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92A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92A
KR20210068892A KR1020190158457A KR20190158457A KR20210068892A KR 20210068892 A KR20210068892 A KR 20210068892A KR 1020190158457 A KR1020190158457 A KR 1020190158457A KR 20190158457 A KR20190158457 A KR 20190158457A KR 20210068892 A KR20210068892 A KR 2021006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rce device
initialization signal
initializ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김민상
김선우
김신아
신현종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892A/ko
Priority to PCT/KR2020/010001 priority patent/WO20211123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6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 장치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여 소스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이다. HDMI는 HDMI를 지원하는 셋탑박스, DVD 재생기 등의 소스 장치에서 AV기기,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등과 같은 출력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출력 장치와 소스 장치가 HDMI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면 출력 장치는 소스 장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출력 장치는 모든 소스 장치로 동일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소스 장치가 출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경우, 소스 장치는 출력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컨텐츠를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이 경우 출력 장치는 해당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출력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어떤 소스 장치는 그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소스 장치 별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기 때문에 어떤 소스 장치는 출력 장치가 전송한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여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는 아무런 신호도 출력 장치로 전송하지 않거나 또는 출력 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하더라도 그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가 출력 장치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스 장치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여 소스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상기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정상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 및 HPD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초기화 신호는 상기 HPD 신호의 듀레이션이 이전보다 더 증가한 신호, 또는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TMDS CLK 신호 및 상기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이전과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TMDS CLK 신호 및 상기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이전과 다른 신호는,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DDC 신호 및 상기 TMDS CLK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압 값 변동 여부가 이전과 다른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전압 변동 구간의 듀레이션이 이전과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기반하여,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상기 초기화 신호로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되는 초기화 신호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이후, 상기 소스 장치와 재 연결하려는 경우,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가 최적화된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듀레이션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재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소스 장치와 HDMI 통신을 수행하는 HDMI 통신부,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스 장치와의 상기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소스 장치의 기기 정보로부터 소스 장치에 맞는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여 소스 장치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여 소스 장치와 보다 빨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와 HDMI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1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HDMI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컨텐츠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HDMI 시스템(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 예에 따른 초기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1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6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영상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생성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와 HDMI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와 HDMI 케이블(1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2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PC(personal compute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셋탑박스(set-top box), AV 리시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120)는 전파나 케이블을 통해 컨텐츠를 받는 케이블 수신 장치나 위성 방송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소스 장치(12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 The Top)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받는 인터넷 수신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AV 기기,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등과 같이, 컨텐츠가 전송되는 대상인 싱크(Sink)일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등과 같은 컨텐츠를 받아 이를 출력할 수 있다.
HDMI는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HDMI 케이블(130)은 컨텐츠를 압축하지 않고 영상 처리 장치(110)로 전송하는 비압축 디지털 방식의 케이블이다. HDMI 케이블(130)의 양 끝에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이는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에 각각 구비된 포트에 접속되어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간에 HDMI를 이용한 신호 전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위해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HP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영상 처리 장치(110)가 켜져 있는지를 소스 장치(120)에 인식시켜주는 신호이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 값을 변화시켜 소스 장치(120)에 영상 처리 장치(110)가 켜져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HMDI 케이블(130)과 접속이 끊어졌다가 다시 접속되거나, 또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소스 장치와 연결될 때마다,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을 변동시켜 영상 처리 장치(110)가 연결 가능하다는 신호를 새로운 소스 장치에 알려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전압을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강압하고 로우 상태로 일정 기간(duration)을 유지한 후 다시 하이 상태로 전압을 승압시킨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소스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전압 값이 소정 기간 동안 로우 값을 유지하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동일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어떤 소스 장치는 그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가 유효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라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소스 장치 별로 그 소스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소스 장치(110)는 영상 처리 장치(110)가 전송하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만 이를 유효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110)는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 신호를 유효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 전압 값이 소정 기간 동안 로우인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전송한 후,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하면, 이전과 다른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도 그 수신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전과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이전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보다 더 길어진 신호를 새로운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이 일정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도 계속하여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 외에,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 값에 변동을 주어 이를 초기화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와 DDC(Display Data Channel)는 HDMI 케이블(130)에 포함된 독립적인 통신 채널로, 이들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MDS는 TMDS 클럭(CLK) 신호 전송을 위한 TMDS CLK 채널과,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 전송을 위한 TMDS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에서는,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가 TMDS CLK 채널과 DDC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TMDS CLK 신호와 DDC 신호는 전압 변동 없이 일정한 전압 값을 유지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 동안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이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에서,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을 하이에서 로우로 조절하고 이를 소정 기간 유지한 후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승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이전 신호보다 더 늘리거나 더 줄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이 로우가 되는 시점 또는 다시 하이가 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이와 같이 다양하게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을 조절하고 이를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와 함께 초기화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초기화 신호가 소스 장치(120)를 활성화시키는 유효한 초기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20)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로우 기간이 소스 장치(120)에서 요구하는 로우 기간을 만족하는 경우, 그 초기화 신호가 유효한 초기화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 장치(120)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TMDS CLK 신호와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 및/또는 전압이 변동하는 시점이 소스 장치(120)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그 초기화 신호가 유효한 초기화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초기화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DDC 채널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11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가 DDC 채널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110)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요청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EDID 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의 EDID 정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EDID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110)의 제조업체, 일련 번호, 최대 해상도, 화면 주사율 및 색상 공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DDC 라인을 통해 소스 장치(120)에 EDID를 전송함으로써, 영상 처리 장치(110)의 기능 및 요구 사항을 알려줄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EDID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장치(110)의 해상도, 화면 주사율, 색상 공간에 적합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에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하면 이전과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함으로써 소스 장치(120)와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1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HDMI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컨텐츠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HDMI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HDMI 통신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데스크탑, 디지털 TV,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10)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 영상 처리 장치(110)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을 지원하는 HDMI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영상 처리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처리 장치(11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HDMI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HP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초기화 신호는 HPD 신호 외에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 신호는 소스 장치(120)가 영상 처리 장치(110)로 보내는 신호로, EDID 요청 명령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한 이후,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이 정상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초기화 신호들 중, 소스 장치(120)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검색하여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직접 생성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이전 신호보다 더 증가한 신호를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에서,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에 변동이 있는 신호를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에서의 DDC 신호 및 TMDS CLK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 변동 시점이 이전 신호와 다르거나 또는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이전보다 더 길어지거나 짧아진 신호를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전과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HDMI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기 정보는 소스 장치(120)의 종류, 업체 정보, 제조사, 모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기기 정보에 맞는 초기화 신호를 메모리(230)에서 검색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230)는 복수의 소스 장치들 각각의 기기 정보 및 그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가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210)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최대한 많은 소스 장치들과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즉 복수의 소스 장치들과의 호환성을 만족하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영상 처리 장치(110)가 이전에 사용한 이력이 있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영상 처리 장치(110)가 이전에 사용한 이력이 있는 초기화 신호 중 가장 많이 사용한 초기화 신호이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한 초기화 신호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한 경우, 소스 장치(120)로 전송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매핑시키고 이를 소스 장치(120)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로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 간의 연결이 해제된 이후,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와 재 연결하려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이미 소스 장치(120)와 이전에 연결된 이력이 있으므로,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를 검색하고, 검색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그 초기화 신호가 최적화된 초기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최적화된 초기화 신호는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 시간이 최단 시간이 되도록 하는 초기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HPD 신호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을 위한 신호이므로,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길수록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 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어 영상 처리 장치(1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연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기준치보다 길다고 판단하는 경우, 로우인 기간이 줄어든 새로운 HPD 신호를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재 연결이 성공한 경우,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매핑되는 초기화 신호를, 재 연결에 성공한 초기화 신호로 업데이트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 재 연결을 수행할 때 마다,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켜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규격에서 정의한 최소 시간까지 감소시켜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하여 초기화 신호가 최적의 초기화 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로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송신한 이후 소스 장치(120)와의 재 연결이 실패한 경우, 그 소스 장치(120)로 이전에 보내 연결이 성공한 이력이 있는 초기화 신호를 다시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하여 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한 이후, 즉,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신호를 컨텐츠 출력부(240)로 정상 출력한 이후,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영상에 소스 장치(12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 영상에 "ROKU"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해당 영상을 분석하여 "ROKU"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120)가 ROKU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가 ROKU로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기 정보가 ROKU가 아닌 다른 기기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ROKU 기기로 수정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재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가 ROKU라는 것을 메모리(230)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ROKU 셋탑박스에 맞는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 즉, ROKU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영상을 분석하여, 기기 정보를 한번 더 체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기 정보가 메모리(210)에 잘못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수정하여 초기화 신호를 검증함으로써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23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10)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 입력되거나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230)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230)는 복수의 소스 장치들 각각의 기기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서(210)의 내부에 또 다른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서(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츠 출력부(240)는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나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 및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비디오 출력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HDMI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메모리(23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나 헤드폰 출력 단자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HDMI 통신부(220)는 HDMI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스 장치(12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DMI 통신부(22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서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CEC 채널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DDC 채널을 통해 EDID 요청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EDID 요청 명령에 상응하여 DDC 채널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장치(110)의 정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TMDS 채널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HDMI 시스템(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HDMI 시스템(300)은 싱크(310)와 소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310)는 모니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등과 같이 소스(3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소스(320)는 셋탑박스 등과 같이 컨텐츠를 싱크(310)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다. 싱크(310)과 소스(320)는 HDMI 규격에 따른 채널들로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HDMI 인터페이스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DDC(Display Data Channel),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HPD(Hot Plug Detect)와 같은 복수의 독립적인 통신 채널/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싱크(310)와 소스(320)는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 기기 정보, 및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싱크(310)와 소스(320)는 CEC 라인을 통해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CEC 채널은 HDMI에서 고 레벨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로, 싱크(310)와 소스(320)간에 상호 작용을 통제할 수 있다. 싱크(310)와 소스(320)는 CEC 라인을 통해 자동 파워 온, 자동 신호 라우팅 및 단일지점 원격 제어 기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싱크(310)는 CEC 라인을 통해 소스(320)로부터 소스(32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320)의 기기 정보는 소스(320)가 셋탑 박스인지 또는 게임기 인지와 같은 소스(320)의 종류, 소스(320)를 제작한 회사, 그 제품의 모델명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310)는 CEC 라인을 통해 수신한 소스(320)의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320)에 적합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싱크(310)는 CEC 라인이 아닌 다른 채널을 통해 소스(320)로부터 소스(32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싱크(310)는 복수의 소스들에 대해, 각 소스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미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싱크(310)는 메모리로부터 소스(320)의 기기 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에 해당 소스(320)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싱크(310)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싱크(310)는 HPD 라인을 통해 소스(3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는 싱크(310)가 연결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소스(320)에게 알리는 신호로, HP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310)는 전압이 하이에서 로우로, 예컨대 5V에서 0V로 바뀐 상태로 소정 기간, 예컨대 300ms를 유지한 후 다시 5V로 전압을 승압된 HPD 신호를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320)는 싱크(310)로부터 수신한 초기화 신호가 소스(3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호인지 판단하고, 소스(3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호인 경우, DDC 채널을 통해 싱크(310)에 소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320)는 싱크(310)로부터 전압 값이 400ms 이상 0V 값을 유지하는 HPD 신호를 수신하면 싱크(310)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싱크(310)와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위 예에서, 소스(320)는 싱크(310)로부터 수신한 HPD 신호의 로우 구간의 길이가 기준치인 400ms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HPD 신호를 유효한 초기화 신호로 판단하지 않고, 아무런 신호도 싱크(3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싱크(310)는 소스(320)로부터 아무런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싱크(310)는 전압이 로우인 기간이 늘어난, 예컨대 위 예에서 300ms가 400ms로 늘어난 HPD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320)는 싱크(310)로부터 수신한 HPD 신호의 전압이 0V인 구간이 400ms 이상이라는 점에서 이를 유효한 초기화 신호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싱크(310)로 소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스(320)가 싱크(310)로 전송하는 소정 신호는 DDC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DDC 채널은 싱크(310)의 규격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소스(320)는 DDC 채널을 통해 싱크(310)에게 EDID 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EDID 정보는 싱크(310)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의 종류와 기타 정보에 관한 것으로, 싱크(310)의 주파수 정보, 모델 정보, 지원 가능한 해상도 정보 또는 타이밍 정보, 제조 연월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320)는 싱크(310)가 DDC 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EDID를 통해 싱크(310)의 상세 정보를 파악하고, 싱크(310)의 출력 환경에 맞게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소스(320)는 변환된 컨텐츠를 TMDS 채널을 통해 싱크(310)로 전송할 수 있다. TMDS 채널은 TMDS 클럭(CLK) 신호 전송을 위한 TMDS CLK 채널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TMDS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TMDS 채널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채널로, 소스(320)는 최적화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싱크(3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싱크(310)가 HPD 라인을 통해 소스(320)로 전송하는 초기화 신호는 HPD 신호 외에,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10)와 소스(320)는 HPD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에서는, TMDS CLK 채널과 DDC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TMDS CLK 신호와 DDC 신호는 일정한 전압 값을 유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싱크(310)는 소스(320)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싱크(310)는 HPD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기간 동안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을 하이에서 로우로 조절하고 이를 소정 기간 유지한 후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승압한 신호를 초기화 신호로 HPD 신호와 함께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싱크(310)는 소스(320)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전압이 로우가 되는 시점 또는 다시 하이가 되는 시점을 조절하고, 조절된 초기화 신호를 소스(3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여러 종류의 초기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초기화 신호는 HPD 신호를 포함하고, 또한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들은 시간에 따른 초기화 신호의 전압 값을 나타낸다.
도 4a는 HPD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즉, 5V에서 0V로 전압이 바뀌고 t0시간 동안 0V를 유지하다가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즉, 5V로 승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HPD 신호의 전압 값이 로우인 구간동안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의 전압 값은 5V로 일정한 값을 갖고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도 4a의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HPD 신호에서 전압이 0V인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HDMI 규격에 따르면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구간은 최소한의 소정 기준 시간 이상이 되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규격에서 정한 그 최소한의 소정 기준 시간을 만족하면서,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예컨대 규격에서 정한 최소한의 소정 시간이 t0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경우,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구간이 t0보다 더 커지도록 조절하고, 조절된 HPD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소정 시간만큼 HPD 신호에서 전압이 로우인 기간을 늘리고 그 조절된 HPD 신호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에 따라 어떤 소스 장치(120)는 TMDS CLK 신호 또는 DDC 신호의 전압 변동이 소스 장치(120)에서 요구하는 전압 변동 신호를 갖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계속하여 실패하는 경우, HPD 신호에서 전압이 0V인 구간을 더 이상 늘리지 않고, 대신 TMDS CLK 신호나 DDC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b는 초기화 신호 중 DDC 신호의 전압이 조절된 것을 도시한다.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에서 전압이 0V인 구간, 즉, t0구간 동안, DDC 신호의 전압이 5V에서 0V로 낮아졌다가 다시 5V로 올라가는 DDC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DDC 신호의 전압이 0V인 구간 t3는 t0내에 포함된, t0보다 짧은 구간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조절된 DDC 신호를 HPD 신호, TMDS CLK 신호와 함께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DDC 신호의 전압 변동 구간이나 전압이 0V인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도 4b의 DDC 신호에서 t1, t2, t3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새로운 DDC 신호를 생성하고 새로운 DDC 신호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210)는 초기화 신호 중 TMDS CLK 신호의 전압을 조절하여 새로운 TMDS CLK 신호를 생성하고 새로운 TMDS CLK 신호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c는 초기화 신호 중 TMDS CLK 신호의 전압이 조절된 것을 도시한다. 프로세서(210)는 HPD 신호의 전압이 0V인 t0구간에서, t4만큼 지난 시점에서 TMDS CLK 신호의 전압을 5V에서 0V로 강압했다가 t5 시간동안 0V를 유지한 후, 다시 전압을 5V로 올려 새로운 TMDS CLK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조절된 TMDS CLK 신호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TMDS CLK 신호의 전압 변동 구간이나 전압이 0V인 구간, 즉, 도 4c의 TMDS CLK 신호의 t4, t5, t6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새로운 TMDS CLK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210)는 초기화 신호 중 TMDS CLK 신호와 DDC 신호를 함께 조절하여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d는 초기화 신호 중 TMDS CLK 신호와 DDC 신호의 전압이 조절된 것을 도시한다. 프로세서(210)는 초기화 신호 중 HPD 신호의 전압이 0V인 구간 동안, 즉, t0인 구간 동안 DDC 신호의 전압이 변동하는 시점, 즉, t1, t2, t3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고, TMDS CLK 신호의 전압이 변동하는 시점, 즉, t4, t5, t6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새로운 TMDS CLK 신호 및 새로운 DDC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초기화 신호의 조합을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해, 초기화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 TMDS CLK 신호, DDC 신호의 t0부터 t6까지의 값을 조절하여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1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10)는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 및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는 영상 처리 장치(110)가 통신을 수행하려는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메모리(23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230)는 각종 소스 장치 별로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를 입력 신호(IN)로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230)에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검색되면, 해당 초기화 신호를 출력 신호(OUT)로, HDMI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는 메모리(230)에서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기 설정되어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예컨대 영상 처리 장치(110)가 과거에 사용한 적이 있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과거에 사용한 초기화 신호가 복수개인 경우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과거에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이력이 있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는 최대한 많은 소스 장치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초기화 신호로 이미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화 신호일 수 있다.
초기화 신호 검색부(211)는 메모리(230)에서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검색하지 못하고, 디폴트 초기화 신호도 없는 경우, 이를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에 알려준다. 또는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가 소스 장치(120)로 소정의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는 소스 장치(120)에 전송할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 형태의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구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HPD 신호의 전압이 로우인 구간에서 TMDS CLK 신호나 DDC 신호의 전압 변동 구간 및 시점 중 하나 이상을 변동시켜 새로운 초기화 신호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는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HDMI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생성부(213)는 소스 장치(120)와의 통신 연결이 성공하여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정상으로 출력할 수 있을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6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600)는 제어부(210), 메모리(230) 외에, 튜너부(610), 통신부(620), 감지부(630), 입/출력부(640), 비디오 처리부(650), 비디오 출력부(655), 오디오 처리부(660), 및 오디오 출력부(670),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600)는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110)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 및 메모리(230)에 대하여, 도 2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3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너부(6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 등을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영상 처리 장치(6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6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62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방송 수신을 수행하는 튜너,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통신부(6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처리 장치(600)를 외부 장치나 서버와 연결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600)는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 장치나 서버 등으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600)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영상 처리 장치(6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621), 블루투스(62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62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20)는 무선랜(621), 블루투스(62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62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리모컨 등과 같은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620)는 블루투스(622)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BLE(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620)는 블루투스(622)나 BLE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외부 장치 등과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6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631), 카메라부(632), 및 광 수신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6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632)는 센서(미도시) 및 렌즈(미도시)를 포함하고, 화면에 맺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광 수신부(633)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633)는 리모컨이나 핸드폰 등과 같은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출력부(6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처리 장치(600)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신호나 정지 영상 신호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신호나, 음악 신호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컨텐트에 대한 설명이나 컨텐트 타이틀, 컨텐트 저장 위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6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6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642), PC 포트(PC port, 643), 및 USB 포트(USB port, 6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640)는 HDMI 포트(641), 컴포넌트 잭(642), PC 포트(643), 및 USB 포트(6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포트(641)는 도 2에서 HDMI 통신부(220)가 수행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DMI 통신부(220)는 소스 장치(120)와 HDM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CEC 라인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HPD 라인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HDMI 통신부(22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DDC 채널이나 TMDS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처리부(650)는, 비디오 출력부(655)에 의해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부(655)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또는 HDMI 포트(641)를 통해 수신한 비디오 신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는 미디어 신호로,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655)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비디오 출력부(65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65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 장치(6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600)는 비디오 출력부(655)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6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6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부(6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610)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620) 또는 입/출력부(6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23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670)는 스피커(671), 헤드폰 출력 단자(67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6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는 영상 처리 장치(6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600)가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미도시)에 의해서 조작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를 통하여 영상 처리 장치(600)를 제어하여 영상 처리 장치(600)의 여러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장치(600) 및/또는 소스 장치(120)의 전원이 켜지도록 하거나, 영상 처리 장치(600)와 연결될 소스 장치를 특정 소스 장치에서 다른 소스 장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710). 영상 처리 장치(110)는 HPD 라인을 통해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초기화 신호는 HP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초기화 신호는 HPD 신호와 함께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와 연결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720). 영상 처리 장치(110)와 소스 장치(120) 간에 연결이 성공했다는 것은,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영상 처리 장치(110)를 통해 정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소스 장치(120)로부터 아무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소스 장치(1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였으나, 해당 컨텐츠 신호를 정상으로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30).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영상 처리 장치(110) 내부에 기 저장된 초기화 신호가 있는 경우, 이 중 이전에 전송한 초기화 신호와 다른 초기화 신호를 검색하여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 장치(110)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810). 기기 정보는 소스 장치(120)의 제조사, 제품 모델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CEC 라인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820).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830).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110)는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840).
영상 처리 장치(110)는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한 이후, 오디오, 비디오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850).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가 정상 출력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 신호를 이전과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860). 영상 처리 장치(110)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로우 전압 기간을 더 늘리거나 줄여서 변경된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 장치(110)는 HPD 신호의 로우 전압 기간에서 TMDS CLK 신호나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압을 조절하여 변경된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변경된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한 이후, 오디오, 비디오 신호가 계속하여 정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이전과 다른 새로운 변경된 초기화 신호를 다시 획득하고 이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될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910). 영상 처리 장치(110)는 CEC 라인을 통해 소스 장치(120)로부터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영상 처리 장치(110)는 HDMI의 다른 채널을 통해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920).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940).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여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930). 예컨대,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가 최적화된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로우 전압의 기간이 예컨대 600ms인 경우, 로우 전압의 기간이 더 줄어든 400ms를 갖는 HPD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이후, 소스 장치(120)와의 연결이 성공하여 소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950).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되는 경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초기화 신호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단계 970). 예컨대, 위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로우 전압의 기간이 400mn인 HPD 신호를, 소스 장치(120)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초기화 신호로 업데이트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이전의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960). 위 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110)는 로우 전압의 기간이 600ms인 HPD 신호를 소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0)

  1.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상기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정상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되는, 영상 표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 및 HPD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초기화 신호는 상기 HPD 신호의 듀레이션이 이전보다 더 증가한 신호, 또는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TMDS CLK 신호 및 상기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이전과 다른 신호인, 영상 표시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TMDS CLK 신호 및 상기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이전과 다른 신호는,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DDC 신호 및 상기 TMDS CLK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압 값 변동 여부가 이전과 다른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전압 변동 구간의 듀레이션이 이전과 다른 신호인, 영상 표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기반하여,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상기 초기화 신호로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되는 초기화 신호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이후, 상기 소스 장치와 재 연결하려는 경우,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가 최적화된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화 신호에 포함된 HPD 신호의 듀레이션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재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3. 소스 장치와 HDMI 통신을 수행하는 HDMI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스 장치와의 상기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화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정상 출력되지 않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했다고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전과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TMDS CLK 신호 및 DDC 신호 중 하나 이상과 HPD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초기화 신호는 상기 HPD 신호의 듀레이션이 이전보다 더 증가한 신호, 상기 HPD 신호의 상기 듀레이션 구간 내에서의 상기 TMDS CLK 신호 및 상기 DDC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압 값 변동 여부가 이전과 다른 신호, 및 상기 전압 변동 구간의 듀레이션이 이전과 다른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되는 초기화 신호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이후, 상기 소스 장치와 재 연결하려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가 최적화된 초기화 신호가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를 조절하여 조절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스 장치와의 재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HDMI 통신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HDMI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매핑된 초기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기반하여, 디폴트 초기화 신호를 상기 초기화 신호로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장치.
  20. 소스 장치와의 HDMI 통신 연결을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신호와 다른 새로운 초기화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58457A 2019-12-02 2019-12-02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68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57A KR20210068892A (ko) 2019-12-02 2019-12-02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0001 WO2021112368A1 (ko) 2019-12-02 2020-07-29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57A KR20210068892A (ko) 2019-12-02 2019-12-02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92A true KR20210068892A (ko) 2021-06-10

Family

ID=7622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57A KR20210068892A (ko) 2019-12-02 2019-12-02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8892A (ko)
WO (1) WO20211123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2019B2 (en) 2021-08-0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for processing EDID information
WO2024071485A1 (ko) * 2022-09-30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38B1 (ko) * 2006-11-10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표시장치
JP4525807B2 (ja) * 2008-07-25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35452A (ja) * 2009-07-29 2011-02-17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03259999B (zh) * 2012-02-20 2016-06-1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Hpd信号输出控制方法、hdmi接收端设备及系统
KR102476605B1 (ko) * 2018-05-11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2019B2 (en) 2021-08-0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for processing EDID information
WO2024071485A1 (ko) * 2022-09-30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68A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34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03755B1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KR10254953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40060040A (ko)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KR20130122359A (ko) 영상처리장치, 음성취득장치, 그 음성인식방법 및 음성인식시스템
KR2017009143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1018530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210068892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90761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88509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matching electronic devices
EP353777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59540A1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476342B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11213373B (zh) 电子设备、音频输出设备以及电子设备的操作方法
US116883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050967B2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necting peripheral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image display device
US20170111484A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090033A1 (e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same
US202300415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182703A1 (en)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500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96699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0211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2124602A (ja)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