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67B1 -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 Google Patents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67B1
KR101371267B1 KR1020110076039A KR20110076039A KR101371267B1 KR 101371267 B1 KR101371267 B1 KR 101371267B1 KR 1020110076039 A KR1020110076039 A KR 1020110076039A KR 20110076039 A KR20110076039 A KR 20110076039A KR 101371267 B1 KR101371267 B1 KR 10137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roasting plate
collec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4110A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11007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67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며 구이판의 자동교체가 가능한 구이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의 구이통을 중심으로 구이탁자의 하부 일측에 다수의 구이판이 적층 수용되는 구이판 공급부와, 적층된 구이판을 한개씩 구이통으로 이송키 위한 구이판 이송부가 형성되고, 구이통의 타측에 사용된 구이판을 수거 배출키 위한 구이판 수거부와, 구이통의 상부를 개폐가능한 구이통 개폐부를 직선 배열 형성함으로써, 구이탁자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구이탁자 설치 공간의 충분한 활용이 용이하며, 구이판의 장착에 있어서도 충분한 수량의 적층 장착이 가능하게 하며, 구이판 장착시 측면을 통해 구이판의 재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예방 및 분주한 시간에 인력의 소모를 막아줄 수 있게 하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table that can be used in a restaurant, such as automatic replacement of the roasting plate, and more specifically, a roasting plate supply unit for stacking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s on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centered on the central roasting container, The roasting plate feeder is formed to transfer the roasting plate to the roasting container one by one. It is easy to make full use of the installation table of the roasting table,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ufficient quantity of stacking in the installation of the roasting plate, and to prevent the convenience of use and safety accidents by allowing the roasting plate to be remounted through the side when installing the roasting plate. And roasting boards to help prevent wasting of manpower during busy hours It relates to a roasting table having the same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Description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본 발명은 대중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며 구이판의 자동교체가 가능한 구이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구이통이 형성된 구이탁자의 하부에 구이판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구이판 공급부와, 구이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이판 이송부와, 사용된 구이판을 수거하기 위한 구이판 수거부와, 구이통의 상부를 개폐가능한 구이통 개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구이판의 장착으로 구이판 교체에 따른 불편함 해소와 화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구이판 이송부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이판의 장착이 가능하게 한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table which can be used in a restaurant, such as automatic replacement of the roasting plate, and more specifically, a roasting plate supply uni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roasting plate to the lower part of the roasting table formed with a roasting container in the center, and a roasting plate for transporting a roasting plate. By forming the transfer part,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used roasting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which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the installation of sufficient roasting plate eliminates inconvenience caused by replacing the roasting plate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caused by f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table having a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a roasting plate, which enables easy and safe mounting of the roasting plate by a roasting plate conveying unit.

일반적으로 각종 구이물을 제공하는 대중음식점에는 탁자 자체에 구이장치가 마련된 구이탁자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a restaurant that provides a variety of roasting is mainly used roasting table provided with a roasting device on the table itself.

이와 같은 구이탁자에는 탁자 중앙에 버너 혹은 숯 통 등을 넣을 수 있게 된 상부가 개방된 함체상의 구이통이 장착되어 있고, 그 구이통의 상측에는 구이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이탁자에는 상기한 구이판 및 구이통으로부터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 배기수단 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Such a roasting table is equipped with a container-shaped roasting container having an open top in which a burner or a charcoal container can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a roasting plate can be placed. Exhaust means and the like are provided which can quickly discharge a large amount of smoke generated from the roasting plate and the roasting container.

이에 따라, 상기한 구이탁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이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구이통에 숯불을 넣거나 버너를 점화시킨 후 그 상측에 위치하는 구이판에 다양한 구이물을 올려놓아 상기한 열원에 의한 고열로 그 구이물이 구워지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if you want to ingest a variety of roasting using the roasting table, put charcoal in the roasting container or ignite the burner and put a variety of roasting on the roasting plate located above the high heat by the heat source The roast is to be baked.

이와 같은 구이탁자는 탁자에 별도의 버너 등을 올려놓지 않고도 다양한 구이물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이통의 상측을 덮개에 의해 밀폐시켜 평평한 탁자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므로 일반 대중음식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Such a roasting table can consume various roasting objects without putting a separate burner on the table, and when the roasting device is not used,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can be sealed by a cover and used as a flat table. It has excellent sex and convenience in use, so it is widely used in restaurant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이탁자는 구이장치의 열원에 의해 기름이나 구이물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구이탁자의 경우 그 탁자 자체에 배기수단이 마련되어 있거나 탁자의 상측에 천정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배기관이 늘어져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게 되는데, 탁자 자체에 배기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구이판에 근접하여 흡기수단을 통해 연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구이판의 중앙에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일시에 많은 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두 흡입하여 배출시키지 못하므로 실내가 혼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roasting tabl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quickly discharge the smoke generated by burning the oil or roasted by the heat source of the roasting device, in the case of a typical roasting table there is an exhaust means on the table itself When the exhaust pipe is provided or suspended downward from the ceiling above the table, the exhaust pipe is provided on the table itself. Or, if a large amount of smoke occurs at a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m becomes cloudy because it can not be inhaled and discharged.

또한, 상기한 구이판에 올려진 다양한 구이물은 고열에 의해 그 구이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이 탁자 및 옷 등이 튀게 되므로 탁자가 지저분해지는 것이며 옷이나 피부로 튄 기름은 오랫동안 기름 및 고기 구운 냄새를 배이게 하므로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곤란함을 겪게 됨은 물론 옷가지에 배인 냄새는 쉽게 가시지 않아 세탁을 요하게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various kinds of roasted foods put on the roasting plate have a high temperature, and the oil generated from the roasted water splashes on the table and clothes, and thus the table becomes messy. Therefore, when us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as well as suffers, as well as the smell of the clothes on the clothes do not go easily go to the laundry because there is a very uneconomical and inefficient problem.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2008년 특허출원 제0133331호와 같이, 구이탁자의 내측부로부터 구동모터에 의해 출몰되게 한 별도의 투명판을 구비하고, 그 투명판은 구이통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출몰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투명판은 구이탁자에 마련된 안내레일을 따라 탁자의 내측으로부터 출몰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이판의 돌출 밀폐에 의한 연기의 완전 배기는 물론 구이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한 개폐식 투명판이 설치된 구이탁자를 제안한 바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transparent plate, which is brought out by the drive motor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as in 2008 Patent Application No. 0133331, the transparent plate is actuated to open and close the top of the roasting container The transparent plate is configured to be in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table along the guide rail provided on the roasting table,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parent plate which prevents the oil generated from the roasting water as well as the exhaust of smoke due to the sealing of the roasting plate. We have proposed an installed roasting tabl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이탁자는 연기의 배기 효율이 향상되고 냄새 등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특징은 갖고 있으나, 종래와 같이 여전히 잦은 구이판의 교체로 인한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the roasting table as described above has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the exhaust efficiency of the smoke and reducing damage caused by odors, etc., but still has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 replacement of the roasting plate.

즉, 구이판은 구이물과 육즙 및 양념 등이 구이판에 눌러 붙어 타는 경우에는 구이물이 미감과 식감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구이판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면 이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새로운 구이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구이판의 교체 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음식물의 소비자가 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음식물의 제공자가 소비자의 요구에 의해 교체해주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필요한 때에 즉시 구이판을 교체하지 못함으로 인한 불쾌함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asting plate, when the roasted and juicy and seasoning, etc. are pressed to the roasting plate burns will lower the sense of taste and texture, so if the roasting plate is used for a certain time to replace it quickly to use a new roasting plate Although the same process of replacing the grilling plate is very cumbersome, the food consumer does not replace it, but the food provider replaces it at the request of the consumer, which causes the discomfort due to the failure to replace the grilling plate immediately when necessary.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특허출원 2008-0019946호 및 도 1의 도시와 같이, 구이탁자(10)의 중앙에 구이통(20)이 형성되고, 구이통(20)의 내측에는 구이판(30)이 거치되며, 상기 구이판(30)의 상측에는 개폐 가능한 투명커버판(40)이 장착되어진 구이탁자에 있어서,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Patent Application No. 2008-0019946 and the illustration of Figure 1, the roasting container 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asting table 10, the roasting plate 20 is mounted inside the roasting container 20 In the roasting table equipped with a transparent cover plate 4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plate 30,

상기한 구이탁자(10)의 하부 일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이판(30)이 분할 배치되어 이들 구이판(30)을 동시에 공전시킬 수 있게 한 구이판모터(50)를 형성하고, 상기한 구이탁자(10)의 하부 타측에는 구이통(2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투명커버판(40)이 결합된 커버판모터(60)를 형성하여, 구이판모터(50)의 작동에 의해 구이통(20) 내측으로 구이판(30)이 회전 교체되게 하고, 커버판모터(60)의 작동으로 인해 투명커버판(40)이 구이통(20)의 내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회전식 구이판과 투명커버판을 갖는 구이탁자를 안출한 바 있다. On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10, at least two or more roasting plates 30 are dividedly formed to form a roasting plate motor 50 which enables the roasting plates 30 to revolve at the same time, and the roasting table 10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to form a cover plate motor 60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plate 40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20,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plate motor 50 Roasting the plate 30 is rotated inward to rotate, the cover plate motor 60 by rotating the rotating cover plate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baking bin 20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plate motor 60 I had a t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이탁자는 회전식 구조에 의해 구이판을 교체 사용할 수 있고, 투명커버판에 의해 구이통의 개폐가 가능한 특징은 가지고 있으나, 이는 구이통의 일측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을 통해 구이판을 교체하거나, 구이통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이는 그 회전반경의 증대로 인해 불필요하게 구이탁자가 대형화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oasting table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replace the roasting plate by the rotary structure, and has a fea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ransparent cover plate, which is to replace the roasting plate through the rotation to the axis of one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or roasting barrel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roasting table need to be larg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adius of rotation.

또한, 그 구이판의 교체에 있어서도, 회전배열의 특성상 소량의 구이판만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장착수량을 초과하는 구이판을 사용시 재차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으며, 그 구이판 장착시에도 구이탁자 사용중 구이탁자 아래에서 구이판의 장착 및 탈거가 이루어짐으로, 이 또한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화기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even when replacing the roasting plat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a small amount of roasting plate is install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tational arrangement, so that it is cumbersome to be remounted when using the roasting plate exceeding the mounting quantity. Sinc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roasting plate is made under the roasting table during the use of the table, this also has the problem of bringing about the inconvenience of use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fi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앙의 구이통을 중심으로 구이탁자의 하부 일측에 다수의 구이판이 적층 수용되는 구이판 공급부와, 적층된 구이판을 한개씩 구이통으로 이송키 위한 구이판 이송부가 형성되고, 구이통의 타측에 사용된 구이판을 수거 배출키 위한 구이판 수거부와, 구이통의 상부를 개폐가능한 구이통 개폐부를 직선 배열 형성함으로써, 구이탁자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구이탁자 설치 공간의 충분한 활용이 용이하며, 구이판의 장착에 있어서도 충분한 수량의 적층 장착이 가능하게 하며, 구이판 장착시 측면을 통해 구이판의 재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예방 및 분주한 시간에 인력의 소모를 막아줄 수 있게 하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oasting plate feed portion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 is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centered around the center of the roasting container, and transfer the laminated roasting plate one by one to the roasting contai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roasting table by forming a linear arrangement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roasting plate u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asting container which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It is easy to use,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ufficient number of stacks in the installation of the roasting plate, and it is possible to remount the roasting plate through the side when installing the roasting plate. Provides roasting table with roas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to prevent Is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앙에 상부가 마감링으로 마감되는 구이통이 구비되고, 상기 구이통의 상부에는 구이판이 거치되며,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투명커버판이 장착된 구이탁자에 있어서,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roasting barrel closed with a closing ring,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is mounted,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plate is mounted on the roasting table equipped with a transparent cover plate openable In

상기 마감링과 구이통의 사이에 안착되며, 구이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이판 안내부와 투명커버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투명커버 안내부가 계단식 형성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레일;A pair of opposing guide rails which are seated between the closing ring and the roasting barrel, the guide plate of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roasting plate and the transparent cover guide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transparent cover plate;

상기 구이탁자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구이판 공급함에 다수의 구이판이 적층 수용 및 공급모터에 의해 구이판을 상부로 한장씩 상승 배출시키기 위한 구이판 공급부;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for discharging and roasting the roasting plate one by one to the upper by a stacking receiving and supply motor to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상기 구이판 공급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구이판을 구이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이판 이송부;A roasting plate conveying unit which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and transfers the roasting plate discharged from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to a roasting container;

상기 구이탁자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며, 구이판 수거함(410)에 의해 사용된 구이판을 적층 수거하는 구이판 수거부; A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and collects the roasting plates used by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box 410;

상기 구이탁자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되며, 개폐모터에 의해 상기 투명커버판을 구이통으로 이송시켜 구이통 상부를 개폐하는 구이통 개폐부; 및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by transferring the transparent cover plate to the roasting container by an opening and closing motor; And

상기 구이판 공급부와, 구이판 이송부와, 구이판 수거부와, 구이통 개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It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a controller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the roasting plate conveying unit,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asting contain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는, 구이탁자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구이탁자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수량의 구이판 적층 장착이 가능하여 구이 중 구이판을 재장착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구이탁자의 사용전이나 사용 후 구이판이 적층되는 구이판 공급부의 측면을 통해 구이판을 재장착하여 설치함으로, 구이판 장착에 따른 편리함과 구이판 교체에 따른 화기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영업중 분주한 시간에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막아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e roasting table having the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utilize the spa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roasting table, while the easy utilization of the space of the roasting table can be laminated in a sufficient quantity of roasting plate to be roasted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be refitted, and by installing and re-installing the roasting plate through the side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section where the roasting plates are stacked before or after the use of the roasting table, the 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roasting plate and the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fire of the roasting plat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manpower at the time of prevention and business busy.

도 1은 종래 구이탁자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구이판 공급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구이판 이송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구이판 수거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구이통 개폐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e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구이판 공급에서 수거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개폐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incision showing a conventional roasting table.
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sting table having a roast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 bak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 bak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conveying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 bak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the automatic roasting plate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e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state in the roasting plate supply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 roast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Figure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 roast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전체 단면도이다.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sting table having a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grill plat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plate.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1)는, 중앙에 상부 둘레가 마감링(2)으로 마감되고 내측에 가스나 전기, 숯불 등을 이용한 화구가 내입되고 배기구가 형성된 구이통(3)이 구비되고, 상기 구이통(3)의 상부에는 구이판(4)이 거치되며, 상기 구이판(4)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강화유리재로 된 투명커버판(520)이 장착된 구이탁자에 있어서,1 and 2, the roasting table 1 having a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upper periphery is closed with a finishing ring (2) in the center and the gas or electricity, charcoal, etc. using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roasting barrel (3) in which the exhaust port is formed, and a roasting plate (4)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3), and a transparent cover plate (520) made of tempered glass materi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plate (4). In the roasting table equipped with),

구이판(4)과 투명커버판(5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0)(100')과, 구이판(4)을 공급하기 위한 구이판 공급부(200)와, 구이판(4)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이판 이송부(300)와, 사용된 구이판(4)을 수거키 위한 구이판 수거부(400)와, 구이통(3)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이통 개폐부(500)로 구성된 것이다.Guide rails 100 and 100 ′ for guiding movement of the grilling plate 4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for supplying the roasting plate 4, and the roasting plate 4. It is composed of a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00, a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for collecting the used roasting plate 4, and a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unit 5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ontainer (3).

이때, 상기 구이통(3)의 상단과 마감링(2)의 사이에는 구이판(4)과 투명커버판(520)의 안착 및 가이드 하게 구이탁자(1)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100')이 형성된 것이다.At this time, a pair of guide rails 1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sting table 1 to guide and settle and guide the roasting plate 4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asting container 3 and the finishing ring 2. ) 100 'is formed.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00)(100')은, 계단식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 바닥면이 구이판(4)의 안착 및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이판 안내부(110)를 이루고, 상부 바닥면이 투명커버판(520)의 안착 및 가이드 하는 투명커버 안내부(120)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이판 안내부(110)와 투명커버 안내부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Here, the guide rails 100 and 100 ′ are configured in a bent plate shape that is bent stepwise, and a lower bottom thereof forms a guiding plate guide 110 for guiding the seating and movement of the guiding plate 4, and an upper bottom. The surface is to form a transparent cover guide portion 120 for seating and guiding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the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king plate guide portion 110 and the transparent cover guide portion.

또한, 상기 구이판 공급부(20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구이탁자(1)의 하부에서 구이통(3)의 일측에 형성되어, 구이판(4)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기 전의 구이판(4)을 적층 수용하기 위한 구이판 공급함(210)으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1 as shown in FIG. 4, and supplies the roasting plate 4, and the roasting plate 4 before being used. ) Is composed of a baking plate supply box 210 for receiving the stack.

이때, 구이판 공급함(21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마주보는 폭방향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상부로 개방된 수직형 가이드공(211)이 각각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구이판(4)이 적층되는 공급승강판(212)이 내입 형성된 것이다. At this time,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as an open box, the opposit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vertical guide hole 211 is opened to the top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inside of the roasting plate (4)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is laminated therein is formed.

또한, 구이판 공급함(2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공(211)과 근접하게 한쌍의 수직형 공급스크류(221)(221')를 베어링 축설하되, 어느 하나의 공급스크류(221)에는 그 하단에 공급모터(220)가 형성되어 그 공급모터(22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bearing pairs of vertical feed screws 221 and 221 ′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sting plate feed box 210 in close proximity to the guide hole 211. The supply motor 220 is formed in the rotatably configur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upply motor 220.

여기서, 상기 공급스크류(221)(221')에는 벨트(B)로 연결되는 풀리(P)를 각각 형성하여, 공급모터(220)의 구동시 공급스크류(221)(221')가 동일한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Here, the feed screw (221, 221 ') is formed with a pulley (P) connected to the belt (B), respectively, so that the supply screw 221 (221') the same rotational force when the supply motor 220 is driven. It is preferable to make it have.

또한, 상기 공급스크류(221)(221')에는, 그 공급스크류(221)(221')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공급승강구(222)가 각각 나삽되며, 그 각각의 공급승강구(222)는 가이드공(211)을 통해 공급승강판(212)과 결합되는 것으로, 그 공급승강판(212)이 공급모터(22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승강되어 구이판(4)을 상부로 순차적으로 배출하게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ly screw 221, 221 ', the supply hatch 222 which is elev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ly screw 221, 221' is screwed, respectively, each of the supply hatch 222 is a guide It is coupled with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through the ball 211,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is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supply motor 220 to discharge the roasting plate 4 in order to the top It is composed.

한편, 구이판 공급함(210)은, 그 일측에 도어(231)에 의해 개폐가능한 개방부(230)를 형성하되, 그 구이판 공급함(210)의 개방부(230)를 통해 구이판(4)의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on the one side to form an opening 23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31, the filling of the roasting plate 4 through the opening 230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It is possible.

또한, 구이판 이송부(30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구이탁자(1)의 일측 하부면 즉, 구이판 공급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 공급부(200)로부터 배출된 구이판(4)을 상기 구이통(3)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00 is formed on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roasting table 1,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as shown in FIG. 5, and the roasting plate 4 discharged from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It is for mounting to the roasting container (3).

이때, 구이탁자(1)의 저면 일측에는 단부가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100) 저면에 위치되는 수평형 이송스크류(311)를 갖는 정역 작동하는 이송모터(310)가 고정 설치되고, 타측에는 단부가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100') 저면에 위치되는 또 다른 이송스크류(311')가 베어링 축설된 것이다.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ing table (1) is fix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310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screw 311 is located on the bottom of any one of the guide rail 100, the other end is fixed Another bearing screw 311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other guide rail (100') is a bearing condensation.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311)(311')에는 벨트(B)로 연결되는 풀리(P)를 각각 형성하여, 공급모터(220)의 구동시 이송스크류(311)(311')가 동일한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Here, the feed screws 311 and 311 'are formed with pulleys P connected to the belt B, respectively, so that the feed screws 311 and 311' have the same rotational force when the supply motor 220 is driven. It is preferable to make it have.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311)(311')에는, 이송모터(310)의 작동에 의해 이송스크류(311)(311')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구(312)가 각각 나삽되는 것이며, 그 각각의 이송구(312)는 밀대(313)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transfer screws 311 and 311 'are each inserted with a feed hole 312 moved along the transfer screws 311 and 311'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310, respectively. The transfer port 31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ush rod 313.

또한, 상기 구이판 수거부(400)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구이탁자(1)의 하부에서 구이통(3)의 타측에 형성되어, 구이판(4)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 구이판(4)을 적층 수용하기 위한 구이판 수거함(410)으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asting container 3 at the lower part of the roasting table 1 as shown in FIG. 6, and used to collect the roasting plate 4, and used the roasting plate 4. ) Is composed of a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for receiving the stack.

이때, 구이판 수거함(41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마주보는 폭방향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상부로 개방된 수직형 가이드공(411)이 각각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구이판(4)이 적층되는 수거승강판(412)이 내입 형성된 것이다. At this time,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as an open box, the opposit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vertical guide hole 411 open to the top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inside of the roasting plate (4) ) Is laminated to the collecting plate 412 is stacked.

또한, 구이판 수거함(4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공(411)과 근접하게 한쌍의 수직형 수거스크류(421)(421')를 베어링 축설하되, 어느 하나의 수거스크류(421)에는 그 하단에 수거모터(420)가 형성되어 그 수거모터(42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bearing pairs of vertical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sting tray collection box 410 in close proximity to the guide holes 411, and the lower end of any of the collection screws 421 is lower. The collection motor 420 is formed in the rotatably configur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ollection motor 420.

여기서, 상기 수거스크류(421)(421')에는 벨트(B)로 연결되는 풀리(P)를 각각 형성하여, 공급모터(220)의 구동시 수거스크류(421)(421')가 동일한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Here,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formed with pulleys P connected to the belt B, respectively, so that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have the same rotational force when the supply motor 220 is driven. It is preferable to make it have.

또한, 상기 수거스크류(421)(421')에는, 그 수거스크류(421)(421')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수거승강구(422)가 각각 나삽되며, 그 각각의 수거승강구(422)는 가이드공(411)을 통해 수거승강판(412)과 결합되는 것으로, 그 수거승강판(412)이 수거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승강되어 구이판(4)을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 수거하게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respectively screwed in and removed by the rotation of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nd each collection hatch 422 is guided. It is coupled with the collection lifting plate 412 through the ball 411, the collection lifting plate 412 is elevat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collection motor 420, and the roasting plate 4 is sequentially stacked down It is configured.

한편, 구이판 수거함(410)은, 그 일측에 도어(431)에 의해 개폐가능한 개방부(430)를 형성하되, 그 구이판 수거함(410)의 개방부(430)를 통해 사용된 구이판(4)의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on the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43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431,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of the roasting plate 4 used through the opening 430 of the collection box 410 Ejec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구이통 개폐부(50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구이탁자(1)의 타측 하부면 즉, 구이판 수거부(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투명커버판(520)을 이용하여 구이통(3)이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 축설되는 개폐스크류(511)를 갖는 개폐모터(510)가 구이탁자(1)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개폐스크류(511)에는 이동구(513)가 나삽되며, 그 이동구에는 투명커버판(520)이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00, as shown in Figure 7 is formed on the other lower surface of the roasting table 1,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using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3)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510 having the opening and closing screw 511 to be installed in the bearing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ing table (1), the opening and closing screw 511 in the movable opening 513 Is inserted, the movable cover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즉, 상기 이동구(513)의 상부에는 삽입돌기(513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투명커버판(520)의 측부에는 삽입공(521)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커버판(520)의 삽입공(521)에 이동구(513)의 삽입돌기(513a)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개폐모터(510)의 작동시 이동구(513)의 이동과 함께 투명커버판(520)이 가이드레일(100)(100')의 투명커버 안내부(120)를 따라 직선 이동 및 구이통(3)의 상부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n insertion protrusion 513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e 513, and an insertion hole 521 is formed at a side of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to insert the hole of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The insertion protrusion 513a of the movable tool 513 is fitted to the 521,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is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ool 513 when the opening / closing motor 510 is operated. Along the transparent cover guide portion 120 of (100 ') is to linearly move and open and close the top of the roasting container (3).

또한, 구이탁자(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이판 공급부(200)와, 구이판 이송부(300)와, 구이판 수거부(400)와, 구이통 개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중 미도시함)를 갖는 콘트롤러(600)가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1,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the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00,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the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not shown in the figure) Controller 600 is formed.

한편, 구이판 공급함(210)의 상단에 상기 구이판 공급부(200)의 공급모터(220) 및 구이판 수거부(400)의 수거모터(420)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1리미트센서(S)가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100) 저면 단부에는 상기 구이판 이송부(300)의 이송모터(310)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2리미트센서(S')가 형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limit sensor (S)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otor 220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and the collecting motor 420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At the bottom end of one of the guide rails 100, a second limit sensor S ′ is formed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310 of the roasting plate feeder 300.

이와 같이 구성된 구이판(4)과, 구이통(3)과, 구이판 공급함(210)과, 구이판 수거함(410)과, 투명커버판(520)은 도면 중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 가능한 것이다. The roasting plate 4, the roasting container 3,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box 410,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drawing.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circl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table having an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grill plat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는, 구이판의 자동 교체 구조를 가짐으로 구이탁자를 사용 중 구이판의 교체를 요할 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자동으로 구이판의 교체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The roasting table having the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plate has an automatic replacement structure of the roasting plate, thereby enabling a safe and convenient automatic replacement of the roasting plate when the roasting plate needs to be replaced during use.

이에,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So, 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먼저, 도 8a는 구이탁자의 구이판 공급부에 구이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First, Figure 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asting plate is mounted to the roasting plate supply portion of the roasting table,

구이판 공급부(200)는, 그 구이판 공급함(210)의 일측에 형성된 도어(231)를 개방 후 개방부(230)을 통해 다수의 구이판(4)을 적층 수용하면 되는 것이다.The roasting plate supplying part 200 may open and store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s 4 through the opening part 230 after opening the door 231 formed at one side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이때, 구이판(4)은 공급승강판(212)의 상부에 안착 적층되는 것이고, 그 공급승강판(212)은 하강된 상태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oasting plate 4 is to be seated and stacked on top of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is preferably to achieve a lowered state.

이상과 같이 구이판 공급함(210)에는 다수의 구이판(4)이 적층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is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s 4.

이후, 도 8b는 구이판을 구이통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Then, Figure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ed state for supplying the roasting plate to the roasting container,

구이판(4)을 상승 배출키 위해서는 구이탁자(1)의 상부에 형성된 콘트롤러(600)를 이용하여 구이판 공급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모터(220)를 작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공급모터(220)에 상승에 해당하는 회전 동력을 부여하게 되면 그 작동에 의해 벨트(B) 연결된 한쌍의 공급스크류(221)(221')가 회전되며 구이판(4)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raise and discharge the roasting plate 4, the supply motor 220 is operated by operating a switch corresponding to the roasting plate supply using the controller 60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table 1, and the supply motor 220. When a rotational power corresponding to the rising is applied to the pair of supply screws 221 and 221 'connected to the belt B by the operation, the roasting plate 4 is raised.

즉, 상기 공급스크류(221)(221')가 회전시 그 공급스크류(221)(221')에 나삽된 공급승강구(222) 및 공급승강판(212)의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때 공급승강판(212)에 적층 형성된 구이판(4)의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upply screw 221 (221 ') is rotated, the supply hatch 222 and the supply elevating plate 2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supply screw 221 (221') is raised, the supply rise The baking plate 4 laminated | stacked and formed on the steel plate 212 is made.

한편, 상승되는 구이판(4)은 구이판 공급함(2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리미트센서(S)를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그 감지 신호를 감지 및 공급모터(220)의 구동을 정지 제어하게 되며, 구이판 공급함(210)의 상단에는 한장의 구이판(4)만이 배출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sing grill plate 4 touches the first limit sensor S formed at the top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supply motor 220, Only one sheet of roasting plate 4 is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이후, 도 8c는 구이판이 구이통으로 이동 및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8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asting plate is moved and mounted in a roasting container.

상기와 같이 제1리미트센서(S)의 감지에 의해 한장의 구이판(4)이 구이판 공급함(210)의 상부로 배출되면 구이판 이송부(30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구이판 이송부(300)는 그 이송모터(310)의 일방향 작동과 함께 벨트(B) 연결된 한쌍의 이송스크류(311)(311')가 회전되며 구이판(4)을 구이통(3)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sheet of the roasting plate 4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by the detection of the first limit sensor S, the roasting plate conveying unit 300 is operated. In this case, the roasting plate conveying unit 300 is A pair of transfer screws 311 and 311 ′ connected to the belt B together with the one-way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310 are rotated to transfer the roasting plate 4 to the roasting container 3.

즉, 상기 이송스크류(311)(311')의 회전시 그 이송스크류(311)(311')에 나삽된 이송구(312) 및 밀대(313)가 전진함과 동시에 구이판(4)을 밀어내는 것이며, 이때, 구이판(4)은 가이드레일(100)(100')의 구이판 안내부(110)를 따라 구이통(3)의 상부로 최초 장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ransfer screws 311 and 311 'are rotated, the transfer hole 312 and the rod 313 inserted into the transfer screws 311 and 311' move forward and push the roasting plate 4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roasting plate 4 is initially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ontainer 3 along the roasting plate guide 110 of the guide rails 100 and 100 '.

이때, 이동하는 이송구(312)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100) 하부에 형성된 제2리미트센서(S')를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그 감지 신호를 감지 및 이송모터(310)의 구동을 역방향으로 전환하게 되어 이송구(312)의 복귀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송구(312)의 복귀와 함께 구이판 공급함(210)에서는 다시 한장의 구이판(4)이 상부로 배출 및 공급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moving port 312 touches the second limit sensor S 'formed under one of the guide rails 100, the controller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and reverses the driving of the transport motor 310.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port 312 is to be made, and with the return of the transfer port 312 in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is again a sheet of the roasting plate 4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standby state.

이상과 같이 구이판(4)은 자동으로 구이통(3)에 장착되는 것인바, 이는 외부 인력이 필요없이 구이탁자(1)의 사용자가 콘트롤러(600)의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한 것이며, 장착된 구이판(4)을 사용하는 도중 그 구이판(4)이 타거나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이 또한 자동으로 구이판(4)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oasting plate 4 is automatically mounted to the roasting container 3, which is possible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00 by a user of the roasting table 1 without the need for external manpower, and the installed roasting plate 4. If the roasting plate 4 is burned or contaminated during the use, the roasting plate 4 can be replaced automatically.

즉, 도 8d는 오염된 구이판의 배출 및 새로운 구이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That is, Figure 8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of the dirty grill plate and the mounting state of the new grill plate,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구이판(4)의 장착과 같이 콘트롤러(600)를 이용하여 구이판 공급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도 8b 및 8c의 도시와 같이 구이판(4)의 구이판 공급함(210)으로부터의 배출 및 구이판(4) 장착 작동이 재차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작동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user may operate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supply of the roasting plate using the controller 600 as in the installation of the roasting plate 4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roasting plate of the roasting plate 4 is supplied as shown in FIGS. 8B and 8C. The discharge from the 210 and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roasting plate 4 are performed again, and the overlapping detailed operation is omitted.

단지, 상기와 같이 구이판(4)이 이송하면서 그 새로운 구이판(4)의 이송방향 전단이 구이통(3)에 장착되어 사용된 구이판(4)의 후단을 밀어내게 되는 것으로, 새로운 구이판(4)이 완전히 장착됨과 동시에 사용된 구이판(4)은 구이판 수거부(400)의 구이판 수거함(410)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However, as the roasting plate 4 is transported as described abov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new roasting plate 4 is mounted on the roasting container 3 to push the rear end of the used roasting plate 4 so that the new roasting plate 4 is The roasting plate 4 used while being fully mounted i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box 410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이후, 도 8e는 사용된 구이판이 구이판 수거함(410)으로 수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8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d grilling plate is collected in the baking tray collecting box 410,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구이판(4)의 장착 후, 이송구(312)의 복귀와 함께 구이판 공급함(210)으로부터 또 다른 구이판(4)이 배출되는 것인바, 그 배출과 함께 제1리미트센서(S)를 터치하게 되면 그 감지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다시 구이판 수거부(400)로 전달 및 수거모터(4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그 수거모터(420)에 하강에 해당하는 회전 동력을 부여하여 그 작동에 의해 벨트(B) 연결된 한쌍의 수거스크류(421)(421')가 회전되어 구이판(4)이 구이판 수거함(410)의 내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new roasting plate 4, the other roasting plate 4 is discharged from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with the return of the transfer port 312, and the first limit sensor S together with the discharge. When touched),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unit 400 again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operates the collection motor 420. The rota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is applied to the collection motor 420 to operate the collection motor 420. The pair of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 connected to the belt B are rotated so that the roasting plate 4 descends to the inside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즉, 상기 수거스크류(421)(421')가 회전시 그 수거스크류(421)(421')에 나삽된 수거승강구(422) 및 수거승강판(412)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때 수거승강판(412)을 따라 구이판 수거함(4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rotated, the collection hatch 422 and the collection lifting plate 412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made to fall. Along the steel plate 412 is to be received inside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이상과 같이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깨끗한 상태의 새로운 구이판(4)이 장착되면 그 새로운 구이판(4)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이물의 구워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된 구이판(4)은 차후 구이판 수거함(410)의 도어(431)를 개방 후 개방부(230)을 통해 배출시키면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ew roasting plate 4 is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a clean state, the new roasting plate 4 can be baked and ingested by using the new roasting plate 4, and the roasting plate 4 used is a roasting plate later. The door 431 of the collection box 410 i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30 after opening.

또한, 도 9는 구이통 개폐부의 투명커버판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In addi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parent cover pl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iner,

구이통 개폐부(500)의 투명커버판(520)을 이용하여 구이통(3)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이는 구이물을 구울시 구이물의 육즙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구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히 구이물을 구워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3 is closed by using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of the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This prevents the juice of the roasted water from evaporating when roasting the roasted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of the crater flows out. You can prevent it from being baked quickly and consume it.

즉, 콘트롤러(600)의 구이통 개폐부(500) 작동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그 개폐모터(510)의 작동과 함께 개폐스크류(511)에 회전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이때 이동구(513)에 끼움 결합된 투명커버판(520)은 가이드레일(100)(100')의 투명커버 안내부(120)를 통해 구이통(3)의 상부로 진입 및 구이통 상부를 폐쇄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00 of the controller 600 is operated,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crew 511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510, in this case the moving port 513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coupled to the opening is to enter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ontainer 3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guide portion 120 of the guide rails 100 and 100 'an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이와 같이 구이통(3)이 폐쇄된 상태에서 구이물을 굽게되면 그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육즙의 증발이 억제되는 한편, 그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신속하게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roasting container 3 is baked in the closed state as described above, evaporation of the juice generated from the roasting product is suppressed, while the heat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oasting product can be quickly burn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는 구이탁자의 사용 전 미리 구이판 공급함에 다수의 구이판을 적층 수용한 상태에서 구이탁자를 사용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이판의 교체가 가능함과 동시에 투명커버판의 개폐 구동에 의해 신속하고 맛있는 구이물의 섭취가 가능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oasting table having the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roasting tabl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s are stacked in advance in the roasting plate feeder prior to the use of the roasting table, it is simply and quickly suitably necessary and quickl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ast and delicious by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of the transparent cover plate.

1 : 구이탁자 2 : 마감링
3 : 구이통 4 : 구이판
100,100' : 가이드레일 110 : 구이판 안내부
120 : 투명커버 안내부 200 : 구이판 공급부
210 : 구이판 공급함 211 : 가이드공
212 : 공급승강판 220 : 공급모터
221,221' : 공급스크류 222 : 공급승강구
300 : 구이판 이송부 310 : 이송모터
311,311' : 이송스크류 312 : 이송구
313 : 밀대 400 : 구이판 수거부
410 : 구이판 수거함 411 : 가이드공
412 : 수거승강판 420 : 수거모터
421,421' : 수거스크류 422 : 수거승강구
500 : 구이통 개폐부 510 : 개폐모터
511 : 개폐스크류 513 : 이동구
513a : 삽입돌기 520 : 투명커버판
521 : 삽입공 600 : 콘트롤러
1: roasting table 2: finishing ring
3: roasting container 4: roasting plate
100,100 ': guide rail 110: guide plate guide
120: transparent cover guide portion 200: roasting plate supply unit
210: roasting tray supply box 211: guide ball
212: supply lifting plate 220: supply motor
221,221 ': Supply screw 222: Supply hatch
300: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10: transfer motor
311,311 ': Transfer screw 312: Transfer hole
313: wheat straw 400: grill plate collection unit
410: roasting tray 411: guide ball
412: collection lifting plate 420: collection motor
421,421 ': Collection screw 422: Collection hatch
500: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part 510: opening and closing motor
511: opening and closing screw 513: moving port
513a: insertion protrusion 520: transparent cover plate
521: insertion hole 600: controller

Claims (9)

마감링(2)과 구이통(3)의 사이에 안착되며, 구이판(4)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이판 안내부(110)와 투명커버판(5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투명커버 안내부(120)가 계단식 형성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00)(100');
구이탁자(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구이판 공급함(210)에 의해 다수의 구이판(4)이 적층 수용 및 공급모터(220)에 의해 구이판(4)을 상부로 한장씩 상승 배출시키기 위한 구이판 공급부(200);
구이판 공급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송모터(310)에 의해 상기 구이판 공급부(200)로부터 배출되는 구이판(4)을 구이통(3)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이판 이송부(300);
구이탁자(1)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며, 구이판 수거함(410)에 의해 사용된 구이판(4)을 적층 수거하는 구이판 수거부(400);
구이탁자(1)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되며, 개폐모터(510)에 의해 상기 투명커버판(520)을 구이통(3)으로 이송시켜 구이통(3) 상부를 개폐하는 구이통 개폐부(500); 및
구이판 공급부(200)와, 구이판 이송부(300)와, 구이판 수거부(400)와, 구이통 개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콘트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에 있어서,
구이판 수거부(400)는,
마주보는 양측에 수직형 가이드공(41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구이판(4)이 안착되는 수거승강판(412)이 내입된 상부 개방형 함체상의 구이판 수거함(410)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 수거함(410)의 양측 가이드공(411)의 근접부에는 한쌍의 수거스크류(421)(421')를 베어링 축설하되, 어느 하나의 수거스크류(421)에는 수거모터(420)가 형성되며,
상기 수거스크류(421)(421')에는 상기 가이드공(411)을 통해 수거승강판(412)과 결합되는 수거승강구(422)가 각각 나삽되어 수거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수거승강판(412)이 상.하 승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
It is seated between the finishing ring (2) and the roasting container (3), the transparent plate guide portion 12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asting plate (4). A pair of opposing guide rails (100, 100 ') that are cascaded;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1), a plurality of roasting plate (4) by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for stacking and feeding the roasting plate (4) to the upper by one by one by feeding the supply 220 220 200;
It is formed on top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the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00 for transferring the roasting plate (4) discharged from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by the transfer motor 310 to the roasting container (3);
It is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1),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for collecting the roasting plate 4 used by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table (1),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ontainer (3) by transferring the transparent cover plate 520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510); And
Grill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600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unit 200, the roasting plate transfer unit 300,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unit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500 In the roasting table having,
Grill plate collection unit 400,
A vertical guide hole 411 is form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a roasting plate collecting box 410 is formed on the upper open type enclosure in which a collecting lifting plate 412 on which the roasting plate 4 is seated is formed, and the roasting plate collecting box 410. A pair of collection screws 421 and 421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both side guide holes 411, and the collection motor 420 is formed at any one collection screw 421.
The collection screw 421 is coupled to the collection lifting plate 412 through the guide hole 411 in the collection screw 421, 421 ′, respectively, and collected by the driving of the collection motor 420. The roasting table having a roasting plate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412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구이판 공급함(210)과, 구이판 수거함(410)은 그 일측에 각각 도어(231)(431)에 의해 개폐가능한 개방부(230)(430)를 형성하되, 그 구이판 공급함(210)의 개방부(230)를 통해 구이판(4)을 충전하고, 구이판 수거함(410)의 개방부(430)를 통해 사용후 수용된 구이판(4)을 수거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and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form openings 230 and 43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doors 231 and 431 on one side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openings of the roasting plate supply box 210. Filling the roasting plate 4 through 230, and through the opening 430 of the roasting plate collection box 410 has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roasting plate 4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ion is configured to enable collection Roasting table.
KR1020110076039A 2011-07-29 2011-07-29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KR101371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39A KR101371267B1 (en) 2011-07-29 2011-07-29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39A KR101371267B1 (en) 2011-07-29 2011-07-29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10A KR20130014110A (en) 2013-02-07
KR101371267B1 true KR101371267B1 (en) 2014-03-07

Family

ID=4789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39A KR101371267B1 (en) 2011-07-29 2011-07-29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96B1 (en) * 2021-10-29 2022-07-12 세안이엔씨 주식회사 Easy maintenance light unit in tunnel
CN114391763A (en) * 2022-02-10 2022-04-26 苏州冉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intelligent skewer baking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47A (en) * 2006-07-25 2008-01-30 조흥율 A gridiron apparatus for roast
KR100950184B1 (en) * 2008-02-14 2010-03-29 박종찬 Roasting table with open-and-shut type transparent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47A (en) * 2006-07-25 2008-01-30 조흥율 A gridiron apparatus for roast
KR100950184B1 (en) * 2008-02-14 2010-03-29 박종찬 Roasting table with open-and-shut type transparen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10A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081B1 (en) Intelligent food preparation machine
CN109363526B (en) Fuel barbecue stove
KR101371267B1 (en) Table having 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roasting board
WO2022166443A1 (en) Steam barbecue oven using biomass particles
CN214804231U (en) Steam barbecue oven using biomass particles
KR100675131B1 (en) The automatic continuity fried food system using the electric heater
KR100869071B1 (en) A burning apparatus using pellet fuel
CN204292952U (en) A kind of family expenses smokeless automatic turning oven
CN111103808A (en) Intelligent cabinet work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3767558A (en) Barbecue stove
KR102467135B1 (en) Meat roasting device
CN105212778A (en) Biological intelligence electric oven
CN113143050A (en) Barbecue machine
CN200998179Y (en) Multifunctional barbecue machine
CN211862244U (en) Space-saving intelligent cabinet
CN211862248U (en) Vegetable washing counter
CN211862251U (en) Intelligent cabinet with compact space
CN211862249U (en) Vegetable washing counter
KR100661086B1 (en) A gridiron apparatus for roast
CN108378718B (en) Barbecue device
CN210605939U (en) Discharg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of columnar quick-frozen food vending machine
CN111109890A (en) Intelligent cabinet with compact space
KR200430609Y1 (en) The charcoal box structure for roaster having perpendicularity two-front
KR102211472B1 (en) Sanitary plate using paper foil
CN211869761U (en) Food material packaging box film sea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