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727A -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727A
KR20220092727A KR1020200183632A KR20200183632A KR20220092727A KR 20220092727 A KR20220092727 A KR 20220092727A KR 1020200183632 A KR1020200183632 A KR 1020200183632A KR 20200183632 A KR20200183632 A KR 20200183632A KR 20220092727 A KR20220092727 A KR 2022009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weight
benzophenone
mpa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083B1 (ko
Inventor
백승협
심민기
강민수
강창수
황신혜
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애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원 filed Critical (주)애니원
Priority to KR102020018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개시된 접착 시트는, 가교된 아크릴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된 아크릴 바인더 수지는,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다관능성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광반응성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 및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아미드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소 주개 그룹을 가지며, 1Hz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25℃에서 100 MPa 내지 1,000 MPa, 25℃에서 0.03 MPa 내지 0.2 MPa, 50℃에서 0.01 MPa 내지 0.10 MPa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0℃이다.

Description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ADHESIVE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USING TH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 커버 성능이 우수한 접착 시트, 상기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층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광학용 투명 접착층은 표시 장치에서 보호 윈도우와 표시 모듈을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접착층과 접촉하는 기판(보호 윈도우 또는 표시 모듈)의 접착면이 단차를 갖는 경우, 접착 단계에서 내부에 기포가 트랩되거나, 접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별로 경화도가 조절됨에 따라 단차 커버 성능이 우수하며 광학용으로 사용 가능한 접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시트는, 가교된 아크릴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된 아크릴 바인더 수지는,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다관능성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광반응성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 및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아미드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소 주개 그룹을 가지며, 1Hz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25℃에서 100 MPa 내지 1,000 MPa, 25℃에서 0.03 MPa 내지 0.2 MPa, 50℃에서 0.01 MPa 내지 0.10 MPa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4-아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및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N-아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가교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50 중량%,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으로 얻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100만이고, 점도는 100 cps 내지 2,000 cps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가교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내지 45 중량%,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으로 얻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고, 점도는 300 cps 내지 1,000 cps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 위에,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0.2 중량부, 벤조 페논 구조와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가교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노광하여,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 및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소 주개 그룹을 갖는 반경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 형성 방법은, 제1 기판에 상기 접착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 시트에 제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노광하여 상기 접착 시트의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의 반응에 의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단차를 갖는 접착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은 표시 패널, 표시 모듈 또는 보호 윈도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노광된 후, 상기 접착층은, 1Hz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25℃에서 300 MPa 내지 800 MPa, 25℃에서 0.07 MPa 내지 0.25 MPa, 50℃에서 0.05 MPa 내지 0.10 MPa이고, 유리전이온도는 0℃ 내지 1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착 시트의 단차 커버 성능을 개선함에 따라, 접착 공정에서의 기포 생성, 접착 불량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를 이용한 결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코팅층, 예비 경화층 및 접착층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과 보호층(30) 사이에 접착 조성물이 제공되어 코팅층(2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조성물은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상기 보호층(3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조성물은,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다관능성 가교제, 광반응성 가교제 및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은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비-3차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 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 4-메틸-2-펜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아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 연성(softness)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과다할 경우,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점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모듈러스를 증가시키고 점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과다할 경우, 접착 시트의 연성이 저하되고 외력에 의한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짐에 따라 수소 결합을 통한 응집력을 증가시키고, 유리 등에 대한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온고습 환경에서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은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 중량% 내지 50 중량%,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은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 중량% 내지 45 중량%,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은,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제3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합성시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분자량의 과도한 증가 방지), 중합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제로서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a-메틸스티렌다이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자량 조절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2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0.03 내지 0.09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중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개시제는 벤질 디메틸 케탈,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비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벤조일 디에톡시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벤조인알킬 에테르(예를 들어, 벤조인메틸 에테르, 벤조인에틸 에테르, 벤조인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아이소부틸 에테르, n-부틸벤조인 에테르 등),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p-tert-부틸 트라이클로로 아세토페논, p-tert-부틸 디클로로 아세토페논, 벤질, 벤조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티오잔톤(2-클로로 티오잔톤, 2-메틸 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2,4-디아이소프로필 티오잔톤), 디벤조수베론, 4,4'-디클로로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3,3',4,4'-테트라(tert-부틸 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벤잘아세톤, 바이아세틸, α,α-디클로로-4-페녹시 아세토페논,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α,α'-아조 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일퍼옥사이드,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메틸벤조일 포르메이트,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아실옥심 에스테르, 아세토페논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디에틸케탈, 4'-아이소프로필-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메틸 페닐글리옥실레이트, 메틸 o-벤조일벤조산 벤조에이트, 메틸 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바이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캄포퀴논, 3-케토쿠마린, 안트라퀴논(예를 들어, 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α-클로로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등), 아세나프텐, 4,4'-디메톡시벤질, 4,4'-디클로로벤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3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0.03 내지 0.1 중량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 상기 분자량 조절제 및 상기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조성물을 준비하고 블랙 라이트 램프(black light lamp)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만 내지 100만일 수 있으며, 점도는 100 cps 내지 2,000 cp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만 내지 50만일 수 있으며, 점도는 300 cps 내지 1,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 및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을 추가하고, 교반 및 탈포한 후, 준비된 접착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 필름(10) 위에 도포한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벤조페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4-아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또는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 BPM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수소 결합을 통한 응집력을 증가시키고, 유리 등에 대한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온고습 환경에서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의 2차 반응시 수소 주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기 및 아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N-아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 및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의 함량이 과다할 경우, 경화도 및 응집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단차 극복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과소할 경우 경화도 및 응집력이 감소하여 점착력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0.2 중량부, 벤조 페논 구조와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가교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 0.02 내지 0.1 중량부,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 0.2 내지 1 중량부 및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중합 조성물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광개시제 0.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3 내지 0.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10) 및 보호층(30)은 각각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10) 및 보호층(30)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10) 및 보호층(30)은 이형지(라이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22)의 두께는 10㎛ 내지 300㎛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층(22)을 1차 노광하여 예비 경화층(24)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22)은 블랙 라이트 램프(black light lamp)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노광될 수 있으며, 광량은 1,000 mJ/㎠ 내지 5,000 mJ/㎠ 일 수 있다.
상기 노광에 의해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 및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이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의 아크릴레이트기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주쇄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의 벤조 페논 구조는 반응하지 않고 측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경화에 의해 형성된 예비 경화층(24)의 점착력(유리 기판에 대한)은 2,000 gf/in 내지 3,000 gf/in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경화층(24)의 스토리지 모듈러스(저장 탄성률, 1Hz)는 -25℃에서 100 MPa 내지 1,000 MPa, 25℃에서 0.03 MPa 내지 0.2 MPa, 50℃에서 0.01 MPa 내지 0.1 M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경화층(24)의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0℃일 수 있으며, 겔 분율은 40% 내지 6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경화층(24)의 스토리지 모듈러스(저장 탄성률, 1Hz)는 -25℃에서 200 MPa 내지 600 MPa, 25℃에서 0.05 MPa 내지 0.15 MPa, 50℃에서 0.02 MPa 내지 0.05 M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경화층(24)의 유리전이온도는 -10℃ 내지 5℃일 수 있으며, 겔 분율은 40% 내지 60%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예비 경화층(24) 위에 보호층(3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은, 고분자 필름, 이형지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는 반경화(half-cured) 상태의 예비 경화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시트는, 광학용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화층은 1차 경화층, 반경화 접착층 또는 예비 접착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를 이용한 결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기판(42) 위에 예비 경화층(24)을 배치한다. 상기 예비 경화층(24)은 도 3에 도시된 접착 시트의 예비 경화층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상기 제1 기판(42) 상에 제공하기 위하여, 접착 시트의 베이스 필름 또는 보호층을 제거한 후,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상기 제1 기판(42)에 접착한다. 다음으로, 남은 베이스 필름 또는 보호층을 상기 예비 경화층(24)으로부터 분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42)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등과 같은 표시 패널 또는 상기 표시 패널과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44)은 보호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윈도우는 유리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 요소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판(44)은, 단차(높이차)를 갖는 접착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판(44)의 하면은, 홈, 단턱 등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기판(42)도 단차를 갖는 접착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기판(42)에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먼저 접착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기판(44)에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먼저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판(42) 위에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배치한 후, 상기 제2 기판(44)을 상기 예비 경화층(24)에 가압한다. 상기 예비 경화층(24)은 완전히 가교되지 않은 상태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스토리지 모듈러스와 가교도를 갖는다. 따라서, 단차 커버 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기포 생성, 접착 불량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예비 경화층(24)을 2차 노광하여 접착층(26)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비 경화층(24)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노광될 수 있으며, 광량은 1,000 mJ/㎠ 내지 5,000 mJ/㎠ 일 수 있다. 상기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서 방출되는 광은, 블랙 광 램프에서 방출되는 광보다 광 출력이 더 크고, 300nm 내지 400nm의 단파장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500nm 내지 600nm의 장파장 영역에서도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26)은 감압성 점착층일 수 있다.
상기 2차 노광에서는 상기 벤조 페논 구조를 갖는 광반응성 측쇄가 아크릴 바인더 수지와 반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교 구조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스토리지 모듈러스 및 가교도가 증가하여 물성이 개선된 접착층(26)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경화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26)의 점착력(유리 기판에 대한)은 2,000 gf/in 내지 3,000 gf/in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6)의 스토리지 모듈러스(1Hz)는 -25℃에서 100 MPa 내지 1,000 MPa, 25℃에서 0.05 MPa 내지 0.3 MPa, 50℃에서 0.03 MPa 내지 0.15 M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6)의 유리전이온도는 -5℃ 내지 15℃일 수 있으며, 겔 분율은 70% 내지 8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26)의 스토리지 모듈러스(1Hz)는 -25℃에서 300 MPa 내지 800 MPa, 25℃에서 0.07 MPa 내지 0.25 MPa, 50℃에서 0.05 MPa 내지 0.1 M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6)의 유리전이온도는 0℃ 내지 10℃일 수 있으며, 겔 분율은 70% 내지 80%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코팅층, 예비 경화층 및 접착층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1차 경화 전 상기 코팅층(22)의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고분자, 올리고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혼재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1차 경화에 의해 중합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 분자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에 의한 1차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 BPMA)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고분자와 결합하여, 벤조 페논 구조의 측쇄를 형성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2차 경화에 의해 상기 벤조 페논 구조의 측쇄가 다른 고분자와 반응하여 2차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노광에 의해 낮은 스토리지 모듈러스와 가교도를 갖는 예비 경화층을 이용하여 기판들을 결합한 후, 2차 노광을 통해 추가 가교 반응을 진행하여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접착 대상들이 단차를 갖는 경우, 접착층의 높은 모듈러스에 의해 단차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들(기포 트랩, 접착 불량)을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합성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3 중량%,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47 중량%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로서 Omnirad-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0.05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로서 1-도데칸티올 0.08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중합을 진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 내지 50만이고, 점도가 300 내지 800cps인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얻었다.
합성예 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1 중량%,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45 중량%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4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로서 Omnirad-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0.05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로서 1-도데칸티올 0.08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중합(UV 조사)을 진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고, 30만 내지 50만이고, 점도가 300 내지 800cps인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1
합성예 1의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인 Omnirad-184 0.05 중량부, 다관능성 가교제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0.03 중량부, 광반응성 가교제 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 0.7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진공 탈포한 후, 두께 100㎛로 기판(유리) 위에 코팅한 후, 블랙 광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1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다음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2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실시예 2
합성예 2의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인 Omnirad-184 0.05 중량부, 다관능성 가교제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0.03 중량부, 광반응성 가교제 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 0.7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진공 탈포한 후, 두께 100㎛로 기판(유리) 위에 코팅한 후, 블랙 광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1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다음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2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1차 경화 이후 코팅층의 물성과 2차 경화 이후 코팅층의 물성을 각각 측정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1차 경화된 코팅층과 2차 경화된 코팅층의 가교도 및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크게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차 경화에 의해 반경화된 접착층을 이용할 경우, 단차 커버 능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광반응성 가교제가 1차 경화에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합성예 1의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인 Omnirad-184 0.05 중량부, 광반응성 가교제 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BPMA) 0.5 내지 0.7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진공 탈포한 후, 두께 100㎛로 기판(유리) 위에 코팅한 후, 블랙 광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1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다음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2차 경화를 진행하였다(광량 3,000 mJ/㎠). 상기에서 1차 경화 이후의 겔분율과 2차 경화 이후의 겔분율을 각각 측정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다관능성 가교제가 없는 상태에서 1차 경화를 진행할 경우, 겔분율이 0에 가까웠으며, 이를 통해, 광반응성 가교제의 벤조 페논 구조는 1차 경화에서 반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은, 표시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을 위한 광학용 투명 접착층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다관능성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광반응성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 및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아미드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소 주개 그룹을 가지며, 1Hz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25℃에서 100 MPa 내지 1,000 MPa, 25℃에서 0.03 MPa 내지 0.2 MPa, 50℃에서 0.01 MPa 내지 0.10 MPa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0℃인 가교된 아크릴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4-아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및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N-아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가교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50 중량%,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으로 얻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100만이고, 점도는 100 cps 내지 2,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가교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내지 45 중량%,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으로 얻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고, 점도는 300 cps 내지 1,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7. 베이스 필름 위에,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0.2 중량부, 벤조 페논 구조와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가교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노광하여,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 및 상기 선형의 아크릴계 고분자와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소 주개 그룹을 갖는 반경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가교제는 4-아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및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N-아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이고 선형 또는 분기형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내지 45 중량%, 지환족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4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으로 얻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고, 점도는 300 cps 내지 1,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가교제 0.02 내지 0.1 중량부, 벤조 페논 구조와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가교제 0.2 내지 1 중량부 및 아미드계 화합물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13. 제1 기판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접착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 시트에 제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노광하여 상기 접착 시트의 벤조 페논 구조의 광반응성 측쇄의 반응에 의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층의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단차를 갖는 접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층의 형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표시 패널, 표시 모듈 또는 보호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층의 형성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노광된 후, 상기 접착층은, 1Hz 스토리지 모듈러스가 -25℃에서 300 MPa 내지 800 MPa, 25℃에서 0.07 MPa 내지 0.25 MPa, 50℃에서 0.05 MPa 내지 0.10 MPa이고, 유리전이온도는 0℃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층의 형성 방법.

KR1020200183632A 2020-12-24 2020-12-24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KR10241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32A KR102418083B1 (ko) 2020-12-24 2020-12-24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32A KR102418083B1 (ko) 2020-12-24 2020-12-24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727A true KR20220092727A (ko) 2022-07-04
KR102418083B1 KR102418083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32A KR102418083B1 (ko) 2020-12-24 2020-12-24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293A (ko) * 2012-11-19 2015-07-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도로 점착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감압 접착제
KR20190005427A (ko) * 2017-07-06 2019-0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 시트
JP2020033416A (ja) * 2018-08-28 2020-03-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0125370A (ja) * 2019-02-01 2020-08-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性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光硬化性粘着シート、光硬化性粘着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293A (ko) * 2012-11-19 2015-07-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도로 점착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감압 접착제
KR20190005427A (ko) * 2017-07-06 2019-0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 시트
JP2020033416A (ja) * 2018-08-28 2020-03-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0125370A (ja) * 2019-02-01 2020-08-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性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光硬化性粘着シート、光硬化性粘着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83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7328B (zh) 可辐射固化的压敏粘结剂片材
TWI681031B (zh) 黏著組成物以及黏著膜
KR20160003036A (ko) 경화된 접착제 시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WO2017010502A1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7282687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平板表示装置
JP2019089947A (ja) 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2019077748A (ja) 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7287280B2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024079B1 (ko) 자외선 경화형 광학용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2418083B1 (ko)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를 이용한 접착층의 형성 방법
JP7305939B2 (ja) 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7278967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
JP6693491B2 (ja) 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1510719B1 (ko) 재접착성 다층 양면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6705543B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705542B1 (ja) 粘着シート
JP7251073B2 (ja)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0111753A (ja) 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2021020999A (ja)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JP2020193278A (ja) 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6923053B1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CN113195665A (zh) 光固化光学粘合剂组合物,由组合物生产的粘合剂及制备粘合剂的方法
JP6981514B1 (ja) 粘着シート
JP2023057914A (ja) 粘着シート
WO2020250887A1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