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071A -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071A
KR20220093071A KR1020220078444A KR20220078444A KR20220093071A KR 20220093071 A KR20220093071 A KR 20220093071A KR 1020220078444 A KR1020220078444 A KR 1020220078444A KR 20220078444 A KR20220078444 A KR 20220078444A KR 20220093071 A KR20220093071 A KR 2022009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signal
vehicle
message
communication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571B1 (ko
Inventor
다이키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2009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1 ; 9) 을 위한 제어 장치 (10) 에 있어서, 상기 차량 (1 ; 9) 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 (14) 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장치 (10) 는, 입출력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회로는, 소정 신호의 입출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입출력 회로 (103) 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 (14) 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CONTROL DEVICE FOR VEHICLE,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차량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차재의 축전 장치를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이 시판되고 있다. 이들 차량은, 차량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차재의 축전 장치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향후, 차재의 축전 장치의 용량이 증대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로써, 차량의 EV (Electric Vehicle) 주행 거리 (축전 장치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차량이 주행 가능한 거리) 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축전 장치의 용량 증대에 수반하여 충전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면, 사용자의 편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종래의 충전 전력 (예를 들어 수십 kW) 보다 대전력 (예를 들어 수백 kW) 으로의 외부 충전이 검토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충전을 「급속 충전」이라고도 칭한다.
급속 충전은, 충전 규격에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차량과 충전기가 협동하여 실행함으로써 진행된다. 급속 충전에서는, 축전 장치의 충전 개시 (충전기로부터 차량에 대한 전력 공급 개시) 에 앞서, 충전 규격에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차량과 충전기 사이에서 각종 신호가 송수신된다. 차량과 충전기는, 당해 통신 시퀀스를 실행함으로써, 통신 링크를 확립하거나 충전 조건을 결정하거나 충전 준비의 성공 여부를 서로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
급속 충전에서는, 종래와는 상이한 충전 규격 (이하, 「신규격」이라고도 부른다) 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급속 충전의 보급 초기에는 다양한 충전기가 시장에 나올 수 있지만, 모든 충전기가 신규격에 완전하게 준거 (적합) 하고 있다고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기 중에는, 충전기로부터 차량에 대한 전력 공급 개시 전의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 신규격에 규정된 타이밍으로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부의 충전기에서는, 송신해야 할 신호가 결락되거나, 본래의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신호가 송신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충전기여도, 전력 공급이 시작되면, 신규격에 준거하여 전력을 공급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지 않으면,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없다.
본 개시는,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축전 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이다. 상기 차량은, 축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입출력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회로는, 소정 신호의 입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소정 신호의 출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정 신호는, 상기 차량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개시에 앞서,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입출력 회로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한 경우에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하는 것이 규정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제 1 신호가 결락된 경우) 나 제 1 신호 대신에 다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여도, 차량으로부터 충전기에 제 2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처리를 진행한다. 이로써, 제 2 신호에 대해 충전기가 적절히 응답하면,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한 것은 후술). 따라서,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차량과 상기 충전기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제 2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추가로 규정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 1 신호가 차량과 충전기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비록 제 1 신호가 결락된 경우여도, 다른 신호에 의해 통신 링크의 확립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가 결락되어도 충전기가 제 2 신호에 적절히 응답하면 (차량이 제 3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링크가 확립되었다고 차량측에서 판단하고,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충전기가 제 2 신호에 적절히 응답하지 않으면 (차량이 제 3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통신 링크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차량측에서 판단하고,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한다. 이로써, 차량과 충전기 사이에서의 전력 수수 (授受) 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차량의 충전의 준비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 1 신호가 충전기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는, 제 1 신호는, 안전한 전력 수수에 필요 불가결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2 신호의 송신 후여도 제 1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는 통신 시퀀스가 추가로 진행된다. 그 한편으로, 제 1 신호가 결락되었을 때에는,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함으로써, 전력 수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 대신에,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에 따르지 않는 다른 신호를 상기 차량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다른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 대신에,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에 따르지 않는 다른 신호를 상기 차량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차량의 요구 전압 및 요구 전류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되고, 상기 다른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공급 전압 및 공급 전류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따라서,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비록 제 1 신호가 결락된 경우여도 상기 다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차량측에서 판단하고,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차량이다.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축전 장치와, 입출력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회로는, 소정 신호의 입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소정 신호의 출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정 신호는, 상기 차량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개시에 앞서,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입출력 회로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한 경우에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하는 것이 규정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제 1 신호가 결락된 경우) 나 제 1 신호 대신에 다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여도, 차량으로부터 충전기에 제 2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처리를 진행한다. 이로써, 제 2 신호에 대해 충전기가 적절히 응답하면,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한 것은 후술). 따라서,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차량의 제어 방법이다. 상기 차량은, 축전 장치와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개시에 앞서,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충전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한 경우에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하는 것이 규정된다. 상기 제어 방법 includes :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판정하는 것 ; and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진행하는 것.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기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축전 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충전기가 충전 규격에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이점들,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표시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충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차량 및 충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충전 규격에 규정된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도이다.
도 4 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1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2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3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4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5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6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7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 전체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 은, 충전 중지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충전 중지 메시지를 급속 충전의 충전 규격 (신규격) 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바와 같이 수신한 경우 (정상 수신시) 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 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충전 중지 메시지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충전 중지 메시지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 은, 메시지마다의 처리 내용의 개요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8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충전기 식별 메시지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9 는,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0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충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충전 시스템 (100) 은, 차량 (1) 과, 충전기 (2) 와, 충전 케이블 (3) 을 구비한다. 도 1 에는, 차량 (1) 과 충전기 (2) 가 충전 케이블 (3)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충전기 (2)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외부 충전시의 상황이 나타나 있다.
차량 (1) 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이다. 단, 차량 (1) 은, 외부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이면,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여도 된다. 충전기 (2) 는, 예를 들어 공공의 충전 스탠드 (「충전 스테이션」이라고도 불린다) 에 형성된 급속 충전기이다.
도 2 는, 차량 (1) 및 충전기 (2)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충전기 (2) 는, 직류 (DC : Direct Current) 충전기로서, 계통 전원 (4) 으로부터의 공급 전력 (교류 전력) 을, 차량 (1) 에 탑재된 배터리 (14) 의 충전 전력 (직류 전력) 으로 변환한다. 충전기 (2) 는, 전력선 (ACL) 과, AC/DC 변환기 (21) 와, 전압 센서 (22) 와, 급전선 (PL0, NL0) 과, 제어 회로 (20) 를 포함한다.
전력선 (ACL) 은, 계통 전원 (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선 (ACL) 은, 계통 전원 (4) 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AC/DC 변환기 (21) 에 전송한다.
AC/DC 변환기 (21) 는, 전력선 (ACL) 상의 교류 전력을, 차량 (1) 에 탑재된 배터리 (14) 를 충전하기 위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AC/DC 변환기 (21) 에 의한 전력 변환은, 역률 개선을 위한 AC/DC 변환과, 전압 레벨 조정을 위한 DC/DC 변환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AC/DC 변환기 (21) 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은, 정극측의 급전선 (PL0) 및 부극측의 급전선 (NL0) 에 의해 공급된다.
전압 센서 (22) 는, 급전선 (PL0) 과 급전선 (NL0)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압 센서 (22) 는, 급전선 (PL0) 과 급전선 (NL0)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제어 회로 (20) 에 출력한다.
제어 회로 (20)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와, 메모리와, 입출력 포트 (모두 도시 생략)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 (20) 는, 전압 센서 (22) 에 의해 검출된 전압, 차량 (1) 으로부터의 신호, 그리고 메모리에 기억된 맵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AC/DC 변환기 (21) 에 의한 전력 변환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 (1) 은, 인렛 (11) 과, 충전선 (PL1, NL1) 과, 전압 센서 (121) 와, 전류 센서 (122) 와, 충전 릴레이 (131, 132) 와,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 System Main Relay) (133, 134) 와, 배터리 (14) 와, 전력선 (PL2, NL2) 과, PCU (Power Control Unit) (16) 와, 모터 제너레이터 (17) 와, 동력 전달 기어 (181) 와, 구동륜 (182) 과,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를 구비한다.
인렛 (충전 포트) (11) 은, 끼워 맞춤 등의 기계적인 연결을 수반하여 충전 케이블 (3) 의 커넥터 (31) 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31) 의 삽입에 수반하여, 급전선 (PL0) 과 인렛 (11) 의 정극측의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됨과 함께, 급전선 (NL0) 과 인렛 (11) 의 부극측의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된다. 또, 인렛 (11) 과 커넥터 (31) 가 충전 케이블 (3) 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차량 (1) 의 ECU (10) 와 충전기 (2) 의 제어 회로 (20) 가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또는 아날로그 제어선을 통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통신에 의해, 신호, 지령, 메시지 또는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압 센서 (121) 는, 충전 릴레이 (131, 132) 보다 인렛 (11) 측에 있어서, 충전선 (PL1) 과 충전선 (NL1)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압 센서 (121) 는, 충전선 (PL1) 과 충전선 (NL1) 사이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ECU (10) 에 출력한다. 전류 센서 (122) 는, 충전선 (PL1) 에 형성되어 있다. 전류 센서 (122) 는, 충전선 (PL1) 을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ECU (10) 에 출력한다. ECU (10) 는, 전압 센서 (121) 및 전류 센서 (122) 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충전기 (2) 로부터의 공급 전력 (배터리 (14) 의 충전량) 을 산출할 수도 있다.
충전 릴레이 (131) 는 충전선 (PL1) 에 접속되고, 충전 릴레이 (132) 는 충전선 (NL1) 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릴레이 (131, 132) 의 폐쇄/개방은, ECU (10) 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제어된다. 충전 릴레이 (131, 132) 가 폐쇄되고, 또한 SMR (133, 134) 이 폐쇄되면, 인렛 (11) 과 배터리 (14) 사이에서의 전력 전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배터리 (14) 는, 차량 (1) 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또, 배터리 (14) 는, 모터 제너레이터 (17) 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축적한다. 배터리 (14) 는, 복수의 셀 (1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전지이다. 각 셀 (140) 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이차 전지이다. 또한, 배터리 (14) 는, 본 개시에 관련된 「축전 장치」의 일례이다. 배터리 (14) 대신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를 사용해도 된다.
배터리 (14) 의 정극은, SMR (133) 을 경유하여 노드 (ND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노드 (ND1) 는, 충전선 (PL1) 및 전력선 (PL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배터리 (14) 의 부극은, SMR (134) 을 경유하여 노드 (ND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노드 (ND2) 는, 충전선 (NL1) 및 전력선 (NL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SMR (133, 134) 의 폐쇄/개방은, ECU (10) 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제어된다.
배터리 (14) 에는, 전압 센서 (141) 와, 전류 센서 (142) 와, 전지 온도 센서 (143) 가 형성되어 있다. 전압 센서 (141) 는, 배터리 (14) 의 전압 (VB) 을 검출한다. 전류 센서 (142) 는, 배터리 (14) 에 입출력되는 전류 (IB) 를 검출한다. 전지 온도 센서 (143) 는, 배터리 (14) 의 온도 (TB) 를 검출한다. 각 센서는, 그 검출 결과를 ECU (10) 에 출력한다. ECU (10) 는, 전압 센서 (141) 또는 전류 센서 (142) 의 적어도 일방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 (14) 의 SOC (State Of Charge) 를 산출할 수 있다.
PCU (16) 는, 전력선 (PL2, NL2) 과 모터 제너레이터 (17)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PCU (16) 는, 컨버터 및 인버터 (모두 도시 생략)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ECU (10) 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모터 제너레이터 (17) 를 구동한다.
모터 제너레이터 (17) 는, 교류 회전 전기이고, 예를 들어 영구 자석이 매설된 로터를 구비하는 영구 자석형 동기 전동기이다. 모터 제너레이터 (17) 의 출력 토크는, 동력 전달 기어 (181) 를 통하여 구동륜 (182) 에 전달되고, 차량 (1) 을 주행시킨다. 또, 모터 제너레이터 (17) 는, 차량 (1) 의 제동 동작시에는, 구동륜 (182) 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할 수 있다. 모터 제너레이터 (17) 에 의한 발전 전력은, PCU (16) 에 의해 배터리 (14) 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된다.
ECU (10) 는, 제어 회로 (20) 와 동일하게, CPU (101) 와, ROM (Read Only Memory) 및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 (102) 와, 입출력 포트 (103)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ECU (10) 는, 각 센서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차량 (1) 이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기기류를 제어한다. ECU (10) 는, 기능마다 복수의 ECU 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CPU (101) 는 본 개시에 관련된 「제어 회로」의 일례이고, 입출력 포트 (103) 는 본 개시에 관련된 「입출력 회로」의 일례이다.
ECU (10) 에 의해 실행되는 주요한 제어로서, 충전기 (2) 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차재의 배터리 (14) 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 제어를 들 수 있다. 외부 충전 제어는, 차량 (1) 의 ECU (10) 와 충전기 (2) 의 제어 회로 (20) 사이에서 충전 케이블 (3) 을 통하여 각종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함으로써 진행된다. 이 메시지의 송수신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부 충전 제어에서는,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에서의 메시지의 수수에 관한 통신 시퀀스가 진행됨과 함께,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에 관한 충전 시퀀스가 진행된다. 통신 시퀀스 및 충전 시퀀스는, 모두 급속 충전의 충전 규격 (신규격) 에 규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 시퀀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은,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 및 후술하는 도 4 ∼ 도 11 에서는, 도면 중 좌측에 충전기 (2) 의 제어 회로 (20) 에 의해 실행되는 시퀀스 처리가 나타나고, 도면 중 우측에 차량 (1) 의 ECU (10) 에 의해 실행되는 시퀀스 처리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ECU (10) 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주체를 차량 (1) 으로 기재하고, 제어 회로 (20) 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주체를 충전기 (2) 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이 통신 시퀀스는, 차량 (1) 과 충전기 (2) 가 충전 케이블 (3) 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의 CAN 등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저압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개시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통신 시퀀스를 「표준 통신 시퀀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표준 통신 시퀀스에 포함되는 처리는, 충전 준비 단계 (충전기 핸드셰이크 단계 및 충전 파라미터 배치 단계), 충전 단계 및 충전 종료 단계로 분류된다. 충전 준비 단계에서는,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의 통신 링크 확립, 충전 조건의 결정, 충전 준비의 성공 여부의 확인 등이 실시된다. 충전 단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충전 시퀀스에 따라서 충전기 (2)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실제의 전력 공급이 실시된다. 충전 종료 단계에서는, 전력 공급 후에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에서 이번 충전에 관한 통계 데이터의 수수가 실시된다.
먼저, 충전 준비 단계에 있어서, 차량 (1) 과 충전기 (2) 의 핸드셰이크가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충전기 (2) 는,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는, 충전기 (2) 가 준거하는 통신 시퀀스 (통신 프로토콜) 의 버전 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차량 (1) 은,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에 응답하여, 차량 핸드셰이크 메시지 (BHM)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2). 차량 핸드셰이크 메시지 (BHM) 는, 차량 (1) 의 최고 허용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기 (2) 는, 충전기 (2) 가 차량 (1) 을 아직 식별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3). 차량 (1) 은,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에 응답하여, 충전기 (2) 가 차량 (1) 을 식별하기 위한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4).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는, 차량 (1) 이 준거하는 통신 시퀀스의 버전 번호, 배터리 (14) 의 종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 차량 (1) 의 정격 용량 및 정격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충전기 (2) 는,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에 응답하여, 충전기 (2) 가 차량 (1) 을 식별한 것을 나타내는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5).
다음으로, 차량 (1) 은, 차량 (1) 에 탑재된 배터리 (14) 의 사양에 관한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6).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는, 배터리 (14) 및 셀 (140) 의 최고 허용 전압, 그리고 배터리 (14) 의 최고 허용 전류, 최고 허용 온도, SOC 및 전압 (VB) 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2) 는,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에 응답하여, 충전기 (2) 로부터 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7).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는, 최고 출력 전압 및 최대 출력 전류에 더하여, 최저 출력 전압 및 최소 출력 전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차량 (1) 은, 차량 (1) 의 충전 준비가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8). 또한, 차량 (1) 은, 차량 (1) 의 충전 준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9). 충전기 (2) 는,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에 응답하여, 충전기 (2) 로부터의 출력 (전력 공급) 준비가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0). 또한, 충전기 (2) 는, 충전기 (2) 로부터의 출력 준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1). 이로써 충전 준비 단계가 종료되고, 처리가 충전 단계로 진행된다.
충전 단계에 있어서, 차량 (1) 은,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를 충전기 (2) 에 송신함과 함께,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12).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는, 차량 (1) 으로부터 충전기 (2) 에 대한 요구 전압 및 요구 전류 그리고 충전 모드 (정전압 충전 모드 또는 정전류 충전 모드)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는, 배터리 (14) 의 충전 전압 (VB), 충전 전류 (IB) 및 SOC 그리고 나머지 충전 시간의 추정값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 (2) 는, 충전 개시 (계속) 를 통지하기 위한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3).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는, 충전기 (2) 의 출력 전압 (공급 전압) 및 출력 전류 (공급 전류)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차량 (1) 은, 차량 (1) 이 충전을 중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충전 중지 메시지 (BST)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14). 충전 중지 메시지 (BST) 는, 차량 (1) 이 충전을 중지하는 원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2) 는, 충전기 (2) 가 충전을 중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5). 충전기 (2) 가 충전을 중지하는 원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충전 단계가 종료되고, 처리가 충전 종료 단계로 진행된다.
충전 종료 단계에 있어서, 차량 (1) 은, 이번 충전 과정에 있어서의 차량 (1) 의 통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통계 데이터 메시지 (BSD) 를 충전기 (2) 에 송신한다 (SQ16). 통계 데이터 메시지 (BSD) 는, 충전 중지시의 배터리 (14) 의 SOC, 그리고 배터리 (14) 의 최저 전압, 최고 전압, 최저 온도 및 최고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 (2) 는, 이번 충전 과정에 있어서의 충전기 (2) 의 통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통계 데이터 메시지 (CSD)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7). 통계 데이터 메시지 (CSD) 는, 이번 충전의 충전 시간 및 이번 충전에서의 충전기 (2) 로부터의 출력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의 일련의 통신 시퀀스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충전 규격에 규정된 표준 통신 시퀀스는, 차량 (1) 과 충전기 (2) 사이에서 기본적으로 교대로 메시지 (신호) 의 교환을 실시하면서, 충전 준비 단계, 충전 단계, 충전 종료 단계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의 특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교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 (특히 충전 준비 단계에 있어서의 시퀀스) 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예에서는, 차량 (1) 대신에 차량 (9) 의 외부 충전이 실시된다. 차량 (9) 의 전체 구성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차량 (1) 의 구성과 동일하다. 차량 (9) 은 급속 충전의 충전 규격 (신규격) 에 준거한 처리가 가능하지만, 충전기는 신규격에 완전하게는 준거하고 있지 않은 상황을 상정한다. 신규격에 준거한 충전기 (2) 에 대해, 신규격에 완전하게는 준거하고 있지 않은 충전기를 「충전기 (8)」라고 기재하고, 양자를 구별한다.
도 4 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비교예에서는, 먼저, 충전기 (8) 는, 도 3 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를 차량 (9) 에 송신한다 (SQ1). 차량 (9) 은,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에 응답하여, 차량 핸드셰이크 메시지 (BH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2).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준거한 충전기이면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송신하는 바, 신규격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충전기 (8) 는,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송신하지 않는다 (점선 참조). 바꾸어 말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결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 (9) 으로부터 충전기 (8) 에,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차량 식별 메시지 (BRM) 가 송신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충전 준비 단계에 있어서 통신 시퀀스가 중단된다. 통신 시퀀스가 중단된 채로 규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9) 과 충전기 (8) 사이의 통신 링크 확립에 실패한 것으로 하여,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9) 에 대한 전력 공급이 실시되지 않고 외부 충전 제어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충전기 (8) 에 조우한 경우, 차량 (9) 측은 신규격에 준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9) 의 외부 충전을 실시할 수 없다. 그러면, 차량 (9) 의 사용자는 다른 충전기를 찾는 수고가 생겨, 사용자의 편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충전기 (8) 여도,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9) 에 대한 전력 공급이 시작되면, 충전기 (8) 는, 신규격에 준거하여 전력을 공급 가능할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가능성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1) 은, 예를 들어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결락되고, 신규격에 규정된 타이밍으로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일단, 표준 통신 시퀀스에 정해진 처리를 먼저 진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1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차량 (1) 은, 충전기 (8) 로부터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수신하지 않아도, 차량 핸드셰이크 메시지 (BHM) 의 송신시 (SQ2) 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 (후술하는 임시 타임 아웃이 성립한 시점) 에서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4). 그 후, 충전기 (8) 가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에 응답하여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송신하면 (SQ5), 차량 (1) 은,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에 응답하여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6). 그 후에는 표준 통신 시퀀스 (도 3 참조) 에 있어서의 설명과 동일하게, SQ7 이후의 처리가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및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는,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의 통신 링크의 확립에 사용되는 신호이다. 비록 SQ3 에 있어서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수신하지 않아도 SQ5 에 있어서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수신할 수 있으면, 차량 (1) 은, 통신 링크가 확립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1) 은,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의 송신 (SQ6) 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그 후에는 충전기 (8) 가 신규격에 준거하고 있고, SQ7 ∼ SQ11 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충전 단계로 처리를 진행하여 배터리 (14) 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에 설명한 시퀀스도는 일례이며, 이하의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기 (8) 로부터의 다른 메시지가 결락된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2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 을 참조하여, 제 2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SQ1 ∼ SQ4 의 처리는, 표준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처리 (도 3 참조) 와 동일하다.
제 2 통신 시퀀스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가 결락된다. 차량 (1) 은, 충전기 (8) 로부터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수신하지 않아도,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의 송신시 (SQ4) 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6).
충전기 (8) 가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에 응답하여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송신하면 (SQ7), 차량 (1) 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에 응답하여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8).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지만, 그 후, SQ9 이후의 처리가 표준 통신 시퀀스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3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 을 참조하여, 제 3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SQ1, SQ2 의 처리는, 표준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처리 (도 3 참조) 와 동일하다.
제 3 통신 시퀀스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결락된다. 차량 (1) 은, 충전기 (8) 로부터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수신하지 않아도, 차량 핸드셰이크 메시지 (BHM) 의 송신시 (SQ2) 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4). 그러나, 충전기 (8) 는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에도 응답하지 않고,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도 결락된다. 그래도, 차량 (1) 은,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의 송신시 (SQ4) 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6).
그 후, 충전기 (8) 가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에 응답하여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송신하면 (SQ7), SQ8 이후의 처리가 제 2 통신 시퀀스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제 1 ∼ 제 3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는,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의 통신 링크가 확립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가 결락된 경우에, 그 결락된 메시지의 다음에 규정된 메시지를 차량 (1) 으로부터 충전기 (8) 에 대해 송신한다. 그리고, 충전기 (8) 가 당해 메시지에 응답한 경우에는, 차량 (1) 은, 통신 링크의 확립이 확인되었다고 판단하고, 후속의 시퀀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충전기 (8) 가 신규격에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통신 링크 확립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교환의 1 번 (또는 2 번) 의 실패에서 기인하여, 그 후의 처리가 중단되어 외부 충전 제어의 중지에 이르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기 (8) 가 그 후에는 신규격에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여 배터리 (14) 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 시퀀스에서는,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1 신호」의 일례이고, 차량 식별 메시지 (BRM)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2 신호」의 일례이고,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3 신호」의 일례이다. 제 2 및 제 3 통신 시퀀스에서는,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1 신호」의 일례이고, 충전 제원 메시지 (BCP)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2 신호」의 일례이고,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3 신호」의 일례이다.
제 1 ∼ 제 3 통신 시퀀스 (도 5 ∼ 도 7 참조) 에서는, 통신 링크 확립을 위한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가 결락된 경우에, 일단, 처리를 먼저 진행하여 충전기 (8) 로부터의 후속의 메시지를 기다리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처리는, 통신 링크 확립보다 후의 메시지 교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4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 을 참조하여, 제 4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SQ1 ∼ SQ6 의 처리는, 표준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처리 (도 3 참조) 와 동일하다.
제 4 통신 시퀀스에서는, SQ6 에 있어서 차량 (1) 으로부터 충전기 (8) 에 충전 제원 메시지 (BCP) 가 송신된다. 그러나, 충전기 (8) 는,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타이밍에서는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차량 (1) 에 송신하지 않는다. 차량 (1) 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하고 있지 않지만,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8). 그렇게 하면,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의 송신 후에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가 충전기 (8) 로부터 송신된다 (SQ7). 차량 (1) 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하면,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9). 그 후에는 제 1 ∼ 제 3 통신 시퀀스와 동일하게 SQ10 이후의 처리가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제 4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규정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차량 (1) 은, 2 개의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중 일방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을 충전기 (8) 에 송신하고, 그것에 대한 충전기 (8) 의 응답을 기다린다. 충전기 (8) 로부터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한 경우에는,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의 수신 순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와는 상이하지만, 차량 (1) 은, 2 개의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중 다른 일방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을 충전기 (8) 에 송신하고, 후속의 처리를 계속한다.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에는 충전기 (8) 의 출력 능력 (충전기 (8) 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압 및 전류) 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안전한 전력 수수에는 필요 불가결하다. 그 때문에, 후의 플로 차트 (도 12 참조)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1) 은,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를 송신해도 충전기 (8) 로부터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를 충전기 (8) 에 송신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통신 시퀀스가 타임 아웃에 이르고,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이 실시되지 않고, 처리가 중지된다.
이상과 같이, 제 4 통신 시퀀스에 의하면, 충전기 (8) 가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비교예와 비교하여, 충전기 (8) 로부터의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충전기 (8) 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규정 순서보다 후에 송신한 경우여도,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을 실시하여 배터리 (14) 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충전기 (8) 가 여전히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수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4 통신 시퀀스에서는,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1 신호」의 일례이고,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2 신호」의 일례이다.
이하의 제 5 ∼ 제 7 통신 시퀀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기 (8) 가 출력 (전력 공급) 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 통지하기 위한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가 결락되거나 규정 순서로 송신되지 않거나 경우에 관해서도 차량 (1) 측에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5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제 5 그리고 후술하는 제 6 및 제 7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SQ1 ∼ SQ9 의 처리는, 표준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처리 (도 3 참조) 와 동일하다.
도 9 를 참조하여, 제 5 통신 시퀀스에서는, 차량 (1) 으로부터 충전기 (8) 에 대해, 2 개의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및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가 송신된다 (SQ8, SQ9). 그렇게 하면, 충전기 (8) 는, 충전기 (8) 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를 송신하지 않고, 충전기 (8) 의 출력 준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1).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를 수신하면, 차량 (1) 은, 충전기 (8) 측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충전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차량 (1) 은,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12). 그 후에는, 표준 통신 시퀀스와 동일하게 SQ13 이후의 처리가 진행된다.
또한, 제 5 통신 시퀀스에서는,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1 신호」의 일례이고,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2 신호」의 일례이다. 또,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가 본 개시에 관련된 「다른 신호」의 일례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6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여, 제 6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 충전기 (8) 는,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0). 그러나, 충전기 (8) 는,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를 송신하지 않고, 충전기 (8) 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SQ13).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를 수신한 차량 (1) 은, 충전기 (8) 측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12). 이로써,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제 7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여, 제 7 통신 시퀀스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해, 2 개의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및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가 모두 송신되지 않고,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가 송신된다 (SQ13). 그렇게 하면, 차량 (1) 은, 충전기 (8) 측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12). 이로써,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제 5 ∼ 제 7 통신 시퀀스에 의하면, 차량 (1) 은, 충전기 (8) 로부터의 2 개의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및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중 일방 또는 양방이 결락된 경우여도, 그 결락된 신호보다 후에 송신되어야 할 신호를 선행하여 수신했을 때에는, 충전기 (8) 측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후속의 처리를 진행한다. 이로써,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배터리 (14) 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6 및 제 7 통신 시퀀스에서는,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1 신호」의 일례이고,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제 2 신호」의 일례이다. 또,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가 본 개시에 관련된 「다른 신호」의 일례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 전체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 플로 차트는, 차량 (1) 과 충전기 (8) (충전기 (2) 여도 된다) 가 충전 케이블 (3) 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저압 전원이 투입되고,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의 CAN 통신 등이 가능해진 경우에 실행된다. 각 스텝 (이하, 스텝을 S 라고 약기한다) 은, ECU (10) 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되지만, ECU (10) 내에 제작된 하드웨어 (전기 회로) 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2 를 참조하여, S101 에 있어서, ECU (10) 는,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가 타임 아웃에 이르렀는지를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ECU (10) 는, 당해 플로의 개시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타임 아웃 시간 (예를 들어 수십 초) 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시퀀스가 타임 아웃에 이른 경우 (S101 에 있어서 YES) 에는, 이상 (異常) 에 의해 외부 충전 제어를 실행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외부 충전 제어가 타임 아웃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 (S101 에 있어서 NO), ECU (10) 는,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타이밍으로 충전기 (8) 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02). 규정 타이밍 (규정 시간 내 또한 규정 순서에 따른 순서) 으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S102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신 시퀀스에 정해진 다음의 처리를 실행하고 (S103), 그 후, 처리를 S101 로 되돌린다. S101 에 있어서 NO 판정-S102 에 있어서 YES 판정-S103 으로 진행되는 처리는, 표준 통신 시퀀스 (도 3 참조) 를 따라 진행되는 정상적인 처리이다.
이것에 대해, 신규격에 규정된 타이밍으로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S102 에 있어서 NO), 즉,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가 결락되어 있었던 경우, 또는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의 순서가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대로가 아니었던 경우, ECU (10) 는,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를 규정 순서에 선행하여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S104).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를 규정 순서에 선행하여 수신한 경우 (S104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그 수신 메시지가 충전기 (8) 로부터의 출력 준비에 관련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05). 구체적으로는, ECU (10) 는, 수신 메시지가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또는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 메시지가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또는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인 경우 (S105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06). 그 후, 처리는 S101 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충전 요구 메시지 (BCL) 및 전지 충전 상태 메시지 (BCS) 에 응답하여 충전기 (8) 로부터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가 송신되면, S102 에 있어서 YES 라고 판정되고, 처리가 S103 으로 진행된다. 한편, 수신 메시지가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및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중 어느 것도 아닌 경우 (S105 에 있어서 NO) 에는, S106 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처리가 S101 로 되돌아간다.
S101 에 있어서 NO 판정-S102 에 있어서 NO 판정-S104 에 있어서 YES 판정-S105 에 있어서 YES 판정-S106 으로 진행되는 처리는, 제 5 ∼ 제 7 통신 시퀀스 (도 9 ∼ 도 11 참조) 에 나타난 처리이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S107 ∼ S112 의 처리는, 제 1 ∼ 제 4 통신 시퀀스 (도 5 ∼ 도 8 참조) 에 나타난 처리이다.
S104 에 있어서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를 규정 순서에 선행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S104 에 있어서 NO), ECU (10) 는, 처리를 S107 로 진행하고,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가 임시 타임 아웃에 이르렀는지를 판정한다. 이 임시 타임 아웃은,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의 결락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충전기 (8) 로부터의 전의 메시지 수신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도달한 시각에 성립한다. 임시 타임 아웃 시간은, S101 에 있어서의 타임 아웃 시간보다 짧고, 예를 들어 수 초 ∼ 수십 초 정도로 정할 수 있다. 충전기 (8) 로부터 어떠한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S107 에 있어서 NO 판정-S101 에 있어서 NO 판정-S102 에 있어서 NO 판정-S104 에 있어서 NO 판정이라는 처리가 반복된다.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임시 타임 아웃 시간이 경과하면 (S107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충전기 (8) 로부터 본래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가 결락되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S108 로 진행한다.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가 결락된 경우에, 그 결락된 메시지가 무엇이어도 ECU (10) 가 처리를 먼저 진행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결락 메시지가 외부 충전 제어에 필수의 것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ECU (10) 는, 통신 시퀀스의 처리를 먼저 진행한다. S108 에 있어서, ECU (10) 는, 결락 메시지가 제 1 ∼ 제 4 통신 시퀀스에서 설명한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결락 메시지가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또는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결락 메시지가 제 1 ∼ 제 4 통신 시퀀스에서 설명한 메시지가 아닌 경우 (S108 에 있어서 NO) 에는, 처리가 S101 로 되돌아간다. 그 후, S101 에 있어서 NO 판정-S102 에 있어서 NO 판정-S104 에 있어서 NO 판정-S107 에 있어서 YES 판정-S108 에 있어서 NO 판정이라는 처리가 반복되는 동안에 타임 아웃 시간이 경과하고 (S101 에 있어서 YES), 처리가 종료된다.
결락 메시지가 제 1 ∼ 제 4 통신 시퀀스에서 설명한 메시지인 경우 (S108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통신 시퀀스의 처리를 진행하고,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결락 메시지의 다음의 메시지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09).
또한, 후술하는 S112 에 있어서 NO 판정의 경우, 처리가 다시 S109 로 진행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제 3 통신 시퀀스에서는 문제 없지만, 제 1 또는 제 2 통신 시퀀스 등에서는, 다시 결락 메시지의 다음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다음의 메시지를 이미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S109 에 있어서 다시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S110 에 있어서, ECU (10) 는, S109 에서 차량 (1) 으로부터 송신된 메시지에 대해 충전기 (8) 가 소정 시간 내에 응답했는지를 판정한다. 충전기 (8) 가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 (S110 에 있어서 NO), ECU (10) 는, 타임 아웃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12). 이 처리는, S101 의 처리와 동일하게, 플로 개시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타임 아웃 시간 (예를 들어 수십 초) 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충전기 (8) 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채 타임 아웃이 성립한 경우 (S112 에 있어서 YES) 에는, ECU (10) 는, 외부 충전 제어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충전기 (8) 가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한 경우 (S110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통신 시퀀스의 처리를 먼저 진행한다 (S111). ECU (10) 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따른 메시지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그 후, 처리는 S101 로 되돌아간다.
S107 ∼ S112 의 처리와 제 1 ∼ 제 4 통신 시퀀스의 대응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통신 시퀀스 (도 5 참조) 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결락된다 (S107 에 있어서 YES 판정 또한 S108 에 있어서 YES 판정). 그렇게 하면,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의 송신 (S109) 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충전기 (8) 가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에 응답하여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돌려주면 (S110 에 있어서 YES), 차량 (1) 으로부터 충전 제원 메시지 (BCP) 가 송신된다 (S111).
제 2 통신 시퀀스 (도 6 참조) 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가 결락된다 (S107 에 있어서 YES 판정 또한 S108 에 있어서 YES 판정). 그렇게 하면,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의 송신 (S109) 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충전기 (8) 가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에 응답하여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돌려주면 (S110 에 있어서 YES), 차량 (1) 으로부터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가 송신된다 (S111).
제 3 통신 시퀀스 (도 7 참조) 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및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의 양방이 결락된다. 먼저,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가 결락에 의해 (S107 에 있어서 YES 판정 또한 S108 에 있어서 YES 판정), ECU (10) 는,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09). 그러나, 충전기 (8) 는, 소정 시간 내에 차량 식별 메시지 (BRM) 에 응답하지 않기 때문에 (S110 에 있어서 NO 또한 S112 에 있어서 NO), 처리가 S107 로 되돌아간다. 그렇게 하면, 이번에는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의 결락에 의해 (S107 에 있어서 YES 판정 또한 S108 에 있어서 YES 판정), ECU (10) 는, 충전 제원 메시지 (BCP)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09). 충전기 (8) 가 충전 제원 메시지 (BCP) 에 응답하여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돌려주면 (S110 에 있어서 YES),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의 송신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S111).
제 4 통신 시퀀스 (도 8 참조) 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의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가 후에 송신되지만, 그 송신 타이밍이 규정 타이밍과 상이하다. 그 때문에,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하여 임시 타임 아웃이 성립하고 (S107 에 있어서 YES 판정 또한 S108 에 있어서 YES 판정), 차량 (1) 은,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09).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정해진 본래의 처리와는 상이하지만, 충전기 (8) 가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에 응답하여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를 돌려주면 (S110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제 1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00)) 에 계속되는 제 2 충전 준비 완료 메시지 (BRO(0xAA))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111).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 에 의하면, 충전기 (8) 측이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완전하게 준거하고 있지 않고, 충전기 (8) 로부터의 메시지가 결락된 경우나 송신해야 할 메시지와는 상이한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여도, 그 메시지보다 후에 규정된 메시지를 차량 (1) 으로부터 충전기 (8) 로 송신한다. 차량 (1) 측이 통신 시퀀스에 정해진 처리를 잠정적으로 먼저 진행함으로써, 차량 (1) 으로부터의 송신 메시지를 계기로 충전기 (8) 가 필요한 메시지를 차량 (1) 에 돌려줄 가능성이 있다. 충전기 (8) 가 메시지를 돌려주고,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의 통신 시퀀스가 표준 통신 시퀀스로 복귀하면, 그것 이후의 충전 준비 단계의 통신 시퀀스를 정상적으로 실행하고, 충전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전력 공급을 실시하여 배터리 (14) 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서는,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송신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이 표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차량 (1) 측에서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충전기 (8) 로부터 차량 (1) 에 대한 송신 내용이 표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차량의 전체 구성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차량 (1) 의 전체 구성 (도 2 참조) 과 동일하다.
도 13 은,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데이터 필드의 구조 (포맷)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을 참조하여,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데이터 필드 (말하자면 메시지의 요지) 는, 예를 들어 4 바이트의 바이트 길이를 갖고, 이하와 같은 내용을 나타낸다.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1 바이트째 (CST1 로 나타낸다) 의 필드는, 바이트 길이 1 바이트이고, 충전기가 충전을 중지하는 원인 (사전에 설정된 종료 조건이 성립한 것에 의한 중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중지, 충전기의 고장에 의한 중지 등) 을 나타낸다.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2 바이트째 (CST2 로 나타낸다) 의 필드는, 바이트 길이 2 바이트이고, 충전기가 충전을 중지하는 고장 원인 (충전기의 과열 고장, 충전기의 커넥터 고장 등) 을 나타낸다.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4 바이트째 (CST4 로 나타낸다) 의 필드는, 바이트 길이 1 바이트이고, 충전기가 충전을 중지하는 에러 원인 (전류 이상, 전압 이상 등) 을 나타낸다.
필드 (CST1) 에 포함되는 각 비트가 나타내는 내용은,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비트 및 제 2 비트의 양방이 0 인 것 <00> 은, 정상적인 충전 중지를 나타낸다. 제 1 비트가 0 이고, 제 2 비트가 1 인 것 <01> 은, 충전기측이 설정 조건에 도달한 것에 의한 중지를 나타낸다. 제 1 비트가 1 이고, 제 2 비트가 0 인 것 <10> 은, 차량 (1) 또는 충전기 (8) 를 신뢰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제 1 비트 및 제 2 비트의 양방이 1 인 것 <11> 은, 통신 시퀀스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 다른 필드 (CST2, CST4) 에 대해서도 동일한 정의가 실시되고 있다.
도 14 는,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급속 충전의 충전 규격 (신규격) 의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바와 같이 수신한 경우 (정상 수신시) 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여, 차량 (1) 은,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수신하면,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에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를 참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1) 은,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에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가 도 13 에서 설명한 내용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 을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그리고, 차량 (1) 은, 그 해석 결과에 따라, 당해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수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1) 은,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수취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긍정 응답 (도 14 에서는 ACK 로 나타낸다) 을 충전기 (2) 에 돌려줌과 함께, 다음의 메시지를 충전기 (2) 에 송신하기 위해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한다. 단, 긍정 응답 (ACK) 의 답신은 본 개시에 필수는 아니다.
정상적인 충전기 (2) 로부터 송신된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에는, 통신 시퀀스에 규정대로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가 포함되기 때문에, 차량 (1) 은, 통신 시퀀스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신규격에 완전하게 준거 (적합) 하고 있지 않은 충전기 (8) 는, 이하의 비교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과는 상이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 (바꾸어 말하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거나, 혹은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지 않는 데이터 필드) 를 차량 (1) 에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
도 15 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있어서의 충전기 (8) 는,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과는 상이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비교예에 있어서의 차량 (9) 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비트 및 제 2 비트의 양방이 1 로서 미정의 (未定義) 된 필드 (CST1) 를 포함하는 충전 중지 메시지 (CST) 가 송신된다.
차량 (9) 은, 수신한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내용을 참조하고, 그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에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이 판명되면,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수취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바와 같은 다른 충전 중지 메시지 (CST) 가 충전기 (8) 로부터 송신되지 않는 한, 차량 (1) 에서는 통신 시퀀스가 먼저 진행되지 않는다. 그 결과, 타임 아웃 처리 (후술) 에 이르고, 외부 충전 제어가 종료된다.
도 16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 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도 비교예와 동일하게, 충전기 (8) 는,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과는 상이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차량 (1) 에 송신한다.
실시형태 2 에 있어서, 차량 (1) 은, 수신한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내용을 참조하지 않는다. 요컨대, 차량 (1) 은, 수신한 메시지가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인 것을 알 수 있으면, 그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에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해석하지 않고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수취하고,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한다. 이로써,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송신원 (送信元) 의 충전기 (8) 가 통신 시퀀스에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의 데이터 필드에서 기인되는 통신 시퀀스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 도 16 에서는 충전 중지 메시지 (CST) 를 예로 설명했지만, 다른 메시지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모든 메시지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7 은, 메시지마다의 처리 내용의 개요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7 을 참조하여,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통신 시퀀스의 버전 번호 등의 정보는, 전력 공급에 필수의 정보는 아니다. 또,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에 포함되는 충전기 (8) 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관한 정보도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통계 데이터 메시지 (CSD) 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도, 충전 실적 (충전 시간이나 충전기 (8) 로부터의 출력 전력량) 에 관한 정보를 충전 종료 단계에서 전달하는 것이고, 전력 공급에 필수의 정보는 아니다. 따라서, 차량 (1) 은,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및 통계 데이터 메시지 (CSD) 에 대해서도, 차량 (1) 이 충전기 (8) 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가지고,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내용 또는 요지) 에 대해서는 참조하지 않고, 통신 시퀀스의 후속되는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및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그리고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 (제 1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00)) 및 제 2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0xAA))) 에 대해서는, 차량 (1) 은,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를 참조하고, 통신 시퀀스의 처리를 먼저 진행할지를 판단한다.
도 18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8 을 참조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인 것을 알 수 있으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차량 (1) 은,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의 데이터 필드를 참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1) 은, 먼저, 충전기 (8) 가 차량 (1) 을 미식별인 것을 나타내는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를 충전기 (8) 로부터 수신한다. 그 후,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가 충전기 (8) 에 의해 변경되고, 차량 (1) 은, 충전기 (8) 가 차량 (1) 을 식별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충전기 (8) 로부터 수신한다. 그렇게 하면, 차량 (1) 은,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를 수취했다고 하여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한다.
도 3 에서 설명한 통신 시퀀스에 의하면, 차량 (1) 은,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에 응답하여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한다 (SQ4). 그러나, 실시형태 2 에서는, 차량 (1) 이 차량 식별 메시지 (BRM) 를 충전기 (8) 에 송신하지 않고 충전기 (8) 로부터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를 수신한 경우에도, 통신 시퀀스가 먼저 진행된다.
한편, 충전기 (8) 가 차량 (1) 을 식별이 끝난 상태인 것이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의 수신에 의해 확인된 채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차량 (1) 은,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가 제 1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00)) 로부터 제 2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0xAA)) 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하지 않고, 타임 아웃 처리의 발생을 허용한다.
또한, 도 18 에서는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를 예로 설명했지만,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 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도 19 는,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의 수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9 를 참조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인 것을 알 수 있으면, 차량 (1) 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의 데이터 필드를 참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1) 은,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충전기 (8) 로부터 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것인지를 해석한다.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에 포함되는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충전기 (8) 의 최고 출력 전압 및 최대 출력 전류 그리고 최저 출력 전압 및 최소 출력 전류에 관한 정보이며,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에서의 안전한 전력 수수를 위한 충전 조건의 결정에 필요 불가결하다. 따라서, 차량 (1) 은, 충전기 (8) 로부터 수신한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것인 경우에는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하는 한편, 상기 정보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개의 신호의 모두에 대해, 그 내용을 참조하지 않고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지만, 상기 4 개의 신호 중 어느 1 개 ∼ 3 개에 대해서만 당해 처리를 적용해도 된다. 요컨대, 상기 4 개의 신호 중의 적어도 1 개에 당해 처리를 적용하면 된다.
도 20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외부 충전 제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0 을 참조하여, 이 플로 차트는, 차량 (1) 과 충전기 (8) (충전기 (2) 여도 된다) 가 충전 케이블 (3) 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저압 전원이 투입되고, 차량 (1) 과 충전기 (8) 사이의 CAN 통신 등이 가능해진 경우에 실행된다. 각 스텝은, ECU (10) 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되지만, ECU (10) 내에 제작된 하드웨어 (전기 회로) 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20 을 참조하여, S201 에 있어서, ECU (10) 는, 충전기 (8) 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시지를 수신하면 (S201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그 메시지가 특정한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02).
수신한 메시지가 특정한 메시지, 즉, 충전 중지 메시지 (CST), 충전기 핸드셰이크 메시지 (CHM), 충전기 충전 상태 메시지 (CCS), 및 통계 데이터 메시지 (CSD) 중 어느 것인 경우 (S202 에 있어서 YES) 에는, ECU (10) 는, 그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가 필수의 것은 아니라고 하여, 데이터 필드를 참조하지 않고 통신 시퀀스를 진행한다 (S203). 그 후, 처리가 S201 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해, 수신한 메시지가 특정한 메시지 이외의 다른 메시지, 즉, 충전기 식별 메시지 (CRM), 최대 출력 능력 메시지 (CML), 및 출력 준비 완료 메시지 (CRO) 중 어느 것인 경우 (S202 에 있어서 NO) 에는, ECU (10) 는, 그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데이터 필드를 참조한다 (S204). 그리고, ECU (10) 는, 데이터 필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S205). 데이터 필드의 내용이 규정된 내용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도 18 또는 도 19 에서 상세하게 설명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수신한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S205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처리를 S203 으로 진행하고, 후속되는 통신 시퀀스를 실행한다. 이것에 대해, 수신한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가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경우 (S205 에 있어서 NO), ECU (10) 는, 외부 충전 제어가 타임 아웃에 이르렀는지 판정한다 (S206).
도 20 에 나타내는 플로의 개시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타임 아웃 시간 (예를 들어 수십 초) 에 도달하면 (S206 에 있어서 YES), ECU (10) 는, 외부 충전 제어를 정상적으로는 실행할 수 없었다고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외부 충전 제어가 타임 아웃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 (S206 에 있어서 NO) 에는, 처리가 S201 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 에 의하면, 데이터 필드가 전력 수수에 필수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특정한 메시지 (CHM, CCS, CST, CSD) 에 대해서는, 차량 (1) 은, 당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메시지의 요지 또는 내용) 에 관계없이,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한다. 이로써, 충전기 (8) 측이 신규격의 통신 시퀀스에 완전하게는 준거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데이터 필드의 잘못에서 기인되는 통신 시퀀스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필드가 전력 수수에 필수의 내용을 나타내는 다른 메시지 (CRM, CML, CRO) 에 대해서는, 차량 (1) 은, 당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를 참조하고, 통신 시퀀스를 먼저 진행할지를 판단한다. 이로써, 통신 링크의 확립을 확인하거나 (CRM), 전력 수수의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CML, CRO) 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9)

  1. 차량 (1 ; 9) 을 위한 제어 장치 (10) 로서,
    상기 차량 (1 ; 9) 은, 축전 장치 (14)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1 ; 9) 의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 (14) 를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 (10) 는,
    소정 신호의 입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소정 신호의 출력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입출력 회로 (103) 로서, 상기 소정 신호는, 상기 차량 (1 ; 9) 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인, 상기 입출력 회로 (103) 와,
    상기 축전 장치 (14) 의 충전 개시에 앞서,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입출력 회로 (103) 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 (14) 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 (101) 로서,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한 경우에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하는 것이 규정되는, 상기 제어 회로 (10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차량 (1 ; 9) 과 상기 충전기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제 2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추가로 규정되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차량 (1 ; 9) 의 충전의 준비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통신 시퀀스를 추가로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제 2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통신 시퀀스의 진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 대신에,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에 따르지 않는 다른 신호를 상기 차량 (1 ; 9) 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력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어 회로 (101) 는,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 대신에, 상기 통신 시퀀스에 규정된 순서에 따르지 않는 다른 신호를 상기 차량 (1 ; 9) 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차량 (1 ; 9) 의 요구 전압 및 요구 전류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다른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공급 전압 및 공급 전류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위한 제어 장치.
  8. 차량 (1 ; 9) 으로서,
    상기 축전 장치 (14) 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장치 (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차량 (1 ; 9) 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1 ; 9) 은, 축전 장치 (14) 와 제어 장치 (100)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1 ; 9) 의 외부에 형성된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 (14) 를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 (10) 는, 상기 축전 장치 (14) 의 충전 개시에 앞서, 미리 규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충전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축전 장치 (14) 의 충전 준비를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시퀀스에서는, 상기 차량 (1 ; 9) 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한 경우에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하는 것이 규정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 (10) 에 의해,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여도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충전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시퀀스를 상기 제어 장치 (10) 에 의해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20078444A 2019-02-05 2022-06-27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628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8611A JP7172676B2 (ja) 2019-02-05 2019-02-05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JPJP-P-2019-018611 2019-02-05
KR1020200007955A KR102416657B1 (ko) 2019-02-05 2020-01-21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55A Division KR102416657B1 (ko) 2019-02-05 2020-01-21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071A true KR20220093071A (ko) 2022-07-05
KR102628571B1 KR102628571B1 (ko) 2024-01-23

Family

ID=691875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55A KR102416657B1 (ko) 2019-02-05 2020-01-21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20078444A KR102628571B1 (ko) 2019-02-05 2022-06-27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55A KR102416657B1 (ko) 2019-02-05 2020-01-21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51883B2 (ko)
EP (1) EP3693205B1 (ko)
JP (1) JP7172676B2 (ko)
KR (2) KR102416657B1 (ko)
CN (1) CN111516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612A (ja) * 2019-02-05 2019-0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9192A1 (de) * 2016-10-13 2018-04-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telligente ladekommunikationsumschaltung bei can-basierten ladesysteme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202A (ja) * 1993-06-01 1994-12-13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JP4697205B2 (ja) * 2007-09-10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機構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JP4333798B2 (ja) * 2007-11-30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DE102009041434A1 (de) 2009-09-16 2011-03-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ecken von Teilnehmern eines Bussystems und entsprechender Teilnehmer
JP5544499B2 (ja) * 2010-07-12 2014-07-09 アルプス・グリー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充電方法
DE102011007912A1 (de) * 2011-04-21 2012-10-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bau einer IP-basierten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ofahrzeug und einer Ladesteuereinheit
CN103561999B (zh) * 2011-05-27 2016-07-0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JP2013059196A (ja) 2011-09-08 2013-03-28 Toshiba Corp 電池パックと充電器間の通信方法、電池パックと充電器の組装置
US9698866B2 (en) * 2011-12-12 2017-07-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heduling for charger and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i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9071074B2 (en) * 2012-02-20 2015-06-30 Eaton Corporation Multi-standard,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compati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CN103259826B (zh) * 2012-02-20 2016-06-01 伊顿公司 用于充电机和电动车之间的数据传输装置及方法
JP6038290B2 (ja) * 2013-04-01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装置、充電制御装置、及び情報入出力装置
JP5735050B2 (ja) * 2013-06-28 2015-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受電装置
US9446674B2 (en) * 2013-07-15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mutu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DE102015101094A1 (de) * 2015-01-27 2016-07-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steuerung für eine Batterie in einem Fahrzeug
JP6406074B2 (ja) 2015-03-11 2018-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方法
CN108604804A (zh) * 2016-02-15 2018-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协议转换装置
US9669719B1 (en) * 2016-08-03 2017-06-06 Proterra Inc. Multi-protocol charge port for an electric vehicle
DE102017204727A1 (de) * 2017-03-21 2018-09-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Fahrzeug-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Ladestations-Kommunikationsvorrichtung
JP6597684B2 (ja) * 2017-03-21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車両の制御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US10625614B2 (en) * 2017-06-20 2020-04-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rging parameters between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9192A1 (de) * 2016-10-13 2018-04-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telligente ladekommunikationsumschaltung bei can-basierten ladesyste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7295A (ja) 2020-08-20
US20200247263A1 (en) 2020-08-06
CN111516538A (zh) 2020-08-11
EP3693205A1 (en) 2020-08-12
KR20200096732A (ko) 2020-08-13
KR102416657B1 (ko) 2022-07-04
EP3693205B1 (en) 2022-11-16
KR102628571B1 (ko) 2024-01-23
CN111516538B (zh) 2023-08-18
US11351883B2 (en) 2022-06-07
JP7172676B2 (ja) 2022-11-16
US20220258641A1 (en) 2022-08-18
US11912152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7186B (zh) 电动汽车以及电动汽车之间充电的方法
JP7371732B2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US9387767B2 (en) Vehicle with an electric storage section, and charge-discharge system including the vehicle and an energy management equipment
JP7087983B2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20150224890A1 (en) Connector converter and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427084B2 (en) Vehicle
CN111319504B (zh) 充电控制器和包括充电控制器的车辆
KR102628571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그리고 차량의 제어 방법
CN110871703A (zh) 电动车辆的交流充电接口及其充放电方法
US11198372B2 (en) Vehicle and sticking diagnosis method
US11117480B2 (en) Vehicle and sticking diagnosis method
EP4344936A1 (en) Vehicle controller,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20220073532A (ko) 전동화 차량 및 그의 충전 방법
CN117002307A (zh) 电动车充电方法、装置、车辆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