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233A - 팁 드레서 - Google Patents

팁 드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233A
KR20220093233A KR1020227019800A KR20227019800A KR20220093233A KR 20220093233 A KR20220093233 A KR 20220093233A KR 1020227019800 A KR1020227019800 A KR 1020227019800A KR 20227019800 A KR20227019800 A KR 20227019800A KR 20220093233 A KR20220093233 A KR 2022009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chips
cut
chips
communication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로 테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ublication of KR2022009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63Electrode maintenance, e.g. cleaning,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절분의 회수 능력이 높은 팁 드레서를 제공한다. 본체 케이스(2)의 하측에는, 절삭 동작 시에 회전 홀더(4)의 절결부(4a)에 발생됨과 함께 본체 케이스(2)의 하측 연통공(20b)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절분(M1)을 회수하는 절분 회수 유닛(8)이 설치된다. 절분 회수 유닛(8)은, 하측 연통공(20b) 하방에 있어서의 절분 낙하 영역(R1)의 일측방에 설치되고, 일단에 절분 낙하 영역(R1)에 대응되는 절분 회수구(8lb)를 갖는 한편, 타단에 절분(M1)을 회수 가능한 절분 회수기(83)가 접속된 절분 안내체(81)와, 절분 낙하 영역(R1)의 타측방에 설치되고, 절분 회수구(8lb)에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노즐(82a)을 갖는 제1 에어 토출 유닛(8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팁 드레서
본 발명은, 스팟 용접용 전극 팁의 선단부를 절삭하는 팁 드레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는, 차체의 조립에 스팟 용접이 다수 이용되고 있다. 당해 스팟 용접으로는, 용접 작업을 반복하면 전극 팁의 선단에 산화 피막이 부착되고, 그 상태 그대로 용접을 행하면 용접부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팁 드레서에 의해 정기적으로 전극 팁의 선단부를 절삭하여 산화 피막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팁 드레서로 전극 팁을 절삭할 때에 발생되는 절분은, 비산되어 다른 장치의 구동부 등에 부착되면 당해 구동부의 부하를 높이고, 최악의 경우, 그 장치가 고장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절분이 주위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팁 드레서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당해 수용 케이스에는, 중공부에 연통하는 상측 연통공 및 하측 연통공이 상하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에서의 상측 연통공 및 하측 연통공의 사이에는, 회전 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 케이스에 축지되어 있다. 회전 홀더의 상측 연통공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측 만곡 오목부가 형성되는 한편, 회전 홀더의 하측 연통공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하측 만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홀더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당해 관통부의 내측면에는, 상하에 한 쌍의 절인부를 갖는 판 형상의 절삭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홀더를 회전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전극 팁의 일방을 상측 연통공을 통하여 상측 만곡 오목부에 삽입하고, 또한, 타방을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하측 만곡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각 전극 팁의 선단부를 각각 절삭 플레이트에서 절삭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측에는, 절분을 흡인 가능한 흡인 유닛이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흡인 유닛은, 압축 에어를 내부에 도입함으로써 원통 중심선에 따라 에어 흐름을 내부에 발생시키는 원통 형상체와, 절분 안내 통로를 내부에 갖는 절분 안내체를 구비하고, 당해 절분 안내체의 일단에는, 하측 연통공에 접근하는 절분 흡인구가 설치되는 한편, 절분 안내체의 타단은, 원통 형상체의 상류측 개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 유닛은, 절삭 동작 시에 관통부에 발생되는 절분이 하측 연통공의 하방의 절분 낙하 영역으로 낙하되면, 원통 형상체 내부에 발생시킨 에어 흐름에 의해 절분 안내체의 절분 흡인구로부터 절분을 절분 안내체의 내부에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절분 흡인구로부터 절분 안내체의 내부에 흡인된 절분은, 절분 안내체 내부와 원통 형상체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절분 회수기까지 운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팁의 절삭 작업 시에 발생되는 절분을 장치 주변에 비산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6263호 공보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절분 안내체의 내부에 절분 낙하 영역의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절분을 회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유닛을 작동시키면, 절분 낙하 영역에 있어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절분 흡인구를 향하여 에어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에 있어서의 흡인 유닛의 흡인력은, 절분 흡인구에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절삭 동작 시에 관통부에 발생되는 절분이 하측 연통공 하방의 절분 낙하 영역으로 낙하될 때, 절분 낙하 영역의 절분 흡인구 쪽을 통과할 경우에는, 절분 흡인구로부터 확실하게 흡인되어 절분 회수기로 회수되지만, 절분 낙하 영역의 절분 흡인구로부터 먼 쪽을 통과할 경우에는, 절분 흡인구로 흡인되지 않고 그대로 낙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절분의 회수 능력이 높은 팁 드레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용 케이스의 하측 연통공 하방에 있어서의 절분 낙하 영역의 일측방에 절분 회수구를 갖는 절분 안내체를 설치하는 한편, 절분 낙하 영역의 타측방에 절분 회수구에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토출 유닛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서로 대향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상측 연통공 및 하측 연통공이 형성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중공부에서의 상기 상측 연통공 및 상기 하측 연통공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되고, 상기 상측 연통공 및 상기 하측 연통공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만곡 오목부 및 회전 축심에 따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는 회전 홀더와,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 장착된 절삭 부재와, 상기 회전 홀더를 회전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스팟 용접용 전극 팁의 일방을 상기 상측 연통공을 통하여 일방의 만곡 오목부에 삽입하고, 또한, 타방을 상기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타방의 만곡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각 전극 팁의 선단부를 각각 상기 절삭 부재로 절삭하도록 구성된 팁 드레서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마련했다.
즉, 제1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측에는, 절삭 동작 시에 상기 관통부에 발생됨과 함께 상기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절분을 회수하는 절분 회수 유닛이 설치되고, 당해 절분 회수 유닛은, 상기 하측 연통공의 하방에 있어서의 절분 낙하 영역의 일측방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절분 낙하 영역에 대응되는 절분 회수구를 갖는 한편, 타단에 상기 절분을 회수 가능한 절분 회수기가 접속된 절분 안내체와, 상기 절분 낙하 영역의 타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절분 회수구에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노즐을 갖는 제1 에어 토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서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방에는, 상기 회전 홀더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제2 에어 토출 유닛이 접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에는, 상기 제1 에어 토출 유닛 및 상기 절분 안내체의 병설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상기 절분 낙하 영역에 대응되는 범위에 병설된 상기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에어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서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 토출공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면에 접근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서는, 절분 낙하 영역에 있어서 절분 회수구를 향하는 압축 에어가 미는 힘이 절분 회수구에 가까운 쪽이 약하고, 먼 쪽이 강해진다. 그러자, 절분은 절분 낙하 영역에 있어서의 절분 회수구에 가까운 쪽으로 낙하되면, 미는 힘이 약한 압축 에어라고 해도 절분 회수구로 압입되는 한편, 절분 낙하 영역의 절분 회수구로부터 먼 쪽으로 낙하되어도, 미는 힘이 강한 압축 에어에 의해 절분 회수구까지 운반된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으로 낙하되어 오는 절분을, 절분 회수구에 가까운 위치뿐만 아니라 먼 위치여도 장치 주변에 비산시키지 않고 압축 에어로 절분 회수구에 운반하여 절분 안내체 내부에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서는, 회전 홀더의 관통부에 제2 에어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를 하방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절분을 회전 홀더에 걸린 상태 그대로 유지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 토출 유닛의 에어 노즐로부터 토출된 압축 에어의 일부는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압입됨과 함께 회전 홀더의 관통부를 상향 통과하려고 하지만, 제2 에어 토출 유닛으로 토출되는 압축 에어에 의해 제1 에어 토출 유닛의 에어 노즐로부터 토출된 압축 에어에 있어서의 관통부의 상향 통과가 저지된다. 따라서, 절삭 동작 시에 관통부에 있어서 발생되는 절분이 낙하되지 않고 제1 에어 토출 유닛의 에어 노즐로부터 토출된 압축 에어에 의해 관통부의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고, 관통부에 있어서의 상측 개구 부분으로부터의 절분의 장치 주변으로의 비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발명에서는, 에어 노즐의 각 에어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가 절분 낙하 영역 전체를 덮도록 빈틈없이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의 어느 위치에 절분이 낙하되어 와도, 그들 절분을 장치 주변에 비산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절분 회수구를 통하여 절분 안내체 내부에 유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서는, 절분 낙하 영역으로 낙하되는 절분이 절분 회수구로 방향을 바꾸는 이동 방향의 변화량이 에어 노즐로부터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경우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으로 낙하되어 온 절분이 압축 에어에 의해 순조롭게 절분 회수구에 유도되어, 절분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와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에 있어서 각각 절분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를 나타낸다. 이 팁 드레서(1)는, 용접 건(도시 생략)의 생크(G1) 선단에 끼워 넣어져 대향되는 한 쌍의 스팟 용접용 전극 팁(10)의 만곡하는 선단부(10a)를 동시에 절삭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20)를 갖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 케이스(2)(수용 케이스)를 가지고 있다.
본체 케이스(2)는, 도시 생략한 구동 모터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모터 수용부(2a)와, 당해 모터 수용부(2a)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방울 형상을 이루는 홀더 수용부(2b)를 구비하고, 당해 홀더 수용부(2b)의 기단(基端) 측에 있어서의 모터 수용부(2a) 측면에는, 본체 케이스(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기구부(2c)가 장착되어 있다.
홀더 수용부(2b)는,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이루며, 그 연장측 중앙에는, 상하로 대향됨과 함께 중공부(20)에 연통하는 상측 연통공(20a) 및 하측 연통공(20b)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수용부(2b) 내부의 상측 연통공(20a) 및 하측 연통공(20b)의 사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형상을 이루는 출력 기어(3)가 상하 한 쌍의 베어링(7)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C1)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 수용부(2b)에 축지되고, 모터 수용부(2a)에 수용되는 구동 모터가 도시 생략한 기어 치합 기구를 통하여 출력 기어(3)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출력 기어(3)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용 구멍(3a)가 설치되고, 당해 장착용 구멍(3a)에는, 원반 형상의 회전 홀더(4)가 장착되어 있다.
당해 회전 홀더(4)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을 이루고, 회전 축심(C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회전 축심(C1) 주변의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외측방으로 개방됨과 함께 상하로도 개방되는 절결부(4a)(관통부)를 가지고 있다.
즉, 절결부(4a)는, 회전 축심(C1)에 따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회전 홀더(4)의 상단 주연에는, 그 밖의 부분보다도 외측방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홀더(4)의 상하면에는, 당해 회전 홀더(4)의 중앙 부분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축경되는 한 쌍의 만곡 오목부(4c)가 회전 축심(C1) 방향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각 만곡 오목부(4c)는, 상측 연통공(20a) 및 하측 연통공(20b)에 각각 대응된다.
만곡 오목부(4c)의 형상은, 전극 팁(10)의 선단부(10a)의 만곡 형상에 대응되고, 전극 팁(10)의 중심축이 회전 축심(C1)에 일치한 상태로 전극 팁(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되어 있다.
절결부(4a)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C1)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한편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팁(10)의 선단부(10a)를 절삭하기 위한 절삭 커터(5)(절삭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당해 절삭 커터(5)는, 회전 축심(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인부(5a)가 회전 축심(C1)에 따른 방향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각 만곡 오목부(4c)에 대응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홀더(4)를 회전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전극 팁(10)의 일방을 상측 연통공(20a)을 통하여 상측의 만곡 오목부(4c)에 삽입하고, 또한, 타방을 하측 연통공(20b)을 통하여 하측의 만곡 오목부(4c)에 삽입함으로써, 각 전극 팁(10)의 선단부(10a)를 각각 절삭 커터(5)의 각 절인부 (5a)로 절삭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의 홀더 수용부(2b) 하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분(M1)을 흡인하는 절분 회수 유닛(8)이 장착 브라켓(9)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절분 회수 유닛(8)은, 본체 케이스(2)에 있어서의 하측 연통공(20b) 하방의 절분 낙하 영역(R1)의 일측방에 설치된 절분 안내체(81)와, 절분 낙하 영역(R1)의 타측방에 설치된 제1 에어 토출 유닛(82)과, 절분(M1)을 회수 가능한 절분 회수기(83)를 구비하고 있다.
절분 안내체(81)는, 제1 에어 토출 유닛(8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완만하게 만곡하면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절분(M1)을 안내하는 절분 안내 통로(81a)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절분 안내체(81)의 일단에는, 절분 낙하 영역(R1)에 대응됨과 함께 절분 안내 통로(81a)에 연통하는 폭이 넓은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절분 회수구(8lb)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절분 회수기(83)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에어 토출 유닛(82)은, 장착 브라켓(9)의 하면에 고정된 에어 노즐(82a)과, 당해 에어 노즐(82a)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82b)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노즐(82a)은, 절분 안내체(81) 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상하의 폭이 좁아지는, 정면으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하는 블록체이며, 절분 안내체(81)의 반대측에 에어 컴프레서(82b)로부터 연장되는 배관(82c)이 접속되어 있다.
에어 노즐(82a)의 내부에는, 절분 안내체(81) 및 제1 에어 토출 유닛(82)의 병설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반월 형상을 이루는 에어 저류부(82d)가 형성되고, 당해 에어 저류부(82d)는 배관(82c)에 연통되어 있다.
에어 노즐(82a)에 있어서의 절분 안내체(81) 측에는, 가늘고 긴 에어 토출공(82e)이 절분 안내체(81) 및 제1 에어 토출 유닛(82)의 병설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절분 낙하 영역(R1)에 대응되는 범위에 복수 병설되고, 각 에어 토출공(82e)은 에어 노즐(82a)의 외측과 에어 저류부(82d)를 연통하고 있다.
각 에어 토출공(82e)은, 본체 케이스(2) 하면에 접근하는 위치로부터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에어 컴프레서(82b)로부터 에어 저류부(82d)에 공급된 압축 에어를 절분 회수구(8lb)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절분 회수기(8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절분(M1)을 저류 가능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저류 박스(83a)와, 당해 저류 박스(83a)와 절분 안내체(81)의 하류측 개구 부분을 접속하여 절분 안내 통로(81a)와 저류 박스(83a) 내부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접속 관(83b)을 구비하고, 접속 관(83b)에 있어서의 저류 박스(83a) 측의 벽에는,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공(83c)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장착 브라켓(9)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판 형상을 이루고, 하측 연통공(20b)에 대응되는 개구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의 상방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통공(20a)을 통해 회전 홀더(4)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제2 에어 토출 유닛(6)이 접근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2 에어 토출 유닛(6)은,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대략 펜 형상의 토출 노즐(6a)과, 당해 토출 노즐(6a)에 압축 에어를 유도하는 배관(6b)과, 당해 배관(6b)의 중도부에 접속되어, 토출 노즐(6a)의 압축 에어의 토출을 제어하는 박스 형상의 전자 밸브(6c)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6b)은, 배관(82c)의 중도부에 접속되고, 토출 노즐(6a)은, 에어 컴프레서(82b)로부터 배관(6b)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노즐(82a)로부터 절분 회수구(8lb)에 압축 에어를 계속해서 토출한 상태로 전극 팁(10)의 선단부(10a)를 절삭 커터(5)로 절삭하면, 당해 절삭 커터(5)에 의한 각 전극 팁(10)의 절삭 동작 시에 회전 홀더(4)의 절결부(4a)에 발생되고, 또한, 하측 연통공(20b)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절분(M1)이 압축 에어에 의해 절분 회수구(8lb)로부터 절분 안내 통로(81a)에 압입됨과 함께 당해 절분 안내 통로(81a)에 유도되어, 절분 회수기(83)로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팁 드레서(1)에 의한 전극 팁(10)의 선단부(10a)의 절삭 작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드레서(1)의 도시 생략한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켜서 출력 기어(3)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홀더(4)를 회전 축심(C1) 주변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에어 컴프레서(82b)를 사용하여 에어 노즐(82a) 및 토출 노즐(6a)에 압축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에어 노즐(82a) 및 토출 노즐(6a)로부터 각각 압축 에어를 토출시킨다.
다음으로, 홀더 수용부(2b)의 상측과 하측에 상하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전극 팁(10) 각각을 이동시킴과 함께, 각 전극 팁(10)의 중심축을 회전 홀더(4)의 회전 축심(C1)과 일치시킨다.
그 후, 양 전극 팁(10)을 서로 접근시킨다. 그러자, 상측의 전극 팁(10)은, 홀더 수용부(2b)에 있어서의 상측 연통공(20a)을 통하여 회전 홀더(4)에 있어서의 상측의 만곡 오목부(4c)에 삽입되는 한편, 하측의 전극 팁(10)은, 홀더 수용부(2b)에 있어서의 하측 연통공(20b)을 통하여 회전 홀더(4)에 있어서의 하측의 만곡 오목부(4c)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 전극 팁(10)의 선단부(10a)가 회전 홀더(4)에 장착된 절삭 커터(5)에 의해 절삭된다.
이 때, 각 전극 팁(10)의 선단부(10a)로부터 발생되는 절분(M1)은, 회전 홀더(4)의 절결부(4a)에 토출 노즐(6a)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가 하방으로 통과함으로써 회전 홀더(4)에 걸린 상태 그대로 있지 않고 확실하게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로 인해, 절분(M1)은 하측 연통공(20b) 하방의 절분 낙하 영역(R1)에 장착 브라켓(9)의 개구부(9a)를 통하여 낙하된다.
절분 낙하 영역(R1)으로 낙하되어 온 절분(M1)은, 에어 노즐(82a)로부터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는 고속 기류(소위 에어 실드)에 의해,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도록 방향을 바꾸어 절분 회수구(8lb)를 통하여 절분 안내 통로(81a)로 압입된다.
즉, 에어 노즐(82a)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는, 절분 낙하 영역(R1)으로 낙하되어 오는 절분(M1)을 절분 회수구(8lb)를 통하여 절분 안내 통로(81a)로 압입된다.
이 때, 에어 노즐(82a)의 각 에어 토출공(82e)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의 일부가 하측 연통공(20b)을 통하여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 압입됨과 함께 회전 홀더(4)의 절결부(4a)를 상향 통과하려고 하지만, 토출 노즐(6a)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에 의해 에어 노즐(82a)로부터 토출된 압축 에어에 있어서의 절결부(4a)의 상향 통과가 저지된다. 따라서, 절삭 동작 시에 절결부(4a)에 있어서 발생되는 절분(M1)이 낙하되지 않고 에어 노즐(82a)로부터 토출된 압축 에어에 의해 절결부(4a)의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고, 절결부(4a)에 있어서의 상측 개구 부분으로부터의 절분(M1)의 장치 주변으로의 비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분 회수구(8lb)로부터 절분 안내 통로(81a)에 압입된 각 절분(M1)은, 절분 안내 통로(81a)에 안내되면서 절분 회수기(83)까지 이동하고, 당해 절분 회수기(83)에 회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에 있어서의 절분 회수율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의 절분 회수율이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에 비하여 향상되어 있는지 여부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은,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를 각각 준비하고, 각각 전극 팁(10)의 선단부(10a)를 반복하여 절삭하면서 절분 회수기(83)에 회수되지 않는 절분(M1)의 수를 카운트하여, 절분(M1)이 10개 회수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절삭을 반복했다. 그리고, 각 실험에 있어서 회수되지 않는 절분(M1)이 10개가 됐을 때의 절삭 횟수를 조사하고,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에 있어서의 실험의 절삭 횟수를 기준(회수율 100%)으로 하여, 팁 드레서(1)로 실시한 실험 결과와 비교했다. 또한, 도 5의 실험 A는,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며, 실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를 이용하여 행한 것이다. 또한, 각 실험의 1회당의 절삭 조건은, 회전 홀더(4)에 대한 전극 팁(10)의 가압력을 150kgf, 절삭 시간을 1초, 회전 홀더(4)의 회전수를 273RPM으로 했다.
실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팁 드레서(1)를 이용하면 종래 구조의 팁 드레서에 비하여 대폭 절분 회수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팁 드레서(1)에서는, 에어 노즐(82a)로부터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분 낙하 영역(R1)에 있어서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는 압축 에어가 미는 힘이 절분 회수구(8lb)에 가까운 쪽이 약하고, 먼 쪽이 강해지는 상태가 되고, 그렇다면, 절분(M1)은 절분 낙하 영역(R1)에 있어서의 절분 회수구(8lb)에 가까운 쪽으로 낙하될 경우에는, 미는 힘이 약한 압축 에어라고 해도 절분 회수구(8lb)에 압입되는 한편, 절분 낙하 영역(R1)의 절분 회수구(8lb)로부터 먼 쪽으로 낙하되어도, 미는 힘이 강한 압축 에어에 의해 절분 회수구(8lb)까지 운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분 낙하 영역(R1)으로 낙하되어 오는 절분(M1)을 절분 회수구(8lb)에 가까운 위치뿐만 아니라 먼 위치여도 장치 주변에 비산시키지 않고 압축 에어로 절분 회수구(8lb)에 운반하여 절분 안내체(81) 내부에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토출공(82e)은, 절분 안내체(81) 및 제1 에어 토출 유닛(82)의 병설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절분 낙하 영역(R1)에 대응되는 범위에 복수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 노즐(82a)의 각 에어 토출공(82e)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가 절분 낙하 영역(R1)의 전역을 덮도록 빈틈없이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R1)의 어느 위치에 절분(M1)이 낙하되어 와도, 그들 절분(M1)을 장치 주변에 비산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절분 회수구(8lb)를 통하여 절분 안내체(81)의 내부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 토출공(82e)은, 본체 케이스(2) 하면에 접근하는 위치로부터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절분 낙하 영역(R1)으로 낙하되는 절분(M1)이 절분 회수구(8lb)로 방향을 바꾸는 이동 방향의 변화량이 에어 노즐(82a)로부터 절분 회수구(8lb)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경우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절분 낙하 영역(R1)으로 낙하되어 온 절분(M1)이 압축 에어에 의해 순조롭게 절분 회수구(8lb)에 유도되어, 절분(M1)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노즐(82a)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와 토출 노즐(6a)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에어를 같은 에어 컴프레서(82b)로부터 공급하고 있지만, 각각의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노즐(82a)의 각 에어 토출공(82e)이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노즐(82a)에 복수의 에어 토출공(82e)이 설치되어 있지만, 에어 토출공(82e)은 1개여도 된다.
본 발명은, 스팟 용접용 전극 팁의 선단을 절삭하는 팁 드레서에 적합하다.
1: 팁 드레서
2: 본체 케이스(수용 케이스)
4: 회전 홀더
4a: 절결부(관통부)
4c: 만곡 오목부
5: 절삭 커터(절삭 부재)
6: 제2 에어 토출 유닛
8: 절분 회수 유닛
10: 전극 팁
10a: 선단부
20: 중공부
20a: 상측 연통공
20b: 하측 연통공
81: 절분 안내체
8lb: 절분 회수구
82: 제1 에어 토출 유닛
82a: 에어 노즐
82e: 에어 토출공
83: 절분 회수기
C1: 회전 축심
M1: 절분
R1: 절분 낙하 영역

Claims (4)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서로 대향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상측 연통공 및 하측 연통공이 형성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중공부에서의 상기 상측 연통공 및 상기 하측 연통공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되고, 상기 상측 연통공 및 상기 하측 연통공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만곡 오목부 및 회전 축심에 따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는 회전 홀더와,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 장착된 절삭 부재와,
    상기 회전 홀더를 회전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스팟 용접용 전극 팁의 일방을 상기 상측 연통공을 통하여 일방의 만곡 오목부에 삽입하고, 또한, 타방을 상기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타방의 만곡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각 전극 팁의 선단부를 각각 상기 절삭 부재로 절삭하도록 구성된 팁 드레서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측에는, 절삭 동작 시에 상기 관통부에 발생됨과 함께 상기 하측 연통공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절분을 회수하는 절분 회수 유닛이 설치되고,
    당해 절분 회수 유닛은, 상기 하측 연통공의 하방에 있어서의 절분 낙하 영역의 일측방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절분 낙하 영역에 대응되는 절분 회수구를 갖는 한편, 타단에 상기 절분을 회수 가능한 절분 회수기가 접속된 절분 안내체와, 상기 절분 낙하 영역의 타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절분 회수구에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노즐을 갖는 제1 에어 토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방에는, 상기 회전 홀더를 향하여 압축 에어를 토출하는 제2 에어 토출 유닛이 접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에는, 상기 제1 에어 토출 유닛 및 상기 절분 안내체의 병설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상기 절분 낙하 영역에 대응되는 범위에 병설된 상기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에어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 토출공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면에 접근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절분 회수구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KR1020227019800A 2019-11-18 2020-09-28 팁 드레서 KR20220093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7981 2019-11-18
JP2019207981A JP7333605B2 (ja) 2019-11-18 2019-11-18 チップドレッサー
PCT/JP2020/036622 WO2021100319A1 (ja) 2019-11-18 2020-09-28 チップドレッサ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233A true KR20220093233A (ko) 2022-07-05

Family

ID=7596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800A KR20220093233A (ko) 2019-11-18 2020-09-28 팁 드레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17267A1 (ko)
EP (1) EP4056308A4 (ko)
JP (1) JP7333605B2 (ko)
KR (1) KR20220093233A (ko)
CN (1) CN114728366A (ko)
CA (1) CA3157787A1 (ko)
WO (1) WO202110031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263B1 (ko) 2016-09-07 2017-01-13 주식회사 나우정공 팁 드레서용 칩 콜렉터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5478A1 (de) * 1999-02-10 2000-08-24 Walter Ko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mmeln von Spänen an Elektrodenreinigungsvorrichtungen
JP3983021B2 (ja) 2001-09-06 2007-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ドレッサの切粉排出装置及び排出方法
US8388283B2 (en) 2008-12-08 2013-03-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ip catcher for weld tip dresser
KR101282861B1 (ko) * 2013-01-29 2013-07-05 임해영 스폿용접전극 드레서에서 발생하는 전극분철을 포집하는 장치
WO2015189872A1 (ja) 2014-06-11 2015-12-17 株式会社キョクトー 切粉回収装置
KR101731197B1 (ko) * 2014-09-30 2017-04-27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팁 드레서용 절삭 커터
WO2016151623A1 (ja) 2015-03-23 2016-09-29 株式会社キョクトー チップドレッサー
KR101988414B1 (ko) * 2015-12-01 2019-06-12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팁 드레싱용 절삭 커터 및 팁 드레서
CA3024981C (en) * 2016-12-12 2020-10-27 Kyokutoh Co., Ltd. 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CA3062267C (en) 2018-04-19 2022-04-12 Kyokutoh Co., Ltd. Tip dres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263B1 (ko) 2016-09-07 2017-01-13 주식회사 나우정공 팁 드레서용 칩 콜렉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308A4 (en) 2023-02-01
CA3157787A1 (en) 2021-05-29
JP2021079399A (ja) 2021-05-27
US20230017267A1 (en) 2023-01-19
CN114728366A (zh) 2022-07-08
JP7333605B2 (ja) 2023-08-25
EP4056308A1 (en) 2022-09-14
WO2021100319A1 (ja)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3094B1 (en) Tip dresser
US7230200B2 (en) Wire cutting device, wir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severing of a wire electrode in an EDM machine
KR102220017B1 (ko) 팁 드레서
KR20220093233A (ko) 팁 드레서
WO2021172063A1 (ja) エアブローノズル及びエアブローノズル付きチップドレッサー
JP2018126786A (ja) 丸鋸及び帯鋸用溶接装置のチップ供給装置
JP3776525B2 (ja) レーザ切断加工装置
JP7331250B2 (ja) 穴あけ装置および穴あけ方法
JP4552602B2 (ja) 切削工具
JP2020199554A (ja) チップドレッサー
JPH07195251A (ja) エンドミル加工における切屑吸引装置
CN214417834U (zh) 一种全自动锁芯外圆去毛刺机
JP3363806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EP0460221A1 (en) Wire piece recovery apparatus
JP2003305621A (ja) 工作機械の切屑集塵装置
JP4477441B2 (ja) 関節駒製造装置
JPH11320316A (ja) 切削加工に於ける切削屑飛散防止方法
WO2019039307A1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JPH0295539A (ja) 切粉処理装置
JP2015107531A (ja) 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