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69B1 - Device for supplying spoons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lying spo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869B1
KR102458869B1 KR1020200119228A KR20200119228A KR102458869B1 KR 102458869 B1 KR102458869 B1 KR 102458869B1 KR 1020200119228 A KR1020200119228 A KR 1020200119228A KR 20200119228 A KR20200119228 A KR 20200119228A KR 102458869 B1 KR102458869 B1 KR 10245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unit
spoons
storage unit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6708A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20011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69B1/en
Publication of KR2022003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47G21/145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ja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1/00Polishing of table-ware, e.g. knives, forks, spoons
    • A47L21/02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s are automatically drawn out to users one by one. It is about a spoon feeder that allows you to supply i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o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nd a spoon take-out portion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portion to withdraw the spoons in the stacked state one by one.

Description

숟가락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spoons}{Device for supplying spoons}

본 발명은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s are automatically drawn out to users one by one. It is about a spoon feeder that allows you to supply it.

숟가락은 젓가락, 포크 등과 함께 음식을 섭취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숟가락은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수납통에 담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많은 음식점의 경우 숟가락 수납통에 분리하여 수납한다.A spoon is an essential tool used when eating food along with chopsticks and forks. In the case of ordinary households, these spoons are often used in a single storage box, but in restaurants with many visitors, they are stored separately in the spoon storage box.

이러한 숟가락 수납통은 식탁 등에 숟가락 헤드부가 위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수납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수납통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수납통은 내부에 수납된 숟가락을 꺼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상기 수납통 내의 숟가락을 뒤적거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Such a spoon storage box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torage box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cover so that it can be placed on a table with the spoon head facing upward, and a box shaped storage box formed in a box shape with a cover so that it can be laid on a table, etc. The storage box having the same general structure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rummage through the spoon in the storage box with a finger in order to take out the spoon stored therein.

또한, 상기 수납통 내의 숟가락을 꺼내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숟가락 및 젓가락을 만지게 되므로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poon in the storage box, there is a problem in sanitary because several spoons and chopsticks are touched.

즉, 현재까지 국내에서 22,000명 이상의 누적 확진자와 350명 이상의 누적 사망자가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라 한다)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은 물론,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ona 19'), which has caused more than 22,000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more than 350 cumulative deaths in Korea so far, droplets generated when coughing or sneezing ( It is known that it is spread through contact as well as saliva),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upply of a storage box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safely in restaurants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 and exi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에는 수저 인출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젓가락이 배출되는 제1 출구를 가지는 젓가락 수납부;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2 출구를 가지는 숟가락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출구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구로 배출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아 지지하며,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눌리면 기울어지면서 지지하던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기 일단부 측으로 미끄러뜨리는 작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판이 눌리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각각 폐쇄하여 수납된 젓가락과 숟가락의 추가적인 배출을 막는 젓가락 인출기 및 숟가락 인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discloses a spoon withdrawing device,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chopstick receiving unit hav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chopsticks are discharged; a spoon receiving portion hav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poon is discharged; An operation of sliding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posed under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to receive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nd to tilt and support the chopsticks and spoons when one end is pressed by the user toward the one end. board;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otating when the operating plate is pressed,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respectively, of the stored chopsticks and spoons. It consists of a chopstick dispenser and spoon dispenser to prevent further discharg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판을 누름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작동판을 눌러야만 숫가락과 젓가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작동판 부분에서 오염이 발생되거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고, 작동판의 누름에 의해 수저 한 벌이 정확이 인출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하게 수저가 낭비되거나 추가로 인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다시 수납부로 넣게 될 경우 여전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on and chopsticks can be conveniently pulled out and used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but the user can only take out the spoon and chopsticks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so that the operation plate is contaminated If there is a risk of infection or virus spreading, and if a set of cutlery cannot be pulled out accurately by pressing the operation plate, the cutlery is wasted unnecessarily, or additionally pulled out spoons or chopsticks are put back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wnside is that it can cause problems.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not on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bl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a relatively large-scale restaurant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because there are not many spoons and chopsticks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2009. 02. 19. 공고)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3510 (2009. 02. 19.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nd store a plurality of spoons,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withdraw the stored spoons and supply them to users one by one. It is to provide a spoon feeder that allow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o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nd a spoon withdrawing portion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portion to withdraw the spoons in the stacked state one by one.

이때,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 자루부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poon storage part is made of a 'c' shape with an opening at the back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head of the spoon and a first support frame, and a 'c' shape with an open fro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upport frame and a cover frame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 is installe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poon handle.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살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cover frame.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숟가락 보관부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의 헤드부 하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 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head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spoon located at the lowest end in the spoon storage unit.

그리고,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고, 외주면에 숟가락의 자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oon withdrawing unit includes a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a first driving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bracket, a first driving shaft rotating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tted to the first drive shaf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ll-out memb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handle of the spo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인출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spoon drawn out through the draw-out member to the spoon supply unit.

그리고,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poon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ing unit to supply the drawn out spoon to the user, wherein the spoon supply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and a conveyor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ing motor to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spoons can be stored hygienically and safely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transmission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by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stored spoons and supplying them one by one to users.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poon draw ou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poo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igure 1 It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poon draw ou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본 발명은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 보관부(110), 숟가락 인출부(120) 및 숟가락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poon supply device 100 that automatically withdraws the stored spoons and supplies them one by one to user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is made, including the spoon storage unit 110, the spoon take-out unit 120 and the spoon supply unit 130,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는 다수의 숟가락(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지지프레임(112), 제2지지프레임(114) 및 커버프레임(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spoon storage unit 110 serves to store a plurality of spoons 10 in a stacked stat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112 , a second support frame 114 and a cover. and a frame 116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되는 숟가락(10)의 전단부 즉, 헤드부(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숟가락(10)의 헤드부(12)와 동일한 폭을 갖고, 전체적으로 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support frame 112 serves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spoon 10 stacked on the spoon storage unit 110, that is, the head portion 12, as shown in FIG. As such, it has the same width as the head portion 12 of the spoon 10, and is formed in a 'C' shape with an open rear as a whole,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즉, 상기 숟가락(10)은 후술할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될 때, 180도 만큼 회전되면서 인출되므로, 숟가락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숟가락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에서는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하부를 향하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That is, since the spoon 10 is drawn out while being rotated by 180 degrees when drawn out through the spoon draw-out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cave shape of the spoon head part 12 supplied through the spoon feed part 130 is the upper part. In order to face the spoon storage unit 110, the concave shape of the head unit 12 is stacked in a downward-facing state.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된 숟가락(10)의 헤드부(12)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10)이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하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frame 112 supports both sides of the head portion 12 of the spoon 10 stack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so that the spoon 10 in a stacked state is the head portion 12 of the It serves to keep the stacked state stably in a state where the concave shape faces downward.

다음, 상기 제2지지프레임(114)은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되는 숟가락(10)의 후단부 즉, 자루부(14)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숟가락 자루부(14)의 후방 단부와 동일한 폭을 갖고, 전체적으로 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Next, the second support frame 114 serves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poon 10 stacked on the spoon storage unit 110 , that is, the rear end of the handle 14 , similarly to the spoon handle 14 . ) has the same width as the rear end, and is formed in a 'C' shape with an open front as a whole,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up and down.

즉,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 보관되는 다수의 숟가락(10)들은 그 전단부, 즉 헤드부(12)가 제1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부 즉 자루부(14)의 후방 단부가 제2지지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되어 지속적인 숟가락(10) 인출에 의해 숟가락(10)의 적층 위치가 변화되는 순간에도 회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lurality of spoons 10 stacked and stor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 the front end thereof, that is, the head portion 1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frame 112 , and the rear end portion, that is, the handle portion 14 . )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frame 114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cking state without rotating even at the moment when the stacking position of the spoon 10 is changed by continuous spoon 10 withdrawal.

다음, 상기 커버프레임(116)은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14)을 감싸도록 하여 상부로부터 결합되어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12,1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되어 있는 숟가락(10)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cover frame 116 is coupled from the top so as to surround the first support frame 112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14, and the spoon is stor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2 and 114. It serves to block the inpu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to the spoon 10 stacked in the unit 110 .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116)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에 의해 내부에 적층된 숟가락(10)들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부(118)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살균부(118)로는 자외선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118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cover frame 116 to sterilize the spoons 10 stacked therein by ultraviolet rays. An ultraviolet lamp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전방 하단에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지지 브라켓(115)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헤드지지 브라켓(115)은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전방 단부, 즉 헤드부(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숟가락(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하여 숟가락(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head support bracket 115 bent in a '┛' shape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2 , and the head support bracket 115 is the lowermost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10 . It serves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spoon 10, that is, the head portion 12, which is positioned at It is intended to be stacked and withdrawn.

즉, 후술하겠지만, 숟가락 인출부(120)는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자루부(14)만을 지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숟가락(10)을 하나씩 인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인출되는 숟가락(10)의 무게중심에 의해 숟가락(10)이 헤드부(12)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으므로, 상기 헤드지지 브라켓(115)을 이용하여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헤드부(12), 즉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에서 숟가락(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oon withdrawing unit 120 draws out the spoons 10 one by one by supporting and rotating only the handle 14 of the spoon 1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10 . Since the spoon 10 may show a tendency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2 b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oon 10 drawn out, the spoon 1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using the head support bracket 115 .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spoon 10 can be drawn out in a more stable supporting state by supporting the head 12, that is, the front end.

다음, 상기 숟가락 인출부(120)는 숟가락 보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을 한 개씩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1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122), 제1구동모터(124), 제1구동축(126) 및 인출부재(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spoon withdrawing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110 and withdraws the spoons 1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spoons 10 one by one and supplies them to the spoon supply unit 130 . It plays a role, and includes a support bracket 122 , a first driving motor 124 , a first driving shaft 126 , and a drawing member 128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브라켓(122)은 숟가락 보관부(110)를 구성하는 커버프레임(1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10) 및 숟가락 인출부(120)가 테이블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식당의 테이블이나 기타 다른 이동수단 등에 고정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support bracket 122 is installed under the cover frame 116 constituting the spoon storage unit 110 so that the spoon storage unit 110 and the spoon take-out unit 120 are fixedly installed on a table or the like. It serves to support so as to be able to, and is fixedly installed on a table of a restaurant or other moving means, and serves to support the spoon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상기 제1구동모터(124)는 지지브라켓(122)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10)들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126)은 제1구동모터(124)에 연결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12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인출부재(12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126)의 일측 단부는 제1구동모터(12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지지브라켓(122)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Next, the first driving motor 124 is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bracket 122 and serve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 spoons 10 stored in the stacked state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to be drawn out. The first drive shaft 126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otor 124 and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first drive motor 124 to the draw-out member 128, One end of the driving shaft 126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first driving motor 124 ,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instal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122 in a rotatable state by a bearing.

다음, 상기 인출부재(128)는 제1구동축(126)에 축설되는 원통 또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하부를 지지하여 회전 구동에 의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을 한 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withdrawing member 128 is made of a cylindrical or octagonal pole shape that is axially installed on the first drive shaft 126,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poon 10 stacked and stor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of the spoon 10 of It serv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spoons 10 stored stack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can be withdrawn one by one by rotational driving.

즉, 상기 인출부재(128)는 제1구동축(126)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인출부재(128)의 외주면에는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자루부(14)가 안착되는 안착홈(128a)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pull-out member 128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rive shaft 126, and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poon 10 stacked and stor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1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out member 128. A seating groove 128a in which the handle 14 of the spoon 10 is seated is formed.

따라서,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은 그 전단부가 헤드지지 브라켓(115)에 의해 지지되고, 자루부(14)가 인출부재(128)의 안착홈(128a)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면, 인출부재(128) 또한 회전하게 되면서 안착홈(128a) 내부에 안착된 상태의 숟가락(10)이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인출부재(128)가 9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숟가락(10)이 안착홈(128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된다.Accordingly, the spoon 1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110 has its front end supported by the head support bracket 115 , and the handle 14 has a seating groove 128a of the withdrawing member 128 ). It is stored in a state seated inside, and when the driving shaft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124, the withdrawing member 128 is also rotated and the spoon 10 in a state seated inside the seating groove 128a. When the spoon storage unit 110 is removed, and the withdrawal member 128 is rotated more than 90 degrees, the spoon 10 is released from the seating groove 128a and is dropped into the spoon supply unit 130 .

이때,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의 바로 위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은 회전하는 인출부재(128)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다가, 숟가락(10)의 하부에 안착홈(128a)이 위치될 경우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자루부(14)가 안착홈(128a) 상에 안착되는데, 숟가락(10)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안착홈(128a)이 인출부재(128) 상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poon 10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spoon 10 that is dropped to the spoon supply unit 130 is restricted from descending by the rotating draw-out member 128, and is se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10 with a seating groove 128a. When this position is located, it descends by its own weight and the handle 14 is seated on the seating groove 128a.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intervals.

즉, 상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는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 속도와 함께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숟가락(10)을 인출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가 4개 보다 많은 경우 안착홈(128a)으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10)끼리 서로 충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가 4개 보다 적은 경우 원활한 숟가락(10)의 공급을 위해서는 그 만큼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 속도가 빨라져야 하므로 숟가락 인출부(120)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That is, the number of the seating grooves 128a formed is a factor in determining the speed of withdrawing the spoon 10 from the spoon storage unit 110 together with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24 , the seating groove 128a ), when the number of formations is more than 4, problems such as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spoons 10 drawn out from the seating groove 128a may occur, and when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seating groove 128a is less than 4 For the smooth supply of the spoon 10 ,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24 must be increased by that much, so there is a risk that the spoon withdrawing unit 120 may malfunction.

다음, 상기 숟가락 인출부(120)는 가이드 브라켓(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5)은 지지브라켓(122)에 고정 설치되어 인출부재(128)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숟가락 공급부(13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spoon draw-out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uide bracket 125 , the guide bracket 125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122 and being drawn out through the draw-out member 128 . (10) serves to guide the spoon supply unit (1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5)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브라켓(122)의 후방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인출부재(128)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125a)와, 상기 수직부(125a)의 하단에서 인출부재(128)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2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2 and 4 , the guide bracket 125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upp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122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the rear of the pull-out member 128 . and a vertical portion 125a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 and a bent portion 125b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draw-out member 128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25a.

즉, 상기 인출부재(128)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10)이 바로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숟가락(10)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거나 정위치에 가지런히 투하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인출부재(128)의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125)의 절곡부(125b)를 통해 인출부재(128)로부터 투하되는 숟가락(10)이 숟가락 공급부(130)의 상부 정위치에 투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the spoon 10 drawn out from the withdrawing member 128 is directly dropped into the spoon supply unit 130, the spoon 10 may be thrown out due to impact or may not be dropped in an orderly position. Therefore, the spoon 10 dropped from the draw-out member 128 through the bent portion 125b of the guide bracket 125 b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out member 128 is dropped on the top position of the spoon supply unit 130 . It is designed to guide you so that you can do it.

다음, 상기 숟가락 공급부(130)는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수단(132)과 제2구동모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spoon supply unit 130 serves to supply the spoon 10 drawn out through the spoon withdrawing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nd the conveyor means 132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34 are provided. made including

먼저, 상기 컨베이어 수단(132)은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134)는 컨베이어 수단(132)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conveyor means 132 serves to continuously supply the spoon 10 drawn out through the spoon take-out unit 120 to the use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34 is the conveyor means 132 .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o serv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conveyor means (132).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수단(132)은 제2구동축(132a)과, 종동축(132b), 제1 및 제2롤러(132c,132d), 컨베이어 벨트(132e) 및 지지프레임(132f)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구동축(132a)은 제2구동모터(13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어 제2구동모터(13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32e)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132b)은 제2구동축(132a)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32e)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conveyor means 132 includes a second drive shaft 132a, a driven shaft 132b, first and second rollers 132c and 132d, a conveyor belt 132e and a support frame 132f. The second drive shaft 132a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second drive motor 134 and the conveyor belt 132e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drive motor 134 . It serves to rotate, and the driven shaft 132b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riving shaft 132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rves to continuously rotate the conveyor belt 132e.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132c,132d)는 각각 제2구동축(132a)과 종동축(132b)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132e)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32e)는 제1 및 제2롤러(132c,132d)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125)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132f)은 테이블이나 지면 등에 고정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132)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수단(132)은 이미 다양한 물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32c, 132d) are coupled to the second drive shaft (132a) and the driven shaft (132b), respectively, and serve to allow the conveyor belt (132e) to be woun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nveyor belt 132e is wou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32c and 132d to supply the user with the spoon 10 that is dropped upward by the guide of the guide bracket 125 by continuous rotation. The supporting frame 132f is fixedly installed on a table or the ground to support the conveyor means 132 at a predetermined height. Since it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transporting to a destination,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상기 제2구동모터(134)를 구동시키면, 제2구동축(132a) 및 그 외측에 결합된 제1롤러(132c)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축(132a) 및 제1롤러(132c)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32e)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 즉 숟가락 인출부(120)에 의해 인출되고 가이드 브라켓(1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컨베이어 벨트(132e)의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을 연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134 is driven, the second driving shaft 132a and the first roller 132c coupled to the outside thereof rotate,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32a and the first roller 132c are rotated. )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belt (132e) is rotated and dropp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10, that is, is drawn out by the spoon take-out unit 120 and is guided by the guide bracket 125 to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belt (132e). It will be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spoon 10 that is dropp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poon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24 and 134, the control means is the firs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s of the second driving motors 124 and 134 .

즉,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숟가락(1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interval at which the spoon 10 is supplie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124 and 134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such as a restaurant where the spoon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so that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가 한 싸이클(cycle) 씩만 작동하도록, 즉 1개의 숟가락을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13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숟가락 공급부(130)의 컨베이어 벨트(132e)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control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124 and 134 operate only one cycle at a time, that is, one spoon is drawn out from the spoon storage unit 110 and supplied to the spoon supply unit 130 . Also, in this case, an object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conveyor belt 132e of the spoon supply unit 130 .

즉,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132e)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집어갈 수 있는 위치에서의 숟가락(1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1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숟가락(1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1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가 한 싸이클 씩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rves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spoon 10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conveyor belt 132e, that is, a position that the user can pick up. When this is detecte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124 and 134 do not operate, and only when the user lifts the spoon 10 existing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 spoon 10 is no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124 and 134 to be driven one cycle at a tim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공급장치(100)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10)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10)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poon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spoons 10 can be safely stored hygienically and safely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 10 is automatically drawn out. By supplying each user one by one,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 transmission.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하나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ainly installed in restaurants such as cafeterias and buffet restaurants so that a plurality of spoons can be arranged and sto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ed spoons are automatically drawn out to users one by one. It is about a spoon feeder that allows you to supply it.

10 : 숟가락 12 : 헤드부
14 : 자루부 100 : 숟가락 공급장치
110 : 숟가락 보관부 112 : 제1지지프레임
114 : 제2지지프레임 115 : 헤드지지 브라켓
116 : 커버프레임 118 : 자외선 살균부
120 : 숟가락 인출부 122 : 지지브라켓
124 : 제1구동모터 125 : 가이드 브라켓
125a : 수직부 125b : 절곡부
126 : 제1구동축 128 : 인출부재
128a : 안착홈 130 : 숟가락 공급부
132 : 컨베이어 수단 132a : 제2구동축
132b : 종동축 132c : 제1롤러
132d : 제2롤러 132e : 컨베이어 벨트
132f : 지지프레임 134 : 제2구동모터
10: spoon 12: head part
14: bag 100: spoon supply device
110: spoon storage 112: first support frame
114: second support frame 115: head support bracket
116: cover frame 118: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120: spoon draw part 122: support bracket
124: first drive motor 125: guide bracket
125a: vertical part 125b: bent part
126: first drive shaft 128: draw-out member
128a: seating groove 130: spoon supply part
132: conveyor means 132a: second drive shaft
132b: driven shaft 132c: first roller
132d: second roller 132e: conveyor belt
132f: support frame 134: second drive motor

Claims (7)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 및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 및 숟가락 인출부가 테이블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 또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숟가락의 자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 및 숟가락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한 숟가락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A spo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poons are stored in a stacked state,
a spoon withdra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storage unit and withdrawing the stacked spoons one by one; and
A spoon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withdrawing unit and supplying the drawn out spoon to the user,
The spoon withdraw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poon storage unit to support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spoon storage unit and the spoon withdrawing unit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table, a first driving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ing bracket, and the first The first drive shaft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it has a cylindrical or octagonal column shape fitted to the first drive shaft, and includes a take-out memb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handle of the spoon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poon supply unit includes a conveyor means installed under the spoon pull-out part, a second drive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veyor means,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poon,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poon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 자루부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on storage part is made of a 'C' shape with an opening at the rear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first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head of the spoon, and has a 'C' shape with an opening at the front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poon suppl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spoon handle and a cover frame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살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V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cover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숟가락 보관부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의 헤드부 하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 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head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spoon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in the spoon storage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인출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을 숟가락 공급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o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bracket for guiding the spoon drawn out through the withdrawal member to the spoon supply unit.
삭제delete
KR1020200119228A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spoons KR102458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28A KR102458869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spo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28A KR102458869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spo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08A KR20220036708A (en) 2022-03-23
KR102458869B1 true KR102458869B1 (en) 2022-10-25

Family

ID=8096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28A KR102458869B1 (en) 2020-09-16 2020-09-16 Device for supplying spo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268B2 (en) * 1992-04-30 2001-03-26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Curved tomography X-ray equipment with planar tomography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10Y1 (en) 2007-06-14 2009-02-19 윤주복 Spoon and chop-stick dispenser
TWM355070U (en) * 2008-11-26 2009-04-21 President Chain Store Corp Automatic device for dispensing chopsticks
KR20110051355A (en)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Spoon stand with easy withdrawal structure
KR20110005741U (en) * 2009-12-03 2011-06-10 김은지 Hegiene spoon and chopsticks stand
KR200458495Y1 (en) * 2010-04-12 2012-02-22 주계원 Sanitary dispenser for spoons and chopstic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268B2 (en) * 1992-04-30 2001-03-26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Curved tomography X-ray equipment with planar tomograph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08A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88B1 (en) Machine for supplying/dispensing containers and long articles in general
US6786359B1 (en) Dispenser
EP2199232A1 (en) Conveying device
US7766187B2 (en) Napkin dispenser
JP2012511312A (en) Device for dispensing products in petri dishes
KR102458869B1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ITMI20120295A1 (en) AUTOMATIC PRODUCT DISTRIBUTOR MACHINE
JP2020006042A (en) Tableware recovery system and ascending/descending device
KR102458867B1 (e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poons and chopsticks
ES2810898T3 (en) A provision for moving a storage space in a cabinet
KR101338288B1 (en) Vending machine with force-reduced overturn door panel
KR102458872B1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KR102660050B1 (en) Device for supplying spoons
WO2017191531A1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for dispensing products
KR102434596B1 (e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KR102329224B1 (en) Food plates dispenser with food plates catridge
KR102660051B1 (en) Device for supplying chopsticks
CN113744453B (en) Automatic meal vending machine
CN109846299B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whole set of tableware
CN112586960A (en) Rotary type dislocation blanking structure and tableware taking device thereof
KR102405869B1 (en) Chopsticks case
CN214567097U (en) Disposable tableware storage device
CN218525155U (en) Article formula vending machine is got at middle part
JP4066276B2 (en) Medicine bag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