portion)(20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구성요소(2042)는 제2 연결 부분(2045) 및 제2 선회 부분(204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분(2043)은 상기 상부 프레임(2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선회 부분(2044)은 제1 선회 샤프트(pivoting shaft)(2047)에 의해 상기 제2 선회 부분(2046)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부분(204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는 수용 챔버(204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챔버(204b)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연결 부분(2043)과 상기 제1 선회 부분(204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는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으로 상기 수용 챔버(204b)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 구성요소(20)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횡단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동 구성요소(1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 구성요소(2041)의 다른 측면 상의 삽입 구멍(204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체(204)는 제1 연결 구성요소(2048) 및 제2 연결 구성요소(204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구성요소(2048)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202)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되고(sleeved), 상기 제1 연결 구성요소(2048)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부분(2043)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 구성요소(2049)의 일 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3)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구성요소(2049)의 다른 단부는 제2 선회 샤프트(2050)에 의해 상기 제2 연결 부분(2045)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200).
KR1020227020975A 2019-12-18 2020-12-07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KR20220098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10604.5 2019-12-18
CN201911310604.5A CN112998480A (zh) 2019-12-18 2019-12-18 收折机构
PCT/EP2020/084825 WO2021122088A1 (en) 2019-12-18 2020-12-07 Foldable child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251A true KR20220098251A (ko) 2022-07-11

Family

ID=7374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975A KR20220098251A (ko) 2019-12-18 2020-12-07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57379A1 (ko)
EP (1) EP4076094A1 (ko)
JP (1) JP2023506206A (ko)
KR (1) KR20220098251A (ko)
CN (1) CN112998480A (ko)
AU (1) AU2020405779A1 (ko)
CA (1) CA3165252A1 (ko)
TW (2) TWI829521B (ko)
WO (1) WO20211220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77469Y (zh) * 2006-01-24 2007-03-1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睡篮
CN202843043U (zh) * 2012-09-07 2013-04-0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手把收折结构及具有该结构的儿童提篮
GB2534229A (en) * 2015-01-19 2016-07-20 Oxford Space Structures Ltd Folding cot
CN204599959U (zh) * 2015-04-10 2015-09-02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睡箱
CN106490883B (zh) * 2015-09-08 2019-10-1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睡箱收折机构及睡箱
JP7146945B2 (ja) * 2018-04-19 2022-10-04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チャイルドキャリアによってトリガされる折畳機構を有するベビーカー
US11197560B2 (en) * 2018-05-07 2021-12-14 Wonderland Switzerland Ag Foldable bassinet
CN209712304U (zh) * 2018-08-21 2019-12-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提篮及儿童推车
CN209202565U (zh) * 2018-09-12 2019-08-0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折叠睡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6206A (ja) 2023-02-15
CA3165252A1 (en) 2021-06-24
US20230057379A1 (en) 2023-02-23
CN112998480A (zh) 2021-06-22
WO2021122088A1 (en) 2021-06-24
TW202321085A (zh) 2023-06-01
EP4076094A1 (en) 2022-10-26
TWI829521B (zh) 2024-01-11
TWI794698B (zh) 2023-03-01
AU2020405779A1 (en) 2022-06-02
TW202124201A (zh)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4571A (ko)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US10694866B2 (en) Cribs
US4499619A (en) Baby bed
CN108720435B (zh) 游戏床
US8104788B2 (en) Folding stroller including a footrest
US8784225B2 (en) Collapsible infant support device
US20230166784A1 (en) Child carrier
CN210300375U (zh) 可折叠收容装置
US20120223508A1 (en) Foldable Stroller
US4483026A (en) Crib
KR20210071852A (ko)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KR20240018589A (ko) 프레임 접힘 기구 및 침대 프레임
KR20220098251A (ko) 접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
US11589685B2 (en) Play yard
CN211196327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EA044944B1 (ru) Складная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ка
CN212591295U (zh) 一种婴儿床
CN210310520U (zh) 婴儿车的车架和婴儿车
TW202413165A (zh) 可收折兒童載具
CN208709109U (zh) 一种婴幼儿折叠椅
CN221060182U (zh) 一种尿布台以及婴儿床
CN110946436A (zh) 婴儿护理台支架以及婴儿护理台
JP2509134Y2 (ja) ショッピングカ―を兼用するベビ―カ―
ITBO990082U1 (it)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collegare , rapidamente , in sicurezza, una scocca di culla o di seggiolino ad un telaio di supporto in u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