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23A -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23A
KR20220092323A KR1020210002200A KR20210002200A KR20220092323A KR 20220092323 A KR20220092323 A KR 20220092323A KR 1020210002200 A KR1020210002200 A KR 1020210002200A KR 20210002200 A KR20210002200 A KR 20210002200A KR 20220092323 A KR20220092323 A KR 20220092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ttery pack
fire
fire extinguish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83B1 (ko
Inventor
리레이 장
이펑 자오
밍밍 리
옌웨이 비
자오쥔 리
시아오통 스
Original Assignee
얀타이 추앙웨이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타이 추앙웨이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얀타이 추앙웨이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57Polyhaloalk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3Fireproof; Explosion-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측제어장치, 화재억제장치 및 소방수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을 공개하여,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배터리 팩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 되어있고, 상기 화재억제장치 및 소방수 소화장치는 배터리 팩의 외부에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화재억제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는 상기 화제억제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익한 효과는, 초기 화재를 억제하는 것을 확실히 할 뿐만 아니라 화재 후의 재연소도 해결할 수 있으며, 소화 효과가 우수하고, 배터리 팩의 내부 핵심위치를 조준해 직접 소화하고, 배기필터장로 인해 초기 소화의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소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을 관한 것이다.
2020년 5월 12일, 중국 산업과 정보화기관에서 조직하여 제정한 GB 18384-2020 <전기자동차 안전요구>, GB38032-2020 <전기버스 안전요구>와 GB30381-2020 <전기자동차용 축전지 안전요구> 의 3개 강제적인 국가표준 (이하"삼항강제표준"로 약칭)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발표되어 2021년 1월1일부터 실시한다.
상기 3항의 강제표준 규정에 따르면, 배터리 단일체가 열 통제 할 수 없을 경우, 배터리 시스템은 5분 내에 경보신호를 보내며, 탑승자에게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강제적인 표준으로 되고, 이는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하여 보다 높은 요구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GB 7258-2017 <자동차 운행 안전기술 조건>12.10.3에 따르면, 차 길이는 6m 보다 크거나 같은 전기자동차, 플러그인식 하이브리드 버스는 동력 배터리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거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이에 대해 경보를 울리여, 경보 후 5분 내에 배터리 케이스 외부에서는 불이 붙거나 폭발이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JT/T1240-2019 <도시 공공버스 전기자동차 차량전용 안전실시 기술요청>11.3에 따르면,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 케이스 소화장치는 열 사고 신호 발생 후 5분 내에서 배터리 케이스 외부 발화하거나 폭발이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전기버스 동력 리튬이온 배터리 케이스 화재방지장치 일반기술 요구> (CCCF/XFJJ-01)는 전기버스 동력 리튬이온 배터리 케이스 화재방지장치중에 있어서, 위험소스 탐측제품, 데이터 정보 수집, 전송, 연동, 피드백 장치, 소리와 빛 경보, 화재억제제 및 저장, 방출장치 등이 포함된다. 배터리의 열을 통제할 수 없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3항 강제표준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고, 신(新)에너지 자동차의 안전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난제로 되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열을 통제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기술방안은 단일한 복합형 탐측제어기에서 경보신호을 제공하거나, 복합형 탐측제어기와 화재억제장치로 구성되였다. 상기 처리 기술방안 중에 있어서, 단일한 복합형 탐측제어기 방안은 초기 경보신호만 보낼 수 있을 뿐이고,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없다. 복합형 탐측제어기와 화제억제장치의 구성방안에 있어서, 초기에 화재 억제에 달할 수 있지만, 화제 후에 나타난 재연소 상황을 해결할 수 없으며, 삼원 배터리 등의 열을 통제할 수 없는 극열함으로 압력이 과대되고, 심지어 동력 배터리 팩의 박스 내에서 폭발될 수 있으며, 순간 화재의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복합형 탐측제어기 + 화재억제장치 방안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초기 반응이 느리고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지만, 화재 후에 재연소 및 연소 반응이 극열한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 등을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열을 통제할 수 없는 후기 재연소 및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치열한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은 현재 연구인원들이 시급히 연구해야 할 문제로서, 초기의 화재억제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화재 후에 재연소도 해결할 수 있고, 재산손실을 감소시키고, 인명 사상을 피할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연구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종의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화재억제장치는 초기 화재의 소화 및 진화를 확보할 수 있고, 소방수 소화장치 및/또는 소방수 소화기구를 증설하므로 배터리 팩이 재연소되는 상황 하에, 소방수를 신속히 연결하여, 배터리 팩의 내부까지 직접 발송하고 소화를 이룬다. 물론 배터리 팩은 최초 화재의 소화부터 소방수를 연결하는 것까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데, 배터리 팩이 재연소 시, 배터리 팩의 내부의 열을 통제할 수 없고,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기필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에 의하여 배터리 팩의 내부에 있는 열을 통제 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 및 폭발물을 배터리 팩의 내부에서 순조롭게 배출시키고, 압력을 방출하여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동시에, 소방수를 연결하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방안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종의 배터리 팩의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탐측제어장치, 화재억제장치와 소방수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탐측제어장치와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연결되고,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와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복합형 탐측제어장치이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측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탐측유닛은 온도센서, 연기센서, CO센서, 광전센서, 수소센서, VOC센서와 압력터치 스위치 중의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포함되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측유닛으로 탐측된 매개변수 신호를 복합판단을 거쳐 상기 화재억제장치로 발송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복합형 탐측제어장치이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탐지유닛은 온도 센서, 연기센서, CO센서, 광전센서, 수소센서, VOC센서와 압력터치 스위치 중의 하나 또는 다수개가 포함되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지유닛으로 탐측된 매개변수 신호를 상기 화재억제장치로 발송한다.
더 나아가,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배기필터장치이다.
더 나아가, 상기 화재억제장치의 매체는 열성 에어로졸 또는 건성 분말 또는 헵타플루오로프로판(Heptafluoropropane)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판(Hexafluoropropane) 또는 퍼플루오로헥사논(Perfluorohexanone)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기 화재억제장치의 매체 분사는 일회 분사 또는 다중 분사를 이용한다.
더 나아가, 다중 분사하는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펌프식 소화기이다.
더 나아가,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는 외부케이스,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과 인터페이스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과 인터페이스기구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메인 케이싱과 도어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와 메인 케이싱은 연결되고,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은 상기 래치기구를 제어하여 도어를 오픈하거나 잠근다.
더 나아가, 상기 래치기구는 전자 도어록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은 전기제어모듈, 연동유닛과 래치스위치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어모듈은 전기제어방식으로 래치스위치를 열고, 상기 연동유닛은 기계전동방식으로 래치스위치를 열다.
더 나아가, 상기 인터페이스기구는 소방구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구와 커넥터는 볼트를 통해 케이스 내에 고정되며, 커넥터는 케이스의 측면벽과 밀폐되어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은 배기필터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배터리 팩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배터리 팩의 내부에서 연소될 때 연기를 배출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방폭밸브와 필터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방폭밸브의 일단은 배터리 팩과 연결되고, 방폭밸브의 다른 일단은 필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장치는 입력구, 출력구, 케이스과 필터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구와 출력구는 케이스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필터기구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기구에는 다수개의 필터홀이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필터홀의 최소 직경은 0.428mm보다 작다.
더 나아가, 상기 필터기구는 제1 필터어셈블리와 제2 필터어셈블리가 포함하며, 제1 필터어셈블리와 제2 필터어셈블리는 필터기구의 발송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 필터어셈블리에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가 포함되며, 제2 필터어셈블리에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가 포함되며, 필터기구의 발송방향에서 적어도 2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는 필터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배열되고,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는 필터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배열된다.
더 나아가, 상기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에 있는 홀직경의 통기면적, 인접된 제2 필터팔레이트에 있는 홀직경의 통기면적은 상기 단일 틈의 유효한 통기면적의 합으로서 필터기구의 단층 통기면적을 구성하며, 상기 단층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크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는 케이스 길이방향의 측벽과 협각을 이루고, 상기 협각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80° 보다 작으며,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의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크고, 제2 필터팔레이트는 케이스 길이방향의 측벽과 협각을 이루며, 상기 협각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80° 보다 작으며, 상기 제2 필터팔레이트의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크다.
더 나아가, 상기 출력구에는 소방수 소화기구가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방폭밸브는 프레임워크, 실링와셔와 방수통기막이 포함되며, 상기 실링와셔와 방수통기막은 각각 프레임워크에 설치되어, 실링와셔는 방폭밸브와 배터리 팩의 사이를 밀폐시켜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방수통기막은 배터리 팩이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압력배출에 사용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에 있어서, 화재억제장치는 초기 화재의 소화와 진화를 확보하고, 소방수 소화장치와 소방수 소화기구의 증설을 통해, 배터리 팩이 재연소되는 상황하에서 신속히 소방수를 연결하고, 직접 배터리 팩의 내부까지로 직접 발송하여 소화를 이룬다. 물론 배터리 팩은 최초 화재의 소화부터 소방수를 연결하는 것까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데, 배터리 팩이 재연소 시, 배터리 팩의 내부의 열을 통제할 수 없고,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기필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에 의하여 배터리 팩의 내부에 있는 열을 통제 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 및 폭발물을 배터리 팩의 내부에서 순조롭게 배출시키고, 압력을 방출하여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동시에, 소방수를 연결하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아래 첨부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2는 소화시스템중 화재억제장치 부분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3은 소화시스템중 배기필터장치의 부분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4는 소방수 소화장치의 내부구조의 사사도이다.
도5는 소방수 소화장치중 제2 챔버의 내부구조 사시도이다.
도6은 방폭밸브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7은 필터장치의 다수개의 실시예(8A-8C)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8은 틈의 유효한 통기면적 사시도이다.
도9는 153Ah 삼원 배터리를 예로 한 연소온도 검측도이다.
도10은 펌프식 소화기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10에 되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은 탐측제어장치(2), 화재억제장치(3)과 소방수 소화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배터리 팩(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연결하니스(6)을 통해 화재억제장치(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억제장치(3)는 배터리 팩(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4)는 배터리 팩(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억제장치(3)은 소화관선(9), 노즐(10)과 소화제 탱크(8)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제 탱크(8)는 소화관선(9)을 통해 상기 노즐(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10)의 다른 일단은 배터리 팩(1)의 내부에 도달하여, 탐측제어장치(2)와 화재억제장치(3)을 연결하고, 소방수 소화장치(4)와 화재억제장치(3)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소방수 소화장치(4)는 삼포트 밸브(7)을 통하여 소화관선(9)에 연결된다.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복합형 탐측제어장치(2)로서, 상기 제어장치(2)는 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탐지유닛은 온도센서, 연기센서, CO센서, 광전센서, 수소센서, VOC센서와 압력터치 스위치 중의 하나 또는 다수개를 포함한다.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사유닛으로 탐측된 매개변수 신호를 복합판단을 거쳐 상기 화재억제장치로 발송하여 소화제를 가동한다.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배터리 팩(1) 내부의 조기화재를 감지하고, 지능적으로 판단하며,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탐측된 매개변수 신호를 화재억제장치(3)로 발송한다. 화재억제장치(3)는 탐측제어장치(2)가 가동 후의 신호을 받아 소화제 탱크(8) 내의 화재억제 매체는 소화관선(9), 노즐(10)을 통해 배터리 팩(1)의 내부로 전송하여 초기화재를 억제하며, 배터리 팩(1)이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조기경보,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스위치를 가동하여 화재억제장치(3)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후속 재연소 또는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심각해질 경우, 소방수 소화장치(4) 또는 소방수 소화기구(11)에 외부 소화호스를 연결하여 순조롭게 물을 배터리 팩(1)에 발송하여 화재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소방수 소화기구(11)에 연결된 배기필터장치(5)는 배터리 팩(1) 내의 연기를 순조롭게 배출하고, 압력을 배출하여 열을 통제 할 수 없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탐측제어장치(2)는 하나 또는 여러 개로서, 하나의 탐측제어장치(2)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을 검측하여 대응한다.
상기 화재억제장치(3)은 배기필터장치(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기필터장치(5)는 화재억제장치(3)의 일종일 수 잇고,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중의 독립작인 설비일 수 있고 화재억제장치(3)과 병열하여 존재하는 다른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 다른 배터리의 소화에 대해 각각 다른 화재진압 방안을 선택한다. 인산철리튬 배터리를 예로 할 경우, 탐측제어장치(2), 화재억제장치(3) (이때 화재억제장치(3)은 청구항 중에서 열거된 매체 중의 임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헥사논) 및 소방수 소화장치(4)의 조합으로 소화하여, 물론 상기 조합을 바탕으로 배기필터장치(5)를 증설하여 소화할 수 있으며; 삼원 배터리를 예로 할 경우, 탐측제어장치(2), 화제제어장치(3)(이때 화재억제장치(3)은 배기필터장치(5)를 선택 함) 및 소방수 소화장치(4)의 조합으로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 화재억제장치(3)의 매체는 열성 에어로졸 또는 건성 분말 또는 헵타플루오로프로판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판 또는 퍼플루오로헥사논을 선택하여 이용하며, 상기 화재억제장치(3)의 매체 분사는 일회 분사 또는 다중 분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폭발식(열성 에어로졸), 공압 피스톤식 (비압력저장), 기계식 피스톤식 (비압력저장), 압력저장식 (건식 분말 소화기)과 같은 일회용 화재억제장치(3)는 본 업종 내에서 흔히 사용된 것이며; 다중 분사 화재억제장치(3)는 펌프식소화기 등과 같다.
상기 펌프식 소화기는 외부프레임워크(56)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워크(56)는 액체진입통로(57)와 배출통로(58)를 형성하고, 외부프레임워크(56)의 내부에는 펌프그룹(59)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그룹(59)에는 소화제 충전의 약제박스(60)가 구성되어 있고, 약제입력배관(61)과 약제출력배관(62)은 펌프그룹(5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입렵배관(61)은 상기 액체입력통로(2)를 통해 상기 약제박스(60)와 연결되고, 상기 약제출력배관(62)은 상기 액체통로(3)와 연결되어 약제출력배관(62)의 말단에 약제출구(63)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프레임워크(56) 내부에는 제어기(6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약제박스(60) 내부에 액위센서(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위센서(65)와 상기 제어기(64)사이는 전기노선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액위센터(65)는 약제박스(60) 내부의 소화제 액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펌프그룹(59)와 상기 제어기(64) 사이는 전기노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펌프그룹(59)은 약제박스(60) 내부의 소화제를 약제출구(63)를 통해 펌핑하는데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펌프그룹(59)와 제어기(64) 자체는 종래 기술에 속하며,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기(64)는 스마트 물펌프 제어기64GYK-1LP(23)0X이고, 단일 채널 오수배출 및 전압 안정화 제어가 가능하다.
외부모니터링 포트(66)는 외부프레임워크(56)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모니터링 포트(66)는 상기 제어기(64)사이에 전기노선으로 연결되고, 외부모니터링 포트(66)는 상기 제어기(64)에 배터리가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경보정보를 접수하는데에 이용된다. 조기경보 포트(67)는 외부프레임워크(56)에 연결되고, 상기 조기경보 포트(67)는 상기 제어기(64) 사이에 전기노선으로 연결되고, 조기경보 포트(67)는 상기 제어기(64)에 사용하여 배터리가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경보정보를 출력하는데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64)는 외부모니터링 포트(66)를 통해 배터리 팩이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위험상황에 대해 조기경보 신호을 받아, 제어기(64)에 집성된 기존 알고리즘 인식, 분석 및 조기경보 데이터 등급 판정을 기반으로 열을 통제할 수 없는 모델 및 미리 설정된 위험 등과 비교하여, 온도하락 가동 또는 소화등급에 달하면, 알리고즘이 가동지령을 내려 펌프그룹(59)이 전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시작하며, 펌프그룹(59)은 약제박스(60)의 출구에서 소화약제를 흡입하여, 펌프그룹(59)을 통해 약제출구(63)에서 약제제를 배출하여 약제분사를 이룬다.
제어기(64)는 조기경보 포트(67)을 통해 일상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의 이상 데이터, 대상 위험 데이터를 원격으로 백그라운드로 전송하여 원격 모니터링을 구성해, 실제 응용과정중 고장정보 및 위험정보 무인 처리 문제를 해결한다.
펌프식 소화기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백업 전원공급장치(6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업 전원공급장치(68)는 상기 제어기(64) 사이에서 전기선로를 연결하고, 백업 전원공급장치(68)는 펌프그룹(59)을 가동할 때 또는 외부전기 단전시 펌프식 소화기에 전기를 공급한다. 백업 전원공급장치(68)는 펌프그룹(59) 모터가 가동되거나 외부 전원이 차단 될 때만 임시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위험이 없을 경우 즉 정상 상태하에서 외부전원은 제어기(64)에 전기를 공급한다.
펌프식 소화기의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가 더 포함되어, 상기 릴레이는 상기 펌프그룹(59)과 제어기(64) 사이에 연결된다. 펌프그룹(59)의 작업은 릴레이에 연결과 차단을 통해 진행된다.
펌프식 소화기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제박스(60)의 측면에는 고정블록(70)이 설치되고, 상기 약제박스(60)는 상기 고정블랙(70)사이에 제한되어 있으며; 약제박스(60)의 상단은 핸들(71)이 연결되어 있다. 고정블록(70)은 약제박스(60)의 위치 제한 및 고정역할을 하며, 진동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초래한 배관손상을 피면하여, 펌프식 소화기의 안정성을 보증한다. 핸들(71)의 디자인은 약제보충을 위해 약제박스(60) 분해조립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외부프레임워크(56)의 측면에는 고정시트(72)가 연결되고, 고정시트(72)에는 고정홀(69)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시트(72)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홀(69)로 외부프레임워크(56)를 고정하고, 외부프레임워크(56) 내부 구성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외부프레임워크(56)의 위치 이동을 방지한다. 약제박스(60)와 외부프레임워크(56)는 모두 단독으로 고정되어, 양자 사이의 거리가 안정되어, 진동으로 초래한 배관파괴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그룹(59)은 소화약제가 충전된 약제박스(60)로 구성되고, 펌프그룹(59)에는 약제입력배관(61)과 약제출력배관(62)이 연결되어 있고, 약제입력배관(61)은 액체진입통로(2)를 통해 약제박스(60)와 연결되고, 약제출력배관(62)은 액체배출통로(3)와 연결되며, 약제수출배관(62)의 말단에 약체출구(63)을 형성한다. 외부프레임워크(56) 내부에는 제어기(64)가 설치되어 있고, 약제박스(60) 내부에는 액위센서(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액위센서(65)와 제어기(64)사시에 전기노선으로 연결하고, 액위선세(65)는 약제상자(60)내부의 소화제액위를 모니터링하며; 펌프그룹(59)은 제어기(64) 사이에 전기노선으로 연결하고, 펌프그룹(59)는 약제박스(60) 내부 소화제를 약제출구(63)을 통해 펌핑한다. 펌프그룹(59)의 작동은 릴레이의 연결과 차단에 따라 진행된다.
제어기(64)는 외부모니터링 포트(66)를 통해 배터리 팩의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위험상황에 대해 조기경보 신호를 받아, 제어기(64)에 집성된 기존 알고리즘 인식, 분석 및 조기경보 데이터 등급 판정을 기반으로 열을 통제할 수 없는 모델 및 미리 설정된 위험 등과 비교하여, 온도하락 가동 또는 소화등급에 도달하면, 알리고즘이 가동지령을 내려 펌프그룹(59)이 전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시작하며, 펌프그룹(59)은 약제박스(60)의 출구에서 소화약제를 흡입하여, 펌프그룹(59)을 통해 약제출구(63)에서 약제제를 배출하여 약제분사를 이룬다.
제어기(64)는 조기경보 포트(67)을 통해 일상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 이상 데이터, 대상 위험 데이터를 원격으로 백그라운드로 전송하여 원격 모니터링을 구성해 실제 응용 과정 중의 고장정보 및 위험정보의 무인 처리 문제를 해결한다. 백업 전원공급장치(68)는 펌프그룹(59) 모터가 가동되거나 외부 전원이 차단 될 때만 임시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위험이 없을 경우, 즉 정상 상태하에서 외부전원은 제어기(64)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펌프 솔루션으로 동력공급 및 압축 배출문제를 해결하고, 근본에서 기술적 신뢰성과 다중 분사의 목적을 이룬다. 첫 째, 펌프그룹(59)를 통해 연속 펌핑한 액체는 압력을 제공하여 종래의 사전에 압력을 저장하여 한번에 분사하여 종료되는 제품의 문제를 해결하며; 둘 째, 동시에 사전에 압력을 저장으로 인한 제품의 연간 검사 및 검토에 대한 산업 규정을 해결하며; 셋 째, 펌프그룹(59)과 약제박스(60)의 분포 방식이 더욱 영활적이고, 분포식 배치 방식도 다양한 차종에 적용되어, 설치위치의 호환성이 강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단일 분사의 단점 문제 해결하여 배터리 팩의 온도 변화와 주위 배터리 팩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배터리 팩이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 발생으로 열량 전도의 위험을 줄인다.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4)는 배터리 팩(1)의 소화관선(9)과 연결되고,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4)는 외부 케이스(52),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53)과 인터페이스기구(54)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53)과 인터페이스기(54)는 외부 케이스(5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52)는 메인 케이싱(30)과 도어(28)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28)는 메인 케이싱(30)과 연결되며,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자물쇠기구를 제어하여 도어(28)를 열거나 잠근다. 상기 래치기구는 전자자물쇠(37)이다.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4)는 배터리 팩(1)의 소화관선(9)과 연결되어, 소방수를 배터리 팩(1)에 직접 발송하여 소화를 진행하며, 전동차 핵심부위 직접소화를 실현한다. 소화수 소화장치(4)가 화재 신호을 수신하면,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전자 자물쇠(37)의 잠금 해제하고, 전자자물쇠(37)를 연 다음 문(28)을 열며, 문(28)이 열린 후 외부 소방 파이프라인이 인터페이스기구(54)에 연결되어 관통되며, 해당 소방수 소화장치(4)는 직접 소방수를 전동차 핵심부위(배터리 팩(1))에 발송하여, 신속히 소화 효과에 달한다.
상기 메인 케이싱(30)은 두 개의 챔버로 구분되고, 제1 챔버(50)와 제2 챔버(51)가 포함되며, 인터페이스기구(54)는 제1 챔버(50)에 설치되고, 도어(28)는 제1 챔버(50)를 덮는데 이용되며, 인터페이스기구(54)는 도어(28)와 등진 일단에 도달하여 제1 챔버(50)와 배터리 팩(1)의 소화배관선(9)과 연결되고, 전자자물쇠(37)와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제2 챔버(5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기구(54)는 소방수와 관련되고, 상기 전자자물쇠(37) 및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전기와 관련되고, 인터페이스기구(54)를 단독으로 차단하여 설치하고 소방수 소화장치(4)의 전반적인 안전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전자자물쇠(37) 및 제어스위치 유닛(53)의 안전을 보호할 수있다. 도어(28)와 제1 챔버(50)은 제1 패킹고무(29)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챔버(51) 중에 버저(46)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저(46)의 일단은 제2 챔버(51) 측벽에 도달하게 하고, 상기 버저(46)는 제어스위치 유닛(53)과 연결한다. 소방수 소화장치(4)가 착화 신호을 받을 때 전기제어모듈(39)은 버저(46)와 조명디스플레이를 가동하여, 버저(46)에서 경보소리가 울리고, 리드빛을 표시하여, 사람들에게 소화를 알리는데, 이는 바로 구조대원들에게 물을 연결하는 연결 위치를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소리와 빛으로 안내해 주고 있다.
상기 래치기구는 전자자물쇠(37)이며, 상기 전자자물쇠(37)는 제1 고정부품(40)을 통해 제2 챔버(51)에 연결된다. 전자자물쇠(37)와 제1 고정부품(40)의 일단은 고정되어 있고, 제1 고정부품(40)의 다른 일단은 제2 챔버(51)와 고정된다. 일반 상황에서 상기 전자자물쇠(37)로 도어(28)를 잠근다.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수동 또는 전기제어의 방식으로 전기자물쇠(37)로 도어(28)를 연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53)은 전기제어모듈(39), 연동유닛(55)과 래치스위치(41)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제어모듈(39)은 전기제어의 방식으로 래치스위치(41)를 열고, 상기 연동유닛(55)은 기계방식으로 래치스위치(41)를 연다.
기계전송방식: 상기 연동유닛(55)은 스위치 톱바(49), 톱바(44)와 래치톱바(42)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톱바(49), 톱바(44)와 래치기구톱바(42)가 연이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기구 톱바(42) 다른 일단은 래치기구스위치(41)과 연결되어, 스위치 톱바(49)에서 스프링(47)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52)에 판넬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의 설치위치는 스위치 톱바(49)와 서로 대응되어 있다. 상기 패널은 아크릴패널(48)이다. 상기 아크릴패널(48)은 제2 챔버(51) 옆벽에 삽입되어 있다. 전기제어모듈(39)는 제2 고정부품(38)에 고정되어 있고, 제2 고정부품(38)은 제2 챔버(51)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 톱바(49)와 톱바 (44)는 세 번째 고정너트(45)를 통해 고정되고, 래치톱바(42)와 톱바(44)는 제2의 고정너트(43)을 통해 연결되고, 제2 챔버(51) 측면벽에는 항공 플러그 커넥터(36)가 연결되어 있으며, 항공 플러그 커넥터(36)는 전기테어모듈(39)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기구(54)에는 소방구(31)과 커넥터(33)이 포함되며, 상기 소방구(31)와 커넥터(33)는 나사로 외부 케이스(52)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커넥터(33)과 외부 케이스(52) 측벽은 밀폐되어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33)와 외부 케이스(52)는 제2 패킹고무(32)와 세 번째 패킹고무(35)로 밀폐되어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33)은 제1 고정너트(34)로 외부 케이스(52)에 연결된다. 커넥터(33)은 소화관선(9)과 연결된다.
배기필터장치(5)는 방폭밸브(13)와 필터장치(12)가 포함되며, 상기 방폭밸브의(13) 일단은 배터리 팩(1)과 연결되고, 방폭밸브(13)의 다른 일단은 필터장치(12)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장치(12)는 입력구(16), 출력구(15), 케이스(18)와 필터기구(17)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구(16)와 출력구(15)는 각각 케이스(18)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고, 필터기구(17)는 케이스(18)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기구(17)에 다수 개의 필터홀(1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홀(19)의 최소 직경은 0.428 mm미만이다. 상기 배터리 팩(1)의 배기필터장치(5)에는 배기관(14)과 소방수 소화기구(11) 포함되며, 상기 배기관(14)은 방폭밸브(13)과 필터장치(12) 사이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소방수 소화기구(11)는 필터장치(12)의 출력구(15)와 연결된다. 상기 소방수 소화기구(11)는 표준 소방수 소화기구(11)를 이용하여, 열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필터장치(12)는 승객에게 충분한 시간을 마련해주어 소방차가 올 때 소방대원들이 소방수를 직접 소화기구(11)에 신속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기구(17)의 필터홀(19)는 비교적 큰 폭파 압력의 방출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대용량 배터리와 배터리모듈이 순식간에 산생되는 대량의 연기물의 배출을 확보할수 있어, 필터장치(12) 및 배터리 팩(1) 구조의 파괴를 피할수 있다. 필터홀(19)의 모양은 스트립, 원형홀, 사각형 홀 등 일수 있고,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단일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다중 필터 홀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홀직경의 전후 배열은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배열하는 것을 만족하여야 한다.
필터기구(17)는 제1 필터어셈블리(20) 및 제2 필터어셈블리체(21)가 포함되며, 제1 필터어셈블리(20)와 제2 필터어셈블리(21)는 필터기구(17)의 이송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필터어셈블리(20)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적어도 2 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22)가 포함되되, 제2 필터어셈블리(21)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적어도 2 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23)가 포함되며, 필터기구(17)의 이송방향에서, 필터홀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22)가 필터홀(19) 직경 크기에 따라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필터홀(19) 직경에 따라 큰 것에서 작은것으로 배열된다. 각각 제1 필터팔레이트(22)에는 여러 개의 필터홀(19)이 설치되고, 각각 제2 필터팔레이트(23)에는 또한 다수개의 필터 홀(19)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단일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다수개의 필터홀(19)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으며, 필터기구(17) 발송 방향에서 평행으로 설치된 제2 필터팔레이트(23) 홀의 직경이 앞에서 뒤로 작아지는 순서이고, 평행으로 설치된 제1 필터팔레이트(22) 홀의 직경이 앞에서 뒤로 작아지는 순서인 것을 만족하면, 제2 필터어셈블리(21) 또는 제1 필터어셈블리(20)의 단계별 필터를 이룬다. 필터장치(12)의 입력구(16) 부근의 필터기구(17)는 비교적 큰 홀 직경을 이용하여, 큰 고체알갱이, 예를 들어 동박, 방폭(13) 폭발연소 플라스틱품 등을 차단하여 발송방향 말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홀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고, 작은 고체 알갱이 예를 들어 스파크, 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다. 본 출원기술 실험을 통해 다원적 배터리가 열을 통제할 수 없어 배출된 고체알갱이는 95% 이상의 고체알갱이 직경이≥0.428mm이여, 따라서, 필터장치(12)의 필터효과를 극대화하고 배기 가스에 고체 입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 이송 방향의 끝에서 필터장치(12)의 홀 직경 크기를 0.428mm 미만으로 설정하여 필터장치(12)가 큰 고체 입자를 필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스파크, 먼지 등을 배터리 팩(1)의 열을 통제할 수 없어 생하는 큰 폭발압력을 배출하여 연기가 순조롭게 배출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22) 사이에 병행으로 배열되고,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23) 사이에 병렬로 배열된다.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구체적인 수량은 3개, 4개, 5개일 수 있으나,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구체적인 개수와 관계없이 필터기구(17)의 이송방향 말단의 제1 필터팔레트(22) 또는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홀 직경 크기는 0.428mm 미만이다.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엇갈리게 설치되고, 즉, 제2 필터팔레이트(23)와 인접한 2개의 제1 플레이트(22) 사이에 평행하게 삽입되지만,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제1 필터팔레이트(22)에 배치되어 케이스(18)의 상대측에 연결되고, 제2 필터팔레이트(23)와 제1 필터팔레이트(22)는 접촉하지 않는다. 필터기구(17)에 수직으로 된 발송방향으로,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가장 가까운 제2 필터팔레이트(23) 사이에 틈이 설치되고, 상기 틈은 배터리 팩(1)이 열을 통제할 수 없을 때 연기 제거하는데에 이용된다.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홀 직경의 통기면적은 S1이고,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홀 직경 통기면적은 S2이며, 그리고 단일 상기 서술한 틈의 유효적인 통기면적S의 합은 필터기구(17)의 단층 통기면적St1을 구성하고, 상기 단층의 통기면적St1은 입력구(16)의 단면적S3 보다 크다. 입력구(16)와 배기관(14)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입력구(16)와 배기관(14)은 다른 직경을 가질 수있다. 직경이 다를 경우, 배기관(14)이 입력구(16)의 직경보다 클 때, 상기 단층 통기면적St1은 배기관(14)의 단면면적S4 보다 커야하며, 만약 배기관(14)이 입력구(16)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 상기 단층 통기면적St1은 입력구(16)의 단면면적 S3 보다 클 수있다. 단층의 통기면적St1을 계산하여, 단일 홀 직경 면적이 n1이라고 가정하면,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23)에 12개의 홀이 제공되고, 상기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홀 직경의 통기면적 S1=12*n1,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 (23)의 홀직경의 통기면적 S2=12*n1이다. 틈의 유효적인 통기면적은 S,St1=12*2* n1+S이다.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면적이 일정한 상황하에서, 서로 다른 홀 직경에 따라 홀 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12개의 홀은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23) 의 일종의 실시예이다.
상기 틈의 유효적인 통기면적S은 입력구(16)의 단면면적 S3 보다 크다. 유효적인 통기면적S은 틈새를 통과하는 연기의 최소 단면면적을 의미하며,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길이방향 밑변ab은 상기 밑변ab가 제1 필터팔레이트(22) 길이방향에서 제2 필터팔레이트(23) 표면의 교차선cd으로 연장하여, 유효적인 통기면적S는 밑변ab와 교차선 cd로 형성된 평면면적이며, 도면4에서 도시와 같다.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의 측벽 협각은 β이고, 0 ° <β <180 °이고,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통기면적은 입력구(16)의 단면면적 보다 크며, 제2 필터팔레이트(23)와 케이스(18)의 길이 방향 측벽 협각은 β이며, 0 °<β <180 °이며, 단일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통기면적은 입력구(16)의 단면면적보다 크다. 입력구(16)의 단면면적은 연기의 배출면적이며, 상기 단일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통기면적 또는 상기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통기면적은 연기배출면적보다 크게 설계하고,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제2 필터 팔레스(23)을 통해 연기배출의 1급 필터를 이루고, 여러 제1 필터팔레이트(22) 또는 제2 필터팔레이트(23)가 있을 경우, 연기배출의 다급 필터를 이루어, 필터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입력구(16)에 인접한 제1 필터팔레이트(22)는 입력구(16)의 연기 통로를 완전히 덮는다. 제1 필터팔레이트(22)가 연기에 대한 유효적인 필터면적을 증대하여 덮을 수 없을 경우, 제1 필터팔레이트(22)는 연기의 유효적인 필터면적이 감소되고, 연기 직선통로가 제1 필터펄레이트(22)와 인근한 제2 필터팔레이트(23)사이에 있을 경우, 입력구(16)를 통하여 배출한 연기 일부분은 제1 필터팔레이트(22)를 통해 필터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필터팔레이트(23)을 통해 필터되고, 다른 일부분은 틈을 통해 뒤의 필터기구(17)에 진입하여, 이런 방식은 부분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필터면적을 낭비하게 된다.
필터기구(17)의 발송 방향에 있어서, 앞뒤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필터홀(19)의 홀 중심은 엇갈리게 배열되고, 앞뒤 인근한 두 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필터홀(19)의 홀 중심은 엇갈리게 설치한다. 홀 중심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연기가 인접한 두 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22)를 직접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연기가 인접한 두 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23)를 직접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가 제1 필터어셈블리(20)와 제2 필터어셈블리(21) 사이에 있게하여, 양호한 필터를 이룬다.
153Ah 삼원 전지를 예로 보면, 실험을 통해 153Ah 삼원 배터리가 열을 통제할 수 없고 연소가 극열할 때, 방폭밸브(3)구의 온도가 1022.20℃에 도달하여, 대용량 배터리는 배출하는 연기의 상기 배기관(14) 재질을 선택하여, 연기배출의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순식간에 대량의 연기를 산생하여 높은 압력을 부대하여, 배기관(14)은 내고압적으로, 상기 대용량 배터리 열을 통제할 수 없는 특점을 바탕으로 상기 배기관(14)는 스테인리스강(304)재질을 선택하여, 내고온, 내고압적으로 질이 가볍다. 스테인리스강(304)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사용요건을 충족하는 상황하에서, 파이프벽의 두께를 더 얇게 만들어, 배기필터장치(5)의 전체 무게를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14)의 단면면적S4≤ 필터장치(12)의 단면면적 S5이다.
도3에 도시와 같이, 방폭밸브(13)는 프레임워크(24), 실링와셔(25) 및 방수통기막(26)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와셔(25)는 프레임워크(24)의 주변에지에 설치되고, 프레임워크(24)중부에 관통통로를 개설하여, 통로의 상기 방수통기막(26)에 설치한 프레임워크(24)를 덮어주며, 실링와셔(25)는 방복밸브(13)와 배터리 팩(1)사이의 실링연결에 이용되어, 방수통기막(26)은 배터리 팩(1)의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의 압력 배출에 이용된다. 프레임워크(24)의 주변에 적어도 2개의 볼트홀(27)이 설치되며, 방폭밸브(13)는 적어도 2개의 볼트홀(27)로 배터리 팩(1)과 연결되며, 배터리 팩(1)의 케이스(18)에 관통홀이 설치되어, 관통홀은 적어도 1개가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방수통기막(26)의 면적과 매칭되어, 방수통기막(26) 관통홀을 덮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대량의 연기를 즉시 발생시키는 대용량 배터리 및 배터리 모듈의 특성을 감안하여, 종래의 방폭밸브(13)에 대해 새로 개조하고, 방수통기막(26) 방수통기는 배터리 팩(1) 의 내외 압력 밸런스를 유지하여,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방폭밸브(13)의 방수통기막(26)이 폭발되어, 프레임워크(24)중부에 관통된 통로가 열려, 폭발된 알갱이가 통로를 통해 배터리 팩(1)에서 배출되어, 압력을 배출하여, 연기의 원활한 배출을 확보한다. 관통홀이 여러 개인 경우, 각 관통홀에 방폭밸브(13)를 설치할 수 있고, 해당 개수의 배기관을 필터장치(12)에 통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1개의 통관 홀에 1개 펄터장치(12)가 대응될 수 있다.
필터장치의 실시예 1에서,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배열 각도는 135°이고, 필터장치(12)의 좌측 파이프는 연기 입구의 배기관(14)이며, 입구는 필터장치(12) 상단의 1/3되는 부근에 가까이하여, 상단의 제1 필터어셈블리(20)는 연기 입구 직선통로를 덮을 수 있다. 오른쪽 파이프라인은 연기출구인 배기관(14)이고, 배출구는 필터장치(12)의 하단 1/3되는 부근에 가까이하고, 같은 방식으로 하층 제2 필터어셈블리(21)는 연기출구의 직선통로를 덮을 수 있다. 입력구(16)의 제1 필터팔레이트(22)의 필터 홀(19)은 롱홀을 이용하고, 다른 필터 홀(19)은 원형홀을 이용하여, 큰 호일, 방폭밸브(13) 폭발연소후의 플라스틱 블록, 실링와셔(25) 등을 유효적으로 차단한다. 다음 벌크 고체가 필터장치(12) 하단에 있는 비어있는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어서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단계적 필터를 실현하기 위해, 직경이 큰데서 점차 작아지는 필터 홀(19)로 가공된다. 전, 후면 필터팔레이트의 필터홀(19)의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하여, 필터링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제1 필터팔레이트(22)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 상부 측벽 사이의 각도β는 45도이고, 제2 필터팔레이트(23)와 케이스 (18)의 길이 방향 하단 측벽 사이의 각도β는 45도이며,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수직되지만 접촉하지 않고,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중간에 틈을 유지하여, 틈의 유효적인 배기면적은 배기관(14)의 단면면적S4 보다 작지 않으며, 배기누설압 통로의 원활함을 확보하기 위해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가 고체 입자에 의해 완전히 막혀도 연기를 순조롭게 배출한다.
필터장치의 실시예2에 있어서, 도1B와 같이,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의 배열 각도는 45°이고, 고체 입자가 필터되고, 연기도 순조롭게 배출된다. 필터홀(19)은 롱홀과 원형홀의 조합을 이용한다.
필터장치의 실시예3에 있어서, 도1C와 같이,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1 필터팔레이트(22)와 제2 필터팔레이트(23)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의 측벽 각도는 90도로서, 고체 입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연기를 순조롭게 배출한다. 필터홀(19)은 전부 원형홀을 이용한다.
압력 배출 공정은, 방폭밸브(13)의 방수통기막(26)은 배터리 팩(1)의 열을 통제할 수 없어 생성된 다량의 연기의 작용으로 폭발하고, 연기는 방폭밸브(13) 통로에서 배기관(14)을 따라 필터장치(12)로 유입되고, 필터장치(12)의 케이스(18) 내에서 압력이 감소되어, 제1 필터어셈블리(20)와 제2 필터어셈블리(21)의 다급 필터를 통해 필터되어 막힘없이 완전히 필터된 후, 나중에 소방수 소화기구(11)에 의해 배출된다. 소방차가 소방수소화기구(11)에 연결되면, 물이 소방수소화기구(11)로부터 필터장치(12)로 들어가, 필터장치(12)에서 필터홀(19)와 틈을 통해 방폭밸브(13)통로에 진입하여, 나중에 배터리 팩(1)으로 들어가 온도를 하락하여 소화를 이룬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의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또는 기본 특징을 벗어나지 않은 상황하에서, 다른 구체적인 형식으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관점에서든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시범성으로 간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첨부한 청구범위이지 상기 설명에 제한되어 있지 않기에, 청구범위와 동등한 요건의 의미와 범위내의 모든 변화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청구범위 중 그 어떤 첨부도면 부호는 관련된 청구범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된다.
이외에, 본 명세서는 실시방식에 따라 기술되어 있지만, 각각의 실시방식이 독립적인 기술 솔루션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명세서의 설명은 명확성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명세서 전체를 완정체로 간주하여, 각 실시예 중 기술적 솔루션은 적절한 조합을 거쳐, 본 분야 기술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다른 실시방식을 형성할 수 있다.
1: 배터리 팩 2: 탐측제어장치
3: 화재억제장치 4: 소방수 소화장치
5: 배기필터장치 6: 연결하니스
7: 삼포트밸브 8: 소화제탱크
9: 소화관선 10: 노즐
11: 소방수 소화기구 12: 필터장치
13: 방폭밸브 14: 배기관
15: 출력구 16: 입력구
17: 필터기구 18: 케이스
19: 필터홀 20: 제1 필터어셈블리
21: 제2 필터어셈블리 22: 제1 필터팔레이트
23: 제2 필터팔레이트 24: 프레임워크
25: 실링와셔 26: 방수통기막
27: 볼트홀 28: 도어
29: 제1 고무패킹 30: 메인 케이싱
31: 소방구 32: 제2 고무패킹
33: 커넥터 34: 제1 고정너트
35: 세번째 고무패킹 36: 항공 플러그 커넥터
37: 전자자물쇠 38: 제2 고정부품
39: 전기제어모듈 40: 제1 고정부품
41: 래치스위치 42: 래치톱바
43: 제2 고정너트 44: 톱바
45: 세번째 고정너트 46: 버저
47: 스프링 48: 아크릴패널
49: 스위치 톱바 50: 제1 챔버
51: 제2 챔버 52: 외부 케이스
53: 제어스위치 유닛 54: 인터페이스기구
55: 연동유닛 56: 외부프레임워크
57: 액체진입통로 58: 액체배출통로
59: 펌프그룹 60: 약제박스
61: 약제입력관로 62: 약제출력관로
63: 약제출구 64: 제어기
65: 액위센서 66: 외부모니터링 포트
67: 조기경보 포트 68: 예비용 전원
69: 고정홀 70: 고정블록
71: 핸들 72: 고정시트

Claims (17)

  1. 탐측제어장치, 화재억제장치와 소방수 소화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탐측제어장치와 상기 화재억제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와 상기 화재억제장치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복합형 탐측제어장치이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탐지유닛은 온도 센서, 연기센서, CO센서, 광전센서, 수소센서, VOC센서와 압력터치 스위치 중의 하나 또는 다수개가 포함되며, 상기 탐측제어장치는 탐지유닛으로 탐측된 매개변수 신호를 상기 화재억제장치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배기필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억제장치의 매체는 열성 에어로졸 또는 건성 분말 또는 헵타플루오로프로판(Heptafluoropropane)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판(Hexafluoropropane) 또는 퍼플루오로헥사논(Perfluorohexanone)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기 화재억제장치의 매체 분사는 일회 분사 또는 다중 분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다중 분사하는 상기 화재억제장치는 펌프식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수 소화장치는 외부케이스,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과 인터페이스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기구, 제어스위치 유닛과 인터페이스기구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메인 케이싱과 도어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와 메인 케이싱은 연결되고,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은 상기 래치기구를 제어하여 도어를 오픈하거나 잠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구는 전자 도어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위치 유닛은 전기제어모듈, 연동유닛과 래치스위치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어모듈은 전기제어방식으로 래치스위치를 열고, 상기 연동유닛은 기계전동방식으로 래치스위치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기구는 소방구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구와 커넥터는 볼트를 통해 케이스 내에 고정되며, 커넥터는 케이스의 측면벽과 밀폐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은 배기필터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배터리 팩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배터리 팩의 내부에서 연소될 때 연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장치는 방폭밸브와 필터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방폭밸브의 일단은 배터리 팩과 연결되고, 방폭밸브의 다른 일단은 필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장치는 입력구, 출력구, 케이스과 필터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구와 출력구는 케이스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필터기구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기구에는 다수개의 필터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장 작은 상기 필터홀의 직경은 0.428m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구는 제1 필터어셈블리와 제2 필터어셈블리가 포함하며, 제1 필터어셈블리와 제2 필터어셈블리는 필터기구의 발송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 필터어셈블리에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가 포함되며, 제2 필터어셈블리에는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가 포함되며, 필터기구의 발송방향에서 적어도 2개의 제1 필터팔레이트는 필터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배열되고, 적어도 2개의 제2 필터팔레이트는 필터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와 가장 인접한 제2 필터팔레이트 사이에 틈을 설치하고, 상기 틈은 배터리 팩이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연기를 통과시키는 데 쓰이고, 상기 단일 제1 필터팔레이트에 있는 홀직경의 통기면적, 인접된 제2 필터팔레이트에 있는 홀직경의 통기면적은 상기 단일 틈의 유효한 통기면적의 합으로서 필터기구의 단층 통기면적을 구성하며, 상기 단층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는 케이스 길이방향의 측벽과 협각을 이루고, 상기 협각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80° 보다 작으며, 상기 제1 필터팔레이트의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크고, 제2 필터팔레이트는 케이스 길이방향의 측벽과 협각을 이루며, 상기 협각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80° 보다 작으며, 상기 제2 필터팔레이트의 통기면적은 입력구의 단면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구에는 소방수 소화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밸브는 프레임워크, 실링와셔와 방수통기막이 포함되며, 상기 실링와셔와 방수통기막은 각각 프레임워크에 설치되어, 실링와셔는 방폭밸브와 배터리 팩의 사이를 밀폐시켜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방수통기막은 배터리 팩이 열을 통제할 수 없을 경우 압력배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KR1020210002200A 2020-12-23 2021-01-07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KR102625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33,116 US11541258B2 (en) 2020-12-23 2020-12-23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battery pack
US17/133,116 202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23A true KR20220092323A (ko) 2022-07-01
KR102625883B1 KR102625883B1 (ko) 2024-01-18

Family

ID=7612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00A KR102625883B1 (ko) 2020-12-23 2021-01-07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41258B2 (ko)
EP (1) EP4019095A1 (ko)
JP (1) JP7085169B1 (ko)
KR (1) KR102625883B1 (ko)
CN (1) CN112891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825A1 (ko) *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458A4 (en) * 2020-08-27 2024-07-03 Yantai Chungway New Energy Tech Co Ltd EXHAUST FILTER SYSTEM FOR BATTERY PACK
CN115282527A (zh) * 2021-11-12 2022-11-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灭火盒和电池包下箱体
CN114284614A (zh) * 2021-12-27 2022-04-05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914519B (zh) * 2022-05-26 2023-12-29 柳州五菱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锂离子电池制备方法
TWI816427B (zh) * 2022-06-08 2023-09-21 許竣翔 蓄電系統之降溫滅火裝置
CN115487447A (zh) * 2022-09-07 2022-12-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电池微型储能装置消防系统及灭火方法
CN115291099B (zh) * 2022-09-29 2023-03-14 临沂财帛电子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机电组件的配电开关测试装置
CN116885382B (zh) * 2023-09-07 2023-12-22 电子科技大学长三角研究院(湖州) 一种高安全性的防爆燃电池组
CN116979208B (zh) * 2023-09-22 2023-12-08 深圳市源科昱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组组合式防爆电池盖板
CN117832666A (zh) * 2023-12-29 2024-04-05 广东康德威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散热机构的新能源发电储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906A1 (en) * 2018-12-20 2020-06-25 Scania Cv Ab A fire extinguish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for assisting in extinguishing an ongoing or imminent fire in a modular vehicle
CN111494841A (zh) * 2020-04-24 2020-08-07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仓库储存锂离子电池火灾预警及灭火装置
CN111957128A (zh) * 2020-08-27 2020-11-20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的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987A (en) * 1969-03-24 1971-10-26 Factory Mutual Res Corp Fire protection system for variable pressure chambers
JP6189603B2 (ja) 2013-02-19 2017-08-3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装置
JP6279834B2 (ja) 2013-02-20 2018-02-14 ホーチキ株式会社 蓄電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移動体又は施設
JP6080201B2 (ja) 2013-02-26 2017-02-15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ージング方法
US20160346573A1 (en) * 2015-06-01 2016-12-01 Bradley Dean Carson Lithium battery fire suppression water hose system
CN205494763U (zh) 2016-04-05 2016-08-24 威特龙消防安全集团股份公司 一种高压细水雾灭火系统分区控制阀组
JP2017060805A (ja) 2016-11-16 2017-03-30 ホーチキ株式会社 電気自動車向け消火システム
US10991923B2 (en) * 2018-04-13 2021-04-27 GelTech Solutions, Inc. Lithium ion battery suppression system
GB201807848D0 (en) * 2018-05-15 2018-06-27 Ryman Michael Clifford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09939390B (zh) * 2019-03-25 2020-08-2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气体灭火与机械通风散热的电化学储能站预制舱内灭火系统及方法
CN209575563U (zh) * 2019-07-09 2019-11-05 四川华川工业有限公司 一种全氟己酮电动客车动力锂离子电池箱火灾防控装置
CN211455884U (zh) 2020-01-06 2020-09-08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箱抑爆装置
CN212118818U (zh) 2020-04-24 2020-12-11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泵组式驱动火灾抑制装置
CN211789233U (zh) 2020-05-26 2020-10-27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包的安全排气装置
CN111888692A (zh) * 2020-08-12 2020-11-06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 一种储能消防系统和方法
CN111834581A (zh) 2020-08-27 2020-10-27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的排气过滤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906A1 (en) * 2018-12-20 2020-06-25 Scania Cv Ab A fire extinguish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for assisting in extinguishing an ongoing or imminent fire in a modular vehicle
CN111494841A (zh) * 2020-04-24 2020-08-07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仓库储存锂离子电池火灾预警及灭火装置
CN111957128A (zh) * 2020-08-27 2020-11-20 烟台创为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的过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825A1 (ko) *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83B1 (ko) 2024-01-18
US11541258B2 (en) 2023-01-03
US20220193471A1 (en) 2022-06-23
CN112891789A (zh) 2021-06-04
EP4019095A1 (en) 2022-06-29
JP2022100182A (ja) 2022-07-05
JP7085169B1 (ja)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883B1 (ko) 일종 배터리 팩의 소화시스템
WO2023124436A1 (zh) 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568833A (zh) 一种动力电池包防复燃自动灭火装置与方法
CN205598472U (zh) 一种车辆安全电池箱和车辆动力安全系统
CN216603874U (zh) 一种储能电池簇两级消防灭火系统
CN110404207A (zh) 一种动力电池箱的灭火装置及汽车
CN220572548U (zh) 一种电化学储能站火灾主动抑制装置
CN115006759A (zh) 一种基于极早期探测和定向灭火的储能电站安全系统
CN107871906A (zh) 自带火险防控功能的锂电池箱
CN211863633U (zh) 具有消防装置的集装箱梯次储能系统
CN213466577U (zh) 换热板、电池箱及车辆
CN212756898U (zh) 高低温箱自动消防灭火系统
WO2023159852A1 (zh) 一种集装箱式电源
CN115006760B (zh) 一种储能电池舱热失控梯级抑制方法
CN113730849A (zh) 灭火系统
CN213941929U (zh) 锂电池储能系统的多重防护消防系统
CN112002846B (zh) 电池容器及其电池的灭火方法、车辆
CN212161938U (zh) 一种带有防火隔热结构的船用锂电池箱
CN216148905U (zh) 灭火系统
CN219609778U (zh) 一种氢燃料电池混合动力冷藏集装箱安全系统
CN215097066U (zh) 一种电池火灾抑制充换电柜
CN215781124U (zh) 消防充电柜
CN114288588B (zh) 一种电动车充电棚用火灾预警系统及方法
CN220676578U (zh) 一种储能箱
CN219815089U (zh) 一种储能舱火灾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