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078A -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078A
KR20220094078A KR1020200186301A KR20200186301A KR20220094078A KR 20220094078 A KR20220094078 A KR 20220094078A KR 1020200186301 A KR1020200186301 A KR 1020200186301A KR 20200186301 A KR20200186301 A KR 20200186301A KR 20220094078 A KR20220094078 A KR 2022009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light
driver
signal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민
Original Assignee
김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민 filed Critical 김지민
Priority to KR102020018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078A/ko
Publication of KR2022009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 근처의 어린이보호구역 구역에서는 아침 등굣길이나 오후 하굣길에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학생들이 등, 하굣길에 어린이보호구역 지역의 건널목을 안전하게 지나가야 하므로 학부모들이 교대로 봉사활동을 하면서 수신호로 교통통제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안전제어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교통통제를 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란불과 빨간불을 방출하는 보행자 신호등의 일측에 컨트롤박스와 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차단기를 장착하여 파란불일 때에는 컨트롤박스에서 신호를 받아 차단기가 하측으로 내려오고 빨간불일 시에는 차단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눈높이에서 차단기가 내려오고 올라가므로 차량의 멈춤 신호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차단기의 전면에는 불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빛방출부를 장착하여 운전자 신호등이 빨간불일 시에는 차단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빨간불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 운전자는 눈높이에서 빨간불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이 30km 이상으로 주행할 시에는 기존의 속도측정기에서 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음성방출부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컨트롤박스의 내부에는 타이머가 장착되어 있어 학생들의 등, 하교시간에만 작동시킬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Safety control device for crosswalk in school zone}
본 발명은 학교 근처의 어린이보호구역 구역에서는 아침 등굣길이나 오후 하굣길에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학생들이 등, 하굣길에 어린이보호구역 지역의 건널목을 안전하게 지나가야 하므로 학부모들이 교대로 봉사활동을 하면서 수신호로 교통통제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안전제어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교통통제를 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의 건널목은 학생들의 등, 하굣길에 많은 학생이 이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안전을 위하여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자동차의 최고속도를 30km로 제한하고 있다.
건널목에는 보행자를 위한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에게 신호를 주어 보행자를 보호하는 운전자 신호등이 있으며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 신호등의 관계를 상호 통제하는 통합제어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보행자 신호등을 통하여 적당한 시간을 주어 사람이 건널목을 건너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 신호등에 신호를 주어 자동차를 멈추게 하며 이와 같은 통제를 통합제어시스템에서 통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 신호등만으로는 부족하여 보행자를 위한 보조통제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용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소홀히 하여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를 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하여 학부모들이 시간을 내어 등, 하굣길에 신호등에 서서 깃발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차량을 통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맞벌이를 하는 주부들에게는 시간을 별도로 내야하므로 회사생활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봉사할 시간이 안될 시에는 돈을 투자하여 사람을 대신 보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린이보호구역에 있는 건널목에 보조통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지나가는 차량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어린이보호구역의 건널목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학부모들이 시간을 별도로 내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교통 통제하는 것을 보조통제시스템에서 대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고 인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제어시스템과 연계하여 이중으로 보조통제시스템에서 제어하므로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란불과 빨간불을 방출하는 보행자 신호등의 일측에 컨트롤박스와 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차단기를 장착하여 파란불일 때에는 컨트롤박스에서 신호를 받아 차단기가 하측으로 내려오고 빨간불일 시에는 차단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눈높이에서 차단기가 내려오고 올라가므로 차량의 멈춤 신호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차단기의 전면에는 불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빛방출부를 장착하여 운전자 신호등이 빨간불일 시에는 차단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빨간불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 운전자는 눈높이에서 빨간불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이 30km 이상으로 주행할 시에는 기존의 차량속도측정기에서 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음성방출부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컨트롤박스의 내부에는 타이머가 장착되어 있어 학생들의 등, 하교시간에만 작동시킬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린이보호구역에 있는 건널목에 차단기가 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보조통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지나가는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어린이보호구역의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학부모들이 시간을 별도로 내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사람이 교통 통제하는 것을 보조통제시스템에서 대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인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제어시스템과 연계하여 이중으로 보조통제시스템에서 제어하므로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체적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기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킬 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통과시킬 시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체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기가 하측으로 이동될 시에 사용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기가 상측으로 이동될 시에 사용상태도 이다.
건널목에는 보행자에게 신호를 알려주는 보행자 신호등(1)과 운전자에게 신호를 알려주는 운전자 신호등(2)이 있고 보행자 신호등(1)과 운전자 신호등(2)을 통제하는 통합제어시스템(3)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 신호등(2)의 상측에는 별도의 차량속도측정기(4)가 장착되어 있어서 지나가는 차량이 자신의 차량속도를 인지하여 정부지정속도를 지키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시에는 범칙금을 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보행자 신호등(1)이 파란불과 운전자 신호등(2)이 빨간불이면 사람은 통과하고 차량은 멈추게 되고,
보행자 신호등(1)이 빨간불이고 운전자 신호등(2)이 파란불이면 사람은 건널목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량만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보행자 신호등(1)의 일측면에 컨트롤박스(5)를 장착하고 컨트롤박스(5)의 측면에 상, 하측으로 회동하는 차단기(6)를 장착하고 차단기(6)의 전면에 다수의 LED 램프(7)를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통합제어시스템(3)에서 보행자 신호등(1)으로 파란불의 신호를 보내고 운전자 신호등(2)으로 빨간불의 신호를 보낼 시에 컨트롤박스(5)에도 동시에 신호를 보내 차단기(6)가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 램프(7)에서 불빛이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합제어시스템(3)에서 보행자 신호등(1)으로 빨간불의 신호를 보내고 운전자 신호등(2)으로 파란불의 신호를 보낼 시에 컨트롤박스(5)에도 동시에 신호를 보내 차단기(6)가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 램프(7)의 불빛이 꺼지도록 한 것이다.
통합제어시스템(3)과 컨트롤박스(4)의 사이에는 타이머(8)가 장착되어 있어 등, 하교시간에만 작동되도록 하므로 불필요한 시간에 작동을 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박스(5)의 측면에 스피커(9)를 장착한 것으로,
차량속도측정기(4)와 컨트롤박스(5)가 연동되도록 하여 전방에서 오는 차량이 정부지정속도 이상으로 차량속도측정기(4)에서 감지되면 즉시 컨트롤박스(5)에 전달하여 경고음이 스피커(9)를 통하여 강하게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피커를 통하여 강한 경고음이 발생하므로 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주시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발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단기(6)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하여 자동차가 부딪혀도 자동차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컨트롤박스(5)의 고장으로 차단기(6)가 작동이 안 될 시에는 차단기(6)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이동시켜 차단기(6)를 내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지나가는 차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차단기(6)를 통하여 통과하는 차량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으며 LED램프(7)의 발광체에 의하여 운전자가 정지신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9)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속도를 줄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보행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므로 안전사고를 이중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학부모들이 시간을 별도로 내어 등, 하굣길에 어린이보호구역 보행자 신호등에 서서 깃발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차량을 통제하는 것을 본원 발명을 통하여 해소할 수 있으며,
맞벌이를 하는 주부들에게는 시간을 별도로 내야하므로 회사생활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지정된 시간에 봉사할 시간이 안될 시에는 돈을 투자하여 사람을 대신 보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5:컨트롤박스 6:차단기 7:LED램프
8:타이머 9:스피커

Claims (1)

  1. 건널목에는 보행자 신호등(1)과 운전자 신호등(2)이 있고 보행자 신호등(1)과 운전자 신호등(2)을 통제하는 통합제어시스템(3)이 형성되어 있으며
    운전자 신호등(2)의 상측에는 별도의 차량속도측정기(4)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보행자 신호등(1)의 일측면에 컨트롤박스(5)를 장착하고 컨트롤박스(5)의 측면에 상, 하측으로 회동하는 차단기(6)를 장착하고 차단기(6)의 전면에 다수의 LED 램프(7)를 장착하도록 한 것으로,
    통합제어시스템(3)에서 보행자 신호등(1)으로 파란불의 신호를 보내고 운전자 신호등(2)으로 빨간불의 신호를 보낼 시에 컨트롤박스(5)에도 동시에 신호를 보내 차단기(6)가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 램프(7)에서 불빛이 방출되도록 하고,
    통합제어시스템(3)에서 보행자 신호등(1)으로 빨간불의 신호를 보내고 운전자 신호등(2)으로 파란불의 신호를 보낼 시에 컨트롤박스(5)에도 동시에 신호를 보내 차단기(6)가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LED 램프(7)의 불빛이 꺼지도록 하며,
    통합제어시스템(3)과 컨트롤박스(4)의 사이에는 타이머(8)가 장착되어 있어 등, 하교시간에만 작동되도하고,
    상기 컨트롤박스(5)의 측면에 스피커(9)를 장착한 것으로,
    차량속도측정기(4)와 컨트롤박스(5)가 연동되도록 하여 전방에서 오는 차량이 정부지정속도 이상으로 차량속도측정기(4)에서 감지되면 즉시 컨트롤박스(5)에 전달하여 경고음이 스피커(9)를 통하여 강하게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주시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KR1020200186301A 2020-12-28 2020-12-28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KR20220094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301A KR20220094078A (ko) 2020-12-28 2020-12-28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301A KR20220094078A (ko) 2020-12-28 2020-12-28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078A true KR20220094078A (ko) 2022-07-05

Family

ID=8240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301A KR20220094078A (ko) 2020-12-28 2020-12-28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0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827A (en) Warn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for detection of unintentional change of course
US9947216B2 (en) Pedestrian safe crossing vehicle indication system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6847306B2 (en) Emergency traffic signal attachment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CA2687205A1 (en) An intersection-located driver alert system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CN210574307U (zh) 一种斑马线行人提醒装置
KR20160106852A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NL2027801B1 (en) Multi-lighting projection warning device for vehicle turning
CN108001340B (zh) 车辆灯光模式切换方法和切换装置
KR20200115911A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740267B1 (ko)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KR20220094078A (ko) 어린이보호구역 건널목의 안전제어장치
KR20230124813A (ko) 우회전 차량 안전 확보 시스템
KR100720061B1 (ko) 경고등
US2096952A (en) Traffic signal
KR102261136B1 (ko) 광선형 차단기
KR102212862B1 (ko) 볼라드형 교통 신호 장치
KR200468767Y1 (ko) 차량 정체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0461262Y1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