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73A - Device for supplying spoons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lying spo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73A
KR20220096473A KR1020200188943A KR20200188943A KR20220096473A KR 20220096473 A KR20220096473 A KR 20220096473A KR 1020200188943 A KR1020200188943 A KR 1020200188943A KR 20200188943 A KR20200188943 A KR 20200188943A KR 20220096473 A KR20220096473 A KR 2022009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unit
driving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0050B1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20018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050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47G21/145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ja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upplying a spoon.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for supplying a spoon is installed in a restaurant such as a cafeteria and a buffet restaurant to align and store multiple spoons,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the stored spoon to be automatically withdrawn to supply the spoon one by one to user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oon storage unit where the multiple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 spoon withdrawal unit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to withdraw the stacked spoons one by one; and a spoon supply unit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al unit to supply the withdrawn spoon to the user.

Description

숟가락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spoons}{Device for supplying spoons}

본 발명은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s ar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given to users one by one. It is about a spoon feeder that allows you to supply it.

숟가락은 젓가락, 포크 등과 함께 음식을 섭취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숟가락은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수납통에 담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많은 음식점의 경우 숟가락 수납통에 분리하여 수납한다.A spoon is an essential tool used when eating food along with chopsticks and forks. In the case of ordinary households, these spoons are put in one storage box and used, but in restaurants with many visitors, they are stored separately in the spoon storage box.

이러한 숟가락 수납통은 식탁 등에 숟가락 헤드부가 위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수납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수납통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수납통은 내부에 수납된 숟가락을 꺼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상기 수납통 내의 숟가락을 뒤적거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Such a spoon container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contain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cover so that it can stand upright with the spoon head facing up on a table, and a box-shaped container with a cover so that it can be laid on a table, etc. The storage box having the same general structure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rummage the spoon in the storage box with a finger in order to take out the spoon stored therein.

또한, 상기 수납통 내의 숟가락을 꺼내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숟가락 및 젓가락을 만지게 되므로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poon in the storage box, there is a problem in sanitary because several spoons and chopsticks are touched.

즉, 현재까지 국내에서 22,000명 이상의 누적 확진자와 350명 이상의 누적 사망자가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라 한다)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은 물론,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ona 19'), which has resulted in more than 22,000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more than 350 cumulative deaths in Korea, droplets generated when coughing or sneezing ( It is known that it is spread through contact as well as saliva),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upply of a storage box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safely in restaurants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 and exi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에는 수저 인출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젓가락이 배출되는 제1 출구를 가지는 젓가락 수납부;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2 출구를 가지는 숟가락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출구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구로 배출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아 지지하며,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눌리면 기울어지면서 지지하던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기 일단부 측으로 미끄러뜨리는 작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판이 눌리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각각 폐쇄하여 수납된 젓가락과 숟가락의 추가적인 배출을 막는 젓가락 인출기 및 숟가락 인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discloses a spoon withdrawing device,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chopstick receiving unit hav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chopsticks are discharged; a spoon receiving portion hav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poon is discharged; An operation of sliding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posed under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to receive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nd to tilt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when one end is pressed by the user toward the one end. board;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otating when the operating plate is presse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of the stored chopsticks and spoons. It consists of a chopstick dispenser and spoon dispenser to prevent further discharg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판을 누름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작동판을 눌러야만 숫가락과 젓가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작동판 부분에서 오염이 발생되거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고, 작동판의 누름에 의해 수저 한 벌이 정확이 인출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하게 수저가 낭비되거나 추가로 인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다시 수납부로 넣게 될 경우 여전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on and chopsticks can be conveniently pulled out and used by pressing the operating plate. However, since the user can take out the spoon and chopsticks only by pressing the operating plate, the operation plate is contaminated. If there is a risk of infection or virus spreading, if a set of cutlery cannot be pulled out accurately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the cutlery is wasted unnecessarily, or additionally pulled out spoons or chopsticks are put back into the storage unit. The downside is that it can cause problems.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not on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bl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a relatively large-scale restaurant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because there are not many spoons and chopsticks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2009. 02. 19. 공고)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2009. 02. 19.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nd store a plurality of spoons,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withdraw the stored spoons and supply them to users one by one. It is to provide a spoon feeder that allows.

또한, 본 발명은 편심캠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숟가락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1개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숟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on suppl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a malfunction by enabling the spoon to be supplied exactly one by one at regular intervals by reciprocating motion using an eccentric cam.

또한, 본 발명은 숟가락을 1개씩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직렬로 다수 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숟가락의 공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대형 식당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숟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on supply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large restaurant by allowing a plurality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spoon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series to increase the speed of supply of spoons. hav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 및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o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 spoon withdra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to withdraw the stacked spoons one by one, and a spoon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ing unit and drawn out by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o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o.

이때,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다수의 숟가락을 지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수용부 최하단의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poon storage un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pull-out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o support a plurality of spoons accommodated inside, and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poon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d first through-portion is formed.

그리고,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숟가락 보관부가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숟가락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oon draw-out part includes an installation frame installed on the grou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top of the installation frame so that the spoon storage part can be installed and fixed, and fixed installation to the installation frame so that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unit for discharging the spoon accommodated in the spoon storage unit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under the fixing unit to move the spoon suppli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o the spoon supply unit.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설치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숟가락이 통과될 수 있는 제2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fram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part, and the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to suppor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poon storage part,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It is fixedly installed and includes a fixing bracket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poon storage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rame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the spoon can pass.

또한, 상기 구동부는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숟가락 보관부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을 배출부로 공급하는 왕복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a first driving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an eccentric cam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and a reciprocating motion by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ciprocating motion unit for supplying the spoon drawn out from the spoon storage unit to the discharge unit.

이때, 상기 왕복운동부는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고정부의 하부로 투입되어 구동부재의 전방 구동시 숟가락을 가압하여 배출부로 공급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설치프레임과 구동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ciprocating unit includes a driving member that reciproc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is put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and is discharged by pressing the spoon when the driving member is driven for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member supplied to the unit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installation frame and the driving member to move the driving member backward by a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배출부는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3관통부가 형성된 배출프레임과, 상기 배출프레임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제3관통부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located below the fixing unit, the discharge frame is formed with a thir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the spoon supplied by the driving unit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frame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frame, the thi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member for moving the spoon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supply.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부, 구동부 및 배출부가 직렬로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of the fixing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re installed in series.

그리고,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poon suppl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yor means installed under the spoon pull-out portion, and a second driving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spoons can be stored hygienically and safely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transmission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by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stored spoons and supplying them one by one to users.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bloc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캠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숟가락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1개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숟가락을 1개씩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모듈화하여 직렬로 다수 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숟가락의 공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lfunction can be minimized by making it possible to supply exactly one spoon at regular intervals by reciprocating motion using an eccentric cam, and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spoons one by one can be modularized and connected in series By allowing it to be installed, it additionally has the effect of speeding up the feeding speed of the spo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 중 숟가락 보관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side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oon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on draw ou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poon storage part of the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 중 숟가락 보관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igure 1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oon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on pull-ou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ure 6 is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spoon storage part It is a drawing.

본 발명은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 보관부(100), 숟가락 인출부(200) 및 숟가락 공급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poon supply device 10 that automatically withdraws the stored spoons and supplies them one by one to user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1, the spoon storage unit 100, the spoon take-out unit 200, and made to include a spoon supply unit (300).

먼저, 상기 숟가락 보관부(100)는 다수의 숟가락(2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10)와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spoon storage unit 100 serves to store a plurality of spoons 20 in a stacked stat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includes a support unit 110 and a receiving unit 12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110)는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숟가락 보관부(100)가 후술할 숟가락 인출부(200) 상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upport unit 11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so that the spoon storage unit 100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spoon withdraw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made in a rectangular shape by doing.

또한, 상기 수용부(120)는 지지부(110)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다수의 숟가락(20)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헤드부(22)와 자루부(24)를 포함하는 숟가락(20)이 수평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120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poons 20 accommodated inside, the head part 22 and the handle part 24 . The spoon 20 including the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 stacked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20)는 내측에 수용된 숟가락(2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개구된 부분의 전,후방 단부에는 각각 헤드지지부(122)와 자루지지부(124)가 절곡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숟가락(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receiving part 120 may have an open shape at one side so as to check the amount of the spoon 20 accommodated inside,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ned portions have heads, respectively. The support part 122 and the bag support part 124 may be bent so as to prevent the spoon 20 accommodated therein from being separated.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에는 제1관통부(1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관통부(112)는 숟가락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된 숟가락(20)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through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110 . The first through portion 112 is formed in a spoon shape so that the spoon 20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lower. It serves to be discharged to the ,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지지부(110)에는 다수의 관통공(1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공(114)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숟가락 보관부(100)를 숟가락 인출부(2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4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110 , and the through-holes 114 may be used to attach the spoon storage unit 100 to the spoon withdrawing unit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a separate fixing means. (200) It serves to be fixed on the top.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 단부에는 슬릿(slit) 형상의 삽입홀(1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홀(116)을 통해서는 개방된 상태의 제1관통부(112) 하단을 폐쇄시키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16 having a slit shap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10 ,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112 in an open state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6 . A cover plate 130 for closing may be inserted and coupled.

즉, 후술하겠지만, 상기 숟가락 보관부(100)는 숟가락 공급장치(10)의 숟가락 인출부(200) 상에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숟가락 보관부(100)가 숟가락 공급장치(1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부(120) 내측에 숟가락(20)을 투입하게 되면 제1관통부(112)를 통해 숟가락(20)이 하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지지부(110)에 형성된 삽입홀(116)을 통해 커버플레이트(130)를 슬라이드 결합시켜 제1관통부(112) 하단을 폐쇄시킴으로써 숟가락 보관부(100)가 숟가락 공급장치(1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용부(120)의 내측에 숟가락(20)을 투입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oon storage unit 100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on the spoon withdrawing unit 200 of the spoon supply device 10 , and the spoon storage unit 100 is attached to the spoon supply device 10 . When the spoon 20 is put into the receiving part 120 in the not installed state, the spoon 20 exits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first through part 112 , so the insertion hole 116 formed in the support part 110 . ) by sliding the cover plate 130 through to close the lower end of the first through-portion 112, so that even in a state where the spoon storage unit 100 is not installed in the spoon supply device 10,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120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spoon 20 can be stored in the inserted state.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커버플레이트(130)를 숟가락 보관부(100) 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플레이트(130)가 결합된 상태의 숟가락 보관부(100)를 숟가락 공급장치(10)에 설치한 후 커버플레이트(130)를 제거하면 바로 숟가락(20)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숟가락 보관부(100)의 설치 또는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ver plate 13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uple and separate the cover plate 130 to the bottom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using a hand or other tool. , When the cover plate 130 is removed after installing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 the coupled state in the spoon supply device 10 and then removing the cover plate 130, the supply of the spoon 20 becomes possible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

다음, 상기 숟가락 인출부(200)는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2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20)을 한 개씩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210), 고정부(220), 구동부(230) 및 배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poon withdraw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and withdraws the spoons 2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spoons 20 one by one and is supplied to the spoon supply unit 300 . It serves to perform a role, and may include an installation frame 210 , a fixing unit 220 , a driving unit 230 , and a discharge unit 240 .

먼저, 상기 설치프레임(210)은 지면 상에 설치되어 숟가락 인출부(200)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하부에는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serve to support the remain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oon take-out unit 200 to be installed, and wheels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

다음, 상기 고정부(220)는 설치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숟가락 보관부(100)가 그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22), 지지프레임(224) 및 고정브라켓(226)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fixing unit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to serve to enable the spoon storage unit 100 to be fixedly installed thereon, the fixed frame 222 and the support frame 224 ) and a fixing bracket 226 may be includ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프레임(222)은 설치프레임(2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22)에는 지지부(110)에 형성된 제1관통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관통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xed frame 22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serv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 and the fixed frame 222 has the support portion 110 . A second through portion (222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portion (112) formed in may be formed.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프레임(222)에는 지지부(110)에 형성된 관통공(114)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부(110)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프레임(222)에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support part 110 is formed in the fixing frame 222 so that the support part 11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ing frame 222 by a fastening means. It can be configured to

다음, 상기 지지프레임(224)은 고정프레임(22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00)의 지지부(110) 양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10)의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한 쌍이 설치되어 지지부(110)의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숟가락 보관부(100)가 정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support frame 224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22 to serv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the same distance as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110 A pair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upport unit 110 so that the spoon storage unit 10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26)은 지지프레임(22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프레임(222) 상에 설치되는 숟가락 보관부(100)의 지지부(110) 상단을 지지함으로써 고정프레임(222) 상에 설치된 숟가락 보관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지지프레임(224)의 상부로부터 고정프레임(222)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226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24 b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222, on the fixed frame 222 It serve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stalled in the plate, and is installed from the top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224 toward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222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숟가락 보관부(1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2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224)의 사이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데, 하단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116)을 통해 결합된 커버플레이트(130)에 의해 하단부가 폐쇄되어 내측에 숟가락(20)이 수용된 숟가락 보관부(100)를 고정프레임(222)의 상부로 슬라이드 결합시킨다.In more detail, the spoon storage unit 100 may be slide-coupled between a pair of support frames 224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22, as shown in FIG. 6,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The lower end is closed by the cover plate 130 coupl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6 to slide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 which the spoon 20 is accommod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222 .

상기와 같이 설치된 숟가락 보관부(100)의 지지부(110) 양 측면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2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은 고정브라켓(226)에 의해 지지되어 숟가락 보관부(100)는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re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frames 224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10 is supported by a fixing bracket 226 to store the spoon. The unit 100 is able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이때, 상기 숟가락 보관부(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관통공(114)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결합시켜 숟가락 보관부(100)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is coup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support part 110 of the spoon storage part 100 to determine the fixed state of the spoon storage part 100 . It can also be made more robust.

또한, 상기 고정부(220)에 숟가락 보관부(100)를 설치한 후,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단에 결합된 커버플레이트(130)를 제거하면, 숟가락 보관부(100)의 내측에 수용된 숟가락(2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숟가락(20)은 지지부(110)에 형성된 제1관통부(112) 및 고정프레임(222)에 형성된 제2관통부(222a)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배출부(240)의 배출프레임(242) 상에 위치된다.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spoon storage unit 100 in the fixing unit 220 , when the cover plate 1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is removed, the spoon storage unit 1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The spoon 2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poon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through-portion 112 formed on the support 110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222a formed on the fixed frame 222 to be described later. It is located on the discharge frame 242 of 240).

다음, 상기 구동부(230)는 고정부(22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00)에 수용된 숟가락을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부를 통해 1개씩 배출되는 숟가락(20)을 후술할 배출부(24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driving unit 23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210 so as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220 to discharge the spoon accommodat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00, the spoon storage unit 100 of It serves to move the spoons 20 discharged one by one through the lower portion to the discharge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2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232), 제1구동축(234), 편심캠(236) 및 왕복운동부(238)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제1구동모터(232)는 설치프레임(21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부로 배출되는 숟가락(20)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234)은 제1구동모터(232)에 연결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232)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편심캠(23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234)의 일측 단부는 제1구동모터(232)의 모터축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설치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driving unit 230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232 , a first driving shaft 234 , an eccentric cam 236 and a reciprocating unit 238 . First, the first driving motor 232 is fixed to one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spoons 20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The first drive shaft 234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otor 232 and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first drive motor 232 to the eccentric cam 236,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34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driving motor 232 ,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instal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in a rotatable state by a bearing.

다음, 상기 편심캠(236)은 제1구동축(234)에 결합되어 제1구동축(234)의 회전력을 후술할 왕복운동부(238)로 전달하여 왕복운동부(238)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두 개 이상의 편심캠(236)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eccentric cam 236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234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e shaft 234 to a reciprocating motion unit 238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unit 238 reciproc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a function to enable this, two or more eccentric cams 236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편심캠(236)은 그 전단부 외측면이 후술할 왕복운동부(238)의 구동부재(238a)와 맞닿도록 하여 제1구동축(234)에 축결합되는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구동축(234)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축(234)과 편심캠(236)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재(238a)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구동축(234)과 편심캠(236)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구동부재(238a)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eccentric cam 236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234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its front end abuts the driving member 238a of the reciprocating part 238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shaft 2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cam 236 is increa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shaft 234, the driving member 238a moves forward, and the firs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haft 2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cam 236 is shortened, the driving member 238a is configured to move backward.

다음, 상기 왕복운동부(238)는 상기 편심캠(236)의 회전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숟가락 보관부(100)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20)을 배출부(24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재(238a), 가압부재(238b) 및 탄성부재(238c)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reciprocating unit 238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236 and serves to supply the spoon 20 drawn out from the spoon storage unit 100 to the discharge unit 240 . As such, it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238a, a pressing member 238b, and an elastic member 238c.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재(238a)는 편심캠(236)의 전단부 외주면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편심캠(236)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편심캠(236)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ember 238a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cam 236, and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eccentric cam 236 into a reciprocating motion to prevent the eccentric cam 236 from rotating. It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다음, 상기 가압부재(238b)는 구동부재(238a)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부재(238a)의 전방 이동시 숟가락 보관부(100)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20)을 가압하여 배출부(24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pressing member 238b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member 238a to press the spoon 20 drawn out from the spoon storage unit 100 when the driving member 238a moves forward and supply it to the discharge unit 240 . will play a role

즉, 상기 가압부재(238b)의 일측 단부, 즉 후방 단부는 구동부재(238a)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단부, 즉 전방 단부는 고정부(2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재(238a)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관통부(112,222a)를 통해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부로 인출되어 배출부(240) 상에 위치되는 숟가락(20)을 가압하여 후술할 배출프레임(242)에 형성된 제3관통부(242a)로 숟가락(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one end, that is,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 238b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member 238a, and the other end, that is, the front end,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fixing part 220, so that the driving member ( When 238a) moves forward, the spoon 20 is drawn out to the lower part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portions 112 and 222a and is positioned on the discharge unit 240 by pressing the spoon 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spoon 20 to the third through portion 242a formed in the discharge frame 242 to be done.

다음, 상기 탄성부재(238c)는 구동부재(238a)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238a)를 후방, 즉 편심캠(236)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부재(238c)의 일측 단부는 설치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구동부재(238a)에 연결 설치된다.Next, the elastic member 238c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238a and serves to move the driving member 238a rear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eccentric cam 236 by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8c. One end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2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238a) is installed.

즉, 상기 제1구동축(234)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축(234)과 편심캠(236)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 편심캠(236)의 전단부와 맞닿도록 설치된 구동부재(238a)는 탄성부재(238c)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 즉 편심캠(236)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rive shaft 2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cam 236 is shorten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 shaft 234 , the drive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cam 236 . The member 238a can move back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8c, that is, in the eccentric cam 236 direction.

다음, 상기 배출부(240)는 고정부(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부(23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20)을 숟가락 공급부(3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배출프레임(242)과 가이드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discharge unit 24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220 to serve to move the spoon 20 suppli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30 to the spoon supply unit 300, the discharge frame ( 242) and a guide member 244 may be includ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프레임(242)은 고정부(2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숟가락 보관부(100)의 하단에 형성된 제1관통부(112)를 통해 인출된 숟가락(20)은 고정부(220)의 하단에 형성된 제2관통부(222a)를 통해 하강하여 배출프레임(242) 상에 놓여지게 된다.In more detail, the discharge frame 242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210 so as to be positioned under the fixing unit 220 , and the first through-portion 1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00 . ) The spoon 20 drawn out through the descend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portion (222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220 is placed on the discharge frame (242).

이때, 상기 배출프레임(242)에는 제3관통부(242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3관통부(242a)는 구동부(23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숟가락(20)을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44)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frame 242 is formed with a third through portion 242a, the third through portion 242a is a guide member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20 that moves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30. (244)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즉, 상기 제3관통부(242a)는 제1 및 제2관통부(112,222a)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배출프레임(24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230)의 가압부재(238b)에 의한 가압에 의해 배출프레임(242) 상에 놓여진 숟가락(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3관통부(242a)를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through portion 242a is formed on the discharge frame 242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12 and 222a, and is a pressing member of the driving unit 230 . When the spoon 20 placed on the discharge frame 242 is moved forward by the pressurization by the 238b,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ird through-portion 242a.

다음, 상기 가이드부재(244)는 배출프레임(2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3관통부(242a)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20)을 숟가락 공급부(3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guide member 244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210 to be positioned under the discharge frame 24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front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through portion 242a. It serves to move the spoon 20 to the spoon supply unit 300 .

즉, 상기 배출프레임(242)의 제3관통부(242a)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20)이 바로 숟가락 공급부(300)로 투하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숟가락(20)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거나 정위치에 가지런히 투하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재(244)를 통해 제3관통부(242a)로부터 투하되는 숟가락(20)이 숟가락 공급부(300)의 상부 정위치에 투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the spoon 20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through-portion 242a of the discharge frame 242 is directly dropped into the spoon supply unit 300, the spoon 20 is thrown out by impact or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Since there is a risk that it may not be evenly dropped, the spoon 20 that is dropped from the third through portion 242a through the guide member 244 may be guided so that it can be dropped into the upper position of the spoon supply unit 300 . it is designed to be

다음, 상기 숟가락 공급부(300)는 숟가락 인출부(200)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2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수단(310)과 제2구동모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spoon supply unit 300 serves to supply the spoon 20 drawn out through the spoon withdrawing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nd the conveyor means 31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330 are provided. made including

먼저, 상기 컨베이어 수단(310)은 숟가락 인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20)을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330)는 컨베이어 수단(310)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3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conveyor means 310 serves to continuously supply the spoon 20 discharged through the spoon take-out unit 200 to the use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330 is the conveyor means 310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o serv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conveyor means (31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수단(310)은 제2구동축(312)과, 종동축(314), 제1 및 제2롤러(316,318), 컨베이어 벨트(315) 및 지지프레임(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구동축(312)은 제2구동모터(330)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어 제2구동모터(33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315)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314)은 제2구동축(312)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15)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conveyor means 310 includes a second drive shaft 312, a driven shaft 314, first and second rollers 316 and 318, a conveyor belt 315 and a support frame 320. The second drive shaft 312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second drive motor 330 to rotate the conveyor belt 315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drive motor 330 . The driven shaft 314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riving shaft 3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rves to continuously rotate the conveyor belt 315 .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316,318)는 각각 제2구동축(312)과 종동축(314)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315)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15)는 제1 및 제2롤러(316,318)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부재(244)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2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테이블이나 지면 등에 고정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310)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수단(310)은 이미 다양한 물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316 and 318 are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312 and the driven shaft 314, respectively, and serve to allow the conveyor belt 315 to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the conveyor The belt 315 is wou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316 and 318 and serves to supply the user with the spoon 20 that is dropped upward by the guide of the guide member 244 by continuous rotation. , the support frame 320 is fixedly installed on a table or the ground to support the conveyor means 310 at a predetermined height. Since it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doing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즉, 상기 제2구동모터(330)를 구동시키면, 제2구동축(312) 및 그 외측에 결합된 제1롤러(316)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축(312) 및 제1롤러(316)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315)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20)을 연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330 is driven, the second driving shaft 312 and the first roller 316 coupled to the outside rotates,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312 and the first roller 316 are rotated. ), while the conveyor belt 315 rotates by the rot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spoon 20 that is dropped to the upper part to the use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poon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232,330), the control means is the firs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s of the second driving motors 232 and 330 .

즉,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숟가락(2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interval at which the spoon 20 is supplie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232 and 3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such as a restaurant where the spoon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so that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가 한 싸이클(cycle) 씩만 작동하도록, 즉 1개의 숟가락(20)을 숟가락 보관부(100)로부터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30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숟가락 공급부(300)의 컨베이어 벨트(315)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takes out one spoon 20 from the spoon storage unit 1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232 and 330 operate only one cycle at a time, and supplies it to the spoon supply unit 300 . In this case, an object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conveyor belt 315 of the spoon supply unit 300 .

즉,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315)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집어갈 수 있는 위치에서의 숟가락(2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2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숟가락(2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구동모터(232,330)가 한 싸이클 씩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rve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poon 20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conveyor belt 315, that is, a location that a user can pick up. When this is detecte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232 and 330 do not operate, and the user lifts the spoon 20 existing at a specific location and only when the spoon 20 is no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232 and 330 to be driven one cycle at a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210)에 다수의 고정부(220), 구동부(230) 및 배출부(240)가 직렬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다수의 고정부(220) 상에 각각 숟가락 보관부(1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숟가락(20)의 공급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on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a plurality of fixing parts 220 , a driving part 230 and a discharging part ( 240)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series. In this case, since the spoon storage unit 100 can be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xing units 220, the supply speed of the spoon 20 can be further increased.

즉, 상기 고정부(220), 구동부(230) 및 배출부(240)를 각각 모듈식으로 구성하여 설치프레임(210)에 여러 개의 모듈 세트를 직렬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특정 모듈 세트에 이상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모듈 세트들을 이용한 원활한 숟가락(20) 공급이 가능하므로, 대형 건물의 구내식당이나 규모가 큰 식당 등 다수의 소비자들이 동시에 이용하는 식당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unit 220 , the driving unit 230 , and the discharge unit 240 may be configured in a modular manner to install a plurality of module sets in series 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 In this case, abnormalities in a specific module set Alternatively, even in the event of a failure, since the spoon 20 can be smoothly supplied using the remaining module set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restaurant used by a large number of consumers at the same time, such as a cafeteria in a large building or a restaurant in a large scal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20)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20)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편심캠(236)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숟가락(20)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1개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숟가락(20)을 1개씩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모듈화하여 직렬로 다수 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숟가락(20)의 공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poon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spoons 20 can be hygienically and safely stored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 20 is automatically drawn out. By providing one by one to users,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propagation, and by reciprocating using the eccentric cam 236 to supply exactly one spoon 20 at regular intervals. Not only can malfunctions be minimized, but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spoons 20 one by one is modulariz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series, thereby providing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speed up the supply of the spoons 20. hav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s ar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given to users one by one. It is about a spoon feeder that allows you to supply it.

10 : 숟가락 공급장치 20 : 숟가락
22 : 헤드부 24 : 자루부
100 : 숟가락 보관부 110 : 지지부
112 : 제1관통부 114 : 관통공
116 : 삽입홀 120 : 수용부
122 : 헤드지지부 124 : 자루지지부
130 : 커버플레이트 200 : 숟가락 인출부
210 : 설치프레임 220 : 고정부
222 : 고정프레임 222a : 제2관통부
224 : 지지프레임 226 : 고정브라켓
230 : 구동부 232 : 제1구동모터
234 : 제1구동축 236 : 편심캠
238 : 왕복운동부 238a : 구동부재
238b : 가압부재 238c : 탄성부재
240 : 배출부 242 : 배출프레임
242a : 제3관통부 244 : 가이드부재
300 : 숟가락 공급부 310 : 컨베이어 수단
312 : 제2구동축 314 : 종동축
315 : 컨베이어 벨트 316 : 제1롤러
318 : 제2롤러 320 : 지지프레임
330 : 제2구동모터
10: spoon feeder 20: spoon
22: head part 24: handle part
100: spoon storage part 110: support part
112: first through-hole 114: through hole
116: insertion hole 120: receiving part
122: head support 124: bag support
130: cover plate 200: spoon withdrawing part
210: installation frame 220: fixed part
222: fixed frame 222a: second through portion
224: support frame 226: fixing bracket
230: driving unit 232: first driving motor
234: first drive shaft 236: eccentric cam
238: reciprocating part 238a: driving member
238b: pressing member 238c: elastic member
240: discharge unit 242: discharge frame
242a: third through portion 244: guide member
300: spoon supply 310: conveyor means
312: second drive shaft 314: driven shaft
315: conveyor belt 316: first roller
318: second roller 320: support frame
330: second driving motor

Claims (9)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 및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A spo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 spoon withdra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and withdrawing the stacked spoons one by one; and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ing portion comprises a spoon supply for supplying the drawn out spoon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다수의 숟가락을 지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수용부 최하단의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on storage part includes a support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oon draw-out part, and a receiving part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to support a plurality of spoons accommodated inside,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spoon of the lowermost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har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숟가락 보관부가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숟가락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on draw-out portion and an installation frame installed on the grou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frame so that the spoon storage part can be installed and fixed;
A driving unit for discharging the spoon accommodated in the spoon storage unit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so as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Spoon supply device, which is provided under the fixing part and comprises a discharge part for moving the spoon supplied by driving of the driving part to the spoon supply pa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설치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숟가락이 통과될 수 있는 제2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A support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to suppor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poon storage unit, and
and a fixing bracke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prevents the spoon storage part from being separated,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the spoon can pass is formed in the fixed fra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숟가락 보관부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을 배출부로 공급하는 왕복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a first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otor and installed;
an eccentric cam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and
Spoon feeding device comprising a reciprocating motion unit for supplying the spoon drawn out from the spoon storage unit to the discharge unit by reciprocating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부는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고정부의 하부로 투입되어 구동부재의 전방 구동시 숟가락을 가압하여 배출부로 공급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설치프레임과 구동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iprocating unit includes a driving member that reciproc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is put into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unit, and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unit by pressing the spoon when the driving member is driven forwar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installation frame and the driving member to move the driving member backward by a restoring for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3관통부가 형성된 배출프레임과, 상기 배출프레임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제3관통부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located below the fixing unit, the discharge frame is formed with a thir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the spoon supplied by the driving unit is discharged, and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frame, so that the third through-portion is formed. Spoon supply device comprising a guide member for moving the spoon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suppl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부, 구동부 및 배출부가 직렬로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fixing part, the driving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re installed in series on the installation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on supply unit is a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yor means installed under the spoon pull-out portion, and a second driving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KR1020200188943A 2020-12-31 2020-12-31 Device for supplying spoons KR102660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43A KR102660050B1 (en) 2020-12-31 2020-12-31 Device for supplying spo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43A KR102660050B1 (en) 2020-12-31 2020-12-31 Device for supplying spo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73A true KR20220096473A (en) 2022-07-07
KR102660050B1 KR102660050B1 (en) 2024-04-22

Family

ID=8239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943A KR102660050B1 (en) 2020-12-31 2020-12-31 Device for supplying spo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0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10Y1 (en) 2007-06-14 2009-02-19 윤주복 Spoon and chop-stick dispenser
KR20110051355A (en)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Spoon stand with easy withdrawal structure
KR20110005741U (en) * 2009-12-03 2011-06-10 김은지 Hegiene spoon and chopsticks st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10Y1 (en) 2007-06-14 2009-02-19 윤주복 Spoon and chop-stick dispenser
KR20110051355A (en)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Spoon stand with easy withdrawal structure
KR20110005741U (en) * 2009-12-03 2011-06-10 김은지 Hegiene spoon and chopsticks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050B1 (en)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028B1 (en) Automated flatware and napkin assembling apparatus
CN103552797B (en) Intelligently pushing drug panel turnover device
WO2019061932A1 (en) Automatic mahjong machine
US11503924B2 (en) Cutlery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220096473A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WO2018193407A1 (en) Personal cleaning kit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KR102458869B1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KR102458867B1 (e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poons and chopsticks
KR102458872B1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CN206601755U (en) Try the goods buffer unit of vending machine on for self-service shoes
CN109846299B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whole set of tableware
JP3663108B2 (en) vending machine
CN113892791A (en) Automatic medicine taking machine for medicine storage box
KR20220096477A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US6729499B2 (en) System for conveying a selected product to a collection compartment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CN112586960A (en) Rotary type dislocation blanking structure and tableware taking device thereof
KR200218701Y1 (en) Food Feeder for Food Vending Machine
CN112607183B (en) Automatic throwing device for tableware
CN109847330B (en) Circulation fetching machine
KR102405869B1 (en) Chopsticks case
JP2000051021A (en) Article display tool
CN219155418U (en) Recovery device for dining articles
KR20240054793A (en) Product sales bending machine that makes it easy to assemble the display stand
CN214803990U (en) Rotary type dislocation blanking structure and tableware tak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