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49A - 차량의 후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49A
KR20220093749A KR1020200184790A KR20200184790A KR20220093749A KR 20220093749 A KR20220093749 A KR 20220093749A KR 1020200184790 A KR1020200184790 A KR 1020200184790A KR 20200184790 A KR20200184790 A KR 20200184790A KR 20220093749 A KR20220093749 A KR 2022009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loor
vehicle
coupled
fl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주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749A/ko
Priority to US17/407,794 priority patent/US11648988B2/en
Priority to CN202111042773.2A priority patent/CN114684276A/zh
Publication of KR2022009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49A/ko
Priority to US18/071,754 priority patent/US202300886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로드패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후방 충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는,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으로부터 리어 플로어의 후측까지 사선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사선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방 구조{REA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로드패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후방 충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HEV)에서는 엔진과 모터를 혼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킨다. 모터는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와 회생제동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을 구동시키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엔진에 의해 차량이 구동된다. 하이브리드 차량(HEV)은 주행 중 자체 발전과 회생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차량을 구동가능하게 하므로 연료 소비나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 차량으로 꼽히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일종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에는 기존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 대용량의 배터리가 탑재된다. 따라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에서는 외부 전기 공급원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으로 전기 모터를 구동하다가 충전된 전기가 모두 소모되면 엔진이 작동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연료탱크와 배터리 모두를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연료탱크 및 배터리는 차량 내 제한적인 공간에 설치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므로 적합한 보호구조 및 배치설계가 필요하다. 양 측면을 고려하여 배터리와 연료탱크는 주로, 필요한 보호구조와 함께, 차체의 리어 플로어에 장착되고 있다.
일 예시를 살펴보면,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650A, 650B)는 리어 플로어(630)의 상면에 장착되고, 연료탱크(610)는 리어 플로어(630)의 저면에 장착된다. 차량 충돌 시 연료탱크(610)의 보호를 위해서 연료탱크(61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용량 확보를 위해서 배터리(650A, 650B)는 분리형으로 두 개의 배터리가 배치된다.
차량의 후방 충돌 성능 평가를 위해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 충돌 시험이 사용되곤 한다. 본 예시에서, 후방 충돌이 발생하면 백빔이 변형되면서 파단이 발생된다. 리어 크로스멤버에 의해 추가적인 변형이 억제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좌측에서 오프셋 충돌이 발생하면, 사이드멤버 전단에 꺾임이 발생하고, 백빔 파단에 의한 충돌 분산이 미흡하여 우측 멤버는 충돌력 흡수를 적게 하는 반면, 좌측 멤버에서는 내측으로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4387호 (공개일자: 2020.08.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방 충돌에 대하여 연료탱크와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 구조는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으로부터 리어 플로어의 후측까지 사선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사선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충돌 시 충돌 에너지의 분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충돌 시 배터리 및 연료탱크의 보호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예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서 리어 플로어를 제거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선부재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도시하고,
도 8b는 도 8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특히, PHEV 차량에서 후방 충돌에 대한 차체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갖는 차량에서는 하나의 단일한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한다. 단일 고전압 배터리는 증가된 용량으로 인해 그 크기 역시 증대된다. 크기가 커진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한 후방 구조를 통해 리어 플로어에서 연료탱크가 배터리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연료탱크 변형률은 대략 40%까지 허용되는 반면, PHEV 차량의 경우 그 조건이 엄격하여 대략 15% 정도 밖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a 내지 1b에 예시된 차량에서는 연료탱크(610)를 차량의 후미로부터 비교적 전방 측에 배치함으로써, 두 개의 배터리(650A, 650B)를 분리하여 장착한다. 분리형 배터리의 특성상 배터리의 냉각은 공냉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공냉식의 경우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배터리에 비해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연료탱크를 차량의 후미에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단일한 고전압 배터리를 채용하여 배터리를 수냉식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서 리어 플로어를 제거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X 방향은 차량의 측방향이고, Y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1)는 리어 플로어(10)에 마련되고, 크로스멤버(20), 사이드 익스텐션(30), 결합요소(40) 및 사선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크로스멤버(20), 사이드 익스텐션(30), 결합요소(40) 및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된다.
크로스멤버(2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차량의 측방향(X)을 따라 연장한다.
크로스멤버(2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리어 플로어(10)와의 사이에서 빈 공간인 제1 공간(S1)을 형성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공간(S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크로스멤버(20)는 크로스멤버(2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되는 엔드 플랜지부(22)를 포함한다. 엔드 플랜지부(22)는 크로스멤버(20)의 길이방향 양 측으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어(10)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마련된다.
사이드 익스텐션(30)은 크로스멤버(20)의 양 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 저면에 결합된다. 사이드 익스텐션(30)은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면을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Y)으로 일정 거리 연장한다.
사이드 익스텐션(30)은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플로어(1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인 제2 공간(S2)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사이드 익스텐션(30)은 사이드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사이드 플랜지부(32)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양 측으로부터 벤딩 형성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은 결합요소(40)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요소(40)는 크로스멤버(20)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결합요소(40)는 크로스멤버(20)의 단부에 추가적인 보강력을 제공하고, 사이드 익스텐션(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합요소(40)의 단면 형상은 크로스멤버(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결합요소(40)는 크로스멤버(20)의 내측에 안착된다. 결합요소(40)의 일 측 단부에는 결합요소(40)의 둘레로부터 벤딩 형성되는 플랜지요소(42)가 마련된다. 플랜지요소(42)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결합요소(40)는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 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용이하게 한다.
한 쌍의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 사이를 연장한다.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Y) 또는 측방향(X)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실질적으로 사선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사선부재(50)는 차량의 길이방향(Y)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각 사선부재(50)의 일 측은 크로스멤버(20)에 결합되고, 각 사선부재(50)의 타 측은 리어 플로어(10)의 측면까지 연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사선부재(50)의 타 측은 사이드 익스텐션(30)에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사선부재(50)는 제1 부재(150) 및 제2 부재(25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50) 및 제2 부재(250)는 결합에 의해 서로의 사이에 일 측이 개방된 제3 공간(S3)을 형성한다. 개방된 제3 공간(S3)은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폐공간을 형성한다.
제1 부재(150)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취한다. 제1 부재(150)는 제1 부분(152) 및 제2 부분(15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52)은 리어 플로어(1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부분(154)은 제1 부분(15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벤딩된다.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크로스멤버(2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크로스멤버(2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선방향으로부터 방향으로 전환하여 차량의 길이방향(Y)과 나란하게 연장한다.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따라서, 제1 부분(152)의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확장되어 크로스멤버(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근접과 원위란 크로스멤버(20)에 보다 가까운 측을 근접으로, 크로스멤버(20)에서 멀어지는 측을 원위로 지칭하였다.
제1 부분(152)의 원위단부(152b)는 제1 부분(152)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또는 지면을 향해 벤딩 형성된다. 원위단부(152b)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파일을 포함함으로써 사이드 익스텐션(30)과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제2 부분(154)은 제1 부분(15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리어 플로어(10)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1154)를 포함한다. 결합플랜지(1154)는 제2 부분(154)으로부터 벤딩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된다.
제2 부재(250)는 제1 부재(15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2 부재(250)는 접합부(252), 수직부(254) 및 연결플랜지(256)를 포함한다.
접합부(252)는 제1 부재(150)의 제1 부분(152)과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접합부(252)의 하면은 제1 부분(152)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접합부(252)의 상면은 제1 부분(152)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수직부(254)는 접합부(252)로부터 벤딩되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의 결합에 의해 수직부(254)와 제2 부분(154)은 마주보게 된다.
연결플랜지(256)는 수직부(254)의 둘레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된다. 연결플랜지(256)는 한 쌍의 측면 연결플랜지(1256a, 1256b) 및 상부 연결플랜지(225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54)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 연결플랜지(1256a, 1256b)는 수직부(254)로부터 비스듬하게 벤딩되고, 각각 크로스멤버(20)의 외측면과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한다. 수직부(254)의 상 측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플랜지(2256)는 수직부(254)로부터 벤딩되어 리어 플로어(10)에 부착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부 연결플랜지(2256)는 결합플랜지(1154)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위에서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를 별개의 서로 다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차체는 로드패스(load path)의 연결을 통해서 차량의 후방 충돌 성능을 확보한다. 충돌에 대비한 부재를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하지만 하중이 일 측으로 집중되는 경우 상기 부재는 그 기능을 다 하지 못할 수 있다. 로드패스 중에서 하중이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면 하중이 일부분에 집중되어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하지 못하며 국부적인 변형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 백빔의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 특히, 크로스멤버(20)를 지지하는 사선부재(50)를 포함함으로써 백빔의 파단을 방지하고 크로스멤버(20)의 밀림을 방지하며, 효과적으로 충돌력이 양 측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 후에도 각 멤버들의 거동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b에서 B는 배터리(200)의 보호구간을, F는 연료탱크(100)의 보호구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방향(X) 좌측으로 오프셋(L1, 70% 오프셋)되어 이동식 변형 가능한 배리어(Moving Deformable Barrier, MDB)가 충돌하는 경우, 연료탱크 보호구간(F)과 사선멤버(50)의 끝단 라인(L2)이 일치한다. 이는 연료탱크를 보호가능한 최대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최대화된 좌굴 유도 구간(L3)이 차량의 양 측에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후방 충돌, 특히, 오프셋 충돌 시 충돌력 분산이 우수하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는 보강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60)의 근접단부(60a)는 크로스멤버(20) 내지는 사선부재(50)에 결합되고, 보강부재(60)의 원위단부(60b)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a 및 8b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보강부재(60)는 내부에 빈 공간인 제4 공간(S4)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의 허용 변형량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의 경우 매우 작기 때문에 연료탱크(100)의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60)가 연료탱크(100)를 지지하도록 하고, 특히, 보강부재(60)가 내부에 제4 공간(S4)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 보다 효과적으로 연료탱크(10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차량의 후방 구조 10: 리어 플로어
20: 크로스멤버 22: 엔드 플랜지부
30: 사이드 익스텐션 32: 사이드 플랜지부
40: 결합요소 42: 플랜지요소
50: 사선부재 60: 보강부재
100: 연료탱크 150: 제1 부재
152: 제1 부분 154: 제2 부분
200: 배터리 250: 제2 부재
252: 접합부 254: 수직부
256: 연결플랜지 1154: 결합플랜지
1256a, 1256b: 측면 연결플랜지
2256: 상부 연결플랜지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S3: 제3 공간
S4: 제4 공간 X: 측방향
Y: 길이방향

Claims (11)

  1. 리어 플로어;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으로부터 리어 플로어의 후측까지 사선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사선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선부재는 서로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플로어의 후측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선부재와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의해 폐쇄되는 제3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리어 플로어의 후측의 상기 사선부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연료탱크 전방 측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인 제4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선부재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 저면에 각각 결합되어 리어 플로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익스텐션;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후측 저면에서 한 쌍의 사이드 익스텐션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익스텐션 각각은 상기 사선부재의 각 일 측과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멤버는 상기 사선부재의 각 타 측과 결합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사이드 익스텐션을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요소의 둘레로부터 벤딩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익스텐션에 접합되는 플랜지요소가 마련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 및 사선부재는 상기 리어 플로어에 플랜지 결합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KR1020200184790A 2020-12-28 2020-12-28 차량의 후방 구조 KR20220093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90A KR20220093749A (ko) 2020-12-28 2020-12-28 차량의 후방 구조
US17/407,794 US11648988B2 (en) 2020-12-28 2021-08-20 Rear structure for vehicle
CN202111042773.2A CN114684276A (zh) 2020-12-28 2021-09-07 用于车辆的后部结构
US18/071,754 US20230088647A1 (en) 2020-12-28 2022-11-30 Rear structur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90A KR20220093749A (ko) 2020-12-28 2020-12-28 차량의 후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49A true KR20220093749A (ko) 2022-07-05

Family

ID=8211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90A KR20220093749A (ko) 2020-12-28 2020-12-28 차량의 후방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8988B2 (ko)
KR (1) KR20220093749A (ko)
CN (1) CN1146842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8803A1 (fr) * 2022-08-10 2024-02-16 Psa Automobiles Sa Traverse arrière de véhicule terrestre, adaptée à différentes motoris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7A (ko)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보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130B2 (ja) * 2008-09-24 2013-06-12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478011B2 (ja) * 2014-09-24 2019-03-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6499558B2 (ja) * 2015-09-14 2019-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7A (ko)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보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84276A (zh) 2022-07-01
US20220204094A1 (en) 2022-06-30
US11648988B2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JP6118381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US1080764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11840278B2 (en) Vehicle impact energy absorption system
US20160233467A1 (en)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JP2019025934A (ja) 車両床下構造
CN110350115A (zh) 具有允许各个模块的相对横向移动的电池装置的电动车辆
CN114475194B (zh) 电池保护构件及车辆
JP6769903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20220093749A (ko) 차량의 후방 구조
KR20220093750A (ko) 차량의 후방 구조
CN111332114A (zh) 用于保护牵引电池的底盘支架
KR20190021800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CN217623792U (zh) 一种连接件及车身地板总成
KR20230081182A (ko) 차량의 후방 구조
JP7424895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230088647A1 (en) Rear structure for a vehicle
CN114802485A (zh) 一种车身地板总成及车辆
US11541943B2 (en) Electric vehicle having low-voltage component in rear portion of vehicle body
CN113246706A (zh) 为车辆,尤其是电动车辆提供牵引力即驱动车辆的电能源的附接装置
KR20210071116A (ko) 고전압배터리가 장착되는 차체
US20220069403A1 (en) Battery casing containing high-voltage battery
US11970054B2 (en) Power storage device
JP2004311139A (ja) バッテリパック搭載構造
US20230083528A1 (en) Lower bumper reinforcement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