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72B1 -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872B1
KR102458872B1 KR1020200119247A KR20200119247A KR102458872B1 KR 102458872 B1 KR102458872 B1 KR 102458872B1 KR 1020200119247 A KR1020200119247 A KR 1020200119247A KR 20200119247 A KR20200119247 A KR 20200119247A KR 102458872 B1 KR102458872 B1 KR 10245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
chopsticks
storage unit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6716A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20011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72B1/en
Publication of KR2022003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chopstick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are automatically retrieved and provided to users. It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that can be supplied in pair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opstick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hopsticks are accommod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hopstick withdrawing unit installed below the chopstick storage unit to withdraw and discharge the chopsticks receiv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to the outside. do it with

Description

젓가락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chopstick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are automatically retrieved and provided to users. It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that can be supplied in pairs.

젓가락은 숟가락, 포크 등과 함께 음식을 섭취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젓가락은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수납통에 담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많은 음식점의 경우 각각 별도의 수납통에 분리하여 수납한다.Chopsticks are an essential tool used to eat food together with spoons and forks. In the case of ordinary households, these chopsticks are used in a single storage box, but in restaurants with many visitors, they are stored separately in separate storage boxes.

이러한 젓가락 수납통은 식탁 등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단부가 위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개방형 수납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폐쇄형 수납통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수납통은 내부에 수납된 젓가락을 꺼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상기 수납통 내의 젓가락을 뒤적거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These chopstick storage bin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an open storage bin without a cover so that it can stand upright with the upper end of which the handle is formed on a table, etc., and a closed storage bin formed in a box shape with a cover so that it can be laid on a table, etc. However, the storage box having the above general structure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rummage the chopsticks in the storage box with your fingers in order to take out the chopsticks stored therein.

또한, 상기 수납통 내의 젓가락을 꺼내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젓가락을 만지게 되므로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several chopsticks are touched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chopsticks from the storage box, there is a hygienic problem.

즉, 현재까지 국내에서 22,000명 이상의 누적 확진자와 350명 이상의 누적 사망자가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라 한다)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은 물론,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ona 19'), which has caused more than 22,000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more than 350 cumulative deaths in Korea so far, droplets generated when coughing or sneezing ( It is known that it is spread through contact as well as saliva),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upply of a storage box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safely in restaurants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 and exi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에는 수저 인출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젓가락이 배출되는 제1 출구를 가지는 젓가락 수납부;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2 출구를 가지는 숟가락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출구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구로 배출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아 지지하며,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눌리면 기울어지면서 지지하던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기 일단부 측으로 미끄러뜨리는 작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판이 눌리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각각 폐쇄하여 수납된 젓가락과 숟가락의 추가적인 배출을 막는 젓가락 인출기 및 숟가락 인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discloses a spoon withdrawing device,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chopstick receiving unit hav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chopsticks are discharged; a spoon receiving portion hav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poon is discharged; An operation of sliding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posed under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to receive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nd to tilt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when one end is pressed by the user toward the one end. board;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otating when the operating plate is pressed,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of the stored chopsticks and spoons. It consists of a chopstick dispenser and spoon dispenser to prevent further discharg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판을 누름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작동판을 눌러야만 숫가락과 젓가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작동판 부분에서 오염이 발생되거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고, 작동판의 누름에 의해 수저 한 벌이 정확이 인출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하게 수저가 낭비되거나 추가로 인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다시 수납부로 넣게 될 경우 여전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on and chopsticks can be conveniently pulled out and used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but the user can only take out the spoon and chopsticks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so that the operation plate is contaminated If there is a risk of infection or virus spreading, and if a set of cutlery cannot be pulled out accurately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the cutlery is wasted unnecessarily, or additionally pulled out spoons or chopsticks are put back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wnside is that it can cause problems.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not on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bl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a relatively large-scale restaurant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because there are not many spoons and chopsticks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2009. 02. 19. 공고)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2009. 02. 19.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r of chopsticks to users by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stored chopsticks while arrang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chopsticks. It is to provide a chopstick supply device that allow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opstick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hopsticks are accommod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hopstick extraction unit installed below the chopstick storage unit to take out and discharge the chopsticks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이때,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젓가락 보관부의 전방 하단에는 젓가락이 한 개씩 수평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hopstick storage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ccentric hopper,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to allow the chopsticks to be discharged one by o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젓가락 인출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젓가락을 인출하는 젓가락 인출수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includes a fixed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chopstick withdrawing means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to take out the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the fixed frame being fixedly installed and withdrawn by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and a chopstick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old chopsticks to the chopstick supply unit.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chopsticks by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opened by pressure from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and an opening/closing door for closing the discharge passage by its own 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은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opstick withdrawing means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includes a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wnward one by one, a first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frame, and the fir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drive shaft rotated by the driving of a motor and a guide roller fitted to the first drive shaft to limit the movement of chopsticks through the movement path.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is made of an elliptic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편심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왕복 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fixed to a fixed frame, a crankshaft connected and installed eccentrically to the second motor, a connecting rod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crankshaft, and a front of the connecting r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member for discharging the chopsticks to the outside by reciprocating motion.

또한,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otrusion for discharging the chopsticks drawn out by the chopstick withdrawal means to the chopstick supply unit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end of the discharg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do it with

그리고, 상기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hopstick supply unit installed below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to supply the extracted chopsticks to the user, wherein the chopstick supply unit includes a conveyor unit installed below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otor to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chopsticks can be stored hygienically and safely due to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are automatically pulled out and supplied to users in pairs,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transmission at the sourc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hopstick withdra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FIG. 1 It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hopstick withdraw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은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2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젓가락 보관부(210), 젓가락 인출부(220) 및 젓가락 공급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hopstick supply device (200) which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chopstick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can be automatically retrieved and supplied to users in pairs. ), and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chopstick storage unit 210 , a chopstick withdrawing unit 220 , and a chopsticks supply unit 230 , as shown in FIG. 1 .

먼저,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는 다수의 젓가락(20)을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폭, 즉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젓가락(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20)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serves to accommodate and store the plurality of chopsticks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idth, that is,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psticks 20 and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hopsticks 20 accommodated inside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are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경사면(215)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215)은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이 전방 하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has an inclined surface 215 formed on the inside to have an eccentric hopper shape. The accommodated chopsticks 20 are configured to sequentially move toward the front lower end.

또한,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하단, 즉 경사면(215)의 하단부와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내측벽 사이에는 젓가락(2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2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212)의 넓이, 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배출구(212)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lso, between the lower front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5 and the front inner wall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an outlet 212 for allowing the chopsticks 20 to be discharged is formed. , the width of the outlet 212, that is,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one chopstick 20, so that two or more chopsticks 20 cannot escape through the outlet 212 at once. has been

그리고,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단부 내측, 즉 상기 배출구(21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단부 내측벽에는 폭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프레임(217)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프레임(217)은 젓가락 보관부(210)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이 배출구(212)의 상부에 너무 많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구(212)를 통한 젓가락(20)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locat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that is, above the outlet 212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guide frame 217 having a 212) serves to allow the discharge of the chopsticks 20 to be made more smoothly.

즉,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212)의 상부에 너무 많은 젓가락(20)들이 수직 방향으로 쌓이는 경우 압력에 의해 배출구(212)를 통한 젓가락(20)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17)에 의해 배출구(212) 상부에 젓가락(20)들이 너무 많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too many chopsticks 20 are vertically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212 formed at the lower front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the discharge of the chopsticks 20 through the outlet 212 is prevented by pressure. Since it may not be done smoothly,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oo much stacking of the chopsticks 20 on the outlet 212 by the guide frame 217 .

또한,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에 의해 내부에 적층된 젓가락(20)들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부(2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살균부(216)로는 자외선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16 for sterilizing the chopsticks 20 stacked therein by ultraviolet light may be provided at the inner upp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 As the UV lamp, etc. may be used.

한편,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는 다수의 관통홀(2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홀(214)은 후술할 젓가락 인출부(220)를 구성하는 가이드롤러(224d)의 회전이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14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and the through-holes 214 rotate the guide roller 224d constituting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s so as not to be limited by the front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

다음, 상기 젓가락 인출부(220)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2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을 한 개씩 인출하여 젓가락 공급부(23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22), 젓가락 인출수단(224) 및 젓가락 배출수단(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22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and withdraws the chopsticks 2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ly accommodated chopsticks 20, one by one, and the chopstick supply unit 230. It plays a role of discharging into the furnace, and includes a fixed frame 222 , a chopstick withdrawing means 224 and a chopsticks discharging means 226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프레임(222)은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2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젓가락 보관부(210) 및 젓가락 인출부(220)가 테이블 등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식당의 테이블이나 기타 다른 이동수단 등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fixed frame 222 is installed under the chopsticks storage unit 210 to support the chopsticks storage unit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and the chopsticks withdrawing unit 220 are provided on a table, etc. It serves to support so that it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 and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ning table or other moving means, and serves to support the chopstick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22)의 전면에는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강한 젓가락(20)을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구동에 의해 고정프레임(222)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2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통로(222a)의 높이는 젓가락(2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frame 222, the chopsticks 20, which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and descend through the moving passage 224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laced in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A discharge passage 222a is formed to allow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fixed frame 222 by driving, and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assage 222a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chopsticks 20, so that two or more chopsticks ( 20) are configured so that they are not discharged all at once.

또한, 상기 배출통로(222a)에는 개폐도어(222c)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도어(222c)는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한 가압이 있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opening/closing door 222c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2a, and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is configured to be opened only when pressurized by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로(222a)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개폐도어(222c)의 상단이 결합되는 도어결합부(222b)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222c)는 그 상단부가 도어결합부(222b)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전방 구동에 의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젓가락(20)이 가압되는 경우에만 젓가락 배출수단(226)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외측, 즉 전방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되고, 젓가락(20)의 배출이 완료되어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도어(222c)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 즉 후방으로 회동하여 배출통로(222a)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222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assage 222a, the door coupling part 222b. is installed, an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is hinged to the door coupling portion 222b, so that the chopsticks 20 position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2a by the forward driving of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to be described later. Only when pressurized,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is rotated to the outside, that is, forward, around the door coupling part 222b by the pressing force from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to open, and the discharging of the chopsticks 20 is completed and the chopsticks When the pressure is not applied by the discharge means 226,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rotates inward, that is, rearward with the door coupling part 222b as the center, due to the weight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and the discharge passage ( 222a) can be closed again.

이때, 상기 개폐도어(222c)와 도어결합부(222b)는 다수 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이동통로(224a)에 적층되어 있는 젓가락(20)들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 배출수단(226)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없는 경우에도 개폐도어(222c)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배출통로(222a)를 전체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개폐도어(222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and the door coupling part 222b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ut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by the pressing force from the chopsticks 20 stacked in the moving passage 224a to be described later. ), since the opening/closing door (222c) can be opened even when there is no pressing force from i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ingle opening/closing door (222c)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ssage (222a) as a whole.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배출통로(222a)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부재(225)가 설치되어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로 안전하게 투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guide member 225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is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222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assage 222a, and the chopsticks 20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2a.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safely dropped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opstick supply unit 230 .

다음,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224)은 고정프레임(222)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210)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을 하나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이동통로(224a)와 제1모터(224b), 제1구동축(224c) 및 가이드롤러(22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chopstick withdrawing means 224 is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222 and serves to withdraw the chopsticks 20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one by one, and the configuration is a moving passage 224a. and a first motor 224b, a first driving shaft 224c and a guide roller 224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통로(224a)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단, 즉 배출구(2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젓가락 보관부(210)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젓가락(20)을 하나씩 하부, 즉 배출통로(222a)를 향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moving passage 224a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 that is, the outlet 212 , and the chopsticks 20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removed one by one. It serves to move toward the lower part, that is, the discharge passage (222a).

즉, 상기 이동통로(224a)는 고정프레임(222)의 전단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구(212)와 배출통로(222a)의 사이에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로(224a)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 또한 배출구(212)와 마찬가지로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moving passage 224a is position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222 to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passage 222a, that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assage 224a is also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one chopstick 20, similar to the outlet 212, so that two or more chopsticks 20 are moved downward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224a at once.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not be moved.

다음, 상기 제1모터(224b)는 고정프레임(222)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롤러(224d)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224c)는 제1모터(224b)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모터(224b)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가이드롤러(224d)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224c)의 일측 단부는 제1모터(224b)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222)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Next, the first motor 224b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frame 222 and serve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guide roller 224d, and the first driving shaft 224c i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224b and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first motor 224b to the guide roller 224d, and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24c has a first motor 224b.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by a bearing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frame 222 .

다음,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제1구동축(224c)에 축설되어 이동통로(224a)를 통해 젓가락(2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단면은 통상의 원형이 아닌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guide roller 224d is installed on the first drive shaft 224c and serve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s 20 downward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224a, and its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not a normal circle. It is made in the shape of an ellipse.

즉,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모터(224b)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224c)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224d)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이동통로(224a)가 개방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1모터(224b)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롤러(224d)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24d)에 의해 이동통로(224a)가 차단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guide roller 224d is formed to have a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narrower than the wid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driving shaft 224c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224b to rotate the guide roller 224d. is positio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ovement passage 224a is opened and the chopsticks 20 are in a state where they can move in the lower direction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224a, and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4b When the guide roller 224d is positio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movement passage 224a is blocked by the guide roller 224d, so that the chopsticks 20 cannot move downward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224a. do.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4d)의 원활한 회전 구동을 위해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214)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 through hole 214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for smooth rotational driving of the guide roller 224d.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24d)가 이동통로(224a)의 일측만을 차단할 경우, 젓가락(20)이 가이드롤러(224d)를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통로(224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로(224a)를 통한 젓가락(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롤러(224d)가 젓가락(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가이드롤러(224d)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롤러(224d)의 회전 구동을 위해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관통홀(214) 또한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젓가락(20)이 관통홀(21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roller 224d blocks only one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224a, the chopsticks 20 rotate while riding the guide roller 224d and there is a risk that it will escape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224a. In ord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s 20 through the passage 224a, the guide roller 224d must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opsticks 20, but when the guide roller 224d is formed to be long, the guide roller 224d ), the through-hole 214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210 must also be formed to be long, so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chopsticks 20 will leak out through the through-hole 214 .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관통홀(214)을 통한 젓가락(2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젓가락(20)의 상단, 중단, 하단을 각각 제한할 수 있도록 3개의 가이드롤러(224d)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the guide roller 224d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chopsticks 20 from leak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4 by dividing the guide rollers 224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ree guide rollers (224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of (20) can be limited, respectively.

다음,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226)은 젓가락 인출수단(224)에 의해 젓가락 보관부(210)로부터 인출된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222)의 외측, 즉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모터(226a), 크랭크축(226b), 커넥팅로드(226c) 및 배출부재(226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discharges the chopsticks 20 drawn out from the chopsticks storage unit 210 by the chopsticks withdrawing unit 224 to the outside of the fixed frame 222 , that is, to the upper part of the chopsticks supply unit 230 .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second motor 226a, a crankshaft 226b, a connecting rod 226c, and a discharge member 226d.

먼저, 상기 제2모터(226a)는 젓가락 인출수단(224)의 후방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부재(226d)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크랭크축(226b)은 제2모터(226a)의 모터축(미도시)에 편심 결합되어 제2모터(226a)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커넥팅로드(226c)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second motor 226a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222 located at the rear of the chopstick withdrawal means 224 and serve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drive the discharge member 226d, The crankshaft 226b is eccentrically coupl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second motor 226a and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motor 226a to the connecting rod 226c.

이때, 상기 크랭크축(226b)의 일측 단부는 제2모터(226a)의 모터축(미도시)에 편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2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28)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rankshaft 226b is eccentrically coupl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second motor 226a,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e to a fixing bracket 228 fixed to the fixing frame 222 . fixedly supported.

다음, 상기 커넥팅로드(226c)는 일측 단부가 크랭크축(226b)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2모터(226a)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넥팅로드(226c)의 타측 단부는 배출부재(226d)에 연결 설치된다.Nex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ankshaft 226b, and serves to convert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motor 226a into a reciprocating mo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member 226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모터(226a)가 구동하면, 모터축에 편심 결합된 크랭크축(226b)은 모터축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모터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 즉 모터축으로부터 편심된 만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축(226b)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커넥팅로드(226c)는 원운동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거리의 두 배만큼의 거리, 즉 모터축과 크랭크축(226b) 사이의 거리의 두 배만큼의 거리를 왕복운동하게 되어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부재(226d)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second motor 226a is driven, the crankshaft 226b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motor shaft rotates along the motor shaft and at the same time makes a circular motion about the motor shaft, that is, as much as eccentric from the motor shaft. A circular motion is made with the distance of , and the connecting rod 226c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rankshaft 226b is a distance equal to twice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circular motion, that is, from the motor shaft. A distance equal to twice the distance between the crankshafts 226b is reciprocated, so that the discharge member 226d connected to the other end can reciproc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크랭크축(226b)은 제2모터(226a)로부터 발생되는 회전구동을 커넥팅로드(226c)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므로, 제2모터(226a)에 연결 설치되는 캠 부재(미도시)와, 상기 캠 부재에 편심 결합되는 회전축(미도시)으로 구성하고, 상기 커텍팅로드(226c)가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crankshaft 226b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rotational drive generated from the second motor 226a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onnecting rod 226c, so that the crankshaft 226b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226a. Of course, it is composed of a cam member (not shown) and a rotating shaft (not shown) that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cam member, and the connecting rod 226c is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haft.

다음, 상기 배출부재(226d)는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22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재(226d)가 전진 구동을 할 경우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젓가락(20)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부재(226d)가 후진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젓가락(20)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Next, the discharge member 226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and the chopsticks 20 position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2a by reciprocating mo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fixed to the fixing frame 222. It serves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ischarge member 226d is driven forward, the chopsticks 20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2a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ischarge member 226d is driven backward In this case, the chopsticks 20 remain position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2a.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재(226d)는 그 후방 단부가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배출부재(226d)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224)을 통해 인출되어 배출통로(222a) 상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의 후방에 위치되는 돌출부(226g)가 돌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ing member 226d has its rea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and the front lower end of the discharging member 226d is drawn out through the chopstick withdrawing means 224 to the discharge passage. A protrusion 226g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chopsticks 20 present on the 222a is formed to protrude.

따라서, 제2모터(226a)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226b)이 회전하여 커넥팅로드(226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된 배출부재(226d) 또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부재(226d)의 전방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6g)가 배출통로(222a) 상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배출통로(222a) 상에 구비된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되어 젓가락(20)이 배출통로(2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젓가락(20)은 배출통로(222a)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2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투하된다.Accordingly, when the crankshaft 226b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226a and the connecting rod 226c is moved forward, the discharge member 226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is also installed in the front. and the protrusion 226g protru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226d presses the chopsticks 20 present on the discharge passage 222a forward, and by this pressing force, it is on the discharge passage 222a.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22c provided in the door is opened while rotating forward with the door coupling part 222b as the center, so that the chopsticks 2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2a, and the discharged chopsticks 20 are discharged. Guided by the guide member 225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age (222a) is stably dropp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opstick supply unit (230).

이때, 배출된 젓가락(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은 배출부재(226d)의 돌출부(226g)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어 배출통로(222a)로 하강하지 못하고, 이동통로(224a)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hopsticks 20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discharged chopsticks 20 are restricted from descending by the protrusion 226g of the discharge member 226d and cannot descend into the discharge passage 222a. It stays on the inside.

또한, 상기 제2모터(226a)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226b)이 회전하여 커넥팅로드(226c)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된 배출부재(226d)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된 젓가락(20)의 상부에 위치해 있던 새로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의 하단으로부터 하강하여 배출통로(222a)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통로(222a) 상에 구비된 개폐도어(222c)는 자중에 의해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배출통로(222a)를 폐쇄시키게 되어 배출통로(222a)로 이동된 새로운 젓가락(20)은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통로(222a) 상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rankshaft 226b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226a to move the connecting rod 226c rearward, the discharge member 226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is also The new chopsticks 20, which were moved to the rear and located above the discharged chopsticks 20, desc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passage 224a and move to the discharge passage 222a, and are provided on the discharge passage 222a. The opened/closed door 222c closes the discharge passage 222a while rotating backward around the door coupling portion 222b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new chopsticks 20 moved to the discharge passage 222a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 It is not discharged through 222a) and remains positioned on the discharge passage 222a.

한편, 상기 배출부재(226d)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26e)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226e)는 배출부재(226d)의 급격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젓가락(20) 배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one or more elastic members 226e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226d. (20) It serv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mission.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재(226d)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고정구(226e)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구(226e)의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26e)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우 커넥팅로드(226c)로부터 배출부재(226d)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탄성부재(226e)에 의해 완충된 상태로 배출부재(226d)의 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26g)로 전달되므로 전,후방으로의 왕복 구동 한 싸이클(cycle)에 1개의 젓가락(20)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at least one elastic member fixture 226e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226d, respectively, and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fixture 226e. The 226e is fixedly installed. In this case, the protrusion 226g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member 226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ng rod 226c to the discharge member 226d is buffered by the elastic member 226e. ),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 which allows only one chopsticks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ne cycle of reciprocating dri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출부재(226d)를 커넥팅로드(226c)의 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방부재와, 상기 후방부재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돌출부(226g)를 포함하는 전방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후방부재와 전방부재 사이에 탄성부재(226e)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226e)에 의한 작용력, 즉 완충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rear member installed to connect the discharge member 226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226c, and a front member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rear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ing a protrusion 226g By separating and installing the elastic member 226e between the rear member and the front member, the action force by the elastic member 226e, that is, the buffering force, may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다음, 상기 젓가락 공급부(230)는 젓가락 인출부(220)의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수단(232)과 제3모터(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chopsticks supply unit 230 serves to supply the chopsticks 20 discharged by the chopstick discharging unit 226 of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2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m, and the conveyor unit 232 and the It is made including three motors (234).

먼저, 상기 컨베이어 수단(232)은 젓가락 인출부(2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3모터(234)는 컨베이어 수단(232)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2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conveyor means 232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220 so as to continuously supply the chopsticks 2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2a to the user. The third motor 23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232 and serves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conveyor means 232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수단(232)은 제2구동축(232a)과, 종동축(232b), 제1 및 제2롤러(232c,232d), 컨베이어 벨트(23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구동축(232a)은 제3모터(23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어 제3모터(23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32e)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232b)은 제2구동축(232a)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232e)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conveyor means 232 includes a second driving shaft 232a, a driven shaft 232b, first and second rollers 232c and 232d, and a conveyor belt 232e. The second driving shaft 232a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third motor 234 and serves to rotate the conveyor belt 232e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third motor 234, The driven shaft 232b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32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rves to continuously rotate the conveyor belt 232e.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232c,232d)는 각각 제2구동축(232a)과 종동축(232b)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232e)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32e)는 제1 및 제2롤러(232c,232d)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 부재(225)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수단(232)은 이미 다양한 물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232c and 232d are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232a and the driven shaft 232b, respectively, so that the conveyor belt 232e can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conveyor belt 232e is wou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232c and 232d to supply the user with the chopsticks 20 that are dropped upward by the guide of the guide member 225 by continuous rotation. To serve, the conveyor means 232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ready widely used as a means for transporting various articles to a destination, so a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상기 제3모터(234)를 구동시키면, 제2구동축(232a) 및 그 외측에 결합된 제1롤러(232c)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축(232a) 및 제1롤러(232c)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32e)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로 투하되는 젓가락(20)을 연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hird motor 234 is driven, the second drive shaft 232a and the first roller 232c coupled to the outside rotates, and the second drive shaft 232a and the first roller 232c are rotated. As the conveyor belt 232e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chopsticks 20, which are dropped onto the conveyor belt 232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chopsticks 20 to the use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200)는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hopstick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224b, 226a, 234), the control means is to serve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224b, 226a, 234).

즉,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20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젓가락(2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interval at which the chopsticks 20 are supplied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224b, 226a, and 234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of a restaurant where the chopstick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is designed to be adjustable.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모터(224b,226a)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234)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젓가락 인출부(22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모터(224b,226a)의 구동에 의해 두 개, 즉 한 쌍의 젓가락(20)을 젓가락 공급부(230)의 컨베이어 수단(232) 상부로 투하시킨 후, 투하된 한 쌍의 젓가락(20) 단위로 컨베이어 수단(232)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4b and 226a to operate in units of two cycles, and the third motor 234 to operate in units of one cycle, which is chopstick withdrawal. After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4b and 226a constituting the unit 220 are driven, two, that is, a pair of chopsticks 20 are dropped onto the conveyor means 232 of the chopstick supply unit 230, and then , so that the dropped pair of chopsticks 20 can be moved through the conveyor means 232 in units.

이때, 상기 젓가락 공급부(230)의 컨베이어 벨트(232e)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232e)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공급된 젓가락(20)을 집어갈 수 있는 위치에서의 젓가락(2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모터(224b,226a)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234)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n object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conveyor belt 232e of the chopstick supply unit 23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located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conveyor belt 232e, that is, the chopsticks 20 supplied by the user. ) serves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hopsticks 20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pick them up, and when the chopsticks 20 are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the first to third motors 224b, 226a, 234 does not work, and only when the user lifts the chopsticks 20 existing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 chopsticks 20 are no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4b and 226a operate two cycles ( cycle), and the third motor 234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units of one cycl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200)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젓가락(20)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20)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hopstick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chopsticks 20 can be stored hygienically and safely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20 can be automatically pulled out.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transmission by supplying a pair to users.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chopstick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chopsticks are automatically retrieved and provided to users. It relates to a chopstick supply device that can be supplied in pairs.

20 : 젓가락 200 : 젓가락 공급장치
210 : 젓가락 보관부 212 : 배출구
214 : 관통홀 215 : 경사면
216 : 자외선 살균부 217 : 가이드프레임
220 : 젓가락 인출부 222 : 고정프레임
222a : 배출통로 222b : 도어결합부
222c : 개폐도어 224 : 젓가락 인출수단
224a : 이동통로 224b : 제1모터
224c : 제1구동축 224d : 가이드롤러
226 : 젓가락 배출수단 226a : 제2모터
226b : 크랭크축 226c : 커넥팅로드
226d : 배출부재 226e : 탄성부재
226f : 탄성부재 고정구 226g : 돌출부
228 : 고정브라켓 230 : 젓가락 공급부
232 : 컨베이어 수단 232a : 구동축
232b : 종동축 232c : 제1롤러
232d : 제2롤러 232e : 컨베이어 벨트
232f : 지지프레임 234 : 제3모터
20: chopsticks 200: chopsticks supply device
210: chopstick storage unit 212: outlet
214: through hole 215: inclined surface
216: UV sterilization unit 217: guide frame
220: chopstick withdrawing part 222: fixed frame
222a: exhaust passage 222b: door coupling part
222c: opening and closing door 224: chopstick withdrawal means
224a: movement path 224b: first motor
224c: first drive shaft 224d: guide roller
226: chopstick discharging means 226a: second motor
226b: crankshaft 226c: connecting rod
226d: discharge member 226e: elastic member
226f: elastic member fixture 226g: protrusion
228: fixing bracket 230: chopstick supply part
232: conveyor means 232a: drive shaft
232b: driven shaft 232c: first roller
232d: second roller 232e: conveyor belt
232f: support frame 234: third motor

Claims (9)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젓가락 인출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젓가락을 인출하는 젓가락 인출수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은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a chopstick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hopsticks are accommod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hopstick withdrawing unit installed under the chopstick storage unit to withdraw the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includes a fixed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a chopstick withdrawing unit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to withdraw the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chopsticks fixedly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pulled out by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and chopstick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chopsticks supply unit,
The chopstick withdrawal means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includes a moving passage for moving the chopsticks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wnward one by one, a first motor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xed frame, and the first motor. A chopstick supply device comprising: a first driving shaft rotated by driving; and a guide roller fitt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s through the moving pa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젓가락 보관부의 전방 하단에는 젓가락이 한 개씩 수평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opsticks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opstick storage por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n eccentric hopper,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chopstick storage portion to allow the chopsticks to be discharged one by o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hopsticks by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The chopstick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ing passage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door that is opened by pressure from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and closes the discharge passage by its own weigh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roller is made of an elliptical shape, the chopstick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편심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왕복 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opstick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fixed to a fixed frame, a crankshaft connected and installed eccentrically to the second motor,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Chopsticks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charge member that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chopsticks to the outside by reciprocating mo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rotrusion for discharging the chopsticks drawn out by the chopstick withdrawing means to the chopstick supply unit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member. chopstick fee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hopstick supply unit installed under the chopstick withdrawing unit to supply the extracted chopsticks to the user,
The chopstick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opstick supply unit includes a conveyor means installed under the chopstick pull-out part, and a third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KR1020200119247A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KR102458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47A KR102458872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47A KR102458872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16A KR20220036716A (en) 2022-03-23
KR102458872B1 true KR102458872B1 (en) 2022-10-25

Family

ID=8096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47A KR102458872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72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10Y1 (en) 2007-06-14 2009-02-19 윤주복 Spoon and chop-stick dispenser
KR20110051355A (en)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Spoon stand with easy withdrawal structure
KR20110005741U (en) * 2009-12-03 2011-06-10 김은지 Hegiene spoon and chopsticks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16A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1357B2 (en) Tube type sample container automatic supply device
KR20190017637A (en) Dishwashing system
JP2012511312A (en) Device for dispensing products in petri dishes
JP2004184182A (en) Automatic dispense tip feeder
US11529003B2 (en) Cutlery dispensing system
ITMI20120295A1 (en) AUTOMATIC PRODUCT DISTRIBUTOR MACHINE
KR102458872B1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KR102458867B1 (e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poons and chopsticks
KR200443510Y1 (en) Spoon and chop-stick dispenser
KR20220096477A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KR102458869B1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CN113744453B (en) Automatic meal vending machine
KR102660050B1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US20140131376A1 (en) Device for delivering by launch products from a vending machine
CN109846299B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whole set of tableware
CN210592606U (en) Food packing device
KR101528368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supplying tableware with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
KR101371267B1 (en)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US2714973A (en) Toothpick dispenser
CN218219835U (en) Non-contact tableware storing and taking machine
KR102405869B1 (en) Chopsticks case
AU3820502A (en) System for conveying a selected product to a collection compartment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CN109846298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that the whole series tableware is provided automatically
CN214934767U (en) Full-automatic folding and drawing type face towe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