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99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99A
KR20220096699A KR1020200189378A KR20200189378A KR20220096699A KR 20220096699 A KR20220096699 A KR 20220096699A KR 1020200189378 A KR1020200189378 A KR 1020200189378A KR 20200189378 A KR20200189378 A KR 20200189378A KR 20220096699 A KR20220096699 A KR 2022009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content
partial screen
sig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699A/ko
Priority to PCT/KR2021/095028 priority patent/WO2022146108A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고,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개의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개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멀티 뷰 기술이 있다. 멀티 뷰 기술은 전자 장치가 복수개의 단자를 통해 서로 다른 외부의 소스 장치들과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에 서로 다른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기술이다.
전자 장치는 멀티 뷰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신호 중 출력할 영상이 없는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영상이 출력될 부분에 블랙 영상을 출력하거나, 해당 화면에 출력할 영상이 없음을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블랙 영상이나 경고 메시지 등은 심미성을 해칠 뿐 아니라, 하나의 화면을 통해 복수의 영상을 함께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의도에도 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정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를 제공하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다른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소정 부분 화면에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은 소정 부분 화면 및 다른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다른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각 소스 장치에 각 입력 신호가 출력될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가진 영상을 요청하고, 소스 장치로부터 요청한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부분 화면에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2 콘텐츠에 대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부분 화면은 상기 제1 부분 화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 화면의 좌우, 상하, 또는 대각선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를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제1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제2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N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N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N 입력 신호를,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N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N 소스 장치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된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N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는, 전체 화면을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들로 분할할 때의 각 부분 화면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방법은 갱신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제공한 제2 소스 장치에 다른 해상도를 갖는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비율의 해상도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새로운 제2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상기 대체 콘텐츠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상기 무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싱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존재하는 싱크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가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상기 무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더 이상 상기 무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개의 콘텐츠가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고,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가 획득되도록 하고, 상기 대체 콘텐츠가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소정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를 제공하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다른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소정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소정 부분 화면 및 다른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다른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각 소스 장치에 각 입력 신호가 출력될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가진 영상을 요청하고 소스 장치로부터 이를 수신하여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하나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하나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 및/또는 소스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및/또는 소스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소비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멀티 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 뷰 서비스는 전자 장치(100)가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복수개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가 멀티 뷰 서비스를 이용하여 멀티 뷰로 콘텐츠를 출력하는 모드를 멀티 뷰 모드라고 칭하기로 한다.
멀티 뷰 모드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복수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에 각각 서로 다른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의 각 분할된 화면은 부분 화면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화면을 완전히 분할하여 부분 화면이 다른 부분 화면을 가리지 않고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화면은 다양한 개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네 개의 부분 화면이 구성된 것을 표시한 것으로, 멀티 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제1 부분 화면(110), 제2 부분 화면(120), 제3 부분 화면(130) 및 제4 부분 화면(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화면의 크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부분 화면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화면의 배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네 개의 부분 화면이 동일한 크기를 갖고 격자 형태로 배열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복수의 부분 화면의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큰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의 위쪽 중앙에 배치하고 나머지 작은 부분 화면 복수 개를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 나란히 배열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AV 기기,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등과 같이, 콘텐츠가 전송되는 대상인 싱크(Sink)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소스 장치(150)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아 이를 처리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소스 장치(150)는 전자 장치(100)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50)는 노트북이나 태블릿 등의 PC(personal compute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AV 리시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50)는 전파나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케이블 수신 장치나 위성 방송 수신 장치, 셋톱박스(set-top b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50)는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OTT(Over The Top) 서비스 제공자나 IPTV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각종 콘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 수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소스 장치(150)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소스 장치(150)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HDMI는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로, HDMI를 지원하는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등의 소스 장치(150)에서 AV 기기,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등과 같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HDMI는 하나의 실시 예로, 본 출원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HDMI 외에, DV1(Digital Visual Interface), DisplayPort,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15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150)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150)로부터 각각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15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각각 획득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소스 장치(150)는 제1 소스 장치 내지 제4 소스 장치(150-1, 150-2, 150-3, 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소스 장치 내지 제4 소스 장치(150-1, 150-2, 150-3, 150-4)로부터 각각 제1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전자 장치(100)는 네 개의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네 개의 신호 처리부, 즉, 제1 신호 처리부 내지 제4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는 제1 소스 장치(150-1)로부터 수신한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1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 처리부가 획득한 제1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110)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제2 신호 처리부는 제2 소스 장치(150-2)로부터 수신한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제2 부분 화면(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어느 하나의 부분 화면에 출력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는, 전자 장치(100)가 소스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는 것은, 제1 소스 장치(150-1)가 전자 장치(100)와 접속이 안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 장애 등의 이유로 제1 소스 장치(150-1)가 전자 장치(100)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제1 입력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또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는 것은 제1 소스 장치(150-1)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입력 신호가 전자 장치(100)가 처리할 수 없는 신호인 경우에 해당하여 전자 장치(100)가 입력 신호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이유로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므로 해당 콘텐츠가 출력되어야 할 부분 화면에 다른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른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대체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가 출력되어야 할 부분 화면에 대신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대체 콘텐츠는 해당 부분 화면을 통해 원래 출력되어야 할 콘텐츠 대신 출력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대체 콘텐츠는 해당 부분 화면에 원래 출력될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아닌, 다른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멀티 뷰 모드로, 총 네 개의 부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로부터 각각 제1 콘텐츠 내지 제4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각각 제1 부분 화면 내지 제4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를 각각 숫자 1 내지 4로 표기하였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소정의 부분 화면에 출력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소정의 부분 화면에는 원래 출력되어야 할 콘텐츠가 출력되지 못하게 된다. 도 2의 참조 부호 210은 멀티 뷰 모드에서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영상을 도시한 것으로, 제1 부분 화면에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아, 제1 부분 화면에 블랙 영상이 출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어느 하나의 부분 화면에 출력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어느 하나의 부분 화면에 출력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대신 처리할 입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또는 랜덤한 순서대로,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기준으로,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데 이용되는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부분 화면을 기준으로, 해당 부분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위치한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해당 부분 화면의 위 방향이나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한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부분 화면과,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부분 화면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장치(100)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입력 신호로 제2 입력 신호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실시 예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른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다른 부분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참조 부호 220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를 대체 콘텐츠로 획득하고,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를 제2 부분 화면에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 모두에,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2 콘텐츠를 복사하여, 동일한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각각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와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가 모두 제2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함으로써 콘텐츠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제1 신호 처리부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2 신호 처리부 또한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 처리부가 획득한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하고, 제2 신호 처리부가 획득한 제2 콘텐츠를 제2 부분 화면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은 부분 화면과, 선택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부분 화면을 합친 화면을 통해, 선택된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부분 화면과,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제1 부분 화면의 배치가,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제2 콘텐츠가 가로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참조 부호 230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신호 처리부, 예컨대, 제2 신호 처리부만을 이용하여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제2 콘텐츠를 획득한 후, 제2 콘텐츠의 일부 영역만을 제1 부분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리사이징하여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제2 콘텐츠의 나머지 영역을 제2 부분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리사이징하여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가로로 늘어난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와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가 각각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1 신호 처리부가 획득한 콘텐츠의 일부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제2 신호 처리부가 획득한 제2 콘텐츠에서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가로로 늘어난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가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입력 신호로, 다른 입력 신호, 예컨대 제3 입력 신호를 선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과 제3 부분 화면 모두에, 제3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3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3 부분 화면과,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제1 부분 화면의 배치가,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과 제3 부분 화면을 합친 화면을 통해, 제3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세로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신호 처리부는 제3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상부 절반 영역을 제1 부분 화면에 맞게 세로 방향으로 리사이징하고, 제3 신호 처리부는 제3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하부 절반 영역을 제3 부분 화면에 맞게 세로 방향으로 리사이징하여 각각 제1 부분 화면과 제3 부분 화면에 리사이징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3 신호 처리부만 제3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3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3 콘텐츠의 상부 절반 영역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제3 콘텐츠의 하부 절반 영역은 제3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은, 복수개의 부분 화면에서 출력될 콘텐츠 중 복수개의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위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제1 부분 화면 및 제3 부분 화면, 두 개의 부분 화면에 각각 출력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제1 부분 화면 및 제3 부분 화면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부분 화면 및 제3 부분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는 동일한 입력 신호, 예컨대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제2 콘텐츠일 수도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한 부분 화면의 대각선에 위치한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부분 화면에는 제4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제4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제3 부분 화면에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했다가, 해당 입력 신호를 다시 정상 신호로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미 연결되어 있던 소스 장치(150)에 연결되어 소스 장치(150)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되거나, 또는 통신 장애 등의 사유가 없어져 소스 장치(15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되거나, 또는 소스 장치(150)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정상으로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 입력 신호가 더 이상 무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출력되지 않던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해당 입력 신호로부터 해당 부분 화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해당 부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도 2의 참조 부호 220과 같이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하다가, 제1 입력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1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도 2의 참조 부호 230과 같이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다가, 제1 입력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1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하고,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2 콘텐츠는 제2 부분 화면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한 부분 화면에, 다른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신호가 더 이상 무신호가 아니게 되서 입력 신호로부터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 화면을 통해 각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300)는 영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복수의 입력 신호를 멀티 뷰로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디지털 텔레비전, 데스크탑,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 홈네트워크 시스템, 보안 시스템, 의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0) 소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셋톱박스(set-top box), AV 리시버, 케이블 수신 장치나 위성 방송 수신 장치, OTT(Over The Top) 서비스 제공자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받는 인터넷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33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30)는 비디오 게임기나 DVD 플레이어 등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셋톱박스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서버로부터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로드 한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330)는 멀티 뷰 모드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화면을 복수개의 부분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화면에 각각 서로 다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각각의 부분 화면에 각각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3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33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2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모리(320)에는 기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전자 장치(3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30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소스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로부터 복수개의 콘텐츠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330)가 복수개의 콘텐츠들을 복수개의 부분 화면들을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와 소스 장치 간에 물리적으로 케이블 등이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은 되어 있어도 초기화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등의 이유로 통신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300)는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전자 장치(300)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0)가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했으나, 입력 신호에 동기 신호, 즉, 싱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입력 신호에 동기 신호가 존재하더라도, 프로세서(310)는 동기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가 정상이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10)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의 주파수 값을 고려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입력 신호가 전자 장치(300)의 EDID에서 지원하지 않는 타이밍을 갖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소스 장치가 인터넷 수신 장치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입력 신호를 스트리밍하는 장치인 경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에 영상 정보가 없거나 검은색 화면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술한 소정 요건을 소정 시간 이상 만족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다양한 이유로, 입력 신호가 무신호에 해당하여, 입력 신호로부터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한 부분 화면에 출력할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10)는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어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어야 할 제1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다른 입력 신호, 예컨대,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하여 대체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각각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서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다시 획득하게 되는 경우, 각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를 각각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0)가 제1 입력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를 다시 획득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하여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1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2 콘텐츠가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디스플레이(430), 입력부(440) 및 비디오 처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일 예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전자 장치(400)에 포함된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디스플레이(430)는 각각 도 3의 전자 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330)와 수행하는 기능이 같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440)는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소스 장치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위해 소스 장치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44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HP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전자 장치(400)가 켜져 있는지를 소스 장치에 인식시켜주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400)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 값을 변화시켜 소스 장치에 전자 장치(400)가 켜져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소스 장치와 HMDI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이 끊어졌다가 다시 접속되거나, 또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소스 장치와 연결될 때마다,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을 변동시켜 전자 장치(400)가 연결 가능하다는 신호를 새로운 소스 장치에 알려줄 수 있다.
소스 장치는 초기화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전자 장치(4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가 전자 장치(400)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요청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소스 장치로부터 EDID 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400)의 EDI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EDID는 전자 장치(400)의 제조업체, 일련 번호, 해상도, 화면 주사율 및 색상 공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소스 장치에 EDID를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400)의 기능 및 요구 사항을 알려줄 수 있다.
소스 장치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EDID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의 해상도, 화면 주사율, 색상 공간에 적합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출력 가능한 최대 해상도를 EDID로 소스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400)가 출력 가능한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400)가 최대 8K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 즉, 가로 및 세로의 픽셀 수가 7680X4320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처리 가능한 최대 해상도인 8K를 EDID에 포함시켜 이를 소스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소스 장치에 해당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8K의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각각의 입력 신호가 출력될 부분 화면에 맞는 해상도를 EDID를 통해 각각의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부분 화면에 맞는 해상도는, 전자 장치(40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의 영상의 사이즈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들로 분할할 때의 각 부분 화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위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430)가 최대 8K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43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여 동일한 크기를 갖는 네 개의 부분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430)는 네 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최대 4K의 해상도를 가진 콘텐츠, 즉, 가로 및 세로의 픽셀 수가 3840X2160인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EDID를 이용하여, 처음부터 각각의 소스 장치에 4K의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이미 전자 장치(400)가 EDID를 이용하여 8K의 해상도의 입력 신호를 요청한 경우, 전자 장치(400)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EDID를 갱신하여 새로운 EDI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4K의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가 요청한 4K의 입력 신호를 소스 장치가 가지고 있는 경우, 소스 장치는 4K의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서로 다른 EDID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각각의 입력 신호가 출력될 부분 화면에 맞는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를 각각의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 신호가 출력될 제1 부분 화면과 제2 입력 신호가 출력될 제2 부분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제1 부분 화면에 맞는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를 제1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제2 부분 화면에 맞는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를 제2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동일한 콘텐츠를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는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해서 각각 8K, 4K, 2K의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소스 장치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EDID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가 요구한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처리부(45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450)는 입력 신호에 대한 디코딩 및 리사이징 등을 수행하여 입력 신호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비디오 처리부(450)는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을 처리하여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450)는 획득한 콘텐츠를 각 콘텐츠가 출력될 부분 화면의 사이즈에 맞는 크기로 리사이징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450)는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된 각 콘텐츠를 믹스하여 이를 디스플레이(4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의 전자 장치(500)는 입력부(510) 및 비디오 처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는 전자 장치(500)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입력부(510) 및 비디오 처리부(52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500)는 도 3이나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 400)와 마찬가지로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입력부(510)는 도 4의 전자 장치(400)에 포함된 입력부(440)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도 5의 비디오 처리부(520)는 도 4의 비디오 처리부(450)의 일 예일 수 있다.
입력부(51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와 케이블 등을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510)는 소스 장치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위해 소스 장치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51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은 입력부(510)로부터 수신한 초기화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입력부(51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510)는 소스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500)의 EDI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510)는 전자 장치(500)의 제조업체, 일련 번호, 해상도, 화면 주사율 및 색상 공간 등과 같은 전자 장치(500)의 스펙이나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를 복수개의 소스 장치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소스 장치는 각각 전자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EDID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의 해상도, 화면 주사율, 색상 공간에 적합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자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처리부(520)는 복수개의 파이프라인 및 믹서(529)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은, 신호 처리부로 호칭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520)는 멀티 뷰를 지원하기 위해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을 처리하는 복수개의 파이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은 각 입력 신호마다 하나씩 생성될 수 있다. 즉, 멀티 뷰 모드에서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컨텐츠가 네 개인 경우, 네 개의 입력 신호 각각에 대해 네 개의 파이프라인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소스 장치가 네 개인 경우, 네 개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네 개의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기 위한 네 개의 파이프라인이 비디오 처리부(520)에 포함된 것을 도시한다. 네 개의 파이프라인은 각각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1, 523, 525, 527)일 수 있다.
파이프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500)에 탑재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파이프라인(521, 523, 525, 527)은 복수개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각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은 처리할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내부에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1 내지 527)은 각각 디코딩부 및 리사이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라인(521)은 제1 디코딩부 및 제1 리사이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코딩부는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리사이징부는 제1 디코딩부에 의해 획득한 제1 콘텐츠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제1 콘텐츠가 출력될 제1 부분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500)가 8K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소스 장치로부터 8K의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전자 장치(5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네 개의 부분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제1 리사이징부는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1 콘텐츠를 4K의 사이즈로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파이프라인(523)은 제2 디코딩부 및 제2 리사이징부를 포함하여,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제2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2 콘텐츠의 사이즈를 제2 부분 화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믹서(529)는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1, 523, 525, 527)을 통해 획득한 콘텐츠들을 각각 부분 영상으로 포함하는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위 예에서, 믹서(529)는 네 개의 4K 부분 화면들로 구성된 전체 8K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디오 처리부(520)는 스케일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는 믹서(529)가 생성한 전체 영상이 전자 장치(500)의 표시 해상도보다 작거나 큰 경우, 전체 영상을 전자 장치(500)의 표시 해상도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500)는 출력 가능한 해상도의 영상을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500)가 출력 가능한 영상의 해상도와, 전자 장치(500)가 수신 및 처리 가능한 입력 신호의 해상도가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위 예에서, 전자 장치(500)가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입력 신호의 해상도는 8K이나, 출력 가능한 영상의 해상도는 8K가 아니고 4K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일링부는 믹서(529)로부터 획득한 8K 영상을 4K 영상으로 스케일링하여, 4K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510)는 복수의 부분 화면 중 소정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510)는 복수의 부분 화면 중,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입력부(510)가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일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는, 예컨대, 입력부(510)가 제1 소스 장치와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연결 되어 있더라도 통신 오류 등으로 인해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는, 입력부(510)가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했으나 제1 입력 신호에 동기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동기 신호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동기 신호의 주파수 값이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입력 신호, 예컨대, 제2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510)는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가 제1 파이프라인(521)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파이프라인(521)은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를 부분 화면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입력부(510)는 제2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가 각각 제2 파이프라인(523)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7)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파이프라인(523)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7)은 제2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제2 내지 제4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각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믹서(529)는 리사이징된 대체 콘텐츠 및 리사이징된 제2 내지 제4 콘텐츠를 각각 제1 부분 화면 내지 제4 부분 화면에 배열하여 전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는 모두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을 통해 획득된 콘텐츠이므로, 같거나 거의 유사한 영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 신호의 해상도가 각각 다른 경우, 믹서(529)는 입력 신호 중 가장 큰 해상도를 기준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0)는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부분 화면과,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제1 부분 화면의 배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제2 콘텐츠가 가로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파이프라인(521)에 포함된 제1 리사이징부는 제1 디코딩부가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된 콘텐츠 중 일부 영역만을 획득하고, 일부 영역을 제1 부분 화면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리사이징부는 디코딩된 콘텐츠의 좌측 절반의 영역만을 자르고, 좌측 절반의 영역이 제1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리사이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파이프라인(523)에 포함된 제2 리사이징부는 제2 디코딩부에 의해 획득된 제2 콘텐츠에서, 우측 절반의 영역만을 자르고, 우측 절반의 영역이 제2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리사이징할 수 있다. 이 경우, 믹서(529)는 대체 콘텐츠의 좌측 절반의 영상이 제1 부분 화면에 배치되고, 제2 콘텐츠의 우측 절반의 영상이 제2 부분 화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전체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입력부(510)는 제1 부분 화면에 출력할 콘텐츠가 없는 경우, 제1 파이프라인(521)에는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고, 제2 파이프라인(523) 내지 제4 파이프라인(527)으로만 제2 입력 신호 내지 제4 입력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2 파이프라인(523)에 포함된 제2 디코딩부는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2 리사이징부는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맞도록 제2 콘텐츠의 크기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믹서(529)는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의 좌측 절반의 영상이 제1 부분 화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2 콘텐츠의 우측 절반의 영상이 제2 부분 화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전체 영역에 출력되게 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는 비디오 처리부(620)에 하나의 디코딩부(621) 및 리사이징부(623)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처리부(620)에는 각각의 입력 신호를 처리할 복수개의 디코딩부 및 리사이징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서, 입력부(610)의 하단 좌측에 도시된 콘텐츠 600-1 내지 600-4는 각각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61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EDID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전자 장치가 최대 8K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EDID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해상도가 8K인 입력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8K의 해상도를 가진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에 해당하여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어야 할 제2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600-2) 또한 무영상일 수 있다.
도 6에서, 입력부(610)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콘텐츠 600-1, 600-1, 600-3, 600-4는 각각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부(610)는 제1 파이프라인에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입력부(610)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할 제2 파이프라인에도 제2 입력 신호 대신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부(610)는 제1 입력 신호가 제1 파이프라인과 제2 파이프라인에 각각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610)는 제3 입력 신호 및 제4 입력 신호가 각각 제3 파이프라인 및 제4 파이프라인에 각각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코딩부(621)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는 제1 디코딩부 내지 제4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디코딩부(621)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콘텐츠 600-1, 600-1’, 600-3, 600-4는 각각 제1 디코딩부 내지 제4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제1 디코딩부와 제2 디코딩부는 각각 제1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콘텐츠 600-1, 콘텐츠 600-1’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코딩부와 제2 디코딩부의 사양에 따라, 제1 디코딩부와 제2 디코딩부에 의해 획득된 콘텐츠 600-1 과 콘텐츠 600-1’은 같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리사이징부(623)는 디코딩부(621)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각각의 콘텐츠 600-1, 600-1’, 600-3, 600-4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리사이징부(623)는 멀티 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멀티 뷰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각 콘텐츠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부분 화면이 네 개인 경우, 리사이징부(623)는 디코딩부(621)에 의해 디코딩된 콘텐츠의 사이즈를 각각 1/4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콘텐츠의 해상도가 8K인 경우, 리사이징부(623)는 각각의 콘텐츠를 원래 크기의 1/4의 사이즈로 리사이징하여, 각각의 영상이 4K의 해상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믹서(625)는 4K의 해상도를 갖는 리사이징된 콘텐츠들을 믹싱할 수 있다. 믹서(625)는 네 개의 콘텐츠들이 분할하여 포함된 하나의 8K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부분 화면에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도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에 해당하여 전자 장치가 제2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에서, 입력부(710)의 좌측 하단에 도시된 콘텐츠 700-1 내지 700-4는 각각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콘텐츠 600-1 내지 600-4와 달리, 도 7에서 입력부(710)가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그 크기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71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EDID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710)는 멀티 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멀티 뷰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조절된 사이즈를 갖는 콘텐츠를 각각의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전자 장치가 최대 8K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여 네 개의 부분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입력부(710)가 1/4의 사이즈를 갖는 4K의 입력 신호를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즉, 입력부(710)는 최대 해상도인 8K 영상이 아닌, 4K 영상의 입력 신호를 각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부분 화면이 네 개가 아니고 두 개인 경우, 입력부(710)는 최대 해상도의 1/2의 사이즈를 갖는 입력 신호를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710)는 전자 장치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지 않다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들과 연결됨에 따라 자동으로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 경우, 이전에 전송한 EDID와는 다른 새로운 EDID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입력부(710)는 4K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된 EDID를 이용하여 이전에 요청한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도 7은, 전자 장치가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에 4K의 해상도의 영상을 요청하고, 각각의 소스 장치로부터 해상도가 4K인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입력부(710)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콘텐츠 700-1, 700-1, 700-3, 700-4는 각각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부(710)는 제1 파이프라인에 4K의 해상도를 갖는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2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입력부(710)는 제2 입력 신호 대신 제1 입력 신호를 제2 파이프라인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710)는 제3 입력 신호 및 제4 입력 신호가 각각 제3 파이프라인 및 제4 파이프라인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코딩부(721)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는 제1 디코딩부 내지 제4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디코딩부와 제2 디코딩부는 모두 제1 입력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콘텐츠 700-1, 콘텐츠 700-1’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에서, 디코딩부(721)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각각의 콘텐츠 700-1 내지 700-4는 이미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조절된 사이즈를 가지므로, 리사이징부(723)는 별도로 사이즈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믹서(725)는 디코딩된 콘텐츠들 700-1 내지 700-4를 합쳐 전체 8K의 멀티 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하나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전자 장치는 최대 8K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복수개의 소스 장치 각각으로부터 해상도가 4K인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8에서, 입력부(810)의 하단 좌측에 도시된 콘텐츠 800-1 내지 800-4는 각각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810)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할 제1 파이프라인(820)에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810)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콘텐츠 800-2, 800-2, 800-3, 800-4는 각각 제1 파이프라인 내지 제4 파이프라인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제1 파이프라인(820)에 포함된 제1 디코딩부(821)는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파이프라인(820)에 포함된 제1 리사이징부(823)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 중 일부 영역만을 제1 부분 화면의 사이즈, 즉, 4K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파이프라인(830)에 포함된 제2 디코딩부(831) 또한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파이프라인(830)에 포함된 제2 리사이징부(833)는 제2 콘텐츠 중 일부 영역만을 제2 부분 화면의 사이즈인 4K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도 8에서, 멀티 뷰를 구성하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은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되게 되므로, 실시 예에서, 제1 리사이징부(823)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콘텐츠 중, 좌측 절반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획득하여 이를 가로 방향으로 두 배만큼 늘려 4K 영상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하고, 제2 리사이징부(833)는 제2 콘텐츠의 우측 절반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획득하여 이를 가로 방향으로 두 배만큼 늘려 4K 영상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 또한 각각 디코딩하여 4K의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믹서(840)는 네 개의 4K 콘텐츠를 멀티 뷰로 포함하는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믹서(84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은 제1 파이프라인(82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과 제2 파이프라인(83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각각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가로 방향으로 확대된 영상이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되게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하나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전자 장치는 최대 8K의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 경우,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EDID를 갱신하여,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비율의 해상도를 가진 제2 입력 신호를 제2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910)는 EDID의 해상도 리스트 중, 가로 방향으로 가장 긴 와이드 영상, 예컨대, 21:9의 비율을 갖는 영상을 제2 제2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소스 장치는 입력부(910)가 요청한 와이드 영상을 갖고 있는 경우, 이를 입력부(91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EDID를 이용하여 제3 소스 장치 및 제4 소스 장치로부터는 해상도가 4K인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910)의 하단 좌측에 도시된 콘텐츠 900-1, 900-2’, 900-3, 900-4는 각각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입력 신호 및 제4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 900-3, 900-4는 4K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 900-2’은 UWQHD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UWQHD 영상은 3440X1440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입력부(910)는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와이드 영상을 제2 파이프라인(920)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910)는 제1 파이프라인으로는 제2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지 않음으로써, 제2 파이프라인(920) 하나만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파이프라인(920)에 포함된 제2 디코딩부(921)는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리사이징부(923)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 즉, 가로 및 세로가 7680X2160의 사이즈를 갖는 영역에 맞도록 제2 콘텐츠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제2 리사이징부(923)는 왜곡이 최소가 되도록, 가로 및 세로를 동일한 비율만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리사이징부(923)는 제2 콘텐츠의 가로 및 세로를 각각 동일한 비율인 1.5배만큼 늘려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5160X2160이 된다.
전자 장치는 또한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4K의 제3 콘텐츠 및 제4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믹서(930)는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 제3 콘텐츠, 및 제4 콘텐츠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믹서(930)가 생성한 영상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가 포함된 영상일 수 있다. 이 때,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의 사이즈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사이즈와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다. 믹서(930)는 리사이징된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사이즈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제1 부분 화면의 좌측과 제2 부분 화면의 우측에는 약간의 블랙 영상이 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으나,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콘텐츠의 왜곡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0의 전자 장치(1000)는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디스플레이(430), 비디오 처리부(450) 외에도, 튜너부(1010), 통신부(1020), 감지부(1030), 입/출력부(1040), 오디오 처리부(1050), 오디오 출력부(10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0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 등을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0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0)를 주변 기기나 외부 장치, 서버 등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전자 장치(10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021), 블루투스(1022), 유선 이더넷(Ethernet)(10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리모컨 등과 같은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블루투스(1022)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1022)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BLE 통신 모듈은 BLE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제어 장치 등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10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1031), 카메라부(1032), 및 광 수신부(10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0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4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1032)는 센서(미도시) 및 렌즈(미도시)를 포함하고, 화면에 맺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광 수신부(1033)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1033)는 리모컨이나 핸드폰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는 제어 장치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광 수신부(1033)가 수신한 광 신호로부터 키 코드 명령어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전자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0)는 도 4의 입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0) 외부의 기기 등으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신호나 정지 영상 신호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신호나, 음악 신호 등) 및 메타데이터 등의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콘텐츠에 대한 HDR 정보,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나 콘텐츠 타이틀, 콘텐츠 저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0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042), PC 포트(PC port, 1043), 및 USB 포트(USB port, 10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0)는 HDMI 포트(1041), 컴포넌트 잭(1042), PC 포트(1043), 및 USB 포트(10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0)는 복수개의 소스 장치들과 각각 입/출력부(1040)의 포트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입/출력부(1040)를 이용하여 각각의 소스 장치에 EDID를 전송하고, 각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450)는, 디스플레이(430)에 의해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및 리사이징 외에도, 렌더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450)는 멀티 뷰 모드에서, 복수의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으로 처리하고 이로부터 복수의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소스 장치를 통해, 방송국 등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미디어 신호로, 비디오 신호, 이미지, 텍스트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05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5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6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0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1020) 또는 입/출력부(10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42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60)는 스피커(1061), 헤드폰 출력 단자(106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0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70)는 전자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7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1110).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1120). 전자 장치는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할 입력 신호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멀티 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제1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제1 부분에 인접한 화면 중, 제1 부분 화면의 좌우, 상하, 또는 대각선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 화면에서 출력될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대체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단계 1130).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를 다시 획득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1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하면(단계 1210),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가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파이프파인 내지 제1 신호 처리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1220).
전자 장치의 제1 신호 처리부는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한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신호 처리부에 의해 획득된 대체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1230).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신호 처리부가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1240). 제2 신호 처리부에 의해 획득된 제2 콘텐츠는 제2 부분 화면에 맞게 리사이징되어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단계 1250). 이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에는 모두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츠가 출력되게 되므로, 두 콘텐츠는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가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하면(단계 1310),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2 콘텐츠가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1320).
전자 장치는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부분 화면과, 출력될 콘텐츠가 획득되지 않는 제1 부분 화면의 배치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제2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제2 콘텐츠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하면(단계 1410), 제1 입력 신호 대신 제2 입력 신호가 제1 신호 처리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제1 신호 처리부는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단계 1420).
전자 장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된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제1 부분 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신호 처리부로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단계 1440). 전자 장치는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제2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콘텐츠의 제2 영역을 제2 부분 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각각 좌우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좌측 절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획득하고, 좌측 절반 영역을 제1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의 우측 절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획득하고, 우측 절반 영역을 제2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각각 위 아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상부 절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획득하고, 상부 절반 영역을 제1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의 하부 절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획득하고, 하부 절반 영역을 제2 부분 화면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부분 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된 제1 영역을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단계 1430).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부분 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된 제2 영역을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단계 1450).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라고 판단하면(단계 1510), 제2 소스 장치에 새로운 해상도를 갖는 제2 입력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1520).
전자 장치는 EDID를 갱신하여,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맞는 해상도를 가진 제2 입력 신호를 제2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EDID의 해상도 리스트 중,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비율의 해상도를 가진 제2 입력 신호를 제2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각각 위 아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세로 방향으로 가장 긴 영상을 제2 소스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소스 장치는 전자 장치가 요청한, 세로 방향으로 긴 영상을 갖고 있는 경우, 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1530). 전자 장치의 제2 신호 처리부는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새로운 제2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1540).
전자 장치는 새로운 제2 콘텐츠를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단계 1550). 예컨대, 전자 장치는 새로운 제2 콘텐츠의 상부 절반 영역을 제1 부분 화면에 맞게 조절하여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제2 콘텐츠의 하부 절반 영역을 제2 부분 화면에 맞게 조절하여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1 부분 화면과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새로운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2 콘텐츠에 대응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부분 화면은 상기 제1 부분 화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 화면의 좌우, 상하, 또는 대각선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를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제1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제2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N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N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N 입력 신호를,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N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N 소스 장치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된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N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는, 전체 화면을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들로 분할할 때의 각 부분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갱신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제공한 제2 소스 장치에 다른 해상도를 갖는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비율의 해상도를 갖는 신호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새로운 제2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상기 대체 콘텐츠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상기 무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싱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존재하는 싱크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가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상기 무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더 이상 상기 무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개의 콘텐츠가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고,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로부터 대체 콘텐츠가 획득되도록 하고, 상기 대체 콘텐츠가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 중,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신호이고,
    상기 제2 부분 화면은 상기 제1 부분 화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 화면의 좌우, 상하, 또는 대각선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을 처리하는 복수개의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신호 처리부 중,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신호 처리부 중,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가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콘텐츠의 제1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상기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제2 영역을 리사이징하도록 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제2 영역이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제N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N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N 입력 신호를,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N 소스 장치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제N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된 해상도를 갖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N 입력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제N 부분 화면의 크기에 맞는 해상도는, 전체 화면을 상기 복수개의 부분 화면들로 분할할 때의 각 부분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입력부는 갱신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제공한 제2 소스 장치에 다른 해상도를 갖는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요청하여, 상기 제2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비율의 해상도를 갖는 신호인,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을 처리하는 복수개의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2 신호 처리부가 상기 새로운 제2 입력 신호로부터 새로운 제2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의 제1 영역이 상기 대체 콘텐츠로 획득되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부분 화면 및 상기 제2 부분 화면을 합친 영역에 상기 새로운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싱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존재하는 싱크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가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무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20.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복수개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신호 중,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될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입력 신호를 무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대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제1 부분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189378A 2020-12-31 2020-12-31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96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78A KR20220096699A (ko) 2020-12-31 2020-12-31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1/095028 WO2022146108A1 (ko) 2020-12-31 2021-01-20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78A KR20220096699A (ko) 2020-12-31 2020-12-31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99A true KR20220096699A (ko) 2022-07-07

Family

ID=8225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378A KR20220096699A (ko) 2020-12-31 2020-12-31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96699A (ko)
WO (1) WO20221461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307A (ja) * 1998-02-24 1999-08-31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画面表示装置
KR101276557B1 (ko) * 2010-12-14 2013-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JP2012226222A (ja) * 2011-04-21 2012-11-15 Sharp Corp 出力装置、表示装置、出力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05242B2 (ja) * 2014-06-25 2018-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2016031468A (ja) * 2014-07-29 2016-03-07 Eizo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6108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782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EP3082335B1 (en) Playback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6317838B2 (ja) 提示制御装置及び提示制御方法
ES2710912T3 (es) Aparato de televisión capaz de identificar una pluralidad de periféricos y que permite seleccionar y visualizar el contenido de uno de los mismos
EP298601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64150B2 (en) High resolution user interface
US202003107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6075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02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21007328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1367A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6535560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KR20210068892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96699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4149610A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82128B2 (en) Method of providing imag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265746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789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media playing device on a display device
US20140181657A1 (en) Portable device and audio controlling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1169937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493772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계장치
KR20200035567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6746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0881B1 (ko) 외장 디바이스 수신 콘텐츠를 간편하게 tv 방송 화면에 오버레이 및 원상복구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서비스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