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751A -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751A
KR20220091751A KR1020200182776A KR20200182776A KR20220091751A KR 20220091751 A KR20220091751 A KR 20220091751A KR 1020200182776 A KR1020200182776 A KR 1020200182776A KR 20200182776 A KR20200182776 A KR 20200182776A KR 20220091751 A KR20220091751 A KR 2022009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utside
retractable
push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751A/ko
Priority to US17/371,382 priority patent/US11746576B2/en
Priority to CN202111134178.1A priority patent/CN114673413A/zh
Priority to DE102021125951.7A priority patent/DE102021125951A1/de
Publication of KR2022009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58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non-destructive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푸싱부를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에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아웃 사이드 핸들을 포함하는 핸들 유닛, 선택적으로 상기 푸싱부를 미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핸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 회전하는 도어 래치 레버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푸싱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시 상기 푸싱부를 밀고,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푸싱부의 미는 힘이 상기 작동 로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파손 방지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RETRACTABLE OUTSIDE DOOR HANDE ASSEMBLY}
본 발명은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오작동시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실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도어 핸들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와 연동되게 연결되어, 각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방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아웃터 패널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데,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웃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면, 탑승자의 조작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돌출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로 인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주행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도 저하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액츄에이터(모터)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아웃터 패널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웃터 패널에 형성된 수용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도어 아웃터 패널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액츄에이터를 통해 링크 기구를 매개로 도어 아우터 패널로부터 돌출시키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의 수용홀 내부로 수납시키게 되어 있고, 도어를 차체에 록킹 혹은 해방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 록 기구와, 도어를 차체에 직접 록킹 혹은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액추에이터에 의해 도어 핸들이 돌출된 상태에서 승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 핸들이 닫히는 경우, 엑추에이터나 도어 핸들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오작동시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푸싱부를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에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아웃 사이드 핸들을 포함하는 핸들 유닛, 선택적으로 상기 푸싱부를 미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핸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 회전하는 도어 래치 레버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푸싱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시 상기 푸싱부를 밀고,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푸싱부의 미는 힘이 상기 작동 로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파손 방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손 방지 기구는 상기 푸싱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작동 로드와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상대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선택적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걸림부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타퍼 탄성부, 상기 스타퍼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타퍼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퍼가 삽입되는 스타퍼 그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스타퍼 및 상기 하우징 스타퍼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돌출 형성된 바디 스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작동 로드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을 상기 핸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핸들 회전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돌출시 상기 도어 래치 레버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에 형성된 핸들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에 반력 토크를 제공하는 핸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오작동시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파손 방지 기구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파손 방지 기구의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시의 배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의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의 배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오작동시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푸싱부(22)를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30)에 제1 방향(도6 참조)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포함하는 핸들 유닛(10), 선택적으로 상기 푸싱부(22)를 미는 작동 로드(48)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40), 상기 핸들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의 작동시 회전하는 도어 래치 레버(60) 및 상기 작동 로드(48)와 상기 푸싱부(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작동시 상기 푸싱부(22)를 밀고,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도6 참조)으로 회전하면 상기 푸싱부(22)의 미는 힘이 상기 작동 로드(4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파손 방지 기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유닛(10)은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상기 핸들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핸들 회전 핀(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파손 방지 기구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는 상기 푸싱부(2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바디(80), 상기 제1 바디(8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작동 로드(48)와 결합하는 제2 바디(90) 및 상기 제1 바디(80)와 상기 제2 바디(90)의 상대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선택적 걸림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 걸림부(100)는 상기 작동 로드(48)가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를 밀면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가 상기 푸싱부(22)를 밀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회전시키게 되나,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가 반대로 회전 하여 상기 푸싱부(22)가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를 밀더라도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는상기 작동 로드(48)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동 로드(48)에 설정된 이상의 힘을 전달하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선택적 걸림부(100)는 상기 제1 바디(80)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82), 상기 스프링 하우징(82)에 구비되는 스타퍼 탄성부(102), 상기 스타퍼 탄성부(102)에 의해 지지되는 스타퍼(104) 및 상기 제2 바디(90)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퍼(104)가 삽입되는 스타퍼 그루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하우징(30)에는 하우징 스타퍼(3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80)에는 상기 하우징 스타퍼(32)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바디 스타퍼(8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로드(48)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바디(90)에는 결합 돌기(94)가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는 도어 래치 레버 핀(64)에 의해 상기 핸들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레버 고리(62)가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고리(62)에는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며, 승객 등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작동시키면,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가 회전하여 도어와 도어 래치의 연결을 해제한다. 도어와 도어 래치의 연결 및 케이블 또는 로드 등의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 돌출시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에 형성된 핸들 다리(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에 반력 토크를 제공하는 핸들 스프링(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또는 승객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조작 후, 상기 핸들 스프링(28)의 반력 토크에 의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상기 핸들 하우징(30) 내로 원위치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차량의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차량에 접근하거나, 무선 통신 또는 접촉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제어기(미도시)가 도어 열림 동작의 개시를 수행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동 로드(48)가 돌출하여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를 밀고,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는 상기 푸싱부(22)를 민다. 이때, 상기 스타퍼(104)는 상기 스타퍼 그루부(9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가 상기 푸싱부(22)를 밀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파손 방지 기구의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시의 정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작동시의 배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가 상기 푸싱부(22)를 밀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상기 핸들 회전 핀(2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 다리(26)가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와 접촉한다. 이 때,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는 회전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은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파지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문 열림 대기 상태로 정의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의 정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의 배면도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문 열림 대기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당기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상기 핸들 회전 핀(2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즉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 다리(26)가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를 민다. 그러면, 상기 도어 래치 레버(60)가 상기 도어 래치 레버 핀(6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 고리(62)에 연결된 미도시한 케이블 또는 로드를 통해 도어와 도어 래치의 연결을 해제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아웃 사이드 핸들의 오작동시의 단면도이다.
도8의 상태에서, 전자 또는 승객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을 제2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푸싱부(22)가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를 밀고, 상기 파손 방지 기구(70)가 상기 작동 로드(48)가 상기 액추에이터(40)를 밀어 상기 액추에이터(40) 또는 상기 푸싱부(22)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디(80)로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스타퍼(104)는 상기 스타퍼 그루부(92)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1 바디(80)는 상기 제2 바디(90) 내측으로 삽입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싱부(22)가 미는 힘이 상기 상기 작동 로드(48)로 전달되지 않아 상기 액추에이터(40) 또는 상기 푸싱부(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작동하여 원위치, 즉 작동전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 로드(48)도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제2 바디(90)가 도면의 좌측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 스타퍼(84)가 상기 하우징 스타퍼(32)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바디(80)는 그 이동이 제한되어 다시 도3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문 열림 대기 상태에서, 탑승자의 과실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20)이 역회전 하더라도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핸들 유닛 20: 아웃 사이드 핸들
22: 푸싱부 24: 핸들 회전 핀
26: 핸들다리 28: 핸들 스프링
30: 핸들 하우징 32: 하우징 스타퍼
40: 액추에이터 48: 작동 로드
60: 도어 래치 레버 62: 레버 고리
64: 도어 래치 레버 핀 70: 파손 방지 기구
80: 제1 바디 82: 스프링 하우징
84: 바디 스타퍼 90: 제2 바디
92: 스타퍼 그루부 94: 결합 돌기
100: 선택적 걸림부 102: 스타퍼 탄성부
104: 스타퍼

Claims (8)

  1. 푸싱부를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에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아웃 사이드 핸들을 포함하는 핸들 유닛;
    선택적으로 상기 푸싱부를 미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핸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의 작동시 회전하는 도어 래치 레버;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푸싱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시 상기 푸싱부를 밀고, 돌출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푸싱부의 미는 힘이 상기 작동 로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파손 방지 기구;
    를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파손 방지 기구는
    상기 푸싱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작동 로드와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상대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선택적 걸림부;
    를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3. 제2항에서,
    상기 선택적 걸림부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타퍼 탄성부;
    상기 스타퍼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타퍼;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퍼가 삽입되는 스타퍼 그루부;
    를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4. 제2항에서,
    상기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스타퍼; 및
    상기 하우징 스타퍼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돌출 형성된 바디 스타퍼;
    를 더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5. 제2항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작동 로드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 돌기;
    를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6. 제1항에서,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을 상기 핸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핸들 회전 핀;
    을 더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7. 제1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돌출시 상기 도어 래치 레버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에 형성된 핸들 다리;
    를 더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8. 제1항에서,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에 반력 토크를 제공하는 핸들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0200182776A 2020-12-24 2020-12-24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091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76A KR20220091751A (ko) 2020-12-24 2020-12-24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17/371,382 US11746576B2 (en) 2020-12-24 2021-07-09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CN202111134178.1A CN114673413A (zh) 2020-12-24 2021-09-27 可伸缩的外侧车门把手组件
DE102021125951.7A DE102021125951A1 (de) 2020-12-24 2021-10-06 Einfahrbare außentürgriffanordn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76A KR20220091751A (ko) 2020-12-24 2020-12-24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751A true KR20220091751A (ko) 2022-07-01

Family

ID=8197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776A KR20220091751A (ko) 2020-12-24 2020-12-24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6576B2 (ko)
KR (1) KR20220091751A (ko)
CN (1) CN114673413A (ko)
DE (1) DE1020211259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12268D1 (de) * 2007-11-02 2011-03-10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Griffanordnung
GB2506350B (en) * 2012-09-25 2015-09-23 Jaguar Land Rover Ltd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CN109958348B (zh) * 2017-12-25 2022-01-2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式的把手总成
DE102018112703A1 (de) * 2018-05-28 2019-11-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Antriebsanordnung
EP3620599B1 (en) * 2018-09-05 2021-01-27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Coupling device for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KR102157301B1 (ko) * 2019-07-05 2020-09-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DE112020000008T5 (de) * 2020-04-16 2021-12-23 Woobo Tech Co., Ltd. Bündig versenkbarer Griff für eine 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5289A1 (en) 2022-06-30
DE102021125951A1 (de) 2022-06-30
CN114673413A (zh) 2022-06-28
US11746576B2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6073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double action mechanism
US11421454B2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and outside release mechanism having reset device
RU2401372C2 (ru) Задвижка боковой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US5803515A (en) Vehicle door latch
US8276949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660722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and antitheft mechanism
US8267444B2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US9394728B2 (en) Global side door latch
US6343817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double action mechanism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JP2004143864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アンチパニック機構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559568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100535053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EP1580365A1 (en) Latch mechanism
KR20220091751A (ko)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KR20220031439A (ko)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423397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33185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220031419A (ko) 차량 충돌시 문열림 방지 구조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200338407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