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088A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Google Patents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4088A KR20220094088A KR1020210039471A KR20210039471A KR20220094088A KR 20220094088 A KR20220094088 A KR 20220094088A KR 1020210039471 A KR1020210039471 A KR 1020210039471A KR 20210039471 A KR20210039471 A KR 20210039471A KR 20220094088 A KR20220094088 A KR 202200940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part
- crossbar
- post
- fence
- faste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 사이의 횡대를 설정된 각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에 용이하면서도 하나의 지주 양단에서 횡대의 변곡이 가능하여 곡선구간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사이의 횡대를 설정된 각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에 용이하면서도 하나의 지주 양단에서 횡대의 변곡이 가능하여 곡선구간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fense)는 차로를 분리하거나, 공간을 분리하거나 혹은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 특히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는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단 횡단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10)는 휀스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형 휀스(10)를 나타낸 것으로 지주(11)의 양측부에 연결부(13)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러나 연결형 휀스는 도 2와 같이 다수의 휀스를 서로 연결시 지주(11)와 횡대(12)가 일직선으로만 배치될 수 있어서, 위와 같은 연결형 휀스(10)로는 곡선구간을 따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곡선구간에서는 도 3과 같이 각 세트가 서로 분리된 독립형 휀스 방식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독립형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자재비 및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0-2018-0136594호에서는 지주에는 힌지편을 구비하고, 연결대(횡대)에는 힌지조립편을 구비한 후, 이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한 후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통해, 곡선구간에서도 휀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지주와 연결대가 오직 지주의 힌지편과 연결대의 힌지조립편을 통해 직접 조립되므로 구조적으로 약해 힌지 구조에서 파손이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주와 연결대간 지지하는 힘이 약하고, 연결 부위의 파손시 힌지편이나 힌지조립편을 구비한 지주 또는 연결대 자체의 교체가 필요하며, 지주를 고정 후 연결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 체결을 해야 하므로 조립도 어렵다.
또한, 힌지편의 외측 단부와 힌지 조립편의 외측 단부에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가 없어서, 과도한 회동시 지주를 포함한 휀스의 파손이나 상대물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흡수에 용이하면서도 곡선구간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대의 회동 각도를 설정됨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고, 유지보수와 조립을 쉽게 하면서도 횡대의 결합 강도가 향상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양측부에 각각 끼움구가 구비된 지주; 양단이 상기 지주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횡대; 및 상기 지주와 횡대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회전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체결구는 상기 지주의 끼움구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횡대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지주에 고정된 제1 체결부에 대해 상기 제2 체결부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경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끼움구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구비하되, 일단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체결부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구는 몸체의 외측면에 보강된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에 관통 형성된 제1 나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조립시 상기 제1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나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공과 제2 나사공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구비하되, 일단은 경첩부를 통해 상기 제1 체결부에 회동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횡대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대는 상기 제2 체결부 내로 삽입되는 단부에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조립시 상기 장공 내에 위치하는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장공과 체결공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첩부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측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각각 회전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1 힌지편과; 상기 제1 힌지편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체결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삽입홈에 삽입되어 사개물림(match-joint)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2 힌지편; 및 상기 제1 힌지편과 제2 힌지편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공에 끼워지는 회전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힌지편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횡대가 연결된 제2 체결부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2 체결부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1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힌지편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횡대가 연결된 제2 체결부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측면에 맞닿은 제2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주 사이의 횡대를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에 용이하면서도 하나의 지주 양측에서 횡대의 변곡이 가능하여 곡선구간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대의 회동 각도를 설정됨 범위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회동으로 인한 상대물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보강 구조로 의해 지주와 횡대 사이의 유지보수와 조립을 쉽게 하면서도 횡대의 결합 강도를 높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단횡단방지용 휀스의 단위 세트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 연결형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 독립형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조립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제1 상태도(직선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제2 상태도(회동 상태)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의 설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 연결형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 독립형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조립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제1 상태도(직선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나타낸 제2 상태도(회동 상태)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의 설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휀스가 도로(차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회전 체결구 및 그에 결합되는 지주와 횡대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인도나 작업장의 안전 휀스를 비롯한 다양한 휀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100)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120) 및 상기 횡대(120)를 지주(110)에 수평하게 조립하는 회전 체결구(130)를 포함한다.
지주(110)는 도로나 인도 혹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 등에 세워져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지주(110)에 조립되는 횡대(120)는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실시예로 횡대(120)는 3단으로 설치되며 지주(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 체결구(130)를 통해 지주(110)의 양측부에서 횡대(120)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실시예로 조립을 위해 회전 체결구(130)를 먼저 준비한 후 횡대(120)에 회전 체결구(130)를 장착한다.
그 후 회전 체결구(130)가 장치되어 있는 횡대(120)를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삽입하여 지주(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하고, 그 반대측에서 지주(110)를 끼워나가는 방식으로 휀스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주(110)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된다. 즉, 지주(11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설계된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110)들 사이에는 횡대(120)가 적어도 1단 이상 설치된다. 각 단에 횡대(120)가 설치되므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횡대(120)의 개수로 단(stage)의 수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이 무단횡단방지 휀스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의 시야를 막지 않으면서도,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높이를 갖추면서도 횡대(120) 사이로 보행자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횡대(120)는 3단으로 설치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지주(110)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부러지기 쉬운 재질이나 구부러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110)는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지주(110) 하단에는 지면 위에 지지되도록 면적이 확장된 고정부(112)가 형성되고, 고정부(112)에는 앵커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홀(112)을 관통하여 앵커(114)를 박아 지면에 고정한다.
또한, 지주(110)에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부(동일 높이에서 서로 반대를 바라보는 방향)에 각각 끼움구(111)가 구비된다. 실시예로 지주(11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횡대(120)가 조립되는 양측부에 끼움구(111)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끼움구(111)는 지주(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주(110) 몸체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며, 횡대(120)의 단 수 및 그 설치 간격에 대응하여 하부부터 상부까지 구비된다.
끼움구(111)에는 회전 체결구(130)의 일측(제1 체결부)이 조립된다. 이때 끼움구(111)의 내부로 회전 체결구(130)가 삽입되거나 혹은 회전 체결구(130)의 내부로 끼움구(111)가 삽입되는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나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로 끼움구(111)는 그 내경이 회전 체결구(130)를 구성하는 제1 체결부(131) 외경에 일치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끼움구(111)의 내측으로 회전 체결구(130)의 제1 체결부(13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한다.
이 경우 끼움구(111)는 포켓 혹은 일측이 개방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끼움구(111)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을 구비한다. 결합 홀에 해당하는 삽입 공간에는 회전 체결구(130)의 일측이 슬라이딩 삽입 조립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구(111)의 일단이 지주(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에 제1 체결부(131)가 삽입된다. 따라서, 지주(110)의 측부에 고정된 끼움구(111)에 회전 체결구(130)가 조립된다.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회전 체결구(130)를 조립하기 위해, 끼움구(111)의 인입구를 통해 회전 체결구(130)의 일측부를 인입하여 밀착되도록 한 후, 이들을 관통하는 나사공에 나사(BS1)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끼움구(111)는 몸체의 외측면에 보강된 보강 프레임(111a) 및 상기 보강 프레임(111a)에 관통 형성된 제1 나사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끼움구(111) 몸체를 두껍게 보강한 보강 프레임(111a)에 제1 나사공(111b)을 형성하여 해당 부분에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후술하는 회전 체결구(130) 중 지주(110)에 연결되는 제1 체결부(131)가 끼움구(111)에 삽입되며, 이러한 제1 체결부(131)에는 조립시 끼움구(111)의 제1 나사공(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나사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체결구(130)의 일측부에 구비된 제1 체결부(131)를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끼우면 제1 나사공(111b)과 제2 나사공(131a)이 일치되며, 이들을 관통하도록 나사(BS1)를 체결 후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나사 체결을 한다.
횡대(120)는 그 양단이 지주(110)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무단횡단방지용 휀스에 적용되는 경우 3개, 즉 3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횡대(120)는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로 바(bar) 형상의 몸체(121)로만 구성되고, 회전 체결구(130)를 별도로 구비하여 횡대(120)에 조립한다.
따라서, 횡대(120)가 회전 체결구(130)를 통해 지주(110)에 결합되므로, 회전 체결구(130)의 파손시 횡대(120)를 제외한 해당 회전 체결구(130)만을 교체하거나 혹은 횡대(120)의 파손시 해당 횡대(120)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
회전 체결구(130)는 지주(110)와 횡대(12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에는 횡대(1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서로 독립된 구조체인 지주(110)와, 횡대(120) 및 회전 체결구(130) 중 파손이나 고장된 부품만 별개로 교체나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부품간 삽입 결합된 지주(110)와 회전 체결구(130)의 2중 구조나, 횡대(120) 및 회전 체결구(130)의 2중 구조를 통해 내구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6과 같이, 회전 체결구(130)는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체결부(131)와, 횡대(120)와 결합되는 제2 체결부(132) 및 상기한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경첩부(133)를 포함한다. 경첩부(133)는 지주(110)에 고정된 제1 체결부(131)를 기준으로 제2 체결부(132)가 회동되도록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구(111)와 제1 체결부(131)의 크기에 따라 제1 체결부(131)가 지주(110)의 끼움구(111)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혹은 그 반대로 끼움구(111)가 제1 체결부(13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회전 체결구(130)의 제1 체결부(131)는 지주(110)의 끼움구(111) 내측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 경우 그 반대측의 제2 체결부(132)에는 내측에 횡대(120)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체결부(132)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구비하되, 일단은 경첩부(133)를 통해 제1 체결부(131)와 회동 결합되고, 타단에는 횡대(120)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인입구가 형성된다. 다만, 제2 체결부(132) 역시 제1 체결부(131)와 마찬가지로 횡대(120)의 내측으로 제2 체결부(132)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32)와 횡대(120)를 서로 조립 후 고정하도록, 제2 체결부(132)로 삽입되는 횡대(120)의 단부에는 길이가 긴 장공(도 5의 '122'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체결부(132)에는 조립시 상기 장공(122) 내에 위치하는 체결공(13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체결부(132)와 횡대(120)가 인입 방식으로 결합 후, 결합에 따라 서로 겹치는 부분에 장공(122)을 형성하고 아울러 그 장공(122) 내에 체결공(132a)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장공(122)과 체결공(132a)을 관통하는 나사(BS2)에 의해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의해 제1 체결부(131)가 고정된 상태에서 횡대(120)가 끼워진 제2 체결부(132)가 회동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상대 위치에 변화가 있더라도 장공(122)을 따라 움직이며 횡대(1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경첩부(133)는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 및 회전축핀(133c)을 포함하여, 서로간에 사개물림(match-joint, 손가락물림)되는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이 회전축핀(133c)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때, 제1 힌지편(133a)은 지주(110)에 연결되는 제1 체결부(131)의 외측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가 각각 그 사이의 회전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제2 힌지편(133b)은 제1 힌지편(133a)을 바라보는 제2 체결부(132)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가 각각 제1 힌지편(133a)의 회전 삽입홈에 삽입되어 사개물림되도록 다수개가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에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공(X-H)이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축공(X-H)은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이 서로 사개물림된 상태에서 축선 방향으로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축핀(133c)이 끼워진다.
따라서,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고정된 제1 힌지편(133a)(혹은 제1 체결부)을 중심으로 횡대(120)가 결합되는 제2 힌지편(133b)(혹은 제2 체결부)가 회동되므로, 각각의 지주(110)를 변곡점으로 하여 곡선구간을 따라 휀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은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가 직선으로 배치된 상태 즉, 지주(110)와 횡대(120)가 직선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2 체결부(132)에 체결된 횡대(120)가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편(133a)에는 횡대(120)가 연결된 제2 체결부(132)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제2 체결부(132)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1 걸림부가 구비된다.
유사하게, 고정된 제2 힌지편(133b)에는 횡대(120)가 연결된 제2 체결부(132)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제1 체결부(131)의 외측면에 맞닿은 제2 걸림부가 구비된다.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는 각각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의 외측 단부 즉, 연단부 자체의 형상 변현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연단부에 편평면을 갖는 장방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편평면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그 좌우측 단부 모서리가 걸림부로 작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는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체결부(131)를 기준으로 제2 체결부(132) 즉, 횡대(120)가 회동 가능한 각도를 일정 범위내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횡대(120)의 회동 범위(각도) 제한은 지주(110)와 지주(110)를 직선으로 연결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20°내지 30°정도가 바람직하며, 회동 범위 제한은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 중 어느 하나로도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즉, 횡대(120)의 회동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적정 각도를 초과한 회동으로 인해 지주(110)에 가해지는 힘이 과도하게 작용함으로써 지주(110)를 비롯한 횡대(120)나 회전 체결구(1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해 횡대(120)가 파손되거나 회전 체결구(13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횡대(120)가 도로의 차선까지 회전하면 통행중인 차량(상대물)과 충돌하여 2차 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회동 각도를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주(110) 사이의 횡대(120)를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에 용이하면서도 하나의 지주(110) 양측에서 횡대(120)의 변곡이 가능하여 곡선구간에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횡대(120)의 회동 각도를 설정됨 범위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자세 변형으로 인한 파손이나 상대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강형 구조의 회전 체결구(130)에 의해 지주(110)와 횡대(120) 사이의 유지보수와 조립을 쉽게 하면서도 횡대(120)의 결합 강도를 높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를 지면의 곡선구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9와 같이, 지면의 일 지점에 제1 지주(110-1)를 세워 제1 지주(110-1)를 배치한다. 횡대(120)를 배치 후 바람직하게는 지주(110) 하단의 고정부(112)에 앵커(114)를 박아 고정한다.
제1 지주(110-1)가 고정되면 회전 체결구(130)의 제2 체결부(132)에 횡대(120)를 조립한다. 횡대(120)는 설정된 단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준비를 하고, 횡대(120)가 결합된 회전 체결구(130)의 타측에서 제1 체결부(131)를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끼우고 나사로 고정한다.
다음, 도 10과 같이 횡대(120)의 일측(예: 도면 기준 좌측 단부)이 제1 지주(110-1)에 고정되면, 그 횡대(120)의 타측에도 회전 체결구(130)를 체결한다. 또한, 그 타측 단부에서 제2 지주(110-2)를 끼운다. 즉, 회전 체결구(130)의 제1 체결부(131)에 제2 지주(110-2)의 끼움구(111)를 끼운다.
다음, 도 11과 같이 제1 지주(110-1)와 제2 지주(110-2) 사이에 횡대(120)가 조립되면, 제2 지주(110-2)의 타측 끼움구(111)에 회전 체결구(130)가 장착된 또 다른 횡대(120)를 조립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지면(도로)를 따라 휀스를 설치한다.
특히, 도 12와 같이 지면이 제2 지주(110-2)를 변곡점으로 하여 곡선구간에 접어든 경우라면 회전 체결구(130)의 제2 체결부(132)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횡대(120)를 끼우고, 그 타측에 제3 지주(110-3)를 결합 및 고정하여 곡선구간에 휀스를 설치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200)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210)와, 상기 지주(210)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220)가 포함되고, 특히, 상기 횡대(220)의 일측을 지주(21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회전 체결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 체결구(1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회전 체결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비하면, 상기 회전 체결구(130)가 횡대(220)의 일측단부와 지주(210) 사이에만 구비되고, 횡대(220)의 타측 단부는 지주(210)의 형성된 끼움구(211)에 바로 삽입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지주(210)의 끼움구(211)에 삽입된 상기 횡대(220)의 타측 단부는 지주(210)에 대하여 회동이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상기 횡대(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 체결구(130)에 의해 지주(210)에 연결되므로, 지주(210)에 대하여 횡대(220)가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110-1, 110-2, 110-3): 지주
111: 끼움구
111a: 보강프레임
111b: 제1 나사공
120: 횡대
121: 몸체
122: 장공
130: 회전 체결구
131: 제1 체결부
132: 제2 체결부
133: 경첩부
133a: 제1 힌지편
133b: 제2 힌지편
133c: 회전축핀
111: 끼움구
111a: 보강프레임
111b: 제1 나사공
120: 횡대
121: 몸체
122: 장공
130: 회전 체결구
131: 제1 체결부
132: 제2 체결부
133: 경첩부
133a: 제1 힌지편
133b: 제2 힌지편
133c: 회전축핀
Claims (8)
-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양측부에 각각 끼움구(111)가 구비된 지주(110);
양단이 상기 지주(110)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횡대(120); 및
상기 지주(110)와 횡대(12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회전 체결구(13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체결구(130)는,
상기 지주(110)의 끼움구(111)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체결부(131)와;
상기 횡대(120)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132); 및
상기 지주(110)에 고정된 제1 체결부(131)에 대해 상기 제2 체결부(132)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경첩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111)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구비하되, 일단은 상기 지주(11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체결부(131)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111)는 몸체의 외측면에 보강된 보강 프레임(111a) 및 상기 보강 프레임(111a)에 관통 형성된 제1 나사공(11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131)는 조립시 상기 제1 나사공(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나사공(131a)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공(111b)과 제2 나사공(131a)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132)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구비하되, 일단은 경첩부(133)를 통해 상기 제1 체결부(131)에 회동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횡대(120)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120)는 상기 제2 체결부(132) 내로 삽입되는 단부에 길이가 긴 장공(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체결부(132)는 조립시 상기 장공(122) 내에 위치하는 체결공(132a)을 포함하며,
상기 장공(122)과 체결공(132a)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133)는,
상기 제1 체결부(131)의 외측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각각 회전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1 힌지편(133a)과;
상기 제1 힌지편(133a)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체결부(132)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삽입홈에 삽입되어 사개물림(match-joint)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2 힌지편(133b); 및
상기 제1 힌지편(133a)과 제2 힌지편(133b)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공(X-H)에 끼워지는 회전축핀(13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편(133a)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횡대(120)가 연결된 제2 체결부(132)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2 체결부(132)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1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편(133b)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횡대(120)가 연결된 제2 체결부(132)가 설정된 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131)의 외측면에 맞닿은 제2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4150A KR20230051140A (ko) | 2020-12-28 | 2023-04-04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659 | 2020-12-28 | ||
KR20200184659 | 2020-12-28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150A Division KR20230051140A (ko) | 2020-12-28 | 2023-04-04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088A true KR20220094088A (ko) | 2022-07-05 |
Family
ID=824022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471A KR20220094088A (ko) | 2020-12-28 | 2021-03-26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KR1020230044150A KR20230051140A (ko) | 2020-12-28 | 2023-04-04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150A KR20230051140A (ko) | 2020-12-28 | 2023-04-04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20094088A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344B1 (ko) | 2014-12-30 | 2015-04-15 | 채상원 |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
KR20180136594A (ko) | 2017-06-14 | 2018-12-26 | 삼성증권주식회사 | 컨텍스트 베이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190102163A (ko) | 2017-06-21 | 2019-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20190102164A (ko) | 2019-08-26 | 2019-09-03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108353A (ko) | 2018-03-14 | 2019-09-24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수중 이동장치 |
KR20190108354A (ko) | 2018-03-14 | 2019-09-24 | 경민대학산학협력단 | 집중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
-
2021
- 2021-03-26 KR KR1020210039471A patent/KR20220094088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4150A patent/KR2023005114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344B1 (ko) | 2014-12-30 | 2015-04-15 | 채상원 |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
KR20180136594A (ko) | 2017-06-14 | 2018-12-26 | 삼성증권주식회사 | 컨텍스트 베이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190102163A (ko) | 2017-06-21 | 2019-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20190108353A (ko) | 2018-03-14 | 2019-09-24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수중 이동장치 |
KR20190108354A (ko) | 2018-03-14 | 2019-09-24 | 경민대학산학협력단 | 집중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
KR20190102164A (ko) | 2019-08-26 | 2019-09-03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1140A (ko) | 2023-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255159T3 (es) | Poste de sosten de ruptura para tratamientos extremos de guardarrail de carretera. | |
EP2167733B1 (en) | Barrier section connection system | |
KR101997788B1 (ko) | 메쉬펜스 | |
KR20080045967A (ko) | 울타리 설치용 펜스결합수단 | |
KR102102118B1 (ko) |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 |
KR20220094088A (ko) | 회전 체결구를 구비한 휀스 | |
KR101440604B1 (ko) |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 |
KR200421527Y1 (ko) |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 |
US20060118771A1 (en) | Interlocking privacy fence | |
KR101299082B1 (ko) | 각도조절형 펜스 | |
WO1998042918A1 (en) | Safety fence | |
KR100802095B1 (ko) |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 |
KR102066784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 |
KR101006388B1 (ko) | 펜스고정장치 | |
JP6846228B2 (ja) | パネル及び防護柵 | |
KR20220121101A (ko) | 횡대 회동식 휀스 | |
KR20140029851A (ko) | 기둥 기울기 및 기둥 설치 위치 가변결합형 관절 펜스 | |
KR101266906B1 (ko) | 펜스용 체결구 | |
KR102238512B1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 |
EP1213391B1 (en) | A safety road barrier | |
KR100974510B1 (ko) | 도로용 울타리 | |
EP1058755A1 (en) | Improvements to a semirigid, position-correctable, collision-energy-dissipating, guardrail | |
GB2373260A (en) | Adjustable fence | |
KR102491817B1 (ko) |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 |
US20060213134A1 (en) | Break-away po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