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852A -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852A
KR20210071852A KR1020200168052A KR20200168052A KR20210071852A KR 20210071852 A KR20210071852 A KR 20210071852A KR 1020200168052 A KR1020200168052 A KR 1020200168052A KR 20200168052 A KR20200168052 A KR 20200168052A KR 20210071852 A KR20210071852 A KR 2021007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frame member
baby cradle
relat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네일 스미스
그라함 존 마틴
Original Assignee
마마스 앤드 파파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마스 앤드 파파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마스 앤드 파파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7Baby-carriers with rigi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2Children's bed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8Cradles ; Bassinet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6Cradles ; Bassinet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other articles or structures, e.g. adult's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osme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은, 베이스 부재;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 -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함께 아기 요람의 측부 또는 단부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것이 아기 요람의 측부 또는 단부 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함께 선회식으로 커플링되며, 제1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함 -;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고정 메커니즘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의 활주가 제약되며, 그에 의해 제2 프레임 부재에 대한 제1 프레임 부재의 선회를 제약한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COLLAPSIBLE CARRY COT}
본 개시내용은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들에 관한 것이다.
유아들을 운송하기 위한 유모차들에는 종종, 유모차에 의해 운송되는 동안 유아가 누워있기 위한 평평한 침대를 제공하는 아기 요람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아기 요람들은 유모차를 타고 여행을 하는 기간 동안 안전하고 편안하게 앉아있을 수 없는 어린 유아들을 운송하는데 특히 유익하다.
아기 요람은 유모차 섀시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유모차는, 예컨대 차량의 짐칸에서 유모차를 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사용들 사이에서 아기 요람 및/또는 유모차를 보관하기 위해 유모차 섀시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다.
유모차를 탄 일부 여행들 시에 그리고 유아가 특정 연령, 체중 및/또는 키에 도달할 때, 유아가 더 곧게 선 자세로 착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들에서, 아기 요람은 유모차 섀시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으며, 유아가 더 곧게 선 착석 자세로 위치되게 하는 유모차용 시이트(seat)로 교체될 수 있다.
아기 요람이 유모차로부터 탈착되고 사용중이지 않을 때, 다음 번에 아기 요람이 사용될 때까지 아기 요람이, 예컨대 차량의 짐칸 또는 다른 저장 영역 내에 보관되기에 편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이 제공되며, 아기 요람은,
베이스 부재;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 -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함께 아기 요람의 측부 및/또는 단부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고,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것이 아기 요람의 측부 및/또는 단부 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함께 선회식으로 커플링되고, 예컨대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가위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함께 커플링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 부재, 예컨대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예컨대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프레임 부재,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지지될 수 있어서,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단부에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함 -;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고정 메커니즘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의 활주가 제한되며, 그에 의해 제2 프레임 부재에 대한 제1 프레임 부재의 선회를 제한한다.
제1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예컨대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를 중심으로, 아기 요람의 제1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를 중심으로, 아기 요람의 제2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가능할 수 있다.
아기 요람의 제1 측방향 축 및 제2 측방향 축은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의 활주는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제1 측방향 축 및 제2 측방향 축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 및/또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함께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아기 요람의 침대 부분의 하단을 규정할 수 있다. 아기 요람은 상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는 침대 부분의 상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아기 요람의 측벽 및 단부 벽은 베이스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벽 및 단부 벽은 침대 부분의 벽들일 수 있다. 침대 부분의 내부 공간은 베이스 부재, 상부 부재 및 측벽 및 단부 벽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부 부재는, 유아가 개구를 통해 아기 요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아기 요람의 침대 부분 내의 내부 공간에 개구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상부 부재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는,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가 상부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상부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예컨대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가능한 본체 부분 및 베이스 부재에 대해 본체 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은 베이스 부재에 활주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본체 부분이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와 함께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제2 프레임 부재가 본체 부분에 대해 활주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본체 부분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에 대해 본체 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은 베이스 부재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의 활주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에서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는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 및 베이스 부재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고정 부분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요소는 접힌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구성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예컨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거나 또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아기 요람의 측벽 또는 단부 벽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 예컨대 최대 바람직한 높이에 있도록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가 배열될 때, 예컨대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맞물림 요소와 정렬되는 베이스 부재 상의 위치에 맞물림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요소는, 예컨대 베이스 부재에 대해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개구에서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스위치, 및 스위치가 작동될 때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거나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맞물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스위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거나, 비틀리거나, 회전되거나, 활주되거나 이동될 수 있는 버튼, 레버 또는 손잡이와 같은 임의의 사용자 작동가능 요소를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스위치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도록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작동가능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작동가능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맞물림 요소에 커플링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캠(cam) 표면이 연결 부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는 캠 표면과 맞물리는 종동부(follower)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캠 표면 및 종동부 요소는, 스위치가 작동될 때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 부재의 이동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은 종동부 요소로 하여금 캠 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종동부 요소는 스위치가 작동되게 하는 힘 하에서 캠 표면에 대해 작용할 수 있어서,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며, 이는 결국 맞물림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캠 표면은, 캠 표면을 따른 종동부의 작용이, 스위치가 작동되는 방향에 대해, 예컨대 직각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게 작용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스위치는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작동가능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맞물림 요소로 하여금, 스위치가 작동될 때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맞물림 요소는, 맞물림 요소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예컨대, 편향 요소,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는, 예컨대 스위치, 연결 부재 또는 맞물림 요소에 대해 작용하도록 배열된 맞물림 메커니즘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분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아기 요람의 베이스 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는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맞물림 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추가적인 스위치, 및 추가적인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고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 및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 요소 및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각각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스위치 및 추가적인 스위치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 및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은, 맞물림 요소 및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서로 상이한, 예컨대 반대 방향들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이 제공되며, 아기 요람은,
베이스 부재;
제1 프레임 부재 - 제1 프레임 부재는 제1 단부 베이스 부재 및 제2 단부를 가짐 -;
제2 프레임 부재 -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제2 프레임 부재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제1 프레임 부재에,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선회식으로 커플링되며,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아기 요람의 측벽을 함께 규정하고,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것이 아기 요람의 측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함께 커플링됨 -;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고정 메커니즘은, 제1 프레임 부재 및/또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1 프레임 부재 및/또는 제2 프레임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잠근다.
본 명세서에서 노력의 불필요한 중복 및 텍스트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특정한 특징들이 본 발명의 오직 하나의 또는 여러가지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임의의 양상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 또는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처음 언급된 양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두번째 언급된 양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제 예로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이전에 제안된 아기 요람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덮개들은 명확화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아기 요람의 베이스를 예시하는, 도 2에 도시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고정 부분에 대한 맞물림 메커니즘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맞물림 메커니즘들의 일부가 아기 요람의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배열체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덮개들은 명확화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배열체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고정 부분에 대한 맞물림 메커니즘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맞물림 메커니즘들의 일부가 아기 요람의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전에 제안된 아기 요람(2)은, 베이스(12), 상단(14), 제1 및 제2 측벽들(16a, 16b) 및 제1 및 제2 단부 벽들(18a, 18b)(이들은 함께 침대 부분의 내부 공간을 규정함)을 갖는 침대 부분(10)을 포함한다. 매트리스(도시되지 않음)가 침대 부분의 내부 공간 내의 베이스(1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아기 요람(2)의 사용 시에, 유아는 단부 벽들 중 하나, 이를테면 제1 단부 벽(18a)에 또는 그를 향해 유아의 머리를 그리고 단부 벽들 중 다른 단부 벽, 예컨대 제2 단부 벽(18b)을 향해 유아의 다리를 놓으면서 매트리스 상에 누워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아기 요람의 종방향은 아기 요람의 단부들 사이에서, 예컨대 제1 단부 벽(아기 요람의 사용 시에 유아의 머리가 여기에 배열될 수 있음)과 제2 단부 벽(18b)(아기 요람의 사용 시에 이를 향해 유아의 다리가 배열될 수 있음)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서 규정된다. 아기 요람의 측방향은, 예컨대 아기 요람의 측벽들 사이에서 종방향 및 수직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규정된다.
아기 요람의 측벽 및 단부 벽(16a, 16b, 18a, 18b)은 베이스(12)와 상단(14) 사이에서 연장되는 재료, 예컨대 직물 및/또는 쿠셔닝의 하나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아가 내부 공간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침대 부분(10)의 내부 공간으로의 개구(20)가 침대 부분(10)의 상단(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0)는 재료, 예컨대 직물, 커버와 같은 커버(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커버(30)는 탈착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으며, 일부 배열체들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아기 요람(2)은 후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40)는, 침대 부분(10)에 커플링된 후드 지지 바(42), 및 예컨대 후드 지지 바(bar)(42)에 의해 지지되는 재료들, 예컨대 직물들의 하나 이상의 층들로 형성되는 차양(canopy)(44)을 포함할 수 있다. 차양은 후드 지지 바(42)로부터 침대 부분(10)의 단부 벽들(18a, 18b) 중 하나로 연장될 수 있어서, 후드 차양은 유아를 햇빛, 비 및 다른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개구(20)의 일부, 예컨대 커버(3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 위로 연장될 수 있다. 후드(40)는 후드 지지 바(42)와 침대 부분의 단부 벽(18a, 18b) 사이에 차양(44)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중간 지지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 지지 바(42)는, 후드가 개구(20)를 덮는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침대 부분(10)에 대해 선회식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아기 요람(2)은 아기 요람(2)을 유모차의 섀시(도시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해 아기 요람(2)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유모차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기 요람(2)은 침대 부분(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부재들을 포함하는 리지형(ridged) 지지 프레임(도 1에서 보이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특히, 리지형 지지 프레임은 베이스(12) 및 유모차 고정부(50)에 대해 상단(14), 제1 및 제2 측벽들(16a, 16b) 및 제1 및 제2 단부 벽들(18a, 18b)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리지형 지지 프레임은 베이스(12) 및 유모차 고정부들(50)에 대해 후드(40), 예컨대 후드 지지 바(42)를 추가로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아기 요람(100)이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 명확성을 위해 재료 덮개들 및 쿠셔닝이 생략되어, 아기 요람(100)의 지지 프레임(200)이 보인다. 후드의 차양이 또한 생략된다.
아기 요람(100)은 아기 요람(2)과 유사하며, 베이스(112), 상단(114),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142, 144) 및 제1 및 제2 종방향 단부들(162, 164)을 갖는 침대 부분(11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아기 요람의 베이스(1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210), 및 아기 요람의 상단(120), 예컨대 아기 요람의 침대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 부재(22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은 제1 프레임 부재(230) 및 제2 프레임 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은 베이스 부재(210)와 상부 부재(220)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및 제2 측부들(142, 144)에서 아기 요람(100)의 제1 및 제2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벽들(116a, 116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형성한다.
아기 요람(100)은 아기 요람(100)을 유모차의 섀시(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유모차 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유모차 고정부들(150)은 베이스 부재(210)에 커플링되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기 요람(100)은 프레임(200)에, 예컨대 상부 부재(220)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된 후드 지지 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 지지 바(160)는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후드 지지 바(42)와 유사할 수 있다.
아기 요람(100)은 운반 손잡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운반 손잡이(170)는 아기 요람의 측방향 측부들에서 프레임(200)에, 예컨대 상부 부재(22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은 개개의 제1 단부들(230a, 240a) 및 제2 단부들(230b, 240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의 제1 단부들(230a, 240a)은 베이스 부재에 커플링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의 제2 단부들(230b, 240b)은 상부 부재(22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230)는 제1 측벽 부분(232)을 포함한다. 제1 측벽 부분(232)은, 아기 요람의 제1 측벽(116a)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아기 요람의 제1 측방향 측부(142)에서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230a)로부터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230b)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측벽 부분(232)은 아기 요람(100)의 종방향 및 수직 방향의 구성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230)는 제2 측벽 부분(234)을 더 포함한다. 제2 측벽 부분(234)은, 아기 요람의 제2 측벽(116b)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아기 요람의 제2 측방향 측부(144)에서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230a)로부터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230b)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묘사된 바와 같이, 제2 측벽 부분(234)은 제1 측벽 부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230)는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242)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부분(236)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 부분(236)은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제1 단부(230a)에서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 부분(23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선회 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배열에서, 제1 측벽 부분(232), 제2 측벽 부분(234) 및 측방향 연장 부분(236)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배열들에서, 제1 측벽 부분(232) 및 제2 측벽 부분(234)은 서로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제1 및 제2 측벽 부분(234) 각각은, 예컨대 제1 및 제2 측벽 부분에 대한 선회부들로서 작용하기 위해 제1 단부(230a)에서 아기 요람의 측방향 폭에 걸쳐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234)은 제1 단부(230a)에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234)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240)는 제1 프레임 부재(230)와 유사하며, 아기 요람의 제1 측벽(116a)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배열된 제1 측벽 부분(242), 아기 요람의 제2 측벽(116b)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배열된 제2 측벽 부분(242), 및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제2 단부(240b)에서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부분(246)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 부재의 측방향 연장 부분(24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선회 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배열에서, 제1 측벽 부분(242), 제2 측벽 부분(244) 및 측방향 연장 부분(246)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배열들에서, 제1 측벽 부분(242) 및 제2 측벽 부분(244)은 서로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제1 및 제2 측벽 부분(242, 244) 각각은, 제1 단부(240a)에서 아기 요람의 측방향 폭에 걸쳐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부분, 또는 제1 단부(240a)에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42, 244)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은, 예컨대 그들 개개의 제1 및 제2 단부들(230a, 240a, 230b, 240b) 사이의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 상의 위치들에서 서로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특히, 제1 프레임 부재의 제1 측벽 부분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측벽 부분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측벽 부분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2 측벽 부분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은, 예컨대 아기 요람의 측방향 측부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가위형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234)이 제1 프레임 부재의 측방향 연장 부분(236)에 의해 연결되고,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42, 244)이 제1 프레임 부재의 측방향 연장 부분(246)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인해, 아기 요람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142, 144)에 형성된 가위형 연결들은 함께 선회될 수 있다.
상부 부재(220)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에 의해, 예컨대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에 의해 형성된 가위 연결(들)에 의해 베이스 부재(210)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아기 요람(100)은,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을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것이 베이스 부재(210)와 상부 부재(22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그에 의해 아기 요람(100)의 침대 부분(110)의, 예컨대 측벽 및/또는 단부 벽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기 요람(100)의 측벽 및 단부 벽, 예컨대 침대 부분이 상부 부재(220)와 베이스 부재(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재료, 예컨대 직물의 하나 이상의 층들에 의해 부가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재료는 도 1에 도시된 아기 요람(2)의 측벽 및 단부 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재료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재료의 제1 층은, 예컨대 침대 부분(110)의 내부 공간에 대해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 외부의 베이스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재료의 제2 층은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 내부의 베이스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쿠셔닝이 재료의 층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 아기 요람(100)은 상부 부재(220)가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바람직한 최대 높이에 있는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들에서, 아기 요람의 측벽 및/또는 단부 벽(116a, 116b, 118a, 118b)은 미리 결정된 높이, 예컨대 바람직한 최대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최대 높이는 유아용 아기 요람의 벽들의 깊이에 대해 세팅된 표준들 및/또는 유아를 아기 요람(100)에 배치하고 아기 요람(100) 밖으로 유아를 들어올리는 부모들 또는 보호자들에 대한 인체공학적 고려사항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형성된 가위형 연결들을 동작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상부 부재(220)의 높이는, 아기 요람(100), 예컨대 아기 요람의 측벽들 및/또는 단부 벽들의 높이가 감소되는 아기 요람의 접혀진 구성으로 조정, 예컨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아기 요람(100)은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아기 요람은 아기 요람을 보관하기 위해, 접혀진 구성으로 접혀질 수 있다. 접혀진 구성으로 아기 요람(100)을 보관하는 것은 아기 요람이 전개 구성에 있는 것보다 더 작은 공간에 보관되게 허용할 수 있다.
도 2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230)는 제1 단부(230a)에서 베이스 부재(210)에 커플링되어, 제1 프레임 부재(230)는 제1 단부(230a)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는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A1)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배열된다.
제2 프레임 부재(240)는 또한, 자신의 제1 단부(240a)에서 베이스 부재(210)에 커플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지지될 수 있어서, 제2 프레임 부재(240)는 자신의 제1 단부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 부재(240)는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A2)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배열된다. 제2 축(A2)은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제1 축(A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선회되게 하기 위해, 제2 프레임 부재(240)는 베이스 부재(210)에 커플링되어,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가 또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활주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배열에서, 제2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커플링되어,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종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10)는 본체 부분(212), 및 본체 부분에 커플링된 제1 브래킷들(214) 및 제2 브래킷들(216)을 포함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들(214)은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제1 단부(230a)에서 제1 프레임 부재(230)를 본체 부분(212)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브래킷들(214)은 아기 요람의 폭에 걸쳐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제1 프레임 부재(230)를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210)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브래킷들(214)은, 제1 브래킷들(214)이 본체 부분(212)에 커플링될 때, 제1 프레임 부재(230)를 베이스 부재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제1 프레임 부재(230)의 측방향 연장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본체 부분과 제1 브래킷들(214) 각각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 부분(236)은 원통형이며, 따라서 측방향 연장 부분(236)은, 제1 프레임 부재(230)가 제1 단부(230a)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선회되게 하기 위해 제1 브래킷들과 베이스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회전되는 선회 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래킷들(216)은 제2 프레임 부재(240)를 본체 부분(212)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브래킷들(216)은 아기 요람의 폭에 걸쳐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240)를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들은, 제2 브래킷들(216)이 본체 부분(212)에 커플링될 때, 제2 프레임 부재의 측방향 연장 부분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높이 및 측방향 연장 부분(246)의 직경보다 큰,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폭을 갖는 본체 부분과 제2 브래킷들 각각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2 프레임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공간 내에 제2 프레임 부재의 측방향 연장 부분(246)이 수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 부분(246)은 원통형이며, 제2 프레임 부재(240)가 제1 단부(240a)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선회되게 하기 위해 제2 브래킷들과 베이스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 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선회 핀을 형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공간의 폭이 측방향 연장 부분(24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측방향 연장 부분은 제2 브래킷(216)과 본체 부분(21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될 수 있는 정도는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공간의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배열들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어서, 제1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될 수 있고, 제2 프레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 및 활주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배열들에서, 제2 브래킷들(216)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제2 프레임 부재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메커니즘과의 그의 커플링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프레임 부재들의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이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때,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 각각은,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이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단부들(230a, 240b)에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 및 활주되게 허용하도록 본체 부분(2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면, 제1 프레임 부재(230), 예컨대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232, 234)은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230b)에서 상부 부재(220)에 커플링될 수 있어서, 제1 프레임 부재는 제1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상부 부재(220)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그리고 선회식으로 이동가능하다. 묘사된 바와 같이, 선회 핀들(238)은 제2 단부(230b)에서 제1 프레임 부재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예컨대 하나의 선회 핀(238)은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 각각 상에 있으며, 선회 핀들은 상부 부재(220)에 활주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240), 예컨대 제1 및 제2 측벽 부분(242, 244)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상부 부재(220)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선회 핀들(248)은 제2 단부(240b)에서 제2 프레임 부재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예컨대 하나의 선회 핀(248)은 제1 및 제2 측벽 부분들 각각 상에 있으며, 선회 핀들(248)은 상부 부재(220)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100)은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상부 부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300)을 더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은,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전개 구성에 대응하는 제1 위치 및 선택적으로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의 접혀진 구성에 대응하는 제2 위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 상부 부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고정 메커니즘(300)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들에서 상부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배열에서, 고정 메커니즘(300)은,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제1 단부(240a)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상부 부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예컨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의 활주를 제한하여,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의 서로에 대한 선회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메커니즘(300)은 본체(310)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예컨대 아기 요람(100)의 종방향으로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이동가능, 예컨대 활주가능하다. 본체(310)는 베이스 부재(210)에 활주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300)은,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본체(310)의 활주를 제한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에 대해 본체(3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분(400)을 더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310) 및 제2 프레임 부재(240),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240a)는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함께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프레임 부재(240)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240a)에서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310)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본체(310)를 고정시키는 것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제2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240a)의 활주를 제한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제1 프레임 부재(230)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선회를 제한한다.
고정 부분(400)은 맞물림 요소(410) 및 맞물림 메커니즘(420)을 포함한다. 맞물림 요소(410)는 베이스 부재(210)에 대해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3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200)의 베이스 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본체(310)는 맞물림 메커니즘(420)이 하우징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420)은, 선택적으로 베이스 부재(210)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재(210)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예컨대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맞물림 요소(41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210)는 개구와 같은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218)는 고정 메커니즘의 맞물림 요소(4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218)는 맞물림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는, 본체(310)가 아기 요람(100)의 전개 구성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위치에 있을 때, 맞물림 특징부가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와 정렬되고 맞물릴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어서, 고정 메커니즘은, 아기 요람의 측벽 및/또는 단부 벽이 바람직한 최대 높이에 있도록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들(230, 240)이 배열될 때, 본체(31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부가적인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들(도시되지 않음)이 베이스 부재(210) 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맞물림 요소(410)는, 예컨대 접혀진 위치 및/또는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위치들에서 베이스 부재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묘사된 배열에서, 어떠한 부가적인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맞물림 메커니즘(420)은 사용자 작동가능 스위치(422)를 포함한다. 묘사된 바와 같이, 스위치(422)는,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 상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며, 맞물림 메커니즘(420)을 동작시키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배열에서, 스위치(422)는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은 맞물림 메커니즘(420)을 작동시키기 위해 개구로 눌리거나 개구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다른 배열들에서, 스위치(422)는 스위치(422)를 작동시키기 위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거나, 선회되거나, 비틀리거나, 또는 활주 또는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작동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스위치(422)는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활주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배열들에서, 스위치(422)는, 예컨대 측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른 방향으로 활주가능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420)은 연결 부재(426)를 더 포함한다. 연결 부재(426)는 연결 부재(426)의 제1 단부(426a)에서 맞물림 요소(410)에 커플링된다. 연결 부재(426)는 연결 부재의 제2 단부(426b)에서 또는 그에 가깝게 연결 부재 상에 형성된 캠 표면(428), 이를테면 캠 슬롯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 상의 캠 표면(428)을 따르기 위한 종동부 요소(424)가 사용자 작동가능 스위치(422) 상에 형성된다. 묘사된 바와 같이, 종동부 요소(424)는 캠 슬롯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420)은, 스위치(422)가 사용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작동될 때, 예컨대 눌려질 때, 종동부 요소(424)가 캠 표면(428)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연결 부재(426)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속된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예컨대 0이 아닌 각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은 아기 요람의 종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아기 요람의 측방향일 수 있다. 캠 표면은 제1 및 제2 방향들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종동부 요소(424)가 캠 표면(428)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연결 부재(426)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 연결 부재(426)는 베이스 부재(210)로부터 맞물림해제되도록 맞물림 요소(410)를 이동시킨다.
스위치(42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때, 종동부 요소(424)는 캠 표면(428)을 따라 역으로 이동되어, 연결 부재(426)로 하여금 제2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이는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도록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킨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맞물림 요소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메커니즘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위치(422)를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429), 이를테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위치(422)를 작동시키는 것은, 베이스 부재(210)에 대한 제2 프레임 부재(240)의 제1 단부의 활주를 허용하기 위해 고정 메커니즘(300)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분(400)은, 맞물림 요소(410) 및 맞물림 메커니즘(420)과는 독립적으로,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430), 및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43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은 추가적인 사용자 작동가능 스위치(442) 및 추가적인 연결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스위치(442) 및 추가적인 연결 부재(44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위치(422) 및 연결 부재(426)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스위치(442)를 작동시키는 것은 베이스 부재(210)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재(210)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430)를 이동시키도록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을 동작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10)는 추가적인 고정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430)와 맞물리고, 예컨대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상보적 맞물림 특징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로 돌아가면,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은,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가 베이스 부재(21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을 편향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탄성 요소(449)를 포함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430) 및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440)은 아기 요람의 종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맞물림 요소(410) 및 맞물림 메커니즘(420)의 거울 이미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고정 메커니즘의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개시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대안적인 예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Claims (14)

  1.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carry cot)으로서,
    베이스 부재;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 - 상기 제1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는 함께 상기 아기 요람의 측벽 또는 단부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것이 상기 아기 요람의 측벽 또는 단부 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함께 선회식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제1 프레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회식으로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함 -; 및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의 활주가 제한되며, 그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의 선회를 제한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활주가능한 본체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본체 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부재는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에 선회식으로 커플링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요소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요소는, 접힌 아기 요람의 측방향으로 구성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아기 요람의 측벽 또는 단부 벽의 높이가 바람직한 최대 높이에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재가 배열될 때, 상기 맞물림 요소와 정렬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의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맞물림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메커니즘은 상기 맞물림 요소에 커플링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 상에 캠(cam)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캠 표면과 맞물리는 종동부(follower)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캠 표면 및 상기 종동부 요소는 함께, 상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상기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은, 상기 캠 표면을 따른 종동부의 작용이, 상기 스위치가 작동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게 작용하도록 기울어진,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아기 요람의 종방향으로 작동가능한,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요소는, 상기 맞물림 요소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편향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기 요람의 베이스 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상기 맞물림 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추가적인 스위치, 및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맞물림해제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메커니즘 및 상기 추가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맞물림 요소 및 상기 추가적인 맞물림 요소를 각각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KR1020200168052A 2019-12-06 2020-12-04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KR20210071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7916.7 2019-12-06
GB1917916.7A GB2589642B (en) 2019-12-06 2019-12-06 Collapsible carry c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852A true KR20210071852A (ko) 2021-06-16

Family

ID=6917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52A KR20210071852A (ko) 2019-12-06 2020-12-04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369210B2 (ko)
EP (1) EP3831247B1 (ko)
KR (1) KR20210071852A (ko)
CN (1) CN112914300A (ko)
ES (1) ES2954906T3 (ko)
GB (1) GB2589642B (ko)
HR (1) HRP20230951T1 (ko)
HU (1) HUE062688T2 (ko)
PL (1) PL3831247T3 (ko)
RS (1) RS64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2195B1 (en) * 2020-12-18 2023-07-17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stroller, foldable bassinet, foldable seat, stroller and stroller and luggage system
CN112870030B (zh) * 2021-01-14 2022-07-12 复旦大学附属儿科医院 一种儿童行走训练辅助支撑结构
CN215583667U (zh) * 2021-08-31 2022-01-21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睡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333A (en) * 1990-07-17 1993-05-04 Peng Luke S Multi-storied parking/displaying rack
US5199930A (en) * 1991-07-08 1993-04-06 Weber Dennis W Adjustable training hurdle
GB9422173D0 (en) * 1994-11-03 1994-12-21 Vince Andrew P Collapsible nursery stand
US20090193582A1 (en) * 2008-02-01 2009-08-06 Gold Bug, Inc. Infant rocker bed
CN201905579U (zh) * 2010-11-23 2011-07-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睡篮
CN102018395B (zh) * 2010-11-29 2013-08-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床
CN102616266A (zh) * 2011-02-01 2012-08-0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婴儿车
DE102012006028A1 (de) * 2012-03-27 2013-10-02 Rofa Industrial Automation Ag Scherenhubtisch
DE102012012934A1 (de) * 2012-06-29 2014-01-02 Christoph Mohr Scherenhubtisch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Scherenhubtisches
DE112012007116A5 (de) * 2012-11-09 2015-07-30 Abc Design Gmbh Zusammenlegbare Baby- oder Kleinkindtransportwanne
CN105559431B (zh) * 2014-10-15 2018-09-2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架高度调整机构及车架
US9668600B1 (en) * 2016-01-12 2017-06-06 Ka Wai Lau Multi-level serving tray carrier
KR101894463B1 (ko) * 2018-02-27 2018-09-05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0863832B2 (en) * 2018-08-01 2020-12-15 Tayla Malott Disposable infant co-sleeper
US11027762B2 (en) * 2019-01-04 2021-06-08 Wonderland Switzerland Ag Foldable car seat carriage
US11085577B1 (en) * 2020-10-16 2021-08-10 Roger F. Wilson Drop down support for container and container including drop down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9236A1 (en) 2021-06-10
EP3831247A1 (en) 2021-06-09
CN112914300A (zh) 2021-06-08
US11369210B2 (en) 2022-06-28
EP3831247C0 (en) 2023-06-14
PL3831247T3 (pl) 2023-10-16
RS64466B1 (sr) 2023-09-29
HUE062688T2 (hu) 2023-12-28
GB2589642B (en) 2024-02-14
HRP20230951T1 (hr) 2023-11-24
GB201917916D0 (en) 2020-01-22
ES2954906T3 (es) 2023-11-27
GB2589642A (en) 2021-06-09
EP3831247B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1852A (ko)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US6666473B2 (en) Foldable stroller with passenger support base
US4892327A (en) Foldable frames for children's pushchairs
US5277472A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US7334836B2 (en) Foldable chair
US6409205B1 (en) Infant car seat stroller
US3550998A (en) Foldable carriage and infant seat combination
US5188380A (en) General utility child seat apparatus
US11001289B2 (en)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EP3299251B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RU2643610C2 (ru) Рам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толкающей рукояткой для прогулочной или легкой детской коляски и коляска с такой рамой
KR20200144571A (ko)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US6938915B2 (en) Vehicle restraint system for a child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JPH0775984B2 (ja)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若しくは倒伏機構
JPH04154477A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US20200385044A1 (en) Foldable frame assembly and stroller
RU2707851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US20110148058A1 (en) Stroller
EP0466489A1 (en) Height-controllable chair
KR101877557B1 (ko) 접이식 왜건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CN114715250B (zh) 折叠式婴儿车、折叠式摇篮、折叠式座椅、婴儿车、婴儿车和行李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